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953A - 유로 내장형 받침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로 내장형 받침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953A
KR20060053953A KR1020050065873A KR20050065873A KR20060053953A KR 20060053953 A KR20060053953 A KR 20060053953A KR 1020050065873 A KR1020050065873 A KR 1020050065873A KR 20050065873 A KR20050065873 A KR 20050065873A KR 20060053953 A KR20060053953 A KR 20060053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ow path
groove
protective sheet
adhesiv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319B1 (ko
Inventor
하레타로 히다카
미치오 즈카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85Sectional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Valve Housing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uel Cell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유로 내장형 받침대(21)는 제 1 플레이트(22)와 제 2 플레이트(23)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22)의 접합면에 형성한 홈(28)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22)에 형성한 연통 구멍(29)을 거쳐서 상기 홈(28)과 상기 제 1 플레이트(22)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24)를 연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22)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플레이트(23)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플레이트(22)와 상기 제 2 플레이트(23)는, 상기 제 1 플레이트(22)와 상기 제 2 플레이트(23)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 1 플레이트(22)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23)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로 내장형 받침대 및 그 제조 방법{CHANNEL-INCORPORATING PEDEST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도 2의 D-D선으로 취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E방향으로 취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F-F선으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G-G선으로 취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도 7의 A-A선으로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방향으로 취한 평면도,
도 8은 도 6의 C-C선으로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41 : 유로 내장형 받침대 22, 42, 43 : 상부 플레이트
23, 44 : 하부 플레이트 22b, 23b, 42c, 43c : 접합면
22a, 23a, 25a, 42b, 43b, 44a, 45a, 46a : 볼트 구멍
25, 45, 46 : 접착 보호 시트 29, 53 : 연통 구멍
47 : 기기 30, 54 : 금속 플레이트
본 발명은 유로내장형 받침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로 내장형 받침대는, 예를 들면 가정용 등의 고정식 혹은 차량 탑재용 등의 가동식의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나, 열차의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air brake system) 등의 유체제 시스템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 있어서의 각종의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즉, 유로 내장형 받침대는, 이것들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장치 등의 각종 기기를 받침대 표면에 부착하는 것, 상기 기기를 연결하는 복잡한 배관 대신에 내장 유로(홈)를 설치하는 것(내장 유로를 상기 배관으로서 기능시키는 것), 또는 전기 배선 등도 내장함으로써, 콤팩트하고 일체화된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 유닛 등의 고정식 유닛이나, 차재용 연료전지 발전 유닛 등의 가동식 유닛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되고 있다.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구체적인 구성예로서는 이미 여러 가지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305010 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종래의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에 근거하여 후술할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도 7의 A-A선으로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방향으로 취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C-C선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 내장형 받침대(1)는 상부 플레이트(2)와, 하부 플레이트(3)를 공지의 마찰 교반 용접(friction stir welding) 또는 적당한 접합제(binder)(4)에 의해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부 플레이트(2)의 표면(2a)에 적당히 배치된, 예컨대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나 유체 제어 시스템 등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장치 등의 각종 기기(5)가 상하부 플레이트(2, 3)에 형성된 볼트 구멍(2b, 3a)에 삽입 통과된 볼트(6)와, 이 볼트(6)에 나사결합하는 너트(7)에 의해 상하부 플레이트(2, 3)와 함께 일체적으로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즉, 유로 내장형 받침대(1)는 기기(5)를 부착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기능한다.
하부 플레이트(3)의 접합면(3b)에는 홈(8)이 형성되어 있다. 홈(8)은 일반적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각각 소정의 단면적을 갖고, 또한 적당한 길이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 플레이트(3)에 형성된 홈(8)을 덮도록 하여 [홈(8)에 덮개를 놓도록 하여], 상부 플레이트(2)가 하부 플레이트(3)에 접합되어 있다. 그 결과, 유로 내장형 받침대(1)의 내부에는, 홈(8)으로 이루어지는 유체의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에는 연통 구멍(9)이 형성되어 있고, 홈(8)은 이들의 연통 구멍(9)을 거쳐서 기기(5)에 연통되어 있다. 즉, 유로 내장형 받침대(1)에는 홈(8)이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되어 있다. 이들의 내장 유로[홈(8)]는 기기(5)끼리를 연결하는 배관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즉, 유로 내장형 받침대(1)는 집적 배관(integrated piping)으로서의 기능도 한다. 각 홈(8)(내장 유로)의 단면적은 각 홈(8)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특성, 유속 및 압력손실 등으로부터 결정되고, 각 홈(8)(내장 유로)의 길이나 방향은 각 기기(5)의 배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하부 플레이트(2, 3)의 재료로서는, 그 경량, 강도, 가공의 용이함 때문에 알루미늄판이 가장 많이 이용된다. 종종 사용되는 다른 재료에는, 강판 등의 금속 재료나 주조품 등의 금속 재료가 있다.
홈(8) 및 연통 구멍(9)을 유동하는 유체가 상하부 플레이트(2, 3)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에 대해 부식성 유체일 경우, 또는 국부 전지 작용(local cell action) 등에 의해 상기 금속 재료를 부식되게 하는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유체와 접촉하는 홈(8)이나 연통 구멍(9)의 표면에 대해, 산화알루미늄 피막(알루마이트) 처리나, 4불화 에틸렌 수지[PTFE : 테프론(등록상표)] 코팅 등의 방식 처리(corrosion protection)를 실시한다. 변형예로서, 상부 플레이트(2) 및 하부 플레이트(3) 전체를 부식성 없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은 부식에 대한 처리로 미흡하다.
그러나, 방식 처리를 실행할 경우에는,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처리에 장시간을 요하고, 또한 제조 설비의 투자도 크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진다. 더욱이, 상하부 플레이트(2, 3) 전체를 부식성이 없는 합성 수지제로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하부 플레이트(2, 3)의 변형이 크고 기계적 강도가 낮기 때문에, 어떠한 보강 이 필요하거나 홈(8)을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이 낮을 경우에 한정되는 등의 문제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내식성을 갖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홈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한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홈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한 유로 내장형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3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플레이트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의 제 1, 제 2 및 제 3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제 1 홈과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제 2 홈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한 제 1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에 형성한 제 2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제 2 홈과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한 유로 내장형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한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제 1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한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제 1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은,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홈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한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홈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한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로서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로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를 개재한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기 접착 보호 시트를 용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상기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은, 제 1 플레이트와 제 3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플레이트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의 제 1, 제 2 및 제 3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제 1 홈과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제 2 홈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한 제 1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에 형성한 제 2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제 2 홈과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한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로서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로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제 1 접착 보호 시트를 개재하고, 또한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제 2 접착 보호 시트를 개재한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기 제 1 접착 보호 시트 및 상기 제 2 접착 보호 시트를 용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하고, 또한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상기 제 2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도 2의 D-D선으로 취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E방향으로 취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F-F선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 내장형 받침대(21)는 제 1 플레이트로서의 상부 플레이트(22)와, 제 2 플레이트로서의 하부 플레이트(23)를 서로 접합하여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 사이에는 접착 보호 시트(adhesive protective sheet)(25)가 개재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22)의 표면(22c)에는 예를 들면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이나 유체 제어 시스템(fluid control system) 등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장 치 등의 각종 기기(24)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기기(24)는, 상하부 플레이트(22, 23) 및 접착 보호 시트(25)에 형성된 볼트 구멍(22a, 23a, 25a)에 끼워 통과된 볼트(26)와, 이 볼트(26)에 나사결합하는 너트(27)에 의해 상하부 플레이트(2, 3)와 함께 일체적으로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즉, 유로 내장형 받침대(1)는 기기(5)를 부착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기능한다.
상부 플레이트(22)의 접합면(22b)에는, 기계가공, 사출 성형, 다이 캐스트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홈(28)은 일반적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각각 소정의 단면적(폭과 깊이)을 갖고, 또한 적당한 길이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플레이트(22)에 형성된 홈(28)을 덮도록 하여 하부 플레이트(23)가 접착 보호 시트(25)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22)에 접합되어 있다. 그 결과, 유로 내장형 받침대(21)의 내부에는, 홈(28)으로 이루어지는 유체의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2)에는, 상부 플레이트(22)상에 배치된 기기(24)의 바로 아래에 기계가공, 사출 성형, 다이 캐스트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연통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홈(28)은 이들 연통 구멍(29)을 거쳐서 기기(24)에 연통되어 있다. 즉, 유로 내장형 받침대(21)에는 홈(28)이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되어 있다. 이들 내장 유로[홈(28)]는 기기(24)끼리를 연결하는 배관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유로 내장형 받침대(21)는 집적 배관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각 홈(28)(내장 유로)의 단면적은 각 홈(28)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특성, 유속 및 압력손실 등으로부터 결정되고, 각 홈(28)(내장 유로)의 길이나 방향은 각 기기 (24)의 배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 연통 구멍(29)과 기기(24) 사이는 O링(31)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22)는 내식성을 갖는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부 플레이트(23)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식성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4불화 에틸렌 수지(PTFE :테프론) 등의 불화 수지판 등의 부식성이 없는 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알루미늄판이나 동판 등을 들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3)의 두께는 필요한 기계적 강도에 따라 적당한 두께로 이루어진다.
접착 보호 시트(25)는 열가소성이고 내식성인 것이다. 접착 보호 시트(25)는 공지의 시판(市販)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2)와 동일 계통의 재질로 적당한 두께를 갖고, 또한 하부 플레이트(23)의 접합면(23b)과 친화적이고 접착성이 좋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의 것이 선정된다. 더욱이, 접착 보호 시트(25)는 상부 플레이트(22) 및 하부 플레이트(23)보다도 저융점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면, 하부 플레이트(23)의 재료가 알루미늄, 상부 플레이트(22)의 재료가 PTFE일 경우, 접착 보호 시트(25)는 PTFE의 융점(327℃)보다도 저융점의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유로 내장형 받침대(21)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접착 보호 시트(25)를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 사이에 상하부 플레이트(22, 23)의 전면에 걸쳐 끼운다(개재함). 그 후,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클램프 장치로 상하부 플레이트(22, 23)를 클램프하거나, 또는 상하부 플레이트(22, 23)상에 중량물을 탑재하는 것 등의 적당한 가압 수단이 적용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하부 플레이트(22, 23)와 함께 접착 보호 시트(25)를 적당한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더욱이, 소성로(baking furnace)(가열로)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상하부 플레이트(22, 23)와 함께 접착 보호 시트(25)를 접착 보호 시트(25)가 용융하여 접착하는 적당한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 때의 가압력 및 가열 온도는 접착 보호 시트(25)의 종류에 의해 다르다. 예를 들면 가열 온도는 보통 몇 백 ℃이다.
그 결과,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가 접착 보호 시트(25)에 의해 접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하부 플레이트(22, 23)의 접합 부분, 즉 접착 보호 시트(25)와 상부 플레이트(22)의 접합면(22b) 및 하부 플레이트(23)의 접합면(23b)이 접하고 있는 부분[상부 플레이트(22)에 형성된 홈(28)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하부 플레이트(22, 23)가 접착 보호 시트(25)에 의해 접착된다. 그리고, 상하부 플레이트(22, 23)의 비접합 부분, 즉 상부 플레이트(22)에 형성된 홈(28)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하부 플레이트(23)의 접합면(23b)에 접착 보호 시트(25)가 용착하여, 접합면(23a)을 코팅 또는 라이닝(lining)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접착 보호 시트(25)는 하부 플레이트(23)의 해당 부분을 홈(28)내로 유동하는 부식성 유체로부터 보호한다.
그 후, 상부 플레이트(22)상에 기기(24)를 배치하고, 이들을 볼트(26)와 너트(27)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충분한 접착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홈(28)내를 유동하는 유체가 고압이기 때문에, 상하부 플레이트(22, 23) 사이의 접착 강도를 더욱 보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부 플레이트(22)상에 배치한 적당한 금속 플레이트(30)를 거쳐서, 볼트(26) 및 너트(27)로 상하부 플레이트(22, 23) 및 접착 보호 시트(25)를 체결하여 보강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볼트 구멍(22a, 23a, 25a)이 홈(28)에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판의 접착 보호 시트(25)에 대하여 예시한다. 예컨대 상부 플레이트(22)가 PTF로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 PTFE와 동일 계통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착 보호 시트인 다이킨 공업(주)제의 "RAP"(상품명)을 이용하고, 가열 온도 약 300℃에서 가압 접착하였는 바, 양호한 접착 강도 및 방식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유로 내장형 받침대(21)는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 플레이트(22)의 접합면(22b)에 형성한 홈(28)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부 플레이트(22)에 형성한 연통 구멍(29)을 거쳐서 홈(28)과 상부 플레이트(22)의 표면(22c)에 배치한 기기(24)를 연통한다. 이 유로 내장형 받침대(21)는, 상부 플레이트(22)는 내부식형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부 플레이트(23)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는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 사이에 개재된 상부 플레이트(22) 및 하부 플레이트(23)보다도 저융점의 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25)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 1의 유로 내장형 받침대(21)의 제조 방법은,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 플레이트(22)의 접합면(22b)에 형성한 홈(28)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부 플레이트(22)에 형성한 연통 구멍(29)을 거쳐서 홈(28)과 상부 플레이트(22)의 표면(22c)에 배치한 기기(24)를 연통한다. 본 방법은 상부 플레이트(22)로서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부 플레이트(23)로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 사이에 상부 플레이트(22) 및 하부 플레이트(23)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25)를 개재한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접착 보호 시트(25)를 용융하고,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3)를 접착 보호 시트(25)에 의해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따르면, 홈(28)과 연통 구멍(29)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22)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부 플레이트(23)는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25)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홈(28)을 흐르는 부식성 유체 등에 대해 내식성을 갖는다. 더구나, 하부 플레이트(23)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하부 플레이트(23)에 의해 유로 내장형 받침대(21)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더욱 강도가 필요할 경우에도, 하부 플레이트(23)의 두께를 늘이는 것만으로 간단히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금속 플레이트(30)를 거쳐서 볼트(26)와 너트(27)로 체결함으로써도 간단히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게다가, 접착 보호 시트(25)에 의해 상하부 플레이트(22, 23)를 접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방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플레이트(23)는 가장 단순한 평면이기 때문에, 접착 보호 시트(25)에 적당한 가압력과 가열 온도를 가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양호한 접착력과 방식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 와 같은 산화 알루미늄 피막 처리 등의 방식 처리를 실행할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게 내식성 있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21)를 제조할 수 있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2)의 재료로 PTFE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홈(28)이나 연통 구멍(29)을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 이외에, 사출 성형이나 다이 캐스트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더욱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G-G선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 내장형 받침대(41)는 제 1 플레이트로서의 상부 플레이트(42)와 제 3 플레이트로서의 상부 플레이트(43) 사이에 제 2 플레이트로서의 하부 플레이트(44)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의 상하 플레이트(42, 43, 44)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2장의 상부 플레이트(42, 43)를, 하부 플레이트(44)를 끼워서 대향한 상태에서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다단화한 구성이 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42)와 하부 플레이트(44) 사이에는 접착 보호 시트(45)가 개재되고, 상부 플레이트(43)와 하부 플레이트(44) 사이에는 접착 보호 시트(46)가 개재되어 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42)의 표면(42a)과, 상부 플레이트(43)의 표면(43a)에는, 각각 예컨대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나 유체 제어 시스템 등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장치 등의 각종 기기(47)가 배치되어 있다. 상하의 배치가 일체화되어 있는 기기 (47)는 상부 플레이트(42 43, 44) 및 접착 시트(45, 46)에 형성된 볼트 구멍(42b, 43b, 44a, 45a, 46a)에 끼워 통과된 볼트(48)와, 이 볼트(48)에 나사결합된 너트(49)에 의해 상하부 플레이트(42, 43, 44)와 함께 일체적으로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수직적인 배치가 일치하지 않는 기기(47)는 하부 플레이트(44)에 끼워넣어 볼트 구멍(45a, 42b) 또는 볼트 구멍(46a, 43b)에 끼워 통과된 스터드 볼트(stud bolt)(50)와, 이 볼트(50)에 나사결합된 너트(51)에 의해 상하부 플레이트(42, 44) 또는 상하부 플레이트(43, 44)와 함께 일체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유로 내장형 받침대(41)는 기기(47)를 부착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기능한다.
상부 플레이트(42)의 접합면(42c)과, 상부 플레이트(43)의 접합면(43c)에는, 기계가공, 사출 성형, 다이 캐스트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각각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홈(52)은 일반적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각각 소정의 단면적(폭과 깊이)을 갖고, 또한 적당한 길이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플레이트(42)에 형성된 제 1 홈으로서의 홈(52)과, 상부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제 2 홈으로서의 홈(52)을 각각 덮도록 하여 하부 플레이트(44)가 접착 보호 시트(45, 46)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42)와 하부 플레이트(43)에 각각 접합되어 있다. 그 결과, 유로 내장형 받침대(41)의 내부에는, 홈(52)으로 이루어진 유체의 유로가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42, 43)에는, 상하부 플레이트(42, 43)상에 배치된 기기(47)의 바로 아래에 기계가공, 사출성형, 다이 캐스트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각각 연통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42)의 홈(52)은 상부 플레이트(42)의 연통 구멍(53)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42)상의 기기(47)에 연통된다. 상부 플레이트(43)의 홈(52)은 상부 플레이트(43)의 연통 구멍(53)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43)상의 기기(47)에 연통되어 있다. 즉, 유로 내장형 받침대(41)에는 홈(52)이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되어 있다. 이들 내장 유로[홈(52)]는 기기(47)끼리를 연결하는 배관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유로 내장형 받침대(41)는 집적 배관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각 홈(52)(내장 유로)의 단면적은 각 홈(52)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특성, 유속 및 압력손실 등으로부터 결정되고, 각 홈(52)(내장 유로)의 길이나 방향은 각 기기(47)의 배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 연통 구멍(53)과 기기(47) 사이의 간극은 O링(55)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42, 43)는 내식성을 갖는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부 플레이트(44)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식성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4불화 에틸렌 수지(PTFE : 테프론) 등의 불소 수지판 등의 부식성이 없는 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알루미늄판이나 강판 등을 들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44)의 두께는 필요한 기계적 강도에 따른 적당한 두께로 한다.
접착 보호 시트(45, 46)는 열가소성이고 내식성인 것이다. 접착 보호 시트(45, 46)는 공지의 시판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42, 43)와 동일 계통의 재질로 적당한 두께를 갖고, 또한 하부 플레이트(44)의 접합면(44b, 44c)의 정교함 및 접착성이 좋은 열가소성의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의 것이 선정된다. 더욱이, 접착 보호 시트(45, 46)는 상부 플레이트(42, 43) 및 하부 플레이트(44)보다도 저융점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면, 하부 플레이트(44)의 재료 가 알루미늄이고 상부 플레이트(42, 43)의 재료가 PTFE일 경우, 접착 보호 시트(45, 46)는 PTFE의 융점(327℃)보다도 저융점의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유로 내장형 받침대(41)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우선 접착 보호 시트(45)를 상부 플레이트(42)와 하부 플레이트(44) 사이에 상하부 플레이트(42, 44)의 전면에 끼운다(개재함). 또한, 접착 보호 시트(46)를 상부 플레이트(43)와 하부 플레이트(44) 사이에 상하부 플레이트(43, 44)의 전면에 끼운다(개재함). 그 후,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 장치로 상하부 플레이트(42, 43, 44)를 클램프하는 것이나, 또는 상하부 플레이트(42, 43, 44)상에 중량물을 탑재하는 것 등의 적당한 가압 수단이 적용된다. 이 방법에 의해, 상하부 플레이트(42, 43, 44)와 함께 접착 보호 시트(45, 45)를 적당한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더욱이, 소성로(가열로)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상하 플레이트(42, 43, 44)와 함께 접착 보호 시트(45, 46)를 접착 보호 시트(45, 46)가 용융하여 접착하는 적당한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 때의 가압력 및 가열 온도는 접착 보호 시트(45, 46)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가열 온도는 보통 몇 백 ℃이다.
그 결과, 상부 플레이트(42)와 하부 플레이트(44)가 접착 보호 시트(45)에 의해 접착되고, 상부 플레이트(43)와 하부 플레이트(44)가 접착 보호 시트(46)에 의해 접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하부 플레이트(42, 44)의 접합 부분, 즉 접착 보호 시트(45)와 상부 플레이트(42)의 접합면(42c) 및 하부 플레이트(44)의 접합면(44b)이 접하고 있는 부분[상부 플레이트(42)에 형성된 홈(52)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 분]에서는, 상하부 플레이트(42, 44)가 접착 보호 시트(45)에 의해 접착된다. 상하부 플레이트(42, 44)의 비접합 부분, 즉 상부 플레이트(42)에 형성된 홈(5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하부 플레이트(44)의 접합면(44b)에 접착 보호 시트(45)가 용착하고, 접합면(44b)을 코팅 또는 라이닝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접착 보호 시트(45)는 하부 플레이트(44)의 해당 부분을 홈(52)내로 유동하는 부식성 유체로부터 보호한다.
마찬가지로, 상하부 플레이트(43, 44)의 접합 부분, 즉 접착 보호 시트(46)와 상부 플레이트(43)의 접합면(43c) 및 하부 플레이트(44)의 접합면(44c)이 접하고 있는 부분[상부 플레이트(43)에 형성된 홈(52)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하부 플레이트(43, 44)가 접착 보호 시트(46)에 의해 접착된다. 상하부 플레이트(43, 44)의 비접합 부분, 즉 상부 플레이트(43)에 형성된 홈(5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하부 플레이트(44)의 접합면(44c)에 접착 보호 시트(46)가 용착하고, 접합면(44c)을 코팅 또는 라이닝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접착 보호 시트(46)는 하부 플레이트(44)의 해당 부분을 홈(52)내로 유동하는 부식성 유체로부터 보호한다.
그 후, 상부 플레이트(42, 43)상에 각각 기기(47)를 배치하고, 이들을 볼트(48, 50)와 너트(49, 51)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충분한 접착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홈(52)내를 유동하는 유체가 고압이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42, 43)와 하부 플레이트(44) 사이의 접착 강도를 더욱 보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부 플레이트(42, 43)상에 배치한 적당한 금속 플레이트(54)를 거쳐서, 볼트(48) 및 너트(49)로 상하부 플레이트(42, 43, 44) 및 접착 보호 시트(45, 46)를 체결하여 보강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볼트 구멍(42b, 43b, 45a, 46a)이 홈(52)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41)는, 상부 플레이트(42, 43) 사이에 하부 플레이트(44)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의 상하 플레이트(42, 43, 44)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부 플레이트(42, 43)의 접합면(42c, 43c)에 형성한 홈(52)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부 플레이트(42)에 형성된 연통 구멍(53)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42)의 홈(52)과 상부 플레이트(42)의 표면(42a)에 배치된 기기(47)를 연통하고, 상부 플레이트(43)에 형성한 연통 구멍(53)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43)의 홈(52)과 상부 플레이트(43)의 표면(43a)에 배치된 기기(47)를 연통한다. 이 유로 내장형 받침대는, 상부 플레이트(42, 43)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부 플레이트(44)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 플레이트(42)와 하부 플레이트(44)는 이들의 상하 플레이트(42, 44) 사이에 개재한 상하 플레이트(42, 43, 44)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45)에 의해 접합되고, 상부 플레이트(43)와 하부 플레이트(44)는 이들의 상하 플레이트(43, 44) 사이에 개재된 상하부 플레이트(42, 43, 44)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합 보호 시트(46)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41)의 제조 방법은, 상부 플레이트(42, 43) 사이에 하부 플레이트(44)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의 상하 플레이트(42, 43, 44)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부 플레이트(42, 43)의 접합면(42c, 43c)에 형성한 홈(52)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부 플레이트(42)에 형성한 연통 구멍(53)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42)의 홈(52)과 상부 플레이트(42)의 표면(42a)에 배치된 기기(47)를 연통하고, 상부 플레이트(43)에 형성한 연통 구멍(53)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43)의 홈(52)과 상부 플레이트(43)의 표면(43a)에 배치한 기기(47)를 연통한다. 본 방법은, 상부 플레이트(42, 43)로서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단계와, 하부 플레이트(44)로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단계와, 상부 플레이트(42)와 하부 플레이트(44) 사이에 상하부 플레이트(42, 43, 44)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45)를 개재하고, 또한 상부 플레이트(43)와 하부 플레이트(44) 사이에 상하부 플레이트(42, 43, 44)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46)를 개재한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접착 보호 시트(45, 46)를 용융하고, 상부 플레이트(42)와 하부 플레이트(44)를 접착 보호 시트(45)에 의해 접착하고, 또한 상부 플레이트(43)와 하부 플레이트(44)를 접착 보호 시트(46)에 의해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 2에 따르면, 홈(52)과 연통 구멍(53)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42, 43)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부 플레이트(44)는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45, 46)에 의해 보호된다. 이에 따라, 홈(52)을 흐르는 부식성 유체 등에 대해 내식성을 갖는다. 더욱이, 하부 플레이트(44)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하부 플레이트(44)에 의해 유로 내장형 받침대(41)의 기계 적 강도를 확보할 수도 있다. 더욱 강도가 필요할 경우에도, 하부 플레이트(44)의 두께를 늘이는 것만으로 간단히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금속 플레이트(54)를 거쳐서 볼트(48)와 너트(49)로 체결함으로써도 간단히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게다가, 접착 보호 시트(45, 46)에 의해 상하 플레이트(42, 43, 44)를 접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방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플레이트(44)는 가장 단순한 평면이기 때문에, 접착 보호 시트(45, 46)에 적당한 가압력과 가열 온도를 가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양호한 접착력과 방식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은 산화 알루미늄 피막 처리 등의 방식 처리를 실행할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게 내식성 있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41)를 제조할 수 있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42)의 재료로 PTFE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홈(52)이나 연통 구멍(53)을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 이외에, 사출 성형이나 다이 캐스트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콤팩트하고 경량화한 다단화 유로 내장형 받침대를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로 내장형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홈의 주위를 둘러싸는 용접 선에 마모가 생기는 것이나 용접선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선의 밀봉 기능을 유지할 경우에 적용하여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 또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홈과 연통 구멍이 형성된 제 1 플레이트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플레이트는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홈을 흐르는 부식성 유체 등에 대해 내식성을 갖는다. 더구나, 제 2 플레이트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제 2 플레이트에 의해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더욱 강도가 필요할 경우에도, 제 2 플레이트의 두께를 늘이는 것만으로 간단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를 거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도 간단히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접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방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는 가장 단순한 평면이기 때문에, 접착 보호 시트에 적당한 가압력과 가열 온도를 가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양호한 접착력과 방식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산화 알루미늄 피막 처리 등의 방식 처리를 실행할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게 내식성 있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를 제조할 수 있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레이트의 재료로 PTFE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홈이나 연통 구멍을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 이외에, 사출 성형이나 다이 캐스트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더욱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 내장형 받침대 또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홈과 연통 구멍이 형성된 제 1 플레이트와 제 3 플레이트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플레이트는 내식성의 제 1 및 제 2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홈을 흐르는 부식성 유체 등에 대해 내 식성을 갖는다. 더구나, 제 2 플레이트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제 2 플레이트에 의해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더욱 강도가 필요할 경우에도, 제 2 플레이트의 두께를 늘이는 것만으로 간단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를 거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도 간단히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제 1, 제 2 및 제 3 플레이트를 접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방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는 가장 단순한 평면이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접착 보호 시트에 적당한 가압력과 가열 온도를 가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양호한 접착력과 방식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산화 알루미늄 피막 처리 등의 방식 처리를 실행할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게 내식성 있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를 제조할 수 있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플레이트의 재료로 PTFE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홈이나 연통 구멍을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 이외에, 사출 성형이나 다이 캐스트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더욱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콤팩트로 경량화한 다단화 유로 내장형 받침대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4)

  1.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홈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한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홈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한 유로 내장형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
  2. 제 1 플레이트와 제 3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플레이트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의 제 1, 제 2 및 제 3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제 1 홈과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제 2 홈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한 제 1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에 형성한 제 2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제 2 홈과 상기 제 3 플 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한 유로 내장형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는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한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제 1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한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제 1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
  3.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홈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한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홈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한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로서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로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접착 보호 시트를 개재한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기 접착 보호 시트를 용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상기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
  4. 제 1 플레이트와 제 3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플레이트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의 제 1,제 2 및 제 3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제 1 홈과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접합면에 형성한 제 2 홈을 유체의 유로로서 내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한 제 1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에 형성한 제 2 연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제 2 홈과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표면에 배치한 기기를 연통한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로서 내식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로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제 1 접착 보호 시트를 개재하고, 또한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이고 또한 내식성의 제 2 접착 보호 시트를 개재한 상태에 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기 제 1 접착 보호 시트 및 상기 제 2 접착 보호 시트를 용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하고, 또한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상기 제 2 접착 보호 시트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유로 내장형 받침대의 제조 방법.
KR1020050065873A 2004-07-21 2005-07-20 유로 내장형 받침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1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2904A JP2006032264A (ja) 2004-07-21 2004-07-21 流路内蔵型台座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4-00212904 2004-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953A true KR20060053953A (ko) 2006-05-22
KR100651319B1 KR100651319B1 (ko) 2006-11-29

Family

ID=3529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873A KR100651319B1 (ko) 2004-07-21 2005-07-20 유로 내장형 받침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19144A1 (ko)
EP (1) EP1624517B1 (ko)
JP (1) JP2006032264A (ko)
KR (1) KR100651319B1 (ko)
CN (1) CN1724922A (ko)
DE (1) DE602005014177D1 (ko)
NO (1) NO20053554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49431T2 (hu) 2007-11-21 2020-09-28 Smith & Nephew Sebkötözés
GB0723855D0 (en) 2007-12-06 2008-01-16 Smith & Nephew Apparatus and method for wound volume measurement
DE102008001990A1 (de) * 2008-05-27 2009-12-03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Parkbremse
GB201015656D0 (en) 2010-09-20 2010-10-27 Smith & Nephew Pressure control apparatus
US9084845B2 (en) 2011-11-02 2015-07-21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13234034B2 (en) 2012-03-12 2017-03-30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apparatus and methods
WO2013140255A1 (en) 2012-03-20 2013-09-26 Smith & Nephew Plc Controlling operation of a reduced pressure therapy system based on dynamic duty cycle threshold determination
US9427505B2 (en) 2012-05-15 2016-08-30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SG11201704255WA (en) 2014-12-22 2017-07-28 Smith & Nephew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140A (en) * 1976-12-15 1978-08-29 Johnson Controls, Inc. Method of making fluid system circuit board
US5558955A (en) * 1994-10-07 1996-09-24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Cathode reactant flow field component for a fuel cell stack
KR100228529B1 (ko) * 1996-12-20 1999-11-01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용 스케일러블 레벨 시프터
JP3731322B2 (ja) * 1997-11-04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レベルシフト回路
US7017792B2 (en) * 2001-02-02 2006-03-2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Integrated piping plate, machining method for same, machining apparatus for same, and machining equipment for same
JP3930271B2 (ja) * 2001-02-02 2007-06-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ジックプレート
US6907904B2 (en) * 2003-03-03 2005-06-21 Redwood Microsystems, Inc. Fluid delivery system and mounting panel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9144A1 (en) 2006-01-26
EP1624517A2 (en) 2006-02-08
NO20053554L (no) 2006-01-23
JP2006032264A (ja) 2006-02-02
EP1624517B1 (en) 2009-04-29
NO20053554D0 (no) 2005-07-20
DE602005014177D1 (de) 2009-06-10
EP1624517A3 (en) 2006-05-17
CN1724922A (zh) 2006-01-25
KR100651319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319B1 (ko) 유로 내장형 받침대 및 그 제조 방법
WO2000017547A2 (en) Gasket assembly
WO2012090748A1 (ja) 温水ヒータ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温水ヒータ
CN110087874A (zh) 用于制造可焊接金属-聚合物多层复合材料的方法
Ng et al. Microfluidic connectors by ultrasonic welding
WO2008063372A2 (en) Heat sink
JP2021025753A (ja) 熱交換器
JP2018520875A (ja) 接合構成部品及び接合方法
JP6653242B2 (ja) 接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506909A (ja) 部品の相互連結用のアダプタ、及び、前記アダプタを使用して製造される部品
JP5856368B2 (ja) Cfrp体と金属体との絶縁連結方法
CN103781666B (zh) 带有耐热紧固点的热屏蔽体及其制造方法
US20110120621A1 (en) Connection of aeronautical structural elements with other thermoplastic elements
Wippermann et al. Thermal influence of resistance spot welding on a nearby overmolded thermoplastic–metal joint
JP6591952B2 (ja) 接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36117A (ja) 固着機能を有する電子部品の熱保護装置
CN114033776B (zh) 一种连接元件及连接方法
JP2015102318A (ja) プレート積層体
JP6255442B2 (ja) バルブボディ
CN214466713U (zh) 复合管道
JP2008006724A (ja) マイクロ流管チップの製造方法
WO2018088368A1 (ja) 接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20845A (ko) 이종소재를 포함하는 복합체
JP2006021245A (ja) 板状部材の接合方法
JP2006010030A (ja) 屈曲型通路内蔵台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