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916A -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916A
KR20060054916A KR1020040093778A KR20040093778A KR20060054916A KR 20060054916 A KR20060054916 A KR 20060054916A KR 1020040093778 A KR1020040093778 A KR 1020040093778A KR 20040093778 A KR20040093778 A KR 20040093778A KR 20060054916 A KR20060054916 A KR 20060054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insert
guide groove
coolant guid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245B1 (ko
Inventor
주형근
지동룡
장병한
어명수
김학규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245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8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ng or cooling
    • B23C5/283Cutting inserts with internal coolant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36Other features of cutting inserts not covered by B23B2200/04 - B23B2200/32
    • B23B2200/3627Ind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40/00Details of connections of tools or workpieces
    • B23C2240/24Connections using screws
    • B23C2240/245Connections using screws hollow screws, e.g. for the transmission of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milling
    • B23C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공작기계의 쿨런트장치에 연결되어 쿨런트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제 1 쿨런트홈부가 형성된 홀더와, 절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홀더에 장착되고 절삭작업 시 홀더 내부의 쿨런트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제 2 쿨런트홈부가 형성된 인서트를 구비함으로써, 가공 정도(精度), 가공면 조도, 고절입 가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는 통상의 공작기계에 마련된 통상의 쿨런트장치 또는 통상의 MQL장치와 연결되어 쿨런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홀더의 타단면 상에서 홀더의 내부를 따라 인서트시트의 시트내측면 까지 연장되는 쿨런트안내공과,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되게 시트상부면과 시트하부면 상에 각각 형성되어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를 분사하는 제 1 쿨런트안내홈, 제 2 쿨런트안내홈, 제 1 쿨런트분사홈을 갖는 제 1 쿨런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Indexable type cutting too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삭인서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쿨런트안내홈 및 제 2 쿨런트안내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3 쿨런트안내홈 및 제 4 쿨런트안내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쿨런트안내홈 및 제 2 쿨런트안내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 3 쿨런트안내홈 및 제 4 쿨런트안내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 엔드밀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200 : 홀더
210 : 인서트시트 230 : 제 1 쿨런트부
232 : 쿨런트안내공 234 : 제 1 쿨런트안내홈
236 : 제 2 쿨런트안내홈 238 : 제 1 쿨런트분사홈
300 : 절삭 인서트 330 : 제 2 쿨런트부
332 : 제 3 쿨런트안내홈 334 : 제 4 쿨런트안내홈
336 : 제 2 쿨런트분사홈 400 : 체결스크류
본 발명은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의 쿨런트장치에 연결되어 쿨런트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제 1 쿨런트홈부가 형성된 홀더와, 절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홀더에 장착되고 절삭작업 시 홀더 내부의 쿨런트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제 2 쿨런트홈부가 형성된 인서트를 구비함으로써, 가공 정도(精度), 가공면 조도, 고절입 가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공구는 주로 철계, 비철계 금속의 절삭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공작 기계에 장착되어 피삭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절삭을 수행하는 공구이다. 이러한 절삭공구는 절인(cutting edge)을 가지고 있는 절삭 인서트와 이 절삭 인서트를 고정시켜 주는 홀더로 이루어진다. 또한 절삭공구는 절삭 인서트를 홀더에 고정시켜 주는 방법에 따라서 브레이징 타입(Brazing type)과 인덱서블 타입(Indexable type)으로 나눌 수 있는데, 브레이징 타입은 절삭 인서트를 홀더의 일부분에 브레이징 용접하여 영구히 고정시키는 것이며, 인덱서블 타입은 홀더에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절삭 인서트를 홀더에 장착 및 탈착시키는 것이다.
한편,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금속을 절삭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회전하는 금속제의 피가공물에 절삭공구의 절인부분을 접촉시켜서 절삭을 수행하는 방법과, 둘째로는 절삭날을 가진 공구, 즉 절삭 인서트를 공구용 홀더를 이용하여 공작기계에 고정시킨 후, 이러한 상태 하에서 절삭공구를 회전시키면서 미리 고정된 피가공에 접촉시켜 피가공물을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는 방법이 있다.
주로 스틸(탄소강, 합금강, 금형강)로 이루어진 금형 또는 구형상의 부속품을 절삭가공할 경우에는 상기 절삭방법 중 두 번째 방법을 이용하는데, 이때 가공상의 특징으로는 대개 완성가공으로 고정밀 가공이 요구되고 구형상 가공의 특징인 절삭부하가 크게 걸리는 것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무인 및 고속가공이 수반되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는 고정도(高精度), 고강성 및 안정성을 갖는 절삭공구를 필요로 하게된다.
그런데, 상기 절삭가공시에 인덱서블 타입의 절삭공구를 이용할 경우에는, 인서트의 절인부가 마모되어 수명이 다하였을 때 새로운 인서트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자칫 고정장치가 불완전할 경우에 인서트의 장, 탈착 시 및 절삭가공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덱서블 타입의 절삭공구가 갖춰야 할 조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먼저,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면, 불완전한 고정장치가 사용될 경우에는 인서트를 홀더에 삽입시킨 후 홀더와 인서트 중심의 불일치로 인하여 정밀한 세팅이 되지 못해서 피삭재 가공치수의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고정력이 약할 경우에 절삭가공 시의 절삭부하에 의해서 인서트가 돌출되어 파손될 수 있고, 공작물의 과절삭(over cutting)이 발생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대두된다. 따라서 고정밀, 고강성, 고효율의 고정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면, 고정장치에 따라서 인서트와 몸체를 제작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이들의 형상이 복잡하여 제작성이 떨어질 수 있고, 절삭공구의 고정을 위해서 절삭가공에 불필요한 부분까지 제작해야 하며, 그 결과로서 생산원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구조를 가지며 제작성이 용이하면서도 절삭공구의 고정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고정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끝으로, 인서트의 장,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빠른 시간안에 교체가 가능해야 한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 엔드밀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종래 볼 엔드밀(10)은 선단부 내측으로 인서트시트(22)가 형성된 홀더(20)와, 인서트시트(22)에 삽입되어 체결스크루(40)에 의해서 장착되는 절삭인서트(30)를 구비한다.
이때, 홀더(20)의 내부에는 절삭가공 시 절삭부위에 쿨런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제 1 안내공(24)이 홀더(20)의 끝단에서 인서트시트(22) 까지 연장 형성되고, 인서트시트(22)의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는 제 1 안내공(24)과 연결되어 쿨런트를 절삭부위로 안내하는 제 2 안내공(26)이 제 1 안내공(24)에서 분할되어 인서트시트(22)의 연장단부까지 형성된다. 또한. 절삭인서트(3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는 제 2 안내공(26)에 대응하는 제 3 안내공(32)이 형성되어 제 2 안내공(26)과 함께 쿨런트를 절삭부위로 안내한다.
그러나 전술한 볼 엔드밀(10)은 절삭가공 시 쿨런트가 절삭부위에 국부적으로만 안내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절삭성능이 저하되어 고속, 고능률 가공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작기계의 쿨런트장치에 연결되어 쿨런트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제 1 쿨런트홈부가 형성된 홀더와, 절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홀더에 장착되고 절삭작업 시 홀더 내부의 쿨런트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제 2 쿨런트홈부가 형성된 인서트를 구비함으로써, 가공 정도(精度), 가공면 조도, 고절입 가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단면에서 타단면 측으로 연장되어 시트상부면, 시트하부면 및 시트내측면을 가지며 시트상부면 및 시트하부면 일측 및 타측에는 대향되게 각각 절인밀착면 및 비절인밀착면이 형성된 인서트시트 및 인서트시트의 방사상 외부에는 수직하게 제 1 체결공이 형성되는 홀더와, 시트내측면과 밀착되는 인서트밀착면과 인서트상부면 및 인서트하부면을 가지며 인서트상부면 및 인서트하부면에는 서로 대향되게 절인 및 비절인이 형성되면서 인서트시트에 삽입 배치되고 중앙부분에는 제 1 체결공과 연통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된 절삭 인서트와, 제 1 체결공 및 제 2 체결공에 관통체결되면서 절삭 인서트를 인서트시트에 강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스크류를 구비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홀더에는 통상의 공작기계에 마련된 통상의 쿨런트장치 또는 통상의 MQL장치와 연결되어 쿨런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홀더의 타단면 상에서 홀더의 내부를 따라 인서트시트의 시트내측면 까지 연장되는 쿨런트안내공과,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되게 시트상부면과 시트하부면 상에 각각 형성되어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를 분사하는 제 1 쿨런트안내홈, 제 2 쿨런트안내홈, 제 1 쿨런트분사홈을 갖는 제 1 쿨런부가 형성된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작기계의 쿨런트장치에 연결되어 쿨런트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제 1 쿨런트홈부가 형성된 홀더와, 절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홀더에 장착되고 절삭작업 시 홀더 내부의 쿨런트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제 2 쿨런트홈부가 형성된 인서트를 구비함으로써, 가공 정도(精度), 가공면 조도, 고절입 가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삭인서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100)는 일단면에서 타단면 측으로 연장되는 인서트시트(210)가 형성되고 인서트시트(210)의 방사상 외부에는 수직하게 제 1 체결공(220)이 형성되는 홀더(200)와, 인서트상부면(310a) 및 인서트하부면(310b)에는 서로 대향되게 절인(312a, 312b) 및 비절인(314a, 314b)이 형성되면서 인서트시트(210)에 삽입 배치되고 중앙부분에는 제 1 체결공(220)과 연통하는 제 2 체결공(320)이 형성된 절삭 인서트(300)와, 제 1 체결공(220) 및 제 2 체결공(320)에 관통체결되면서 절삭 인서트(300)를 인서트시트(210)에 강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스크류(400)를 구비한다.
이때, 홀더(200)에는 통상의 공작기계에 마련된 통상의 쿨런트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통상의 MQL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쿨런트를 안내하는 제 1 쿨런트부(230)가 형성되고, 절삭 인서트(300)에는 제 1 쿨런트부(230)와 연결되어 마찬가지로 쿨런트를 안내받아 잘삭부위 전체에 쿨런트를 분사하는 제 2 쿨런트부(330)가 형성된다.
홀더(200)에 마련된 제 1 쿨런트부(230)는 쿨런트안내공(232), 제 1 쿨런트안내홈(234) 및 제 2 쿨런트안내홈(236)을 구비한다. 쿨런트안내공(232)은 홀더 (200)의 타단면 상에서 홀더(200)의 내부를 따라 인서트시트(210)의 시트내측면(212)까지 연장된다. 이렇게 형성된 쿨런트안내공(232)은 제 1 쿨런트안내홈(234) 및 제 2 쿨런트안내홈(236)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쿨런트안내홈(234) 및 제 2 쿨런트안내홈(236)은 인서트시트(210)의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214b) 상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214b)은 서로 대향되게 일측 및 타측에 절삭 인서트(300)의 절인(312a, 312b)을 밀착하는 절인밀착면(216a, 216b) 및 절삭 인서트(300)의 비절인(314a, 314b)이 밀착하는 비절인밀착면(218a, 218b)이 형성된다.
제 1 쿨런트안내홈(234)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인서트시트(210)의 시트내측면(212) 상에서부터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214b)에 형성된 제 1 체결공(220)을 중심으로 제 1 체결공(220)에 이격되게 각각의 절인밀착면(216a, 216b)을 따라서 각각의 비절인밀착면(218a, 218b) 끝단 일측까지 환형의 형상으로 연장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쿨런트안내홈(236)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시트내측면(212) 상에서부터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214b)에 형성된 제 1 체결공(220)을 중심으로 제 1 체결공(220)에 이격되게 비절인밀착면(218a, 218b)을 따라서 비절인밀착면(218a, 218b)의 끝단 타측까지 환형의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때, 각각의 제 1 쿨런트안내홈(234)에는 각각의 절인밀착면(216a, 216b)의 끝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쿨런트분사홈(238)이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쿨런트분사홈(238)은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가 안내될 수 있도 록 절인밀착면(216a, 216b)의 끝단부 측으로 2개 이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 1 쿨런트분사홈(238)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 1 쿨런트분사홈(238)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쿨런트안내홈(234), 제 2 쿨런트안내홈(236) 및 제 1 쿨런트분사홈(238)은 시트상부면(214a) 또는 시트하부면(214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쿨런트부(230)는 시트내측면(212)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는 중앙부분이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되면서 시트내측면(212)의 양단 측으로 연장되는 보조쿨런트홈(240)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홀더(200)에는 절삭 인서트(300)가 장착된다.
절삭 인서트(300)의 인서트상부면(310a) 및 인서트하부면(310b)에 형성되는 제 2 쿨런트부(330)는 제 1 쿨런트안내홈(234)에 대응하면서 마주보는 제 3 쿨런트안내홈(332)과, 제 2 쿨런트안내홈(236)에 대응하면서 마주보는 제 4 쿨런트안내홈(334)을 구비한다.
제 3 쿨런트안내홈(332)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시트내측면(212)에 밀착되는 인서트밀착면(316)에서부터 인서트상부면(310a) 및 인서트하부면(310b)에 형성된 제 2 체결공(320)을 중심으로 제 2 체결공(320)에 이격되게 각각의 절인(312a, 312b)을 따라 각각의 비절인(314a, 314b) 끝단 일측까지 환형의 형상으로 연장되고, 마찬가지로 제 4 쿨런트안내홈(334)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인서트밀착면(316)에서부터 인서트상부면(310a) 및 인서트하부면(310b)에 형성된 제 2 체결공(320)을 중심으로 제 2 체결공(320)에 이격되게 각각 의 비절인(314a, 314b) 끝단 타측까지 환형의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때, 각각의 제 3 쿨런트안내홈(332)에는 절인(312a, 312b)의 끝단부 측으로 연장되면서 제 1 쿨런트분사홈(238)과 대응하면서 마주보는 다수의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이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은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가 안내될 수 있도록 절인(312a, 312b)의 끝단부 측으로 2개 이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쿨런트안내홈(332), 제 4 쿨런트안내홈(334) 및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은 인서트상부면(310a) 또는 인서트하부면(310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쿨런트안내공(232)과 마주보는 인서트밀착면(316)의 중앙부분은 쿨런트안내공(232)에서 안내된 쿨런트가 일시적으로 정체하였다가 각각의 제 1 쿨런트안내홈(234), 제 2 쿨런트안내홈(236) 및 제 3 쿨런트안내홈(332), 제 4 쿨런트안내홈(334) 측으로 고르게 안내될 수 있도록 제 2 체결공(320) 측으로 오목한 분배홈(318)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쿨런트안내홈 및 제 2 쿨런트안내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3 쿨런트안내홈 및 제 4 쿨런트안내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쿨런트안내홈(234)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시트내측면(212) 상에서부터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 (214b)을 따라 각각의 절인밀착면(216a, 216b)의 끝단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쿨런트안내홈(236)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시트내측면(212) 상에서부터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214b)을 따라 각각의 비절인밀착면(218a, 218b)의 끝단 측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쿨런트안내홈(234)에는 각각의 절인밀착면(216a, 216b)의 끝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쿨런트분사홈(238)이 불규칙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제 1 쿨런트안내홈(234), 제 2 쿨런트안내홈(236) 및 다수의 제 1 쿨런트분사홈(238)은 제 1 체결공(220)에 간섭되지 않는 나뭇가지 형상을 가진다.
한편, 제 3 쿨런트안내홈(332)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시트내측면(212)과 밀착되는 인서트밀착면(316)에서부터 인서트상부면(310a) 및 인서트하부면(310b)을 따라 각각의 절인(312a, 312b)의 끝단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마찬가지로 제 4 쿨런트안내홈(334)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인서트밀착면(316)에서부터 각각의 비절인(314a, 314b)의 끝단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3 쿨런트안내홈(332)에는 각각의 절인(312a, 312b)의 끝단부 측으로 연장되면서 제 1 쿨런트분사홈(238)과 대응하면서 마주보는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이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즉, 제 3 쿨런트안내홈(332), 제 4 쿨런트안내홈(334) 및 다수의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은 제 2 체결공(320)에 간섭되지 않는 나뭇가지 형상을 가진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쿨런트안내홈 및 제 2 쿨런트안내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 3 쿨런트안내홈 및 제 4 쿨런트안내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쿨런트안내홈(234)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시트내측면(212)에서부터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214b)을 따라 각각의 절인밀착면(216a, 216b)의 끝단까지 완만하게 만곡된 곡선을 가지며 연장된다. 이때, 제 1 쿨런트안내홈(234)은 다수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쿨런트안내홈(234)은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가 안내될 수 있도록 절인밀착면(216a, 216b)의 끝단부 측으로 2개 이상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쿨런트안내홈(236)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시트내측면(212)에서부터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214b)을 따라 각각의 비절인밀착면(218a, 218b)의 끝단까지 완만하게 만곡된 곡선을 가지며 연장된다.
한편, 제 3 쿨런트안내홈(332)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시트내측면(212)에 밀착되는 인서트밀착면(316)에서부터 인서트상부면(310a) 및 인서트하부면(310b)을 따라 각각의 절인(312a, 312b)의 끝단까지 완만하게 만곡된 곡선을 가지며 연장되고, 제 4 쿨런트안내홈(334)은 쿨런트안내공(232)과 연통될 수 있도록 인서트밀착면(316)에서부터 인서트상부면(310a) 및 인서트하부면(310b)을 따라 각각의 비절인(314a, 314b)의 끝단까지 완만하게 만곡된 곡선을 가지면 연장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절삭 인서트(300)를 홀더(200)의 인서트시트(210)에 삽입시킨 상태 하 에서 체결스크류(400)를 이용하여 절삭 인서트(300)를 인서트시트(210) 내부에 체결시킨다. 이때, 체결스크류(400)는 제 1 체결공(220) 및 제 2 체결공(320)을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이렇게 홀더(200)에 절삭 인서트(300)가 체결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100)를 통상의 공작기계에 장착된 쿨런트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통상의 MQL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시킨 후 절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절삭작업이 수행되면, 쿨런트장치에서 공급되는 쿨런트는 홀더(200)에 형성된 쿨런트안내공(232)을 통해 시트내측면(212) 및 인서트밀착면(316) 까지 안내되고, 시트내측면(212) 및 인서트밀착면(132) 까지 안내된 쿨런트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쿨런트안내홈(234)과 제 3 쿨런트안내홈(332) 및 제 2 쿨런트안내홈(236)과 제 4 쿨런트안내홈(334) 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제 1 쿨런트안내홈(234)과 제 3 쿨런트안내홈(332) 측으로 안내된 쿨런트는 다시 서로 마주보는 제 1 쿨런트분사홈(238) 및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을 통해 절삭작업을 수행 중인 각각의 절인(312a, 312b)의 외부로 분사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100) 중 볼 엔드밀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드릴과 같은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100)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100)는 쿨런트안내공(232), 인서트시트(210)의 시트상부면(214a) 및 시트하부면(214b) 상에 형성 되는 제 1 쿨런트안내홈(234), 제 2 쿨런트안내홈(236) 및 제 1 쿨런트분사홈(238)을 갖는 홀더(200)와, 홀더(200)의 인서트시트(210)에 장착되고 인서트상부면(310a) 및 인서트하부면(310b) 상에는 제 1 쿨런트안내홈(234), 제 2 쿨런트안내홈(236) 및 제 1 쿨런트분사홈(238)과 서로 마주보는 제 3 쿨런트안내홈(332), 제 4 쿨런트안내홈(334) 및 제 제 2 쿨런트분사홈(336)을 갖는 절삭인서트(300)를 구비함으로써, 쿨런트를 절삭작업을 수행 중인 각각의 절인(312a, 312b) 전체로 분사시킬 수 있어 절삭 인서트(300)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 고능률 가공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일단면에서 타단면 측으로 연장되어 시트상부면, 시트하부면 및 시트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시트상부면 및 상기 시트하부면 일측 및 타측에는 대향되게 각각 절인밀착면 및 비절인밀착면이 형성된 인서트시트 및 상기 인서트시트의 방사상 외부에는 수직하게 제 1 체결공이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시트내측면과 밀착되는 인서트밀착면과 인서트상부면 및 인서트하부면을 가지며 상기 인서트상부면 및 상기 인서트하부면에는 서로 대향되게 절인 및 비절인이 형성되면서 상기 인서트시트에 삽입 배치되고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 1 체결공과 연통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된 절삭 인서트와, 상기 제 1 체결공 및 상기 제 2 체결공에 관통체결되면서 상기 절삭 인서트를 상기 인서트시트에 강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스크류를 구비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통상의 공작기계에 마련된 통상의 쿨런트장치 또는 통상의 MQL장치와 연결되어 쿨런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의 타단면 상에서 상기 홀더의 내부를 따라 상기 인서트시트의 상기 시트내측면 까지 연장되는 쿨런트안내공과,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되게 상기 시트상부면과 상기 시트하부면 상에 각각 형성되어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를 분사하는 제 1 쿨런트안내홈, 제 2 쿨런트안내홈, 제 1 쿨런트분사홈을 갖는 제 1 쿨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부의 상기 제 1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2 쿨런트안내홈 및 상기 제 1 쿨런트분사홈이 상기 시트상부면 및 상기 시트하부면 상에 형성시키기 않고 상기 절삭 인서트의 인서트상부면 및 인서트하부면 상에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를 분사하는 제 3 쿨런트안내홈, 제 4 쿨런트안내홈, 제 2 쿨런트분사홈을 갖는 제 2 쿨런트부가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쿨런트안내공, 상기 제 1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2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1 쿨런트분사홈을 가지는 제 1 쿨런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 인서트에는 상기 제 1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2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1 쿨런트분사홈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3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4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2 쿨런트분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안내홈은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내측면 상에서부터 상기 시트상부면 및 상기 시트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체결공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체결공에 이격되게 각각의 상기 절인밀착면을 따라서 각각의 상기 비절인밀착면 끝단 일측까지 환형의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쿨런트안내홈은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내측면 상에서부터 상기 시트상부면 및 상기 시트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체결공 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체결공에 이격되게 상기 비절인밀착면을 따라서 각각의 상기 비절인밀착면의 끝단 타측까지 환형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쿨런트분사홈은 각각의 상기 제 1 쿨런트안내홈에서 상기 절인밀착면 끝단부 측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안내홈은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내측면 상에서부터 상기 시트상부면 및 상기 시트하부면을 따라 각각의 상기 절인밀착면의 끝단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2 쿨런트안내홈은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내측면 상에서부터 상기 시트상부면 및 상기 시트하부면을 따라 각각의 상기 비절인밀착면의 끝단 측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쿨런트분사홈은 각각의 상기 제 3 쿨런트안내홈에서 상기 절인밀착면 끝단부 측으로 불규칙적으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분사홈은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절인밀착면의 끝단부 측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분사홈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분사홈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2 쿨런트안내홈 및 상기 제 1 쿨런트분사홈은 상기 시트상부면 또는 상기 시트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부는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내측면에서부터 상기 시트상부면 및 상기 시트하부면을 따라 각각 상기 절인밀착면의 끝단까지 완만하게 만곡된 곡선을 가지는 다수의 제 1 쿨런트안내홈과,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내측면에서부터 상기 시트상부면 및 상기 시트하부면을 따라 각각의 상기 비절인밀착면의 끝단까지 완만하게 만곡된 곡선을 가지며 연장되는 제 2 쿨런트안내홈 만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안내홈은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절인밀착면의 끝단부 측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쿨런트안내홈은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밀착면에서부터 상기 인서트상부면 및 상기 인서트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체결공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체결공에 이격되게 각각의 상기 절인을 따라 각각의 상기 비절인 끝단 일측까지 환형의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4 쿨런트안내홈은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밀착면에서부터 상기 인서트상부면 및 상기 인서트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체결공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체결공에 이격되게 각각의 상기 비절인 끝단 타측까지 환형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쿨런트분사홈은 각각의 상기 제 3 쿨런트안내홈에서 각각의 상기 절인 끝단부 측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쿨런트안내홈은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밀착면에서부터 상기 인서트상부면 및 상기 인서트하부면을 따라 각각의 상기 절인의 끝단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4 쿨런트안내홈은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밀착면에서부터 상기 인서트상부면 및 상기 인서트하부면을 따라 각각의 상기 비절인의 끝단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쿨런트분사홈은 각각의 상기 제 3 쿨런트안내홈에서 각각의 상기 절인의 끝단부 측으로 불규칙적으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쿨런트분사홈은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절인의 끝단부 측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쿨런트분사홈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쿨런트분사홈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쿨런트안내홈, 상기 제 4 쿨런트안내홈 및 상기 제 2 쿨런트분사홈은 상기 인서트상부면 또는 상기 인서트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쿨런트부는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밀착면에서부터 상기 인서트상부면 및 상기 인서트하부면 따라 각각 상기 절인의 끝단까지 완만하게 만곡된 곡선을 가지는 다수의 제 3 쿨런트안내홈과, 상기 쿨런트안내홈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밀착면에서부터 상기 인서트상부면 및 상기 인서트하부면 따라 각각 상기 비절인의 끝단까지 완만하게 만곡된 곡선을 가지는 제 4 쿨런트안내홈 만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 입형 절삭공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쿨런트안내홈은 절삭부위 전체에 쿨런트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절인의 끝단부 측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쿨런트부는 상기 시트내측면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는 중앙부분이 상기 쿨런트안내공과 연통되면서 상기 시트내측면의 양단 측으로 연장되는 보조쿨런트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KR1020040093778A 2004-11-17 2004-11-17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KR10063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778A KR100638245B1 (ko) 2004-11-17 2004-11-17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778A KR100638245B1 (ko) 2004-11-17 2004-11-17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916A true KR20060054916A (ko) 2006-05-23
KR100638245B1 KR100638245B1 (ko) 2006-10-24

Family

ID=3715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778A KR100638245B1 (ko) 2004-11-17 2004-11-17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2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630A1 (en) * 2007-01-18 2008-07-24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and milling insert with coolant delivery
WO2008088628A1 (en) * 2007-01-18 2008-07-24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and milling insert with coolant delivery
WO2008088631A1 (en) * 2007-01-18 2008-07-24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and milling insert with core and coolant delivery
WO2010095775A1 (en) * 2009-02-23 2010-08-26 Taegutec Lt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comprising the same
US8840342B2 (en) 2010-09-02 2014-09-23 Kennametal Inc. Finishing cutting insert
US9101985B2 (en) 2007-01-18 2015-08-11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815B1 (ko) * 2008-02-29 2010-12-01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630A1 (en) * 2007-01-18 2008-07-24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and milling insert with coolant delivery
WO2008088628A1 (en) * 2007-01-18 2008-07-24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and milling insert with coolant delivery
WO2008088631A1 (en) * 2007-01-18 2008-07-24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and milling insert with core and coolant delivery
CN101605623B (zh) * 2007-01-18 2011-12-21 钴碳化钨硬质合金公司 铣刀以及具有芯体和冷却剂传送的铣刀镶片
US9101985B2 (en) 2007-01-18 2015-08-11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US9108253B2 (en) 2007-01-18 2015-08-18 Kennametal Inc. Roughing cutting insert
WO2010095775A1 (en) * 2009-02-23 2010-08-26 Taegutec Lt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comprising the same
KR101064639B1 (ko) * 2009-02-23 2011-09-15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 툴
US8469637B2 (en) 2009-02-23 2013-06-25 Taegutec, Ltd. Cutting insert having non-symmetrical back side face portion and cutting tool comprising the same
US8840342B2 (en) 2010-09-02 2014-09-23 Kennametal Inc. Finishing cutting insert
US9095913B2 (en) 2010-09-02 2015-08-04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245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265B1 (ko) 인덱서블 절삭공구
JP4275856B2 (ja) 冷却溝を備えた切削インサート
KR100259550B1 (ko) 만능 인서트 시트를 구비한 깊이 및 면가공용 밀링커터
EP3408048B1 (en) A cutting tool
US20200230710A1 (en) Cutting tool holder
AU663221B2 (en) Toolholder assembly and method
KR100638245B1 (ko)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US20140056656A1 (en) Turning tool for internal machining
JP5267173B2 (ja) 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H04183503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07237006A (ja) 溝入れ用工具
CN207629260U (zh) 一种高精套料刀具
KR100634609B1 (ko) 밀링커터의 구조
CN103934487A (zh) 一种用于汽轮机套筒深孔加工镗削工具及深孔加工方法
EP3199274B1 (en) A cutting tool
CN210996536U (zh) 一种凸轮轴阶梯孔导条镗孔刀具
JP2021084138A (ja) 切削工具
CN219541795U (zh) 一种多台阶式钻镗刀
JPH06254704A (ja) スローアウェイ式旋削工具
CN217858835U (zh) 一种加工深孔内台阶面上圆弧槽的刀具
CN215880050U (zh) 一种高精度的汽车abs阀体加工刀具
CN220659427U (zh) 一种硬加工用导条刀
CN220761096U (zh) 一种多阶梯复合钻头
CN212945837U (zh) 一种刀具型钢
CN216151237U (zh) 一种带有减震功能的双刃球形铣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