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702A - 휘도 조절 필름 - Google Patents

휘도 조절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702A
KR20060057702A KR1020040096708A KR20040096708A KR20060057702A KR 20060057702 A KR20060057702 A KR 20060057702A KR 1020040096708 A KR1020040096708 A KR 1020040096708A KR 20040096708 A KR20040096708 A KR 20040096708A KR 20060057702 A KR20060057702 A KR 20060057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esent
film
control film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703B1 (ko
Inventor
변석주
Original Assignee
(주)인사이드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사이드옵틱스 filed Critical (주)인사이드옵틱스
Priority to KR102004009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703B1/ko
Publication of KR2006005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76Diffractive Fresnel lenses; Zone plates; Kinofor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진행경로를 특정 경로로 제어하여 원하는 휘도 분포를 만들어 주는 휘도 조절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휘도 조절 필름은,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길게 늘어선 형상들의 배열을 가지며 그 늘어선 형상 배열의 단면의 모양은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휘도 조절 필름은 광원의 종류 및 응용제품에 따라 한 장 또는 여러 장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광량 및 광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디스플레이, 조명, 필름, 휘도, 집광, 전반사

Description

휘도 조절 필름{LUMINANCE CONTROL FILM}
도 1은 노트북용 BLU 시스템의 구조.
도 2는 특정 방향의 광의 효율을 높이는 광의 재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계략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단면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사시도.
도 4의 (a)는 종래 방식의 단일 단면형상의 주기적인 반복사용 실시 예.
도 4의 (b)는 종래 방식의 단일 단면형상의 주기적인 반복사용 실시 예.
도 5는 도 1의 구성에서 4를 지나서 나오는 휘도 분포 그래프
(램프를 기준으로 수직:도 1의 14 수평:도 1의 15).
도 6은 도 1의 구성에서 2와 3이 본 발명에 의한 도 3의 실시 예로 이루어진 도 1의 1을 지나서 나오는 휘도 분포를 광학 제품설계 프로그램인 LightTools로 광 효율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
도 7의 (a)는 도 4의(a)에 대한 광 효율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
도 7의 (b)는 도 4의(b)에 대한 광 효율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보호필름
2, 3: 휘도 조절 필름
4: 확산필름
5: 도광판
6: 반사판
7: 램프
8: 특정 각도로 직접 집광되어지는 광의 경로
9: 단위 형상 내부에서 완전 전반사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재사용 되어지는 광의 경로
10: 단위 형상을 벗어나 이웃한 형상을 통해서 다시 재사용 되어지는 광의 경로와 일부 목적으로 하는 특정 각도를 벗어나는 광의 경로
11, 12, 13: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로 두 종류의 형상이 주기적인 배열을 이루는 단면.
14, 15: 도 1의 4를 거쳐 나오는 광의 램프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수평한 방향의 휘도 분포.
16, 17, 18: 도 2의 10의 활용도에 따른 휘도 분포의 변화.
본 발명은 휘도 조절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별한 방향의 휘도 조절을 위한 면 광원을 요구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는 크게 직접 발광 방식과 배면 발광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종래에는 본 발명과 같은 광학용 필름이 배면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주로 적용 되었으나 근래에는 직접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도 목적하는 방향의 휘도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적용을 시도하는 추세이다.
구체적인 예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는 자체 발광을 할 수 없어 배면 조명계(BLU: Back Light System)를 채택한다.
이 배면 조명계는 대부분 점 광원이나 선 광원을 면 광원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특정 각도의 광을 모아주거나 방향을 변화 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는 배면 조명 자체가 면 광원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통상의 면 광원 시스템은 넓게 퍼진 시야각 분포를 가지게 되는데 특정한 크기 특정한 용도에서는 넓은 시야각을 좁게 해줄 필요가 있다.
이 때 본 발명과 같은 휘도 조절 필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자체 발광을 하는 PDP (Plasma Display Panel),
OLE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역시 상기의 LCD에서와 같이 응용
시스템에 따라 목표로 하는 시야각 특성이 따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휘도 조절 필 름이 요구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방향으로의 광 효율을 높여 특정한 시야각 분포를 만들어낼 수 있는 광학 필름, 구체적으로 휘도 조절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휘도 조절 필름은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길게 늘어선 형상들의 배열을 가지며 그 늘어선 형상 배열의 단면의 모양은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모양으로 구성되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이 속하는 종래 기술을 예로 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목적으로 하는 특정 각도로 광을 집광시키는 방식을 설명한 그림으로 크게 3종류의 광 진행 경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개개의 단위 형상에서 직접적으로 전반사 효과에 의한 재사용을 하게 만드는 광의 경로.
둘째, 직접적으로 특정 각도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
셋째, 한 개의 단위 형상을 벗어나 이웃한 형상을 통하여 재사용되거나 이 재사용조건을 벗어나 원하지 않는 각도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
와 같이 구분 되어질 수 있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광 효율의 차이는 세가지 방식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 하는가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2의 10과 같은 광의 경로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진행을 최소화하고 재사용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고정된 단일 형상의 반복 사용을 하는 종래 방식의 발명보다 응용 시스템에서의 광 효율을 개선 시켜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응용 시스템 (노트북용 BLU)에서의 도 4와 같은 단일 형상의 반복 사용을 통한 종래 방식들과 도 3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세계적으로 공인된 광학 설계 프로그램인 LightTools을 사용하여 정량적인 효율을 비교해 보았다.
도 5는 광 효율 개선을 하기전의 도 1과 같은 구성의 시스템에서 도1의 4(광 확산필름)를 거쳐 나오게 되는 광의 휘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도 3에 의한 도1의 1을 거쳐 나오는 휘도 분포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단일 형상의 주기적인 반복 사용으로 구성된 종래방식의 도 4와 같은 구조에서 도 1의 1을 거쳐 나오는 휘도 분포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16과 도 7의 17,18을 살펴보면 도 2의 10과 같은 경로의 광의 이용효율 차이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은 응용제품에서 요구되어지는 높은 정면 휘도 측면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도 3)를 적용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은 특정한 각도의 휘도 및 광 효율의 조절이 필요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기타 조명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도 1과 같은 LCD BLU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이 요구하는 고 휘도 저 전력 소모라는 측면을 모두 만족 시켜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길게 늘어선 형상들의 배열을 가지며 그 늘어선 형상 배열의 단면의 모양은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 반사율을 낮추기 위한 처리가 된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확산기능을 위한 처리가 된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형상 배열의 단면의 모양이 도 3 과 같은 다각형과 삼각형이 인접하고 이 인접한 쌍의 반복적 사용으로 이루어진 필름.
  5. 제 2 항에 있어서, 다각형 모양의 단면적이 삼각형 모양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6. 제 1 항의 필름을 한 장 또는 여러 장을 동시에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 1 항의 필름을 사용한 조명 시스템.
KR1020040096708A 2004-11-24 2004-11-24 휘도 조절 필름 KR100671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708A KR100671703B1 (ko) 2004-11-24 2004-11-24 휘도 조절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708A KR100671703B1 (ko) 2004-11-24 2004-11-24 휘도 조절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702A true KR20060057702A (ko) 2006-05-29
KR100671703B1 KR100671703B1 (ko) 2007-01-19

Family

ID=3715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708A KR100671703B1 (ko) 2004-11-24 2004-11-24 휘도 조절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7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212B2 (en) 1999-10-08 2005-01-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element having programmed optical structures
JP2001208903A (ja) 2000-01-26 2001-08-03 Nakane:Kk 集光フィルム
KR100468815B1 (ko) 2000-07-20 2005-01-31 레이젠 주식회사 음각 도광판과 그 제작 방법
JP2002341115A (ja) 2001-05-17 2002-1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703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9767B (zh) 平面型光源及具有該平面型光源之液晶顯示器背光單元
CN101097349B (zh) 背光组件及采用其的液晶显示器件
JP4499749B2 (ja) Led面光源およびlcd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6173624A (ja) Led光源
TWI468802B (zh) 背光模組
US8287172B2 (en) Planar illumination device
JP2006140131A (ja) 直下式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US20110038178A1 (en) Planar illumination device
US20060146570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418899B (zh) 液晶顯示器及其背光模組
TWI413820B (zh) 照明裝置與導光板
US20130050831A1 (en) Light guid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049297B (zh) 背光模块与显示装置
JP2006228710A (ja) 面発光装置
US20060197889A1 (en) Backlight module for LCD
TWI457659B (zh) 背光模組
KR20090116811A (ko)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4228018A (ja) 面状照明装置
KR20090030455A (ko) Lcd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향상 시트
KR100671703B1 (ko) 휘도 조절 필름
JP2007157520A (ja) 側面入射光源混合式バックライト
CN108107640A (zh) 反射式显示设备
TWI512372B (zh) 背光模組及顯示裝置
KR20060079582A (ko)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JP6452073B2 (ja) 発光デバイスおよび発光デバイスを有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