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003A - Container ship - Google Patents

Container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003A
KR20060057003A KR1020067004469A KR20067004469A KR20060057003A KR 20060057003 A KR20060057003 A KR 20060057003A KR 1020067004469 A KR1020067004469 A KR 1020067004469A KR 20067004469 A KR20067004469 A KR 20067004469A KR 20060057003 A KR20060057003 A KR 2006005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tabilization device
hull
container
contain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마스 퀴흠스테트
Original Assignee
아케르 엠테베 베르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케르 엠테베 베르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케르 엠테베 베르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5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0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0Shells of dou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ntainer ship having a limited length and width in order to be able to navigate through the Panama Canal. Said container ship comprises a hold (4) which allows twelve rows of containers (15) to be accommodated next to each other across the width of the ship and is located in a hull (2) that is provided with a double shell (3).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stabilizing device (5) which connects the ship's double shell (3) on one side of the hull (2) to the ship's double shell on the other side of the hull is disposed inside the hull (2).

Description

컨테이너선 {CONTAINER SHIP}Container ship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파나마 운하의 통과를 위해 길이 및 폭의 치수가 한정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hip having defined dimensions of length and width for passage of the Panama Canal,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파나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은 최대 길이가 약 294m이고 최대 폭이 약 32m이다. 이러한 선박을 "팬맥스(Panmax)" 컨테이너선이라고도 한다.Container ships that can pass through the Panama Canal have a maximum length of about 294m and a maximum width of about 32m. Such vessels are also called "Panmax" container ships.

최대 폭이 32.2m이고 길이가 200m 미만인 최대 컨테이너선은 공지되어 있으며, 이 선박은 화물창에 12개의 컨테이너(20피트 또는 40피트 표준 컨테이너)가 나란히 배치되도록, 선박 이중 쉘(double shell)의 폭이 약 2m에서 1m로 감소되어 있다. 그 결과, 화물창의 폭이 확대되어 12열의 컨테이너가 나란히 수용된다. 선박 이중 쉘의 폭의 감소는 비틀림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건조 방법, 및 선박의 길이를 200m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비틀림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으며 선체의 과도한 캠버링(cambering)이 가능한 억제될 수 있다.The largest container ships with a maximum width of 32.2m and a length of less than 200m are known, and the vessel has a double shell width so that 12 containers (20ft or 40ft standard containers) are placed side by side in the cargo hold. It is reduced from about 2m to 1m.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cargo hold is enlarged to accommodate 12 rows of containers side by side. Reducing the width of the ship's double shell lowers the torsional stability. However, by limiting the drying method and the length of the ship to less than 200 m, sufficient torsional stability can be obtained and excessive cambering of the hull can be suppressed as possible.

파나마 운하의 통과를 위한 선박의 길이를 가능한 최대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아서, 선박의 화물창에 12열의 컨테이너를 보다 길게 나란히 배열하면서 최대 폭을 유지하는 것은, 화물창 영역의 비틀림 강성이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현재까지 성공되지 못했다.In order to maximize the length of the ship for the passage of the Panama Canal, the above method is no longer possible, so keeping the maximum width while arranging 12 rows of containers in the cargo hold of the ship for longer periods of time Torsional stiffness has been so low that it has not been successful to date.

화물창 격벽 영역의 기존의 횡방향 데크 빔을 연장시키는 것은 이들 선박에서 적재 용량의 바람직하지 않은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Extending existing transverse deck beams in the cargo hold bulkhead area would result in undesirable reductions in loading capacity in these vessels.

그러나, 파나마 운하의 통과를 위한 최대 가능한 길이의 선박을 건조하는 데 있어서의 실질적인 경쟁력은 컨테이너의 적재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However, a substantial competitive advantage in building ships of the maximum possible length for the passage of the Panama Canal is to increase the loading capacity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기에 적절하며 컨테이너 적재 수가 증가된 컨테이너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ntainer ship suitable for passing through the Panama Canal and having an increased number of container loads.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컨테이너선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컨테이너선의 바람직한 구현은 종속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This object is solved by a container ship having the features of claim 1. Preferred implementations of such container ships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은 파나마 운하의 통과를 위해 길이 및 폭에 있어서 제한된 치수를 가지며, 이중 쉘을 가지는 선체 내에서 선박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12열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화물창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선체 내에는 선체의 한쪽의 이중 쉘과 다른 쪽의 이중 쉘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안정화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ainer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mited dimension in length and width for passage of the Panama Canal, and has a cargo hold capable of accommodating 12 rows of containers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ip in a hull having a double shell. The hull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patial stabilization device is arranged to connect one double shell and the other double shell of the hull.

본 발명에 따르면, 비틀림에 의한 캠버링을 방지하기 위해 선박 이중 쉘을 연결하는 공간적 안정화 장치가 선박의 선체 내에 배치되어, 선박의 폭 방향으로 12열의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한다. 선박 이중 쉘이 상기 안정화 장치에 의해 선박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에 걸쳐진다는 사실로 인해, 선체의 비틀림 강성이 증대되고 비틀림에 의한 캠버링이 감소된다. 그 결과, 선박 이중 쉘의 폭이 감소되어 화물창이 충분히 넓어져서 12열의 컨테이너를 나란히 수용할 수 있는 팬맥스 컨테이너선은 그 비틀림 강성이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선에 비해 높아질 수 있다. 200m 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선박의 건조에서는, 항해성을 향상시키거나 비용의 저감을 위해서 향상된 비틀림 강성이 고려된다. 또한, 200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선박에서도 충분한 비틀림 강성이 얻어진다.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며, 컨테이너선은 약 200m 내지 294m의 길이를 가지며, 약 240m 내지 290m의 길이가 특히 바람직하다. 대응되는 길이의 종래의 팬맥스 컨테이너선 건조에서는, 충분한 비틀림 강성이 이중 쉘을 넓게 하는 것에 의해서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12열의 컨테이너를 수용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맥스 컨테이너선은, 200m 이상의 길이와 넓은 폭의 선박 이중 쉘을 가지는 종래의 컨테이너선은 물론, 200m 미만의 길이와 감소된 폭의 선박 이중 쉘을 가지는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적재 용량을 초과하는 적재 용량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cambering due to torsion, a spatial stabilization device connecting the ship double shell is disposed in the ship's hull to accommodate 12 rows of containers in the ship's width direc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ship double shell is spread from one side of the ship to the other by the stabilization device, the torsional rigidity of the hull is increased and the cambering due to the torsion is reduced.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ship's double shell is reduced so that the cargo hold is wide enough to accommodate 12 rows of containers side by side, and the torsional rigidity of the fanmax container ship can be high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container ship. In the construction of ships having a length of less than 200 m, improved torsional stiffness is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improve navigation and reduce costs. In addition, even in ships having a length of 200 m or more, sufficient torsional rigidity is obtained. This fact i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tainer ship has a length of about 200 m to 294 m, with a length of about 240 m to 290 m being particularly preferred. In conventional Panmax container ship drying of corresponding lengths, sufficient torsional stiffness was only possible by widening the double shell. However, this did not accommodate 12 rows of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max container ship has a loading capacity of a conventional container ship having a ship double shell of 200 m or more in length and a wide width, as well as a ship double shell of less than 200 m in length and a reduced width. It may have a loading capacity exceeding.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의 폭은 약 32m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이중 쉘의 폭은 약 1m이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width of the container ship is about 32 m.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hip double shell is about 1 m wide.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 내의 안정화 장치는 화물창의 2개의 영역을 서로 분리시킨다. 컨테이너선의 선체는 화물창 영역이 특히 취약하다. 화물창 내에 안정화 장치를 배치하여 화물창의 2개의 영역이 서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선의 비틀림 강성이 특히 양호하게 증대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bilization device in the hull separates the two regions of the cargo hold from each other. The hull of container ships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the cargo hold area. By arranging the stabilization device in the cargo hold so that the two regions of the cargo hol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orsional rigidity of the container ship is particularly well increased.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는 화물창의 길이의 대략 절반 위치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는 선박 추진 장치 전방의 화물창의 길이의 대략 절반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비틀림 강성이 상당히 개선된다. 선박 추진 장치 후방에 배치되는 추가의 화물창의 경우는 그리 중요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선박 추진 장치의 영역에는 그 자체에 선체의 강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tabilization device is arranged at approximately half the length of the hold.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the stabilization device is located at approximately half the length of the cargo hold in front of the ship propulsion device. This significantly improves torsional stiffness. The case of additional cargo holds arranged behind the ship propulsion system is not very important, because in the area of the ship propulsion the hull rigidity is in itself.

안정화 장치는 선박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자형 구조를 가진다. 안정화 장치는 실질적으로 폐쇄된 공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폐쇄된 공간 구조는 특히 강성이 높다. 이러한 구조는 판금 또는 강판 및 경우에 따라 강철 프레임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선박의 종방향에 배치되고, 안정화 장치를 전방 및 후방에서 폐쇄하는 횡방향 격벽이 선박 이중 바닥 및 강력 갑판(strength deck)과 연결된다. 용어 "프레임"은 판금 또는 강판을 통해 구조를 강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폐쇄된 공간적 구조인 공간적 안정화 장치의 구성은 개구부가 매우 높은 정도로 폐쇄되고 완전히 밀폐된 구조를 포함한다.The stabilization devic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hip. Preferably it has a box-shaped structure. The stabilization device preferably has a substantially closed spatial structure. Substantially closed spatial structures are particularly rigid. This structure is made of sheet metal or steel sheet and optionally steel frame. Such a structure is arranged, for examp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and the transverse bulkheads closing the stabilization device from the front and the rear are connected with the ship double bottom and the strength deck. The term "frame" includes means for strengthening the structure through sheet metal or steel sheet.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stabilization device, which is a substantially closed spatial structure, comprise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 is closed to a very high degree and completely clos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는 횡방향 측이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이것은 선체의 강화에 특히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는 횡방향 격벽에 의해 감싸져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abilization device is substantially closed on the lateral side. Thi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hu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abilization device is wrapped by the transverse bulkhead.

선체의 비틀림 강성을 증대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는 선박 이중 바닥 쉘의 선박 이중 바닥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의 상부 강력 갑판은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으며 주 갑판과 연결되는 평면상에 있다. 이를 통해, 선체의 강성이 특히 양호하게 향상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ich increases the torsional rigidity of the hull, the stabilization device is connected with the ship double bottom of the ship double bottom sh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strong deck of the stabilization device is substantially closed and on a plane connecting with the main deck. Through this, the rigidity of the hull is particularly well improv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는 자재 피팅 방식(material-fitting manner) 및/또는 고정구(fixture)에 의해 선체의 주변 구조체와 연결된다. 이것은 특히 측방향 플레이팅(lateral plating) 및/또는 안정화 장치의 상부 강력 갑판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재 피팅 연결은 용접 연결이며 추가의 고정 수단은 리벳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abilization device is connected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of the hull by a material-fitting manner and / or a fixture. This applies in particular to the upper strong deck of the lateral plating and / or stabilization device. Preferably, the material fitting connection is a welding connection and the additional fastening means is a rivet.

12열의 컨테이너를 나란히 배열하기 위한 화물창의 크기로 인해 선박 이중 쉘의 폭이 좁아져서, 선박 이중 쉘에 수용되는 탱크의 용량이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 및/또는 그 위에 위치되는 공간은, 탱크 및/또는 액체 및/또는 고체 및/또는 다른 매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 및/또는 상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선원용 공간을 포함한다. 안정화 장치 및/또는 그 위에 위치되는 공간의 용적을 탱크 공간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선박 이중 쉘 영역에서 탱크 용량이 감소되는 단점이 보상된다. 동시에, 선박 이중 쉘에 의해 외피로부터 분리된 보호 방식으로 연료가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피의 손상에 의한 연료의 누출 위험이 방지된다.The size of the cargo hold for arranging 12 rows of containers side by side narrows the width of the ship double shell, thereby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tank housed in the ship double sh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abilization device and / or the space located thereon comprises at least one storage device for the tank and / or liquid and / or solid and / or other medium and / or the product and And / or at least one source space. By using as a tank space the volume of the stabilization device and / or the space located thereon, the disadvantage of reducing the tank capacity in the ship double shell area is compensated. At the same time, fuel can be stored in a protective manner separated from the shell by the vessel double shell. This avoids the risk of fuel leakage due to damage to the shell.

안정화 장치 내에 배치되는 탱크는 높은(elevated) 탱크를 형성하여 선박의 트리밍(trimming) 및 종방향 안정성에 관한 공지된 장점을 갖는다. 저장된 연료를 종방향 무게중심 근처의 탱크로부터 회수하면 트림(trim)이 상당히 저하되어 선박의 종방향 굽힘모멘트 감소가 수반되기 때문에, 선박의 안전성이 증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바람직한 효과는 선박 이중 쉘 내의 밸러스트 수조(water ballast tank)에 의해 구현된다.The tank disposed in the stabilization device forms an elevated tank with the known advantages regarding the trimming and longitudinal stability of the vessel. The recovery of the stored fuel from the tank near the longitudinal center of gravity increases the safety of the ship, since the trim is considerably lowered, accompanied by a reduction in the longitudinal bending moment of the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se preferred effects are realized by a water ballast tank in the ship's double shell.

마지막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판실은 안정화 장치 위에 배치되며, 이것은 갑판실 아래의 영역이 컨테이너용 화물창으로 이용될 수 없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갑판실을 안정화 장치 위에 배치함으로써, 갑판실이 선박 추진 장치 위에 배치되는 선박과 비교하여 주 갑판 위에 추가의 적재 공간이 얻어지며, 그 이유는 선수(bow of the ship) 전방의 수면에서 선장의 시야가 보다 바람직하게 확보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갑판실 전방에 컨테이너가 높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법적인 규정에 따른 수면의 정확한 시야(예를 들어 IMO에 따른 선박 2척의 길이 전방)가 확보된다. 또한, 갑판실을 선박 추진 장치로부터 멀리 배치함으로써, 선원이 엔진의 소음 및 진동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게 된다.Fi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ckhouse is arranged above the stabilization device, which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because the area under the deckhouse cannot be used as a cargo hold for containers.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deckhouse above the stabilization device, an additional loading space is obtained on the main deck compared to ships in which the deckhouse is placed above the ship propulsion system, because the captain's view at the water in front of the bow of the ship This is because is more preferably secured. As a result, even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high in front of the deckhouse, an accurate view of the water surface according to legal regulations (for example, the length of two ships according to IMO) is secured.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deckhouse away from the ship propulsion device, the stress of the source from the engine noise and vibration is reduced.

도 1은 안정화 장치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ship having a stabilization device.

도 2는 상기 컨테이너선의 안정화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bilization device of the container ship.

도 3은 안정화 장치를 구비한 선박 선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shows a part of a ship hull with a stabilization device.

도 4의 (a)는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배열된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배열된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Figure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arranged in a cargo hold of a conventional container ship, (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arranged in a cargo hold of a container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종래의 컨테이너선에 배열된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배열된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ure 5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arranged in a conventional container ship,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arranged in a cargo hold of a container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나타낸 컨테이너선은 선박 이중 쉘(3)을 가지는 선체(2)를 포함한다. 선박 이중 쉘(3)은 컨테이너선의 좌현 쪽 부분(3.1) 및 우현 쪽 부분(3.2)을 갖는다. 또한 선박 이중 바닥(3.3)을 갖는다.The container ship shown in FIG. 2 includes a hull 2 having a ship double shell 3. The ship double shell 3 has a port side portion 3.1 and a starboard side portion 3.2 of the container ship. It also has a ship double bottom 3.3.

선체(2)의 내부에는 화물창(4)이 있다. 선체(2) 내에는 컨테이너선(1)의 중심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측부가 양쪽 선박 이중 쉘(3.1, 3.2)과 각각 연결되고 하측이 선박 이중 바닥(3.3)과 연결되는 안정화 장치(5)가 배치된다. 안정화 장치(5)는 비틀림 강성의 증대 및 캠버링의 방지에 가장 효과적인 위치에 제공된다. 이 위치는 화물창(4)의 길이의 절반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물창(4)은 안정화 장치(5)의 전방 영역(4.1) 및 후방 영역(4.2)을 갖는다.Inside the hull 2 is a cargo hold 4. In the hull 2, a stabilization device extending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of the container ship 1, both sides of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hip double shells 3.1 and 3.2, and the low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hip double bottom 3.3. 5) is arranged. 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provided in the position most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torsional rigidity and preventing the cambering. This position is preferably half the length of the cargo hold 4. Thus, the cargo hold 4 has a front region 4.1 and a rear region 4.2 of the stabilization device 5.

도 2는 선박 이중 쉘의 양쪽 부분(3.1, 3.2)과 선박 이중 바닥(3.3) 사이에 안정화 장치(5)가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박 이중 쉘(3)은 외피(6) 및 선체(2)의 종방향 격벽(7)에 의해 형성된다. 점선은 안정화 장치(5)의 세부 분할된 내부 구조체(탱크, 저장실 등)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기로는, 안정화 장치(5)가 선체(2) 내에서 액체(연료 등) 또는 다른 매체의 저장에 이용되는 탱크(8)로서 구현되는 것이다. 또한, 안정화 장치(5) 위의 공간은 바람직하게 액상 또는 고상의 매체를 위한 저장 장치의 배치에 사용된다. 이 공간에는 갑판실(9)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shows a stabilization device 5 arranged between both parts 3. 1, 3.2 of the ship double shell and the ship bottom 2. The marine double shell 3 is formed by the shell 6 and the longitudinal bulkhead 7 of the hull 2.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subdivided internal structure (tank, reservoir, etc.) of the stabilization device 5. Preferably, 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embodied as a tank 8 used for the storage of liquids (such as fuel) or other media in the hull 2. In addition, the space above 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preferably used for the arrangement of storage devices for liquid or solid media. It is preferable that the deck room 9 is arrange | positioned in this space.

도 3에 따르면, 안정화 장치(5)는, 횡방향 격벽(10.1, 10.2) 형태의 양 측부에 외판을 덧댐으로써(planking) 실질적으로 폐쇄된 공간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횡방향 격벽(10.1, 10.2)은 각각 외피(6) 및 내측 종방향 격벽(7)과 연결된다. 따라서, 안정화 장치(5) 및 선박 이중 쉘(3)은 2개의 서로 얽힌(interlaced) 이중 구조를 형성한다. 안정화 장치의 상부 강력 갑판(11)은 폐쇄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 갑판(12)과 동일 평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과 비교).According to FIG. 3, 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formed by a substantially closed spatial structure by planing an outer plate on both sides in the form of transverse bulkheads 10.1, 10.2. The transverse bulkheads 10.1 and 10.2 are connected with the sheath 6 and the inner longitudinal bulkheads 7, respectively. Thus, the stabilization device 5 and the ship double shell 3 form two interlaced double structures. The upper strong deck 11 of the stabilization device is preferably embodied in a closed manner and is preferably connected coplanar with the main deck 12 (compare FIG. 1).

도 4(a)에 따르면, 선박 이중 쉘의 폭이 약 2m인 종래의 컨테이너선 내에 11열의 컨테이너(13)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도 4(b)에 따르면, 선박 이중 쉘의 폭이 약 1m로 감소되어 선박의 폭이 약 32m인,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화물창(4) 내에 12열의 컨테이너(13)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안정화 장치(5)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1)은 그 길이가 약 294m 길이로 건조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According to Fig. 4 (a), 11 rows of containers 13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conventional container ship having a width of a ship double shell of about 2 m. According to FIG. 4 (b), 12 rows of containers 13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cargo hold 4 of the container ship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ere the width of the ship double shell is reduced to about 1 m and the width of the ship is about 32 m. Due to the stabilization device 5, the container shi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problem in that its length is dried to a length of about 294 m.

도 5(a)에 따르면, 종래의 컨테이너선에서는, 컨테이너가 선박의 대략 중간까지만 갑판실 전방에 최대 높이로 적재될 수 있으며 갑판실은 주 갑판 상의 선박 추진 장치 위에 배치된다. 도 5(b)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는, 갑판실(9)이 선박 추진 장치(14)의 훨씬 전방에서 안정화 장치(5) 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최대 높이로 적재된 상태에서도 선장은 규정된 수면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법적인 규정에 따라 유지되어야 하는 시야의 경로(15)는 선수 후방의 약간의 컨테이너 길이까지 컨테이너를 적재함으로써 확보되며, 이로 인해 적재 용량이 더욱 증가된다.According to Fig. 5 (a), in a conventional container ship, a container can be loaded to the maximum height in front of the deckhouse only up to about the middle of the ship and the deckhouse is arranged above the ship propulsion device on the main deck. According to Fig. 5 (b), in the container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ck chamber 9 is disposed above the stabilization device 5 far in front of the ship propulsion device 14, even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at the maximum height. The captain may have a clear view of the water surface. The path of view 15 which must be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legal regulations is secured by loading the container up to some container length behind the bow,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loading capacity.

Claims (16)

파나마 운하의 통과를 위해 길이 및 폭에 있어서 제한된 치수를 가지며, 이중 쉘(3)을 가지는 선체(2) 내에서 선박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12열의 컨테이너(13)를 수용할 수 있는 화물창(4)을 가진 컨테이너선에 있어서,Cargo hold 4 having limited dimensions in length and width for passage of the Panama Canal and which can accommodate 12 rows of containers 13 side by side in the ship's width direction in a hull 2 having a double shell 3 In a container ship with 상기 선체(2) 내에는 선체(2)의 한쪽의 이중 쉘(3)과 다른 쪽의 이중 쉘(3)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적 안정화 장치(5)가 배치되는Within the hull 2 is arranged one or more spatial stabilization devices 5 connecting one double shell 3 of the hull 2 and the other double shell 3.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약 200m 내지 294m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length in the range of about 200m to 294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약 32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about 32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선박 이중 쉘(3)의 폭이 약 1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vessel double shell (3) is about 1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선체(2) 내의 상기 안정화 장치(5)는 상기 화물창(4)의 2개의 영역 (4.1, 4.2)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stabilization device (5) in the hull (2) is characterized by separating two regions (4.1, 4.2) of the cargo hold (4) from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안정화 장치(5)는 상기 화물창(4)의 길이의 대략 절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ship,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t approximately half the position of the length of the cargo hold (4).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안정화 장치(5)는 선박 추진 장치(14)의 전방에서 상기 화물창(4)의 대략 절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at approximately half the position of the cargo hold (4) in front of the ship propulsion device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안정화 장치(5)는 실질적으로 폐쇄된 공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ubstantially closed space structur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안정화 장치(5)는 격벽(10.1, 10.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ship is surrounded by partitions (10.1, 10.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상기 안정화 장치(5)는 상기 선박 이중 쉘(3)의 이중 바닥(3.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double bottom (3.3) of the ship double shell (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안정화 장치(5)의 상부 강력 갑판(strength deck)(11)은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주 갑판(12)과 동일한 평면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Container deck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rength deck (11) of 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substantially closed and connected in the same plane as the main deck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상기 안정화 장치(5)는 자재 피팅(material-fitting) 방식 및/또는 고정구(fixture)에 의해 상기 선체(2)의 주변 구조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stabilization device (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hull (2) by a material-fitting method and / or fixture (fixture).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상기 안정화 장치(5) 및/또는 상기 안정화 장치(5) 위에 위치되는 공간은, 탱크(8), 및/또는 액체 및/또는 고체 및/또는 다른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 및/또는 상품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선원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stabilization device 5 and / or the space located above the stabilization device 5 may comprise a tank 8 and / or one or more storage devices for liquid and / or solid and / or other media, and / or goods Container ship comprising at least one storage compartment for, and / or at least one source space.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상기 선박 이중 쉘(3)은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수조((water ballast tan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The vessel double shell (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ballast tank (water ballast tank).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상기 안정화 장치(9) 위에 갑판실(9)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k chamber (9) is arranged on the stabilization device (9). 파나마 운하의 통과를 위해 길이 및 폭에 있어서 제한된 치수를 가지며,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선에 있어서,The container shi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having limited dimensions in length and width for passage of the Panama Canal, 선박의 폭 방향으로 12열의 컨테이너(13)를 수용하기 위해, 선박 이중 쉘(3, 3.1, 3.2)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적 안정화 장치(5)가 선체(2)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Container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spatial stabilization devices 5 are arranged in the hull 2 for connecting the ship double shells 3, 3.1, 3.2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ontainers 13 in the row direction of the ship. line.
KR1020067004469A 2003-09-04 2004-05-03 Container ship KR200600570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0715A DE10340715A1 (en) 2003-09-04 2003-09-04 Stabilization device for PanMax container ships
DE10340715.4 2003-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003A true KR20060057003A (en) 2006-05-25

Family

ID=3430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469A KR20060057003A (en) 2003-09-04 2004-05-03 Container ship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660367A1 (en)
JP (1) JP2007504051A (en)
KR (1) KR20060057003A (en)
CN (1) CN1845845A (en)
DE (1) DE10340715A1 (en)
RU (1) RU2006109555A (en)
WO (1) WO2005032927A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52A (en) * 2015-12-24 2016-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160078940A (en) * 2016-06-22 2016-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carrier propelled with liquified fuel gas
KR20180078659A (en) * 2016-12-30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Optimized layout of Fuel tank in Ultra Large Container Ship
KR20180097361A (en) * 2017-02-23 2018-08-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And Arrangement Method Of The Same
KR20190042414A (en) * 2017-10-16 2019-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ontainer Ship with slow speed and large full form
KR20190139430A (en) 2018-06-08 2019-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190139428A (en) 2018-06-08 2019-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200008859A (en) 2018-07-17 2020-0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916B1 (en) * 2009-10-16 2012-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with a fuel gas tank
KR20150036222A (en) * 2012-07-19 2015-04-07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Ship
DK179427B1 (en) * 2016-11-29 2018-06-18 Maersk Line As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CN114802642B (en) * 2022-04-08 2023-03-14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container ship torsion box section and container shi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2345A (en) * 1968-10-14 1971-01-05 Matson Navigation Co Flexible hold structure in containership
DE8902226U1 (en) * 1989-02-24 1989-05-03 Bremer Vulkan Ag Schiffbau Und Maschinenfabrik, 2820 Bremen, De
DE4302821C1 (en) * 1993-01-27 1994-07-21 Kvaerner Warnow Werft Gmbh Container ship with increased load space
AU2002227082A1 (en) * 2000-10-24 2002-05-06 Seahorse Shipping, Llc System for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ocean carg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52A (en) * 2015-12-24 2016-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160078940A (en) * 2016-06-22 2016-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carrier propelled with liquified fuel gas
KR20180078659A (en) * 2016-12-30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Optimized layout of Fuel tank in Ultra Large Container Ship
KR20180097361A (en) * 2017-02-23 2018-08-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And Arrangement Method Of The Same
KR20190042414A (en) * 2017-10-16 2019-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ontainer Ship with slow speed and large full form
KR20190139430A (en) 2018-06-08 2019-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190139428A (en) 2018-06-08 2019-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220131211A (en) 2018-06-08 2022-09-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220133150A (en) 2018-06-08 2022-10-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200008859A (en) 2018-07-17 2020-0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KR20220132502A (en) 2018-07-17 2022-09-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40715A1 (en) 2005-04-14
RU2006109555A (en) 2007-10-10
CN1845845A (en) 2006-10-11
WO2005032927A1 (en) 2005-04-14
JP2007504051A (en) 2007-03-01
EP1660367A1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0622B (en) Liquefied gas carrier
KR20060057003A (en) Container ship
JP2007153242A (en) Automobile carrying vessel
KR102609251B1 (en) Container ship
JP4550842B2 (en) Cargo hold structure of liquid cargo ship
KR20230058351A (en) Container ship
KR20220131211A (en) Container ship
US6135044A (en) Transport ship
EP3523189A1 (en) Ship with watertight wall
KR20220132502A (en) Container ship
JP6692207B2 (en) Ship
JP5201804B2 (en) Trimaran structure ship
JP2006123814A (en) Vessel
JPH11115875A (en) Oil tanker
JP2002316688A (en) Cargo ship
KR101642391B1 (en) Ship which load cargo
KR20120044879A (en) Container loading structure for ship
JP2005219559A (en) Cargo boat
JP6578580B2 (en) Ship
KR101552925B1 (en) Ship which load cargo and method of loading
KR20120002214A (en) Container ship having a liquefied fuel tank
US7748333B2 (en) Cargo skiff
JP6486851B2 (en) Ship
KR101973041B1 (en) Container Ship
JP2007284019A5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