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582A -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582A
KR20060079582A KR1020050000011A KR20050000011A KR20060079582A KR 20060079582 A KR20060079582 A KR 20060079582A KR 1020050000011 A KR1020050000011 A KR 1020050000011A KR 20050000011 A KR20050000011 A KR 20050000011A KR 20060079582 A KR20060079582 A KR 20060079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film
film
pres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석주
Original Assignee
(주)인사이드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사이드옵틱스 filed Critical (주)인사이드옵틱스
Priority to KR102005000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9582A/ko
Publication of KR2006007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진행경로를 특정 경로로 제어하여 원하는 휘도 분포를 만들어 주는 휘도 제어를 위한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은, 일면은 평평하고 다른 일면은 형상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형상 면은 복수개인 선형의 형상으로 되어있으며, 상기 형상 면의 단면을 이루는 변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은 필름의 평평한 일면과 대략 9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은 광원의 종류 및 응용제품에 따라 한 장 또는 여러 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응용제품에 따라 원형으로 말아서 사용 가능하며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광량 및 광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디스플레이, 조명, 필름, 휘도, 집광, 전반사, 광학필름, 광도관용 시스템

Description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Luminance Control Optical Film}
도 1은 종래기술을 사용한 노트북용 BLU 시스템의 구조.
도 2는 특정 방향의 광의 효율을 높이는 광의 재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계략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단면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사시도.
도 4의 (a) ~ (f)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
도 5는 도 1의 구성에서 도 1의 4를 지나서 나오는 휘도 분포 그래프
(램프를 기준으로 수직:도 5의 12 수평:도 5의 13).
도 6은 도 1의 구성에서 2와 3이 종래기술로 이루어진 도 1의 1을 지나서 나오는 휘도 분포를 광학 제품설계 프로그램인 LightTools로 광 효율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
도 7의 (a)는 도 4의(a)에 대한 광 효율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
도 7의 (b)는 도 4의(c)에 대한 광 효율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보호필름
2, 3: 휘도 조절 필름
4: 확산필름
5: 도광판
6: 반사판
7: 램프
8: 특정 각도로 직접 집광되어지는 광의 경로
9: 단위 형상 내부에서 완전 전반사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재사용 되어지는 광의 경로
10: 단위 형상을 벗어나 이웃한 형상을 통해서 다시 재사용 되어지는 광의 경로와 일부 목적으로 하는 특정 각도를 벗어나는 광의 경로
11: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로 형상이 없는 반대 면과 대략 90도를 이루는 변을 포함.
12, 13: 도 1의 4를 거쳐 나오는 광의 램프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수평한 방향의 휘도 분포.
14, 15, 16-1, 16-2: 도 2의 10의 활용도에 따른 휘도 분포의 변화.
본 발명은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별한 방향의 휘도 조절을 위한 면 광원을 요구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는 크게 직접 발광 방식과 배면 발광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종래에는 본 발명과 같은 광학용 필름이 배면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주로 적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직접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도 목적하는 방향의 휘도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적용을 시도하는 추세이다.
구체적인 예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는 자체 발광을 할 수 없어 배면 조명계(BLU: Back Light System)를 채택한다.
이 배면 조명계는 대부분 점 광원이나 선 광원을 면 광원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특정 각도의 광을 모아주거나 방향을 변화 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는 배면 조명 자체가 면 광원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통상의 면 광원 시스템은 넓게 퍼진 시야각 분포를 가지게 되는데 특정한 크기 특정한 용도에서는 넓은 시야각을 좁게 해줄 필요가 있다.
이 때 본 발명과 같은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자체 발광을 하는 PDP (Plasma Display Panel),
OLE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역시 상기의 LCD에서와 같이 응용
시스템에 따라 목표로 하는 시야각 특성이 따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휘도 조절 필 름이 요구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방향으로의 광 효율을 높여 특정한 시야각 분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광학 필름, 구체적으로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은 일면은 평평하고 다른 일면은 형상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형상 면은 복수개인 선형의 형상으로 되어있으며,상기 형상 면의 단면을 이루는 변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은 필름의 평평한 일면과 대략 9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속하는 종래 기술을 예로 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목적으로 하는 특정 각도로 광을 집광시키는 방식을 설명한 그림으로 크게 3종류의 광 진행 경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개개의 단위 형상에서 직접적으로 전반사 효과에 의한 재사용을 하게 만드는 광의 경로.
둘째, 직접적으로 특정 각도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
셋째, 한 개의 단위 형상을 벗어나 이웃한 형상을 통하여 재사용되거나 이 재사용조건을 벗어나 원하지 않는 각도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
와 같이 구분 되어질 수 있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광 효율의 차이는 세가지 방식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 하는가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2의 10과 같은 광의 경로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진행을 최소화하고 재사용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종래 방식의 발명보다 응용 시스템에서의 광 효율을 개선 시켜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응용 시스템 (노트북용 BLU)에서의 도 1의 2와 3에 종래 기술을 사용한 경우와 도 3 및 도 4 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세계적으로 공인된 광학 설계 프로그램인 LightTools을 사용하여 정량적인 효율을 비교해 보았다.
도 5는 광 효율 개선을 하기전의 도 1과 같은 구성의 시스템에서 도 1의 4 (광 확산필름)를 거쳐 나오게 되는 광의 휘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2와 3에 종래 기술을 사용한 도1의 1을 거쳐 나오는 휘도 분포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1의 2와 3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인 도 4의 (a)와 도 4의 (c)를 사용한 도 1의 1을 거쳐 나오는 휘도 분포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14와 도 7의 15, 16-1, 16-2을 살펴보면 도 2의 10과 같은 경로의 광의 이 용효율 차이를 알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의 16-1과 16-2는 서로 대칭구조가 아닌데 이는 실시예인 도 4의 (c)의 구조가 비대칭인 것에 기인한다.
또한 도 1과 같은 응용제품에서 요구되어지는 높은 정면 휘도 측면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도 3, 도4)를 적용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은 특정한 각도의 휘도 및 광 효율의 조절이 필요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기타 조명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도 1과 같은 LCD BLU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이 요구하는 고 휘도 저 전력 소모라는 측면을 모두 만족 시켜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 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일면은 평평하고 다른 일면은 형상 면으로 이루어진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에 있어서, 상기 형상면은 복수개인 선형의 형상으로 되어있으며, 상기 형상 면의 단면을 이루는 변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은 필름의 평평한 일면과 대략 9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선형의 형상이 2종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3. 제 1 항의 필름을 한 장 또는 여러 장을 동시에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 반사율을 낮추기 위한 처리가 된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확산기능을 위한 처리가 된 필름.
  6. 제 1 항의 필름을 사용한 광고용 조명 시스템 및 광도관용 시스템.
KR1020050000011A 2005-01-03 2005-01-03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KR20060079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11A KR20060079582A (ko) 2005-01-03 2005-01-03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11A KR20060079582A (ko) 2005-01-03 2005-01-03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582A true KR20060079582A (ko) 2006-07-06

Family

ID=3717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011A KR20060079582A (ko) 2005-01-03 2005-01-03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95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9767B (zh) 平面型光源及具有該平面型光源之液晶顯示器背光單元
CN101097349B (zh) 背光组件及采用其的液晶显示器件
JP4499749B2 (ja) Led面光源およびlcd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7938552B2 (en) Reflecting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in backlight unit for enhancing light directivity
US20060256581A1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for the same
JP2006140131A (ja) 直下式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TWI468802B (zh) 背光模組
TWI526745B (zh) 光源模組
CN104049297B (zh) 背光模块与显示装置
CN101893190B (zh) 区域调光背光模块与使用该背光模块的液晶显示器
CN101900301A (zh) 导光板及背光模组
CN106647042A (zh) 一种光源器件及显示装置
US7688402B2 (en) Backlight module for LCD having reflective curved surfaces for forming virtual light sources
US20070195523A1 (en) Backlight module
TWI457659B (zh) 背光模組
JP3205464U (ja) 導光材、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KR20090030455A (ko) Lcd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향상 시트
TWI390249B (zh) 光學膜與使用其之背光模組
CN103955092A (zh) 一种背光模组和显示面板
KR100671703B1 (ko) 휘도 조절 필름
KR20060079582A (ko) 휘도 제어용 광학필름
JP2019533290A (ja) 導光板、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KR101264726B1 (ko) 광학 시트 및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TWM278908U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6452073B2 (ja) 発光デバイスおよび発光デバイスを有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016

Effective date: 200708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118

Effective date: 2009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