KR20060059052A -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052A
KR20060059052A KR1020040098214A KR20040098214A KR20060059052A KR 20060059052 A KR20060059052 A KR 20060059052A KR 1020040098214 A KR1020040098214 A KR 1020040098214A KR 20040098214 A KR20040098214 A KR 20040098214A KR 20060059052 A KR20060059052 A KR 20060059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vector
geographic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507B1 (ko
Inventor
이충호
방기인
오재홍
김경옥
윤창락
임영재
김홍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9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507B1/ko
Priority to US11/791,587 priority patent/US20080133554A1/en
Priority to PCT/KR2004/003533 priority patent/WO2006057477A1/en
Publication of KR2006005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벡터 데이터(수치지도)와 영상, 수치표고모델(DEM), 3차원의 포인트 군집(Point Clouds) 데이터, 시설물 텍스쳐 정보 등을 통합하여 저장하고, 관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저장대상 지리정보 데이터를 최소단위로 분해하는 데이터 분해단계; 상기 최소단위로 분해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기하학적인 정보(/지리적 위치 정보)와 속성 정보로 분류하는 정보분류단계; 및 상기 기하학적인 정보(/지리적 위치 정보)를 벡터 형태로 저장하고, 속성 정보는 벡터에 연결된 속성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지리정보, 벡터, 텍스쳐, 영상, 수치표고모델(DEM), 포인트 군집

Description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Multipurpose storage method of geospatial information}
도 1a 내지 1e 는 다양한 데이터들의 샘플을 디스플레이한 설명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중 영상을 벡터와 속성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중 영상을 벡터 형식으로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중 다각형 모양의 텍스쳐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중 다각형 모양의 텍스쳐를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중 TIN으로 변환되는 DEM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중 DEM을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중앙처리장치 12 : 주기억장치
13 ; 보조기억장치 14 : 입력장치
15 : 표시장치
본 발명은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벡터 데이터(수치지도)와 영상, 수치표고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 3차원의 포인트 군집(Point Clouds) 데이터, 시설물 텍스쳐 정보 등을 통합하여 저장하고, 관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리정보 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데이터의 종류에는 수치지도와 영상, 수치표고모델(DEM), 포인트 군집(point cloud) 등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지표 또는 지형지물의 형상을 나타내는 기하학적인 내용 또는 분광학적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항공기 또는 위성으로부터 취득되는 영상은 래스터 데이터(Raster data)라고도 불리며, 정규격자 형태의 모양으로 화소(pixel)라는 최소 단위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다. 각 화소에는 촬영된 대상을 나타내는 색상 또는 분광학적인 정보가 디지털 값으로 할당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소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영상이라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사용하게 된다.
수치지도와 같은 벡터 데이터들은 영상 또는 지표에 나타낸 지형지물을 점, 선, 다각형, 원, 호 등 기하학적인 표현방식으로 기록하게 되며, 이를 약속된 규약에 따라 컴퓨터에 저장된 형태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벡터 데이터들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지도와 같은 형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게 된다.
DEM은 지표의 기복을 표현하는 데이터로서, 영상과 같이 정규격자 형태를 지니게 되지만, 영상은 화소에 색상 또는 분광학적인 정보가 기록되는 반면, DEM에는 지표의 높이 값이 기록되게 된다.
포인트 군집은 DEM과 같이 지표의 기복을 나타내는 고도자료라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DEM과 달리 정규격자 형태가 아닌 불규칙한 포인트의 집합체로 기록된다.
도 1a 내지 1e는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샘플을 디스플레이한 모습이다.
지리정보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형식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름대로의 의미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단일 종류의 데이터가 사용됨에 있어서 장애가 될 만한 요소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다 다양해진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는 두 가지 이상의 데이터를 통합 또는 융합하여 사용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어 기존의 단일 종류의 데이터를 수용하던 각각의 데이터 형식들은 데이터 통합 측면에서 각광받지 못하는 단점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데이터가 하나의 형식으로 물리적인 통합을 이룬다면, 저장 및 관리 방식의 간결함과 이종 데이터 간의 통합 및 융합이 활용 소프트웨어내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의 일예로, "소용량 전자지도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2002-0025855호, 2002. 4. 4 공개)(이하, '제1 선행기술'이라 함)"이 존재하는데, 상기 제1 선행기술은 벡터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벡터 데이터를 여러 다른 데이터와 혼합 저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선행기술은 좌표변환 과정을 통해 저장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임에 반하여, 본 발명은 dxf 벡터 포맷의 확장에 의해 여러 데이터(영상, DEM, 포인트 군집, 텍스쳐 데이터 등)를 벡터 데이터(수치지도)와 혼합 저장하여 다양한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의 다른 예로, "지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공간 데이터 수집(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A, 1권 3호, pp279-289, 1994. 9월)(이하, '제2 선행기술'이라 함)"이 존재하는데, 상기 제2 선행기술은 벡터 데이터의 벡터화와 효율적인 저장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벡터 데이터를 여러 다른 데이터와 혼합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선행기술은 태그 비트를 사용한 압축을 통해 저장공간을 최소화하여 저장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dxf 벡터 포맷의 확장에 의해 여러 데이터(영상, DEM, 포인트 군집, 텍스쳐 데이터 등)를 벡터 데이터(수치지도)와 혼합 저장하여 다양한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영상과 수치지도, DEM, 포인트 군집, 텍스쳐 정보 등은 지리정보, 원격탐사 분야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중요한 자료로서, 서로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과정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들이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가 잦은 반면, 데이터의 성격은 서로 상이하다.
즉, 영상은 화소(pixel)라는 최소 단위의 데이터가 정규 격자 간격으로 존재하며, 각 화소에는 색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값이 각각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수치지도와 같은 벡터 데이터는 점, 선, 다각형, 원, 호등의 형태로서 기하학적인 특성이 파일에 기록되며, 각 형상에 대한 속성이 함께 저장되기도 한다. 또한, DEM과 포인트 군집은 3차원 포인트를 기록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DEM은 정규 격자형태의 자료이고, 포인트 군집은 불규칙한 포인트의 집합이다. 또한, 텍스쳐 정보는 영상 조각의 일종이지만, 일반적인 영상과 달리 전체적인 형태가 직사각형으로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특성들은 각각의 데이터가 상이한 포맷으로 저장되고 관리되는 이유이기도 하며, 각각의 데이터마다 역할과 장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두 가지 이상의 데이터를 혼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저장 및 관리되는 이유로 인해 사용의 어려움과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분야에서는 이러한 상이한 성격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벡터 데이터(수치지도)와 영상, 수치표고모델(DEM), 3차원의 포인트 군집(Point Clouds) 데이터, 시설물 텍스쳐 정보 등을 통합하여 저장하고, 관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저장대상 지리정보 데이터를 최소단위로 분해하는 데이터 분해단계; 상기 최소단위로 분해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기하학적인 정보(/지리적 위치 정보)와 속성 정보로 분류하는 정보분류단계; 및 상기 기하학적인 정보(/지리적 위치 정보)를 벡터 형태로 저장하고, 속성 정보는 벡터에 연결된 속성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동일한 기록 방식으로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데이터 통합 관리 방식은 일반적인 벡터 데이터(수치지도)를 기록하는 방식을 확장하여 영상, DEM, 포인트 군집 등도 기록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형식은 크게 형상의 지리적인 위치와 기하학적인 형태 정보를 나타내는 정량적 부분과, 각 벡터 객체의 색상과 선의 종류, 다각형 내부의 채움 색상 등 정성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별된다. 이와 같이 정량적 정보와 정성적 정보로 분리된 형태의 저장 방식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 줄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길도 열게 된다. 예를 들어, 가상으로 실제 지형 및 도시를 컴퓨터상에서 재현하는 3차원 공간 모델링의 경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벡터 데이터와 시설물의 표면을 표현하기 위한 텍스쳐 정보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본 발명은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중앙처리장치(CPU), "12"는 주기억장치, "13"은 보조기억장치, "14"는 입력장치, 그리고 "15"는 표시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하드웨어 시스템(일예로,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11)와, 중앙처리장치(11)에 연결된 주기억장치(12)와, 주기억장치(12)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13)와,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된 입력장치(14) 및 표시장치(15)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드웨어 시스템은, 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중앙처리장치(11), 중앙처리장치(11)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작업 수행중 이용되는 또는 작업 수행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타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12)와 보조기억장치(13) 및 사용자와의 데이타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장치(14,1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조기억장치(13)는 대량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입출력장치(14,15)는 일반적인 키보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컴퓨터 하드웨어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주기억장치(11)에 탑재되어 벡터 데이터(수치지도)와 영상, 수치표고모델(DEM), 3차원의 포인트 군집(Point Clouds) 데이터, 시설물 텍스쳐 정보 등을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벡터 데이터(수치지도)와 영상, 수치표고모델(DEM), 3차원의 포인트 군집(Point Clouds) 데이터, 시설물 텍스쳐 정보 등을 통합하여 저장하기 위해서, 다양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동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일예로,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는 영상, DEM, 포인트 군집, 수치지도(벡터), 텍스쳐 등이다. 이때, 공통된 저장 방식은 기존의 DXF와 같은 대표적인 벡터 기록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의 벡터 저장 방식에서 지원되지 않는 내용은 별도로 지정된 속성 데이터로 저장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이다. 이때, 통일된 저장 형식은 벡터 형식을 기반으로 속성을 연동하는 방법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은, 크게 영상(301), 포인트 군집 데이터(304), DEM(308), 수치지도와 같은 벡터 데이터(312), 텍스쳐(314)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최소단위로 분해하고, 이를 다시 기하학적인 정보와 속성 정보로 분류하여, 기하학적인 정보는 기존의 벡터 형식으로, 속성정보는 벡터에 연결된 속성 정보로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저장 방식은 기존의 벡터 저장 방식을 확장한 것이므로, 수치지도와 같은 벡터 형식의 데이터는 손쉬운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추가적인 속성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벡터의 각 객체를 나타내는 선 분 요소의 굵기 또는 색상, 다각형 내부의 채움 색상, 기타 지리정보 등 벡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할 때 사용되는 속성을 추가적으로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원시 벡터 데이터에 레이어 정보와 벡터 객체에 대한 기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도 수용하여 저장한다.
먼저, 포인트 군집 데이터를 벡터 형식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포인트 군집은 불규칙한 3차원 포인트의 집합으로서, 각 포인트의 밀도는 영상처럼 조밀할 수도 있지만, 영상과 달리 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데이터는 아니다. 따라서, 포인트 군집 데이터의 입력시(304), 포인트 단위로 분해하여(305), 각 포인트에 대한 정보 중 3차원 위치에 관계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벡터의 객체 형식 중에서 점의 형식으로 저장하고(306), 고도에 따른 구간별로 색상을 할당하여 이를 각 점에 대한 속성으로 저장한다(307). 그리고, 벡터와 속성을 통합하여(317), 통합 데이터로 저장한다(318).
한편, 영상은 벡터와는 다른 정규 격자 형태의 데이터로서, 벡터 객체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영상을 벡터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영상 데이터 입력시(301), 격자의 영역을 벡터 방식으로 기록한 후(302), 각 격자에 대한 속성정보를 생성한다(303). 그리고, 벡터와 속성을 통합하여(317), 통합 데이터로 저장한다(318).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체를 사각형 영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벡터 객체로서 저장을 하고(501~503), 각 화소가 나타내는 사각형 영역의 화소값을 속성으로 저장하도록 한다(504,505). 이때, 영상을 벡터와 속성으로 분해하는 과정은 도 4와 같다.
도 4에서, (X,Y,Z), (X',Y',Z')는 각각 영상의 좌상단과 우하단의 지리좌표를 나타내고 있다. 각 화소의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영상 전체 영역 안에 존재하는 동일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전체 화소의 개수만큼 내부 정사각형을 설정하는 것은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고, 효율적인 사용을 방해하는 만큼 정규 격자 형태인 영상의 특성을 활용하여 간략화시키도록 한다. 즉, 영상 전체의 직사각형이 정의된 만큼 영상 내부의 정사각형은 직접 정의하지 않고, 영상의 크기 또는 해상도만을 속성으로 저장하여 내부 사각형의 존재를 추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영상 각 화소가 저장하고 있는 색상 정보 또는 분광학적 정보는 사각형 내부의 채움 색상 속성으로 지정한다. 따라서, 각 화소가 담고 있는 색상 또는 분광학적 정보는 디지털화된 한 개 이상의 숫자로 영상에 저장되어 있는데, 이를 추출하여 영상의 화소 배열 순서에 맞도록 속성을 저장하는 위치에 저장함으로써 영상 내부의 정사각형에 할당하게 될 값을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상 각 화소의 지리적인 위치정보와 화소에 대한 색상 또는 분광학적 정보를 저장하게 되어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모든 조건을 갖추게 된다.
다른 한편, 3차원 모델링을 구현하는 경우에 모델링 객체의 표면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텍스쳐 정보는 일반적인 영상과 달리 사각형만으로는 표현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에서 설명한 영상 저장 방법으로 충분하게 지원하 지 못한다. 따라서, 텍스쳐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각형 뿐만이 아니라 다각형 개념을 도입하여 저장해야 한다.
도 6은 윗면과 밑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가상의 시설물을 나타내고 있으며, 윗면에 대한 텍스쳐 영상의 형태를 그림으로서 설명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윗면에 대한 텍스쳐 정보는 사각형으로 제한되는 일반적인 영상의 형태와는 다른 모습을 갖게 된다.
따라서, 텍스쳐 영상을 벡터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텍스쳐 영상 입력시(314), 텍스쳐 영상을 다각형으로 분해하여(315), 다각형에 대한 속성을 생성한다(316). 그리고, 벡터와 속성을 통합하여(317), 통합 데이터로 저장한다(318).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태로 정의되는 영역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함께 저장하기 위해서는, 다각형 내부에 대응되는 텍스쳐 영상의 화소를 기록하는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 먼저, 텍스쳐를 저장할 수 있도록 시설물 표면을 나타내는 다각형 벡터에 연결되는 속성 영역을 설정하고(701), 일반 영상 저장에서와 같이 정사각형으로 저장 가능한 영역과 그렇지 못한 영역으로 구별한다(702). 이를 위해, 텍스쳐 영상의 해상도와 다각형 벡터의 지리정보를 이용한다.
이후, 정사각형의 형태로 저장 가능한 영역은 일반 영상 저장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각 화소에 할당된 색상 정보를 정사각형의 배열 순서에 맞도록 저장한다(704,705).
그리고, 정사각형의 형태가 아닌 영역은 다각형으로 정의하여 형태와 위치를 저장하고(705), 내부를 채울게 될 색상 정보를 속성으로 별도 저장한다(706,707). 이렇게 함으로써, 어떠한 복잡한 다각형 형태의 텍스쳐 정보라 할지라도 저장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포인트 군집과 같이 3차원 포인트를 기록하는 DEM은 지표의 기복을 수치로 나타내는 정규 격자형태의 고도자료이다. 따라서, DEM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단, DEM 정보는 도 8과 같이 원시 정규 격자 정보와 이를 불규칙삼각망(TIN)으로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따라서, TEM 데이터를 벡터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TEM 데이터 입력시(308), 전체 영역을 벡터 방식으로 기록한 후(309), 각 격자에 대한 고도 속성정보를 생성하고(310), 아울러 DEM을 TIN으로 변환해서 벡터 정보를 생성한다(311). 그리고, 벡터와 속성을 통합하여(317), 통합 데이터로 저장한다(318).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DEM에 나타난 각 화소 정보를 벡터와 속성으로 저장하기 위한 분해 과정을 수행한다. 즉, DEM 영역 전체를 사각형 영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벡터 객체로서 저장하고(901), 내부 사각형의 경우 정규 격자의 형태이므로 벡터 정보없이 해상도 및 각 격자의 높이 정보(고도 정보)만을 속성으로 저장한다(902,903). 또한, DEM 데이터와 다른 벡터정보와의 결합을 위해서 DEM으로부터 TIN을 생성하고(904), 이를 벡터 형태로 함께 저장한다(905).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 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밀접하게 연관된 다양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동일한 형식, 동일한 파일로 저장하여 관리 및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과 DEM을 벡터 형식으로 저장함으로써, 수정/편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불가능했던 3차원 모델링을 위한 벡터 정보와 텍스쳐 정보의 통합 저장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3차원 모델링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텍스쳐 정보가 분리되지 않는 저장 방식으로 인해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저장대상 지리정보 데이터를 최소단위로 분해하는 데이터 분해단계;
    상기 최소단위로 분해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기하학적인 정보(/지리적 위치 정보)와 속성 정보로 분류하는 정보분류단계; 및
    상기 기하학적인 정보(/지리적 위치 정보)를 벡터 형태로 저장하고, 속성 정보는 벡터에 연결된 속성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단계
    를 포함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대상 지리정보 데이터는,
    벡터 데이터(수치지도) 외의 영상 데이터, 수치표고모델(DEM) 데이터, 3차원의 포인트 군집(Point Clouds) 데이터, 시설물 텍스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군집 데이터와 상기 벡터 데이터를 통합 저장하는 과정은,
    포인트 군집 데이터 입력시, 포인트 단위로 분해하여 각 포인트에 대한 정보 중 3차원 위치에 관계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벡터의 객체 형식 중에서 점의 형식으로 저장하고, 고도에 따른 구간별로 색상을 할당하여 이를 각 점에 대한 속성으로 저장한 후, 벡터와 속성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벡터 데이터를 통합 저장하는 과정은,
    영상 전체를 사각형 영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벡터 객체로서 저장하고, 각 화소가 나타내는 사각형 영역의 화소값을 속성으로 저장한 후, 벡터와 속성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텍스쳐 정보와 상기 벡터 데이터를 통합 저장하는 과정은,
    다각형의 텍스쳐를 분해하여 색상 정보를 속성으로 저장하고, 이를 다각형 벡터 정보와 연결하여 통합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텍스쳐 정보와 상기 벡터 데이터를 통합 저장하는 과정은,
    텍스쳐를 저장할 수 있도록 시설물 표면을 나타내는 다각형 벡터에 연결되는 속성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일반 영상 저장에서와 같이 정사각형으로 저장 가능한 영역과 그렇지 못한 영역으로 구별하는 영역구별단계;
    정사각형의 형태로 저장 가능한 영역은 일반 영상 저장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각 화소에 할당된 색상 정보를 정사각형의 배열 순서에 맞도록 저장하는 단계;
    정사각형의 형태가 아닌 영역은 다각형으로 정의하여 형태와 위치를 저장하고, 내부를 채울게 될 색상 정보를 속성으로 별도 저장하는 단계; 및
    벡터와 속성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별단계에서,
    영역 구별시, 텍스쳐 영상의 해상도와 다각형 벡터의 지리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EM 데이터와 상기 벡터 데이터를 통합 저장하는 과정은,
    DEM 영역 전체를 사각형 영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벡터 객체로서 저장하고, 내부 사각형의 경우 정규 격자의 형태이므로 벡터 정보없이 해상도 및 각 격자의 높이 정보(고도 정보)만을 속성으로 저장하며, DEM 데이터와 다른 벡터정보와의 결합을 위해서 DEM으로부터 불규칙삼각망(TIN)을 생성하고, 이를 벡터 형태로 함께 저장한 후, 벡터와 속성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KR1020040098214A 2004-11-26 2004-11-26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KR10066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214A KR100662507B1 (ko) 2004-11-26 2004-11-26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US11/791,587 US20080133554A1 (en) 2004-11-26 2004-12-30 Method for Storing Multipurpose Geographic Information
PCT/KR2004/003533 WO2006057477A1 (en) 2004-11-26 2004-12-30 Method for storing multipurpose geographic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214A KR100662507B1 (ko) 2004-11-26 2004-11-26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052A true KR20060059052A (ko) 2006-06-01
KR100662507B1 KR100662507B1 (ko) 2006-12-28

Family

ID=3649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214A KR100662507B1 (ko) 2004-11-26 2004-11-26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33554A1 (ko)
KR (1) KR100662507B1 (ko)
WO (1) WO200605747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40B1 (ko) * 2006-08-16 2008-03-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대용량 dbms를 이용한 공간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20122939A (ko) * 2011-04-29 2012-11-07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네비게이션 장치, 및 높이 정보 판정 방법
KR20120122946A (ko) * 2011-04-29 2012-11-07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네비게이션 장치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지형의 3차원 표현을 출력하는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
KR20140002168A (ko) * 2012-06-28 2014-01-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지아이에스 불규칙삼각망을 이용한 역세권 범위 설정 방법
KR101404655B1 (ko) * 2014-04-18 2014-06-09 국방과학연구소 레이저 레이더의 3차원 원시 데이터의 고유값 비율을 이용한 송전선 추출 방법
CN104462846A (zh) * 2014-12-22 2015-03-25 山东鲁能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支持向量机的设备故障智能诊断方法
WO2017003040A1 (ko) * 2015-06-30 2017-01-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그래픽 기반의 웹 벡터 지도 표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82367A (en) * 2007-04-01 2013-03-24 Boaz Ben Moshe Method for compressing elevation maps
US8194922B2 (en) * 2007-07-13 2012-06-05 Observera, Inc. System and methods for dynamically generating earth position data for overhead images and derived information
US7774381B2 (en) * 2008-02-07 2010-08-10 Oracle Int'l Corp.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US20090232355A1 (en) * 2008-03-12 2009-09-17 Harris Corporation Registration of 3d point cloud data using eigenanalysis
US8391562B2 (en) * 2008-11-08 2013-03-05 Westerngeco L.L.C. Water tables mapping
US8280116B2 (en) * 2008-11-08 2012-10-02 Westerngeco L.L.C. Glacial geomorphologic mapping
US20100208981A1 (en) * 2009-02-13 2010-08-19 Harris Corporation Method for visualization of point cloud data based on scene content
US8290305B2 (en) * 2009-02-13 2012-10-16 Harris Corporation Registration of 3D point cloud data to 2D electro-optical image data
CN101916397B (zh) * 2010-06-30 2013-08-28 首都师范大学 一种描述湿地植被生态水文响应的三维可视化装置及方法
KR20120071160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체용 실외 지도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CN102663028B (zh) * 2012-03-23 2015-04-08 北京师范大学 一种适用于全球数字高程模型和遥感影像数据快速空间索引的方法
KR101232292B1 (ko) 2012-09-25 2013-0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공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천개지수 계산 시스템
US9466140B2 (en) * 2013-10-18 2016-10-11 eQuisition, LL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map
CN103678657B (zh) * 2013-12-24 2017-02-15 北京中科大洋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地形高程数据存储和读取的方法
CN106055686A (zh) * 2016-06-08 2016-10-26 武大吉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矢量瓦片切片方法及装置
CN106250388A (zh) * 2016-07-15 2016-12-21 西安测绘研究所 一种联动更新地理信息与地图制图数据的方法
CN112074871A (zh) * 2018-11-26 2020-12-11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高清地图管理系统和方法
WO2023196163A1 (en) * 2022-04-04 2023-10-12 Onxmap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mpressing digital elevation model dat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494A (en) * 1994-11-14 1997-01-21 Kuo; Shihjong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igital maps
US6208997B1 (en) * 1997-10-17 2001-03-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apid production of optimal-quality reduced-resolution representations of very large databases
US6239808B1 (en) * 1998-04-03 2001-05-29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exture values of graphical images
KR100325435B1 (ko) * 2000-05-23 2002-02-21 박용선 인공위성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지도 제작방법
JP3823724B2 (ja) * 2000-12-14 2006-09-20 日本電気株式会社 3次元空中遊覧改良サーバ、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221899A (ja) * 2001-01-29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地図の位置情報伝達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装置
US7164883B2 (en) * 2001-02-14 2007-01-1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and managing terrain,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KR100417638B1 (ko) * 2001-02-20 2004-02-0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사진 측량 시스템
US7509241B2 (en) * 2001-07-06 2009-03-24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ite model
US20050104884A1 (en) * 2002-04-22 2005-05-19 Kansei Iwata Digital altimetric map drawing method and device
KR100514944B1 (ko) * 2002-06-20 2005-09-16 주식회사 엔지스테크널러지 인터넷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주문검색 서비스 방법
US7242460B2 (en) * 2003-04-18 2007-07-10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registration and visualization of occluded targets using ladar data
US7373473B2 (en) * 2004-03-10 2008-05-13 Leica Geosystems Hds Ll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storage and manipulation of extremely large amounts of scan dat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40B1 (ko) * 2006-08-16 2008-03-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대용량 dbms를 이용한 공간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20122939A (ko) * 2011-04-29 2012-11-07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네비게이션 장치, 및 높이 정보 판정 방법
KR20120122946A (ko) * 2011-04-29 2012-11-07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네비게이션 장치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지형의 3차원 표현을 출력하는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
KR20140002168A (ko) * 2012-06-28 2014-01-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지아이에스 불규칙삼각망을 이용한 역세권 범위 설정 방법
KR101404655B1 (ko) * 2014-04-18 2014-06-09 국방과학연구소 레이저 레이더의 3차원 원시 데이터의 고유값 비율을 이용한 송전선 추출 방법
CN104462846A (zh) * 2014-12-22 2015-03-25 山东鲁能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支持向量机的设备故障智能诊断方法
CN104462846B (zh) * 2014-12-22 2017-11-10 山东鲁能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支持向量机的设备故障智能诊断方法
WO2017003040A1 (ko) * 2015-06-30 2017-01-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그래픽 기반의 웹 벡터 지도 표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507B1 (ko) 2006-12-28
US20080133554A1 (en) 2008-06-05
WO2006057477A1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507B1 (ko)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KR101465481B1 (ko) Bim 데이터 포맷변환을 위한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US8458188B2 (en) Voxel approach to terrain repositories for modeling and simulation
JP4340367B2 (ja) 画像分類装置およびその装置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Richter et al. Concepts and techniques for integration,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massive 3D point clouds
JP5229744B2 (ja) 画像分類装置および画像分類プログラム
KR101465483B1 (ko)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CN105701103B (zh) 一种基于地理信息的三维应用系统
JP5062884B2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223413A1 (zh) 一种用于构建城市设计数字化沙盘的系统
KR20140123019A (ko) 맵 네비게이션 히스토리의 시각적 표시
KR20200078074A (ko) 객체 기반의 3d 도시 모델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CN108352082B (zh) 将3d对象推挤到平面中的技术
JP2004240750A (ja) 画像検索装置
CN112686997B (zh) 基于WebGIS的三维模型数据分析展示平台及方法
JP4674257B2 (ja) 画像分類装置およびその装置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4820975B (zh) 基于全要素参数符号化的三维场景仿真重构系统及方法
She et al. 3D building model simplification method considering both model mesh and building structure
Yu et al. A hybrid system of expanding 2D GIS into 3D space
KR20070099298A (ko) 모바일 내비게이션용 3차원 형상정보 생성방법 및 장치
Zhang et al. A geometry and texture coupled flexible generalization of urban building models
CN111583268B (zh) 点云虚拟选择与裁切方法、装置及设备
Thong et al. Using GIS to design a traffic information database for urban transport planning
Glander et al. Concepts for automatic generalization of virtual 3D landscape models
Sui et al. Constructing rules and scheduling technology for 3D building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