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117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117A
KR20060057117A KR1020040096180A KR20040096180A KR20060057117A KR 20060057117 A KR20060057117 A KR 20060057117A KR 1020040096180 A KR1020040096180 A KR 1020040096180A KR 20040096180 A KR20040096180 A KR 20040096180A KR 20060057117 A KR20060057117 A KR 20060057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caller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법연
차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7117A/ko
Publication of KR2006005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특정 시간을 입력받아 발신자정보의 알림시간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발신자의 발신자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알림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한 발신자정보를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신자정보 알림,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Method for indicating caller informations in mobile-pho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키패드 20: 메모리
30: 제어부 40: 표시부
50: 무선주파수 처리부 60: 스피커
70: 마이크 80: 타이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피치 못할 사정으로 전화통화를 끊을 경우 발신자정보를 일정 시간 후에 사용자에게 일정주기로 알려주어 다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자들의 수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간에 빈번하게 전화통화가 이루어지고 통화량도 많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수시로 걸려오는 통화에 제때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리를 잠시 비우게 되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인 부재중에 전화통화가 발생하고 발신자 번호가 표시되는 상황을 가정하면 종래의 상태에서는 부재중 전화가 왔었다는 상태만 표시되거나, 또는 발신자 번호 내지는 전화번호부에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이름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름만이 표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부재중에 걸려온 통화건수와 발신자의 전화번호나 이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부재중 전화통화 연결방법을 설명하면, 발신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누르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간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링크인 액세스(access)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발신번호, 착신번호,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를 전송한다. 해당 기지국은 발신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낸 해당 번호 정보를 받아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를 통해 교환기(MSC: Mobil Switching Center) 로 보낸다. 해당 교환기는 수신한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에 등록되어 있다는 확인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에 전송한다. 이에, 기지국 제어기는 음성 통신을 위한 통화채널을 할당하고,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통화채널을 할당한다. 또한, 통화 채널 할당과 함께 교환기는 착신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방문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에게 확인하여 교환기로 해당 착신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알려준다. 해당 교환기는 착신 가입자가 있는 지역을 담당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페이징(paging) 신호를 보낸다.
그런데, 착신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가 착신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착신가입자의 응답이 없을 경우, 착신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부재중 전화가 왔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수신된 발신자 번호를 착신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한 결과, 착신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해당 발신자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부재중 전화수와 최근 부재중 전화가 착신된 시간을 착신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착신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해당 발신자 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발신자 번호를 착신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부재중에 전화가 오면 대개 이동통신 단말기는 부재중 전화가 왔음을 표시부상에 출력해 주어 사용자가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접할 때 부재중 전화가 왔음을 알게 되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식하지 않고 있는 경우 부재중 전화가 와도 사용자가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이상 부재중 전화가 왔음을 알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 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예컨대, 세미나 도중 전화를 받은 경우 사용자는 세미나가 끝나고 나중에 다시 전화통화를 하기로 하고 전화통화를 마치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는 세미나 도중의 전화통화가 통화목록상에서는 기록되지만, 사용자가 이에 대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는 다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발신해야 됨을 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통화도중 충분히 길게 통화하지 못하고 바로 통화를 끊은 경우 차후에 다시 통화하도록 발신자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일정시간마다 발신의 필요성을 인식시켜 다시 통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가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특정 시간을 입력받아 발신자정보의 알림시간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발신자의 발신자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알림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한 발신자정보를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서비스 및 각종 부가서비스 등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고 발신자정보의 저장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0)와, 문자정보, 전화번호 및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0)와, 키패드(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부재중에 수신된 전화번호 또는 통화중에 끊은 전화번호를 발신자정보로 저장하고 일정시간마다 사용자에게 발신자정보의 알림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제어부(30)에 의해 전달되는 문자 및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40)와, 제어부(30)에 의해 전달되는 기저대역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전송하고 기지국 등을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30)에 접속시키는 무선주파수 처리부(50)와, 제어부(30)에 의해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60)와, 사용자 음성 및 각종 소리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70)와, 제어부(30)로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80)를 구비한다.
키패드(10) 상에는 숫자, 기호 및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와 각종 메뉴를 선택하고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 등이 배치되며, 이러한 키들은 사용자에 의해 눌릴 경우, 그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키패드(10)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발신자정보 알림을 위한 시간정보 설정에 관한 명령, 발신할 전화번호를 확 인하기 위한 명령, 또는 소정의 발신자와 통화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메모리(20)는 실행코드 영역과 파일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종 프로그램이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 등을 저장하되, 파일 영역에는 착신된 전화번호, 발신할 전화번호, 전화통화를 끊었던 시간, 발신할 전화번호에 관계된 정보들, 예컨대 이름과 주소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실행코드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행프로그램들, 즉 부재중 걸려온 전화통화 또는 통화중 전화통화를 끊은 경우 사용자가 차후에 발신자와 통화하기 위해 발신자의 정보를 알려주는 시간을 설정하는 프로그램, 발신자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실행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30)는 키패드(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제어하되, 특히 키패드(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발신자정보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간정보 설정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발신자의 전화통화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0)에 저장해 두고, 키패드(10)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발신자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시간정보들의 설정을 제어한다.
이렇게 발신자정보가 저장된 후, 피치 못할 사정으로 전화통화를 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통화 종료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발신자정보 알림 서비스의 실행을 지시하면, 제어부(30)는 미리 저장된 발신자정보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사용자가 키패드(10)의 키를 눌러 단말기상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기를 원하는 시간, 예컨대 1시간 후를 입력하면 제어부(30) 는 입력된 시간에 발신자정보를 표시부(40)로 디스플레이시키고 동시에 스피커(60)를 통해 발신 알림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의 알림에 관한 시간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의 알림에 관한 시간정보의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상태에서 발신자정보의 알림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를 사용해 소정의 메뉴항목의 출력을 지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발신정보 설정" 항목을 포함한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한다(S210).
이 메뉴창에서 사용자가 키를 사용해 발신자정보 알림에 관한 시간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발신정보 입력" 항목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정보 입력모드를 설정하고 발신자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S220).
이때, 사용자가 키를 사용해 입력창에 다수의 발신자정보 알림시간을 입력하고 그 시간의 설정을 지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된 다수의 시간을 발신자정보 알림을 위한 시간정보로 설정한다(S230). 설정과정(S230)에서, 사용자는 도 4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발신자정보 알림 시간을 "60분 후", "90분 후", 및 "120분 후" 들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발신 알림시간은 차후에 발신자정보 알림 기능이 실행될 때, 사용자는 키를 사용해 설정된 다수의 시간, 예를 들어 "60 분 후", "90분 후", 및 "120분 후" 중 어느 하나의 시간을 선택하여 발신자정보 알림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c에서와 같이 일정시간마다 발신자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주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발신자정보의 알림주기를 입력받는다(S240). 입력과정(S240)에서, 사용자는 키를 사용해 알림주기, 예를 들어 "30분마다 1번"을 입력창에 입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알림주기가 입력되어 설정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자정보의 알림서비스 제공시에 30분마다 1번씩 발신자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알림주기를 설정한 후, 사용자는 키를 사용해 발신 알림을 위한 경고음으로 사용될 발신알림소리를 설정한다(S250). 설정과정(S250)에서, 사용자는 메모리(20)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고음, 예를 들어 벨소리, 멜로디, 진동, 램프, 진동후 벨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발신 알림소리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별도로 발신 알림소리를 설정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발신 알림소리를 발신자정보의 알림을 위한 경고음으로 출력한다.
이렇게 설정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종적으로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하고, 발신알림정보로 설정할 것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설정 승인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60).
판단과정(S260)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설정 승인이 없다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발신자정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새로운 명령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판단과정(S260)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설정 승인이 있다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된 발신 알림정보를 메모리(20)에 설정한다(S27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정된 발신 알림정보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일예로 사용자가 피치 못할 사정으로 전화통화를 끊은 경우 발신자정보 알림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통화를 길게 할 수 없는 피치 못할 사정 예컨대, 운전중 또는 세미나 도중에 전화를 받은 경우, 사용자는 발신자와 나중에 통화하기로 하고 전화통화를 끊게 된다(S310).
전화통화를 종료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d에서와 같이 발신자정보, 예를 들어 통화시간,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자 이름 등을 표시부(40)에 표시하고, 이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10)상의 메뉴키를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e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발신자정보의 알림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발신알림" 항목을 포함한 메뉴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한다(S320).
이 디스플레이된 메뉴항목들중에서, 사용자가 키를 눌러 "발신알림"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도 2의 시간정보 설정과정(S230)에서 설정한 다수의 시간중에 하나의 시간을 발신자정보의 알림시간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자정보 알림모드"를 설정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알림시간들을 디스플레이한다(S330).
이 디스플레이된 알림시간들중에서 사용자가 키를 이용하여 하나의 알림시간, 예컨대 "90분 후"를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시간인 "90분 후"를 발신자정보의 알림시간으로 설정한다(S340). 여기서, 설정된 시간은 발신알림기능의 실행이 시작된 때부터 90분 후이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알림시간, 발신자의 전화번호, 통화종료시간, 및 발신자의 성명 등을 포함하는 발신자 알림정보를 메모리(20)에 저장한다(S350). 여기서 기존의 전화번호부에 발신자의 성명이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발신자 알림정보를 메모리(20)에 저장하지만, 전화번호부에 발신자의 성명이 없는 경우에는 발신자 성명이 없이 발신자 알림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된 후, 타이머(80)로부터의 시간정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알림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60).
판단결과 알림시간이 되지 않았다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알림시간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시간을 체크한다.
판단결과 알림시간이 되었다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자정보의 알림을 위해 미리 설정된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S370). 이때, 출력되는 알림소리는 벨소리, 멜로디, 다운로드된 다양한 음악파일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또한 램프로 설정된 경우에는 램프의 점멸로 발신 알림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종료시간, 발신전 화번호, 및 발신자 성명 등을 포함한 발신자정보를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한다(S380).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발신자정보를 확인하게 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발신자정보를 확인할 때까지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발신자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 정보를 확인한 후, 키패드(10)상의 통화키를 눌러 발신자와 통화하게 된다(S390).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기능중 피치못할 사정으로 종료한 전화통화에 대해 발신자정보 알림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제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발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특정 시간을 입력받아 발신자정보의 알림시간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발신자의 발신자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알림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한 발신자정보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입력창을 통해 발신자정보의 알림주기를 입력받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설정한 알림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저장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되, 상기 설정한 알림시간마다 반복하여 상기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발신자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성명, 통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고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KR1020040096180A 2004-11-23 2004-11-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 KR20060057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180A KR20060057117A (ko) 2004-11-23 2004-11-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180A KR20060057117A (ko) 2004-11-23 2004-11-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117A true KR20060057117A (ko) 2006-05-26

Family

ID=3715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180A KR20060057117A (ko) 2004-11-23 2004-11-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1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072A1 (en) * 2007-04-23 2008-10-30 Jae-Hyun Bahk Information automatic storage service method for communication equipment
US8503106B2 (en) 2009-11-20 2013-08-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lens driv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072A1 (en) * 2007-04-23 2008-10-30 Jae-Hyun Bahk Information automatic storage service method for communication equipment
US8503106B2 (en) 2009-11-20 2013-08-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lens dri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2006005711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알림 방법
KR200600566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40473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KR100736562B1 (ko) 통화중 알림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114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서비스 방법
KR0148891B1 (ko) 셀룰라폰의 디테치 방법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3736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부재중 전화 알림 방법
KR20010019273A (ko) 휴대폰에서 예약통화방법
KR1007218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메세지를 이용한 호출 방법
KR200400455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방법
KR2009001050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화 중 대기 수행 방법
KR101186175B1 (ko) 가상 착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00039921A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KR200600681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통신 이용시간의 자동 알림 방법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KR100588309B1 (ko)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로밍 알림 방법
EP2060127B1 (en) Call initi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303274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70066632A (ko) 알람 시간에 따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를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59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스엠에스 전송 방법
KR20080092217A (ko) 선택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KR20000007279A (ko) 무선 단말기의 자동응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