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862A - 사용자에 사용자 장치 이송에 대한 비상응답 제공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에 사용자 장치 이송에 대한 비상응답 제공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862A
KR20060052862A KR1020067001533A KR20067001533A KR20060052862A KR 20060052862 A KR20060052862 A KR 20060052862A KR 1020067001533 A KR1020067001533 A KR 1020067001533A KR 20067001533 A KR20067001533 A KR 20067001533A KR 20060052862 A KR20060052862 A KR 2006005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user
monitoring database
emergenc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더블유. 크라우스
Original Assignee
토엔제스, 폴, 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엔제스, 폴, 지. filed Critical 토엔제스, 폴, 지.
Publication of KR2006005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5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destinations, e.g. if hospital does not answer send to police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장치(32)를 이송하여 비상응답(emergency response)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각 사용자 장치(32)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다수의 사용자 장치(32)를 위한 인식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를 확보해준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각 사용자장치(32)의 각 사용자의 비상사태에서 접속되어야 하는 접속의 리스트를 포함구성한다. 사용자 장치(32)의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선정되고, 하나 이상의 선정된 사용자 장치(32) 또는 하나 이상의 접속이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연관된 접속리스트로부터 비상사태를 고지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와 선정된 사용자 장치(32) 사이의 교신은 인터넷(36)에 걸쳐 확보되는데, 이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선정된 사용자 장치(32) 및/또는 접속을 고지한다.

Description

사용자에 사용자 장치 이송에 대한 비상응답 제공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response to a user carrying a user device}
(발명분야)
본 발명은 유저디바이스(user device) 사용자 장치를 유저, 즉 사용자(user)에게 사용자 장치를 이송하기 위한 비상응답체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유저디바이스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monitoring database) 사이의 통신을 인터넷에 걸쳐서 확보하여 상기 응답을 제공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사용자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비상 응답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가지 관련 방법과 장치가 있어왔고, 그 한가지 방법으로서 공중스윗칭한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에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과 스피커전화(speakerphone)로서의 역할을 하는 장치가 있었다.
만일 사용자가 스피커전화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비상사태나 사고를 당하게 되면, 사용자는 구조대에 비상사태를 알릴 수가 없게 된다. 비상사태가 알려지지 않으면, 경찰관들과 같은 비상요원도 호출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비상상대를 알릴 수 없게 되는 공포로 인해 그들의 시스템을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고 비상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당황하게 된다. 관련된 장치의 또 다른 한계점은 사용자가 집에 없거나 장치를 이용하기에 너무 멀리 있으면 도움을 받을 수 없게 된다는 점이다.
다른 종래의 관련 모니터링 시스템은 미국특허 제 6,512,456에 개시되어있다. 이 특허는 오버사잇오소리티(oversight authority)가 포함되고 사용자를 위한 몸체기능을 모니터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user device)가 포함되는 것이 개시되어있다. 이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오버사잇오소리티에 전달된다. 이 오버사잇오소리티는 사용자로부터 얻은 정보에 따라 필요시 알리게 한다. 이 정보는 또한 글로벌 위치잡기 좌표(global positioning coordinates)들에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는 정보를 통화하여 수신타워로 보내고, 이는 오버사잇오소리티에 중첩되게 된다. 그러나, 위 미국 6,512,456호 특허는 오버사잇오소리티와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확보해 주지 못하고,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ce-over internet protocols)을 정보에 전달하거나 통신을 확보해 주지 못한다.
다른 관련 종래기술상의 시스템도 글로벌 위치잡기 시스템(GPS)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추적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한다. 이들 시스템은 정보를 여러가지 접속부에 전달하므로써 접속지점이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그 외에 도 음성인식 인터넷 프로토콜(voice-over internet protocols:VoIP)이 PSTN을 이용하는 대신 인터넷으로 통화를 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어떠한 종래 시스템도 사용자를 모니터하고 추적하는 것을 결합한 것이 없고 사용자가 인터넷에 걸쳐 통화 또는 통신을 확립하여 비상상대 또는 사고지점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아직껏 없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들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불완전하거나 결함으로 특징 지워져 있다. 따라서 이들 불완전, 불합리한 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user device)를 사용자에게 이송하여 비상응답(emergency response)을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 장치용 확인, 그리고 각 사용자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모니터링 하여준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monitoring database)에는 각 사용자 장치의 각 사용자를 위해 비상시 접속해야하는 접속 리스트를 포함한다.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s:IP)주소는 각 사용자 장치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확보되어야 한다. 사용자 장치의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선정되고, 적어도 선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부가 비상사태가 알려지는 선정된 사용자 장치와 연관된 접속 리스트로부터 선정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와 선정된 사용자 장치 사이에서 선정된 사용자 장치 및 /또는 접속지점을 알려주기 위한 교신 또는 통화(communication)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전체에 걸쳐 확보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관련시스템상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인터넷에 걸쳐 접속되는 사용자 장치를 직접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보하게 해준다. 이 장치가 팔 안에서 닿게 되는한, 사용자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를 고지하므로써 즉각적인 구조를 요청할 수 있고, 또한 비상상태를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가 평가하며 접속지점 또는 비상요원에 비상사태를 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도면을 통해 부위를 가리키는 부호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에서 일반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비상경고시스템은 부호 30으로 나타내었다. 이 비상경고시스템(30)에는 사용자(도시안됨)에 의해 이송된 사용자 장치(32)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포함된다.
이 사용자 장치(32)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인터넷(36) 전체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경유하여 교신 된다. 이 인터넷(36)은 도 1에서 일반적으로 구름형으로 나타나있고, 여러 구성품들과 내부연결된다. 여기에서 IP는 전달제어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s:TCP)와 기타 다른 연결부 없는, 패킷 스윗칭 프로토콜(packet switching protocol)을 포함구성한다. 후자인 패킷 스윗칭 프로토콜은 인터넷(36)을 건너 교신하는데 채용된다. 통상 인터넷 프로토콜은 TCP/IP이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파일이전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FTP)과 같은 기타 다른 인터넷 프로토콜과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 인터넷(36)은 전세계에 걸쳐 컴퓨터에 연결되고 TCP/IP를 거쳐 교신되는 내부연결 네트워킹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30)은 사용자 장치(32)를 연결하고 인터넷 (36)을 통해 연결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를 나타낸다. 이 시스템(30)에는 사용자 장치(32), 셀룰러 모뎀(cellular modem)(40), 라디오주파수(RF) 모듈(42)을 얻는 글로벌 위치잡기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GPS)을 갖는 사용자 장치 (32)가 있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또한 생물측정장비(44)와 교신한다. 이 생물측정장비(biometric equipment)(44)는 RF모듈(46)을 갖는데. 이는 RF신호를 거쳐 사용자 장치(32)의 RF모듈(42)를 통해 통신을 확보한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또한 크래이들(cradle)(48)과 교신한다. 이 크래이들(48)은 RF신호를 거쳐 사용자 장치 (32)의 RF모듈(42)와 교신하기 위한 RF모듈(50)을 갖는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또한 셀룰러타워(cellular tower)(52)를 거쳐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와 교신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 사용자 장치(32)의 셀룰러모뎀(40)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접근시키기 위해 셀룰러타워(52)에 셀룰러 신호, 즉 셀 식의 신호(cellular signals)를 전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와 크래이들(48) 모두는 인터넷(36)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32)는 가급적 어떠한 주어진 순간에서도 셀룰러 네트워크나 크래이들(48)의 하나와는 교신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를 교신할 시간이 있으면 이는 바람직하다. 셀룰러모뎀(40)과 크래이들(48)은 모두 IP에 기한 신호를 전달하고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P)을 지지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VoIP는 도 1에서보다 두꺼운 링크연결부(thicker linkages)로 나타나있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IP주소와 또한 인터넷(36)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사용자 장치(32)로 신호를 받고 전달한다.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게이트웨이(gateway)(54)를 포함구성하는데, 이는 음성을 전달하는 공중스윗칭된 전화네트워크(PSTN)(56)에 연결되고, 또한 인터넷(36)에 걸쳐 음성과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음성/데이터서버(voice/dara servers)(58)에 연결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다수의 사용자 장치(32)용 확인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각 사용자 장치(32)에 연관되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한다. 이 사용자정보에는 각 사용자 장치(32)의 각 사용자가 비상사태시 접속해야할 접속리스트(list)가 포함된다. 이 접속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고, 그 리스트는 사용자가 최신의 것으로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거나 정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웨브-베이스이용(web-based application)을 통해 근접가능하게 된다. 이 접속(contact)이란 용어는 도면에서 사용되는 안젤(angel)을 가진 내부변환가능한 것을 말한다. 선정된 접속은 사용자, 특히 사용자가 어른인 경우 사용자를 위한 리스트(list)를 업데이트하고 수정하기위해 관리수준으로 접근한다. 이 접속리스트에는 각 접속의 바람직한 접속방법이 포함되고, 각 접속은 성공적인 순서로 접촉되는 다수의 방법을 갖는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가정전화번호에서의 접속을 고지(notify)하려고 하고, 다음 작동전화번호, 셀룰러 전화번호(cellular telephone number), 다음 패이져(pager), 그리고 다음 이메일(email)에 의해 고지된다. 여기에 각 접속은 특정시간을 가지는데, 이 시간은 각 번호가 바람직한 접속이고, 또한 이는 시나리오(scenario)또는 비상(emergency)시에 따라 좌우된다.
미리 지정된 번호가 하나의 접속으로 시도되고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34)는 다음 접속으로 진행되고, 또한 사건발생 또는 비상사태를 고지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장점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PSTN(56) 또는 인터넷(36)의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접속을 고지하는데, 이는 VoIP를 사용하고,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 등과 같은 지지장치들을 사용한다.
도 1에서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PSTN(56)에 연통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이는 랜드선 전화(landline telephone)(60)에 전달하고 모빌폰(mobile phone)(62) 또는 페이져(pager)(64)에 도달되는 셀룰러 네트웍(cellular network)에 전달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서버(58)를 통해 교신하여 이메일(66)과 웨브에 기한 정보(web based information)(68)을 접속(contact)에 전달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사용자 정보를 받고, 이를 인터넷(36)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에 가까이 가게한다. 물론 파트너 정보, 셀룰러 제공자 정보(cellular provider information), 의사 정보, 금융기관 정보 등과 같은 정보들은 말할 것도 없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사용자에 관하여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기도 한다. 이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전화, 이메일, 사용자 알러지, 의료이력정보, 의료치료정보, 의료예방정보, 지오펜스정보(geofense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지오펜스 정보에는 사용자가 그 안에 있어야 하는 경도 및 위도와 같은 좌표(coordinates)를 포함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사용자 장치(32)정보를 저장하는데, 반드시는 아니지만 일련번호, 구매일자, 활동일자, 세일즈콘택트(sales contact), 파트너정보, 보증정보, 밧데리수명, 및/또는 에러 리포트등 사용자 장치(32)에 관해 생기는 정보사항들을 저장한다.
도 2에는, 플로우챠트가 생물측정장비(44)와 사용자 장치(32) 사이에서 RF신호를 거쳐 교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셀룰러모뎀(cellular modem)(40) 또는 RF모듈(42,50)을 거쳐 셀룰러 네트워크와 크래이들(48) 사이에서의 교신을 갖는다. 이 셀룰러모뎀(40)은 SMS센터를 거쳐 인터넷(36)을 통해 인터넷게이트웨이(internet gateway)(54)를 또는, 인터넷(36)을 통해 PSTN 게이트웨이(54)를 통신연결하므로써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도달하게 한다. 이 크래이들(cradle)(48)은 유선네트워크를 거쳐 인터넷(36)을 통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34)와 연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에 부착된 생물측정장비(44)와 연통하는 사용자 장치 (32)의 RF모듈(42)과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거쳐 교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32)의 RF모듈(42)과 생물측정장비(44)는 블루투스(상표명 Bluetooth) 프로토콜(protocols)을 이용하여 교신한다. 라디오주파수 전달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 블루투스가 유선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주파수 호핑 확산 스펙트럼(freguency hopping spread spectrum)을 이용하여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표준임을 알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RF신호이면 그 어느 것이라도 같이 사용한다. 사용자에 관한 생물측정 데이터는 RF신호를 거쳐 생물측정장비(44)로부터 사용자 장치(32)로 전달된다. 이 생물측정 데이터는 다음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전달되고, 다음 사용자에 관한 의료리포트로 철하여 저장된다. 만일 사용자가 사고를 당하거나 비상사태에 직면하게 되면, 완전한 의료 이력이 검토확인되는데 유용하게 되고, 가장 최신의 사용자 건강의료상태가 즉각 나타나게 된다.
사용자 장치(32)는 도 3A, 도 3B에 개략적으로 나타나있다. 도 3A는 사용자 장치(32)의 부분노출된 개략적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평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32)는 두가지 인쇄회로판을 갖는다. 이는 구성품, 주 보드(main board)(70)와 제 2보드(secondary board)(72)를 이송하고 연결한다. 주 보드(70)에는 여러 가지 프로세싱능력과 디지탈신호 프로세서(DSP) 중앙연산장치(CPU)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s:IP)를 거쳐 교신하는 프로세서(processor)(74)가 포함구성된다. 이 DSP(76)는 사용자 장치(32)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케 하는데 사용된다. 이 주 보드(70)는 또한 크래이들(48) 또는 생물측정장비(44)와 교신하기 위한 RF모듈(module)(42)를 포함구성한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필요에 따라 단일 RF모듈 또는 복수 RF모듈을 포함구성한다. 스피커(78)와 마이크로폰(microphone)(80) 또한 주 보드(70)에 연결된다.
메모리원(memory source)(82)는 사용자 장치(32)용 IP주소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34)용 IP주소를 저장한다. 이 메모리원(82)은 또한 판독만 하는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ROM(EEPROM), 랜덤 액세스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플래쉬, 기타 다른 형태의 정보저장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구성한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IP 주소는 블럭으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양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P주소의 블럭은 다음 다시 나누어지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그들의 거래처(customers)에 양도된다. 이 거래처는 IP 주소의 구매블럭(purchase blocks)을 그들의 거래처 등에 양도한다. 그러므로, 메모리원(memory source)(82)는 사용자 장치(32)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 양쪽에 양도되는 IP 주소를 저장한다.
제 2 보드(72)는 GPS 리시버(receiver)(38)와 셀룰러 모뎀(cellular modem) (40)을 포함구성한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또한 주 보드(70) 또는 제 2 보드(72)의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 장치(32)로부터 신호를 전달하고 수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84)를 또한 포함구성한다. 안테나(8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리시버(38), RF모듈(42) 및 셀룰러모뎀(40)과 교신된다. 도 3A에서, 본 발명이 다수의 안테나, GPS 안테나(86), 셀룰러안테나(88), 그리고 2개의 RF 다수의 안테나(90,92)로 구성되고 있음이 나타나 있다. 이 GPS 수신기(38)는 프로세서(74)와 교신하고,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가 알 수 있을 정도로 사용자 장치(32)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결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인공위성으로부터 글로벌 위치좌표를 검색한다. 이 글로벌위치 좌표는 메모리원(82)에 저장되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 전달된다.
RF모듈(42)은 장비들 사이에서 RF 신호를 전달하고 수신하기 위해 프로세서(processor)(74)와 교신하는데,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셀룰러모뎀(40)은 셀룰러 연결부 전체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셀룰러 연결부를 확보하기 위해 프로세서(74)와 교신한다. 스피커(78)와 마이크로폰(80)은 사용자 장치(32)에 걸쳐 음성을 플래이시키고 전달시키거나 오디오통신을 교신되게 한다.
사용자 장치(32)는 또한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유저인풋(user input)(94)을 포함구성한다. 이 유저인풋(94)은 장치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푸쉬버튼(124) 또는 키패드(key pad)로 구성되고, 다수의 푸쉬버튼(124)을 포함구성한다. 이 장치의 활성화를 취소 또는 소거하는데는 하나의 푸쉬버튼(124)을, 그리고 활성화하는 데는 다른 푸쉬버튼(124) 중 하나를 누른다. 또한,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하거나 끄는데에도 동일한 푸쉬버튼(124)을 사용한다.
전원(96)은 필요시 각 구성품에 전기를 주기 위해 사용자 장치(32)에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전원(96)은 프로세서(74)와 메모리원(82) 및 기타 다른 구성품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프로세서(74)로부터 전력을 끈다. 또한, 각 구성품들은 전원(96)에 각기 연결된다.
도 3B를 보면, CPU는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CPU는 여러가지 콜 프로세싱(100)을 완성하기 위한 코드를 갖는 전화통신계면(telephony interface)(98)을 포함구성한다. 이 바람직한 콜 프로세싱(call processing)(100)용 표준은 H.323이고, 다른 표준은 본 발명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 콜 프로세싱(100)은 장치를 활성화하고 콜을 개시하기 위해 유저인풋(94)에 연결된다. CPU 또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UDD),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PPP), TCP 및 IP와 같이, 셀룰러 네트워크와 교신하기 위해, 그리고 디지털 신호를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발생시키기 위해 프로토콜(protocol)을 포함구성한다.
이 CPU의 전화계면과 스택계면(stack interface)(102)은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IP 신호를 또한 발생시키기 위한 DSP(76)에 연결된다. 이 DSP(76)은 인터넷(36)에 걸쳐 음성을 교신하기 위해 VoIP스택(stack)
(104)을 갖는다. 이 VoIP스택(104)은 울림지움장치 (echo cancellation)(106), 자동게인제어(automatic gain control:AGC)(108), 그리고 패킷캡슐포(encapsulation) (110)를 포함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 VoIP는 음성코드 G.723, G.729를 이용하여 작동되는데, 그러나 다른 코드들은 본 발명과 같이 사용되는 것들이다.
마이크로폰(80)과 스피커(78)는 인터넷(36)을 가로질러 VoIP를 이용하여 음성을 기록하고 전달하도록 VoIP 스택(104)와 면접된다. 이 디지털 신호는 사용자 장치(32)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정보 패킷 예컨데 오디오와 데이터 패킷고 같은 정보패킷(packets of information)을 포함구성한다. 두가지 형태의 패킷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와 다른 사용자 장치(32) 사이에서 전달된다. 이 분야에서의 기술자라면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디지털 신호는 패킷 안에서 돌아다녀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 장치(32)는 GPS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일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 정보를 데이터패킷으로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전달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전달되는 다른 데이터패킷은 사용자에게 약물치료할 수 있도록 약물치료 환기를 시켜준다. 다른 데이터도 생물측정장비(44)로부터 사용자 장치(32)에 의해 받는 정보라면 그 어느것도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32)를 사용자가 활성화시키고, 양방향 오디오통신을 확보하면 오디오패킷은 VoIP를 이용하여 전달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사용자 장치(32)의 일실시예로서의 노출된 사시도이다. 이 사용자 장치(32)에는 2개의 회로판을 둘러싸는 하우징(112)이 있다. 이 하우징(112)은 통상 플라스틱제인데, 다른 내구성과 경량의 재료라면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지장 없다면 그 어느재료라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2)은 사용자 장치(32)로 물이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빡빡해야 하고 하우징(112) 내에서 구성품이 손상당하지 않을 정도로 견고해야 한다. 이 하우징(112)에는 상부각피(top shell)(114)와 저부각피(116)가 있는데 통상 타원형이다. 저부각피(116)는 전력공급원(96)을 접근시키기 위한 악세스(access)(118)를, 그리고 일련의 계면모듈(serial interface module)을 갖는다. 사용자 장치(32)의 이 실시예는 사용자를 주의환기 시키기 위한 3개의 광방사 다이오드(LED)(122)와 3개의 푸쉬버튼(124)을 포함구성한다. 이 푸쉬버튼(124)은 장치를 활성화하고, 비상상태를 취소하며 또는 장치를 소거한다. 통상, GPS 리시버(38), RF모듈(42), 그리고 셀룰러모뎀(40)은 손상방지를 위해 하우징(112) 안에 배치된다. 알다시피 이 전력공급원(96)은 즉시 하우징(112)에 끼었다 뺐다 하도록 밧데리를 사용한다.
도 5는 긴 타원형이고 도 4에서의 LED들에서 사용자에게 주의환기 시키기 위해 액상 크리스탈 디스플레이(LCD)(126)를 갖는 사용자 장치(32)의 또다른 실시예로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여기에서는 하나의 푸쉬버튼(124)을 갖는데, 이는 고지(notification)를 활성화하거나 취소하는데 사용된다. 귀테플러그(128)는 스피커(78)가 있는 곳에 귀테를 연결시키기 위해 포함구성한다. 도 6은 삼각형으로 생긴 사용자 장치(32)의 또다른 예로서의 측면도이다. 이 사용자 장치(32)에는 2개의 버튼(124)이 있는데, 하나는 고지(notification)를 활성화하고, 또하나는 이를 취소하는 버튼이다. 사용자 장치(32)는 플래이 할 사용자 장치(32)에 메시지(message)를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130)를 포함한다.
도 7A, 7B를 보면, 크래이들(cradle)(48)의 개략이 도시되어 있다. 이 크래이들(48)에는 마이크로폰(134), 스피커(136), RF모듈(50) 및 유선모듈(138)과 교신하는 주 콘트롤유닛(MCU)(132)가 포함구성된다. 이 RF모듈(50)은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거쳐 사용자 장치(32)와 교신한다. 유선모듈(138)은 인터넷(36)에 연결되어 PSTN(56)을 통해 연결용 모뎀(140)이나 또는 에더넷 연결(Ethernet connection)(도 1에 도시)을 통해 연결용 네트워크 카드(network card)(142)로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크래이들(48)에는 모뎀(140)과 네트워크 카드(142) 양쪽 모두가 포함구성된다. 모뎀(140)이 사용되면, 크래이들(48)은 서비스 공급구(service provider)를 통해 인터넷(36)을 근접시키기 위해 PSTN(56)을 사용하고, 그 반면 네트워크카드(142)가 사용되면, 크래이들(48)은 인터넷(36)에 직접 연결된다. 이들은 케이블모뎀 또는 디지털 섭스크라이버라인(digital subscriber lines:DSL) 또는 기타 다른 타입의 인터넷(36)에의 연결부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크래이들(48)은 또한 인디케이터(indicator)(44), 즉 지시기를 포함구성하므로써 크래이들(48) 및/또는 사용자 장치(32)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주의환기시킨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크래이들(48)에 연결하기 위해 장치 연결구(146) 속으로 삽입된다. 연결이 되면, 크래이들(48)은 사용자 장치(32)를 채우고,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크래이들(48)을 통해 교신되게 한다. 이 크래이들(48)은 추가적인 전원 공급을 받고 채우기 위해 제 2 연결구(도시안됨)를 포함구성하기도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장치(32)가 크래이들(48)에 충전되지 않으면 사용 가능한 채워진 전력공급장치(96)를 항상 갖도록 해준다. 이 장치연결구(146)는 사용자 장치(32)를 수납하기 위한 모듈 또는 베이스(148)에 연결된다. 도 7B는 크래이들(48)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전력공급장치(150)는 크래이들(48)을 여기시키고 사용자 장치(32)를 충전하기 위해 AC어댑터(AC adapter)(15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 장치(32)를 사용자에게 이송하기 위한 비상응답방법을 제공하고, 그 방법은 도 8에서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나타나 있다. 도 8에서의 단계는, 지시받으면, 이어지는 도면에 있는 보다 상세한 플로우챠트에 대응된다. 이 방법에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를 확보하는 단계(도 8에는 도시안됨)가 포함되고 또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용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확보하며, 또한 각 사용자 장치(32)용 IP 주소를 확보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200에서, 콜(call)은 사용자 장치(32)로부터 개시되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32)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의해 고지된다. 다음, 사용자 장치(32)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202에 연결된다. 연결상태는 단계 204에서 사용자 장치(32)용으로 셋팅된다.
연결부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와 사용자 장치(32) 사이에서 한번 확보되기만 하면, 세가지 서로 다른 단계가 발생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장치(단계 206)에 대해 리스트된 접속들의 하나를 고지하고, 사건발생 문의(단계 208) 또는 사건종료(단계 210)를 행한다. 접속의 고지는 접속을 고지하기 위해 4개 이상의 서로 다른 단계로 나누어진다. 제일 먼저, 이 접속(contact)은 이메일 또는 단계 212에서의 SMS 고지(notification)를 통해 고지된다. 또한, 이 접속은 단계 214에 직접 통화되거나 교신되고, 또는 비상응답은 단계 216에서 개시된다. 접속이 직접교신되게 되면, 접속은 받아들여지게 되고(단계 218), 다음 이 사건(incident)은 종료된다(단계 220). 만일 접속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다음 접속은 단계 222에서의 두번째 시간에 고지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사건을 모니터하여 개방 또는 종료시킬 필요가 있으면 개폐된다(단계 224).
도 9에는, 플로우챠트가 단계 202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와 연결되는 사용자 장치(32)가 나타나 있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단계 226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장치인식기능을 가진 신호를 전달한다. 사용자 장치(32)는 응답을 위해 단계 228에서 대기하고, 응답이 성공적이면, 사용자 장치(32)는 단계 230에서 교신을 위해 라인을 개방한다. 사용자 장치(32)는 다음 다이알 톤(dial tone)이 단계 232에 있을 것인가를 결정한다. 다이알톤이 있게 되면, 사용자 장치(32)는 크래이들(48)을 통해 단계 234에서 연결된다. 만일 아무런 다이알톤도 존재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 장치(32)는 단계 236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연결하기 위해 셀룰러 연결부(cellular connections)를 사용하게 된다.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32)는 셀룰러 네트워크나 또는 크래이들(48) 중 어느 하나의 존재여부를 검출한다. 만일 크래이들(48)이 검출되면, 디지털 신호는 인터넷(36)에서 RF 신호를 거쳐 사용자 장치(32)로부터 크래이들(48)로 전달된다. 만일 크래이들(48)이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32)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근접하기 위해 셀룰러모뎀(cellular modem)(40)을 채용한다. 이 디지털신호는 다음 인터넷(36)에 걸쳐 셀룰러 네트워크에 전달된다. 알아야 할 것은 본 발명은 크래이들(48)을 검출하지 않고도 셀룰러모뎀(40)만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방법은 셀룰러모뎀(40)과 크래이들(48) 모두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는 셀룰러모뎀(40)이 조직 안쪽에서 빈약한 수신이거나 셀룰러 네트워크 범위(coverage)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사용자 장치(32)는 단계 238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연결되는데, 만일 이 연결이 가능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32)는 사용자를 주의환기(alert)시킨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와 연결한 후에, 장치정보는 단계 240에서 사용자를 증명하기 위해 인식되어야 한다. 만일 이 장치가 인정받지 못하거나 인식되지 못하면 연결은 종료된다. 만일 인식된다면, 그런 다음에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단계 206에서 접속을 고지하게 된다.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그리고 접속은 비상사태 또는 사건발생에 따라 고지된다. 예컨데, 만일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2)를 작동시키면, 그런 다음에는 작동된 사용자 장치(32)가 선정되고, 다음에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연관된 접속의 하나를 고지하게 된다. 또한, 만일 사용자가 일정 시간에 약물치료가 필요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사용자 장치(32)를 선정하고, 사용자 장치(32)를 고지하는데, 다음에는 사용자가 약물을 복용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러한 약물치료 고지에서, 예컨데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관련된 접속의 어느 하나를 고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그의 약물치료를 하지 않으면, 다음 비상고지가 확대되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다음 관련된 접속(associated contacts)을 고지하게 된다. 이 약물치료 고지(medication notification)를 아래에 보다 상세히 기재한다.
도 10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대해 사용자 장치(32)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32)(단계 204) 상에서의 연결상태를 셋팅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 정보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검색되느냐 아니냐 하는데에 따라,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242에서 사용자 장치(32)에 플랙(flag)을 전달한다. 만일 전달이 성공적이면, 다음 사용자 장치(32)는 플랙을 저장한다. 만일 플랙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서 발견되면, 다음, 기록(recording)이 사용자 장치(32)에 전달되는데, 그 내용은 접속이 단계 244에서 고지된다는 것을 알리는 내용이다. 만일 플랙이 발견되지 않으면, 메시지는 사용자 장치(32)에 전달되어 사용자 장치(32)가 단계 246에서 지지되고 있지 않음을 알리게 된다. 만일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플랙을 사용자 장치(32)에 보낼 수 없게 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플랙을 다시 전달할 것이고, 만일 성공적이지 못하면 단계 248에서 접속을 종료한다.
접속고지의 한가지 방법은 접속에 미리 기록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미리 기록한 메시지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되고,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연관된 접속에 전달된다. 이 미리기록된 메시지는 비상사태 또는 사건발생 등을 수록하고, 또한 접속으로 취해야 할 응답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접속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를 고지하도록 요구되는데, 여기에서 이들은 비상사태에 응답하기 위해 이를 받아들이거나(accept) 또는 피하거나(decline)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접속의 응답을 모니터하고, 응답이 접속중 하나에 의해 확인될 때까지 추가적인 접속을 계속 고지하게 된다. 접속이 받아들여져 응답이 이루어지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사용자를 주의환기시키기 위해 사용자 장치(32)에 응답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 장치(32)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연결하기 위해 인터넷(36)의 사용은 가장 중요하다. 인터넷(36)의 사용은 운전비용을 줄여주고 그러한 시스템(30)을 유지하여 주며 본 발명을 위한 보다 넓은 범위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터넷(36)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충분히 접속의 고지를 자동화할 수 있게 한다. 사람 손이 가는 것을 줄이면 운전비용과 시스템(30) 유지관리 비용을 보다 더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양방향 오디오통신(bidirectional audio communication)이 사용자 장치(32)와 VolP를 이용하여 응답하는 접속과의 사이의 교신을 확보 가능한 점에 있다. 따라서, 접속이 고지되면 접속은 사용자 장치(32)를 통해 사용자와 즉각 교신하게 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는 종래 시스템의 관련 기술의 현저한 개선으로 이 시스템은 곧 PSTN(56)에 직접 연결된다. 이들 PSTN(56)에 연결되는 관련기술 시스템은 스피커폰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만일 사용자가 스피커폰(speakerphone)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비상사태에 직면하거나 사고발생이 생긴 경우, 사용자는 조언자에게 비상사태의 내용을 통화하는 등의 교신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비상사태가 알려지지 못하게 되면, 경찰과 같은 비상구조요원들은 그러한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더라도 응답하도록 호출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상사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신하지 못하게 될 두려움 때문에, 그리고 비상사태가 도래했을 때 당황한 나머지 사용자들은 그들의 시스템을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게 되는 일이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일을 지양하고, 사용자 장치(32)를 통해서 접속과 직접 교신할 수 있게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이 장치가 팔이 닿을 수 있을 정도로 가까이 있는 한, 사용자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를 통해 즉시 접속 가능하게 접속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도 11은 주어진 사건(단계 208)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를 가진 사용자 장치(32) 사이에서 사건발생 문의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 사건발생은 예컨데 저혈압이라든가 저맥박수 등과 같은 것으로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서 시작되는 사용자정보로서 유효하게 작용한다. 또한, 제때 제시간 주의환기(timed alert), 예컨데 약물투입시간 주의환기 등과 같은 것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로 저장되어 있다가 시간되어 주의환기할 때가 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사용자 장치(32)를 선정하고,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에게 주의환기시키기 위해 전달하게 된다.
또다른 일실시예는, 접속 중 하나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근접하고, 사용자에게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사용자 장치(32)에 의해 사용자에게 주의환기되도록 요구하게 되는 케이스다. 만일 사건발생이 유효하면, 사건발생인식(incident indentification)이 얻어지고(단계 250) 다음 단계 252에서 장치로 전달하게 한다. 이 사용자 장치(32)는 다음 단계 254에서 사건인식을 받는 것에 대응하여 상황메시지를 플래이시킨다.
도 12에서는 단계 200에서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하므로써 사용자 장치(32)의 선정을 나타내는 또다른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는 키이패드를 누르고 이에 따라 신호를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보내는데, 이 데이터베이스는 다음 사용자 장치(32)를 선정하게 한다. 사용자 장치(32)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를 고지하는 동안, 사용자 장치(32)는 GPS 좌표를 단계 256에서 얻고, 단계 258에서 메모리 상태를 지우며, 단계 260에서 생물측정데이터를 수신받고, 단계 262에서 밧데리전원을 첵크한다. 이 들 정보는 다음 필요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장치(32)는 고지(notification)가 진행중에 있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대한 연결이 한번 완성되면 사용자에게 알려주라는 지시를 하게 한다. 한번 단계 202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202와의 연결이 확보되면, 접속고지는 개시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한번 사용자 장치(32)로부터 일단 주의환기를 받으면, 접속은 단계 206에서 고지된다. 도 13은 접속의 고지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264에서 사건발생을 입력하고 단계 266에서 사용자 정보와 접속리스트를 얻는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콜 리스트(call list)(단계 268)를 만들어내고 우선순위를 매겨 각기 하나씩 접속하는 방법으로 접속을 명령한다. 접속은 다음 단계 214에서 콜 리스트의 순으로 바람직한 방법으로 고지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접속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다음 사건 종료가 될 때까지 콜 상태(call status)를 모니터한다. 만일 콜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콜 리스트에서 다음 접속을 선정한다. 이는 사용자 또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 중 하나에 의해 미리 선정된 시간동안 비상요원들이 단계 216에서 접속될 때까지 계속된다. 비상요원으로는 911 (한국에선 119) 또는 911이 이용 못할 정도가 되면 지방경찰, 소방요원과 의료요원들까지 동원된다.
도 14는 전화를 통해 접속을 고지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를 타나낸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220에서 접속과 연관된 전화번호를 돌려준다. 만일 전화번호가 바빠서 안걸리게 될 경우,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자동적으로 다시 번호를 돌리게 된다. 만일 계속 답변이 없을 때에는, 접속을 위한 콜 상태가 업데이팅되고(단계 272),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274에서 다음 접속을 계속한다. 만일 접속이 응답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메시지를 얻고 단계 276에서의 접속을 위해 이를 플래이시킨다. 만일 접속이 받아들여지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연결이 되지 않게 되고 단계 218에서 받아들여진 사용자 장치(32)를 통해 사용자에게 고지된다. 이 접속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예컨데 키이(key)를 누르거나 또는 언어응답으로 즉각 받아들여진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278에서 접속으로부터의 답변이 무효화되면 메시지를 다시 플래이시켜준다. 만일 접속이 안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거부(단계 280)를 확인하고, 콜 상태(단계 282)를 업데이트하며, 다음 리스팅된 접속(단계 274)을 고지한다. 이와 같이, 만일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답변기기를 만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284에서의 음성메시지를 남기게 되고, 단계 282에서 콜 상태를 업데이트하며, 단계 274에서 다음 접속을 고지한다.
이메일이나 SMS 메시지보냄(단계 212)을 거쳐 접속을 고지하는 또하나의 방법은 도 15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나 있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286에서 접속정보를 검색한다. 만일 이메일이 선정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이메일 메시지(단계 288)를 만들고, 이를 접속(단계 290)에 전달하며, 콜 레코드(call record)(단계 292)를 업데이트한다. SMS가 선정되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SMS 메시지(단계 294)를 만들어, 접속(단계 296)에 전달하고, 콜 레코드(단계 298)를 업데이트한다.
도 16은 사건취급 또는 비상사태를 취급하기 위해 접속을 받아들이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만일 어느 접속도 받아주지 않거나 하면, 비상요원이 즉시 접속으로 된다. 한번 접속이 받아들여지면, 콜은 단계 300에서 덮은 것 그대로 표시된다. 그리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302에서 사용자 장치(32)에 덮여진 메시지를 전달하고, 콜의 상태는 단계 304에서 업데이트된다. 만일 콜(call)이 커버되지 않으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사용자 장치(32)(단계 306)에 지지 접속된 메시지의 하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사용자 장치(32)(단계 308)에 접속지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한다. 이 접속은 다음 단계(310)에 있는 사용자 장치(32)에 직접 연결된다. 양방향 교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오디오를 끊임없이 기록하고, 오디오로부터 오디오 패킷을 만들어내며, 오디오패킷을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 또는 서로 이와 교환된 것에 전달한다. 이와 유사한 공정도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이 알 수 있을 정도로 인터넷(36)으로 전달을 위해 접속오디오를 변환시킨다. 이 콜은 모니터(단계 312)되고, 이것이 종료되면, 사건은 덮여지며(단계 220) 콜 상태는 업데이트된다(단계 304).
도 17을 보면, 단계 220에서 덮여야 할 사건의 사용자 고지가 나타나 있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지지콜 완료메시지(단계 314)를 얻고 이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32)(단계 316)에 전달한다. 만일 사용자가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하면, 콜상태는 덮여지지 않은 채 남게 된다(단계 318).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2)를 계속하여 활성화하지 않고 그리고 콜을 끝내지 않으면, 그러면 콜은 끝나게 되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320에서 해결되도록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만일 사용자가 콜을 끝내지 않으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대기하게 되고, 지지대기 메시지(support waiting messages)(단계 322)를 전달하며 사용자가 응답할 때까지 기다린다.
이 접속은 도 18의 플로우챠트에서와 같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단계 222)를 직접 접속한다. 이 접속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단계 324)로 콜을 부르고, 정보(단계 326), 예컨데 사건번호, 사건명, 사용자명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접속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사건(단계 328)에 대한 서치를 행하고, 사건발생기록(단계 330)을 얻는다. 콜은 다음 입력되고, 사건이 더이상 활성적이지 않으면, 접속은 닫혀진 상태로 된다. 만일 사건이 활성적이고 덮여지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접속을 따라서 알려준다. 만일 사건이 활성적이고, 덮여지지 않으면 사용자정보는 얻어지고, 접속은 도 16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행해진다.
사건은 도 19에서 도시된 플로우챠트에서와 같이 종료된다. 여기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사용자 장치(32)를 접속하고, 종료메시지(단계 322)을 얻고, 이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32)(단계 334)에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를 위해 대기한다. 만일 사용자가 사건종료를 요구하면, 사건(incident)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서 종료되고, 그 상황은 업데이트된다(단계 336). 만일 사용자가 사건을 종료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사건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단계 338)에서 그대로 남게되어 활성적이 된다. 만일 사용자가 종료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으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메시지를 계속 전달한다.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거나 접속이 대응되지 않으면, 비상공정(emergency process)은 단계 216에서 개시된다. 도 20은 이 비상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340에서 사용자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여하한 관련 비상응답정보도 입력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단계 342에서 사용자 장치(32)로부터 GPS 좌표를 또한 입력한다. 만일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좌표를 얻는데 성공적이지 못하면, 앞서의 좌표는 단계 344에서 사용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만일 현재 위치에서 911이 작동함(단계 346)을 결정하거나, 작동하게 되면 911은 접속된다(단계 348). 만일 911이 작동하지 않으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350에서 좌표를 위한 비상 서비스번호를 검색하게 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단계 352에서 GPS 좌표를 따라 비상방송을 전달한다. 911 오퍼레이터나 비상요원은 다음 단계 354에서 사용자 장치(32)에 직접 연결된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끝날때가지 콜(call)을 계속 모니터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단계 356에서 오퍼레이터 또는 비상요원에 사용자정보을 공여한다.
사용자 장치(32)는 또한 도 21의 플로우챠트에서와 같이 지오펜스(geofense)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는 단계 358에서 현재 좌표의 사용자 장치(32)를 훈련시키기 위해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사용자 장치(32)는 자동적으로 좌표를 검색하거나 단계 360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좌표를 검색하기도 한다. GPS 리시버(38)는 글로벌 위치잡기 좌표를 받고 글로벌 위치잡기 좌표(global positioning coordinates)는 사용자 장치(32)에 대해 미리 정한 경계범위(pre-defined boundary)와 비교한다. 사용자 장치(32)가 이 범위를 넘게 되면, 사용자 장치(32)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 장치(32)를 고지하든가 또는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관련된 접속을 고지하든가 한다. 글로벌 위치잡기 좌표는 사용자 장치(32)에서 프로세서(74)에 의해 비교되든가 또는 비교를 위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로 되돌려 전달한다. 만일 비교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있게 되면, 접속은 지오펜스가 때어지면 즉시 접속되게 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서 사용자 장치(32)로부터 받는 디지털 신호에 기한 사용자의 상황을 결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32)는 예컨데 사용자의 혈압이 한계점을 넘어갈 때 사용자 장치(32)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생물측정장비(44)와 교신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다음 접속을 고지하거나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접속리스트를 바이패스하거나를 고지하고, 또한 비상요원을 즉시 접속한다. 접속의 바이패싱(bypassing)은 미리 정한 조건에서만 일어난다. 단,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는 의식을 잃거나 심장이 뛰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들 조건들은 매우 심각한 성격의 것으로 의료적으로 또는 훈련된 비상요원들이 맨 먼저 고지대상이다.
본 발명은 비상사태가 보증되거나 구제될 때까지 비상요원들이 고지받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종래 기술상의 불합리를 극복해준다.
사용자 장치(32)는 또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기록, 저장한다. 이 기록된 메시지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 상에서 저장용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32)에 잔류한다. 이 사용자 장치(32)에는 비상요원을 주의환기시키기 위해 디스플래이하거나 기록된 메시지의 접속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래이는 메시지가 기록될 때 깜박이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다. 만일 오디오가 사용자 장치(32)에서 뒤로 플래이되면 사용자로부터의 오디오는 기록되고, 오디오패킷은 오디오로부터 만들어지며, 다음 오디오패킷이 사용자 장치(32)에서 플래이백(playback)을 위해 사용자 장치(32) 상에 저장된다. 이는 사용자가 비상요원이나 접속이 도달하기 전에 의식을 잃을 때 특히 유용하다.
시스템(30)과 사용자 장치(32)는 무엇을 택할 것인가, 언제 택할 것인가 그리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서 이 정보를 저장할 것인가를 지시하므로써 약물치료를 관리하도록 약물치료고지(medication notification)를 하는 데 유용하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가변되는 수준과 시간흐름대에서 약물치료 요구를 변화시키고 서로 다른 약물치료를 하는 것도 계속 추적하기도 한다. 사용자 또는 인정된 접속은 이용에 따른 웨브(web)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약물치료 리스트를 확보한다. 사용자 또는 인정된 접속은 일부 약물이 흘려지거나 하는 것과 같은 경우 처방을 조정하고 수정한다. 약물치료 정보는 약물 도스량(dosages), 그리고 투여시간과 같은 상세사항을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포함하며, 약물치료 확인, 약물충전일, 처방단위(환약 또는 알약, 티스푼량, 시기 등); 도스 크기(dosage size); 도스 타이밍; 사전 도스 코멘트(pre-dosage comments) 및 경고; 사후도스 코멘트 및 경고; 다시채움 횟수(number of refills), 처방에서의 도스횟수 또는 재충전시의 도스횟수; 처방의사; 냉장인가 등의 저장요구사항; 시효종료일; 약조제; 제 1 도스채택은 언제인가(일자, 시간); 남은 도스량; 또는 남은 도스량 재충전고지 등과 같은 정보가 그것이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인터넷(36)에 걸쳐 가시 가능하게 되는 리포트를 발생시킨다. 이 리포트는 사용자가 현재로 채택하는 것, 처방의사와 발행약국 및 환약상자, 언제, 어떤 약을 복용할 것인가에 대한 주간스케쥴을 담은 리포트 등이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확인 리포트도 만들어 주는데, 이는 택해야 할 약물치료와 시간을 담은 리스트이다. 확인 리포트는 사용자가 실제로 약물을 복용하였는가를 확인하는 것을 보여주고, 물론 그 시간에 일어나는 주요사항도 보여준다. 주요사항은 확인지연이라든가 접속불가능이라거나 요진행이라거나, 사용자 접촉 그리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의해 제기되는 주의환기 등이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낮게 운영되는 처방과 같은 명기되어야 할 사항의 확인, 얻어져야 할 재투입 또는 환자로부터의 서약 등의 확인관련 보고사항을 발생시킨다. 생물측정장비(44)로부터 수집되는 생물측정 데이터는 약물치료고지와 관련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만일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거나 이들이 적절한 약물투여량을 제시간에 행하였는지 확인할 수 없게 되면, 주의환기는 접속에 직접 경로를 두게 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가 접속을 고지하면, 접속은 직접 사용자에게 연결되므로 이들은 직접 말하게 되고 문제가 된 사항을 해결하게 된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 또는 그로부터 모든 수집되고 교신된 정보는 확보된 인터넷(36) 연결부에 접근된다.
사용자로 하여금 약물치료를 고지하고 주의환기시키기 위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는 사용자 장치(32)를 리마인더(reminder)에 전달한다. 고지는 행해야 할 하나 이상의 약물을 나타내고, 그리고 기록된 음성메시지의 형태로 나타난다. 사용자는 이 메시지를 리플래이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 때 택해야 할 약물에 관한 상세사항을 얻는 능력을 가지며, 주의환기시키거나 이해시키거나 약물을 택하게 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그 시간에 무엇을 들어야 하는 지를 상세히 알고저 하거나, 어떤 정보를 알고저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약물치료 지시를 플래이시키기 위해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한다. 이 지시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사용자 장치(32)로 보내진다. 정보가 나타나면, 사용자는 정보를 리플래이시키거나, 고지를 확인하거나 고지를 종료하거나 또는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약물치료를 택한 후에는,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하므로써 확인사항을 선정한다. 활성화는 주의환기를 취소하고 주의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보내어져 약물치료가 취해진다. 만일 사용자 조치가 없으면, 주의환기는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또한, 사용자는 주의환기를 일으키고, 접속의 하나와 직접 음성교신에 두어진다. 약물치료고지는 또한 약물을 재충전하도록 그리고 처방의사에 의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고지하는 데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고 있듯이 본 발명에 상당한 여러가지 변화가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엘레멘트를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본 발명의 기본 필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발명의 가르침에 따라 특수상황 또는 치환 가능한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예로서는 가장 양호한 모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 해당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더우기, 특허청구범위 상의 참조번호 또한 단순한 편의상의 것으로, 이것으로 특허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사용자 장치와 인터넷(Internet)을 거쳐 통신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를 가진 비상경고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그라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위 도 1의 비상경고시스템의 또다른 예를 그라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사용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사용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사용자 장치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사용자 장치의 또 다른 일례로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사용자 장치의 또 다른 예로서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크래이들(cradle)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위 크래이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장치를 이송하기 위한 비상응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프로우챠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는 사용자 장치를 플로우챠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사용자 장치에 관한 연결상대를 셋팅하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장치를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사용자 장치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고가 주어진 상태 에서의 사고문의(incident inquiry)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사용자 장치 활성화에 대응하여 사용자 장치를 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데이터베이스를 모니터링 하므로써 접속상대(contacts)를 알려주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챠드도이다.
도 14는 전화를 거쳐 접속상대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5는 이메일 또는 SMS메시지처리(messaging)를 통해 접촉지점을 알려주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6은 고지된 후 접속을 수락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7은 접속부의 하나로 덮혀지는 사용자의 사건발생을 알려주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8은 사건발생에 대해 문의를 하기 위한 모니터링 테이터베이스를 직접 접속하는 접속상대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9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사건발생의 종료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20은 미리 지정된 사건발생에서 일어나는 비상사태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21은 사용자 장치의 사용상태와 지오펜스(geofense)로서의 기능을 갖기 위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이다.

Claims (43)

  1. 사용자 장치(32)를 사용자(user)에게 이송하면서 비상응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 장치(32)와 각 사용자 장치(32)에 연관된 사용자 정보의 인식(indentifications)을 포함구성하고, 상기 장치는 각 사용자 장치(32)와 각 사용자별 비상사태시 접속 되어야 할 접속리스트(list of contacts)를 포함하는 단계;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용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확보하는 단계 ;
    각 사용자 장치(32)용 IP 주소(address)를 확보하는 단계 ;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장치(32) 중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 ;
    사용자 장치(32)에 의해 인터넷(36)에 연결되는 크래이들(cradle)(48)과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의 어느 하나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의 하나 이상을 고지하거나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하나 또는 크래이들(48)을 거쳐 비상사태시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연관된 접속 리스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접속(contact)을 고지하는 단계 ;
    선정된 사용자 장치(32) 또는 접속을 고지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모니터링 데이터 베이스(34) 사이에서 인터넷(36)에 걸친 교신을 확보하는 단계의 제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respons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고지하는 단계는 접속을 고지하기 위해 또한 하나 이상의 인터넷 프로토콜 또는 공중 스윗치된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를 이용하는 것으로 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고지하는 단계는 또한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연관된 접속에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된 미리 기록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비상응답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접속의 응답을 모니터링하고, 응답이 접속 중 하나에 의해 확인될 때까지 추가적인 접속을 고지하는 것을 계속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접속의 하나가 응답한 결과,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사용자 장치(32)로 응답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을 전달하는 단계는 또한 사용자 장치(32)와 음성-인터넷 프로토콜(voice-over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하는 응답하는 접속사이에서의 양방향 오디오 교신을 확보하는 것으로 되는 비상응답방법.
  7. 사용자 장치(32)를 사용자 이송으로 하기 위해 비상응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 장치(32)와 각 사용자 장치(32) 연관된 사용자 정보의 인식(indentifications)을 포함구성하고, 상기 장치는 각 사용자 장치(32)이 각 사용자 별 비상상태에서 접속되어야 할 접속리스트(list of contacts)를 포함하는 단계;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용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확보하는 단계;
    각 사용자 장치(32)용 IP 주소(address)를 확보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장치(32)중 하나를 선정하고, 비상사태시 선정된 상기 사용자 장치(32)와 하나 이상의 선정된 사용자 장치 또는 연관된 접속의 리스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접속을 고지하는 단계;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와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사이에서 선정된 사용자 장치(32)를 고지하기 위해 또는 접속을 고지하기 위해 인터넷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36)에 걸쳐 교신을 확보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32) 또는 접속을 고지하는 단계는 또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와 선정된 사용자 장치(32)와 연관된 IP 주소 중 하나와 인터넷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와 인터넷(36)으로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32)와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는 또한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하하고 사용자 장치(32)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치(32)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사이에서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ce-over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오디오 연결을 확보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서 사용자 장치(32)로부터 받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지정된 조건으로 되는 사용자의 상태에 대응하여 비상구조요원과 접속하고 접속의 리스트를 바이패싱(bapassing)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하나 이상의 인터넷프로토콜 또는 공중 스윗칭된 전화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을 고지하는 것으로 되는 접속고지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접속의 응답을 모니터링하고 또한 접속의 하나가 응답할 때까지 추가 접속을 계속 고지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음성 인터넷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와 사용자 장치(32) 사이의 양방향 오디오 교신을 확보하는 단계 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비상 요원에 의해 플레이백(playback)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32)상에서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기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또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사용자 장치(32)로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의 전달단계는 사용자 장치(32)로 수신을 위한 오디오와 데이터 패킷(data packers)를 팩키징(packaging)하는 단계를 포함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패킷을 팩키징하는 단계는 또한 사용자에게 약물치료를 하도록 데이터 패킷에서 약물치료 주의환기재(medication reminders)로 서 또한 구성되는 단계로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인터넷(36)에 걸쳐 디지털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라디오 주파수 모듈을 갖는 크래이들(cradle)(48)또는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의 어느 하나로 된 사용자 장치(32)에 의해 현재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치(32)로부터 크래이들(48)로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거쳐 디지털신호를 전달하고, 인터넷(36)에 IP 주소로 디지털 신호를 루팅(routing)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방법.
  2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치(32)를 구비한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거쳐 라디오 주파수 모듈교신을 갖는 생물측정장비(44)의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생물측정장비(44)로부터 사용자 장치(32)로 사용자에 관한 생물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지털 신호를 갖는 생물측정데이터를 팩키징(packaging)하고 사용자 장치(32)로부터 모니터링데이터 베이스(34)로 디지털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관한 의료보고서를 철하기 위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에서 생물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방법.
  2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또한 전달을 위해 오디오 패킷 디지털 패킷을 팩키징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패킷을 팩키징하는 단계는 또한 계속적으로 오디오를 기록하고, 오디오(audio)로부터 오디오 패킷을 만들어내며, 오디오 패킷을 전달하므로써 모니터링 데이터 베이스(34)와 즉시 교신함을 확보하도록 한 단계 로 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패킷을 팩키징하는 단계는 또한 오디오를 기록하고, 오디오로부터 오디오 패킷을 만들어내며, 사용자 장치(32)에서 플래이백(playback)을 위한 사용자 장치(32)상에서 오디오 패킷을 저장하는 단계로 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플래이백을 위해 저장된 오디오 패킷의 비상요원을 주의환기시키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3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사용자 장치(32)사이에서 교신을 하는 사용자를 주의환기시키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 제공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디지털신호의 플래이백을 개시하는 단계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응답제공방 법.
  32. 사용자에 의해 이송되는 사용자 장치(32)는
    하우징(112);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거쳐 교신할 수 있는 상기 하우징(112)내에 배치된 프로세서(processor)(74);
    상기 사용자 장치(32)용 IP주소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용 IP주소를 저장하는 상기 하우징(112)내에 배치된 메모리원(memory source)(82);
    상기 사용자 장치(32)의 글로벌위치잡기 좌표 수신용 그리고 상기 메모리원(82)에서의 좌표 저장용 상기 프로세서(74)와 교신하는 글로벌 위치 시스템(GPS) 리시버(38);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전달하고 수신하기 위한 상기 프로세서(74)와 교신하고 상기 하우징(112)내에 배치되는 라디오 주파수(RF)모듈(42);
    셀룰러 연결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74)와 교신하는 셀룰러 모뎀(cellular modem)(40);
    상기 셀룰러모뎀(40)과 상기 RF 모듈(42)에 들어오는 메시지를 플래이하기 위한 스피커(78);
    사용자로부터 오디오(audio)를 전달하고 기록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A user device).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32)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 사항 입력(94)을 또한 구성하는 사용자 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processor)(7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96)와 상기 메모리원(memory source)(82)를 또한 구성하는 사용자 장치.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GPS 리시버(38)와 교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84)와 상기 RF모듈(42) 및 상기 셀룰러모뎀(40)을 또한 구성하는 사용자 장치.
  36. 비상주의환기 시스템(30)은
    하우징(112),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거쳐 교신하는 프로세서(74), 상기 사용자 장치(32)용 IP 주소를 저장하는 메모리원(82),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34)용 IP 주소, 상기 프로세서(74)와 교신되는 글로벌 위치잡기 시스템 리시버(GPS receiver)(38), 상기 RF신호를 전달하고 수신하기 위한 상기 프로세서(74)와 교신되는 라디오주파수 모듈(RF module)(42), 셀룰러 연결(cellular connection)을 확보하기 위한 상기 프로세서(processor)(74)와 교신하는 셀룰러 모뎀(cellular modem)(40), 스피커(78) 및 마이크로폰(80)을 갖는 사용자에 의해 이송되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와;
    인터넷(36)에 연결되는 유선 모듈(138)과 라디오주파수를 거쳐 상기 사용자 장치와 교신하기 위한 RF모듈(50)을 갖는 크래이들(cradle)(48)과;
    각 사용자 장치(32)에 대해 비상사태에서 접속되는 접속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각 사용자 장치(32)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와 다수의 사용자 장치용 인식사항(identifications)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monitoring database)(3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사태 주의환기 시스템(An emergency alert system).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주소, 알러지, 의료이력 정보, 의료처리 정보, 그리고 의료처방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사태 주의환기 시스템.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32)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증정 보, 밧데리 수명, 에러리포트(error reports)를 포함하는 비상사태 주의환기 시스템.
  39.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의 리스트(list)는 각 접속을 접속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포함하는 비상사태 주의환기 시스템.
  4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이들(48)은 상기 사용자 장치(32)를 채우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장치(32)를 받아들이기 위한 장치연결구(146)를 또한 구성하는 비상사태 주의환기 시스템.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이들(48)은 추가적인 전원 공급장치를 받기 위한 제 2 연결구를 구성하는 비상사태 주의환기 시스템.
  42.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이들(48)은 공중 스윗치된 전화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를 통해 인터넷(36)을 연결하기 위한 모뎀(modem) (140)을 포함구성하는 비상사태 주의환기 시스템.
  43.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이들(48)은 에더넷 연결(Ethernet connection)을 통해 인터넷(36)에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카드(network card)(142)를 포함구성하는 비상사태 주의환기 시스템.
KR1020067001533A 2003-07-22 2004-07-22 사용자에 사용자 장치 이송에 대한 비상응답 제공시스템 및방법 KR20060052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902203P 2003-07-22 2003-07-22
US60/489,022 2003-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862A true KR20060052862A (ko) 2006-05-19

Family

ID=3410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533A KR20060052862A (ko) 2003-07-22 2004-07-22 사용자에 사용자 장치 이송에 대한 비상응답 제공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7126472B2 (ko)
EP (1) EP1647134A4 (ko)
JP (1) JP2007534189A (ko)
KR (1) KR20060052862A (ko)
CN (1) CN1849810B (ko)
CA (1) CA2533257C (ko)
GB (1) GB0601169D0 (ko)
WO (1) WO20050112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15B1 (ko) * 2013-12-20 2015-06-10 주식회사 크레디프 심신장애자 감시 및 미아방지용 장치, 미아인지용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심신장애자 감시 및 미아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2111B2 (en) * 2003-12-30 2007-05-0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etermining location
US20050219044A1 (en) * 2004-03-16 2005-10-06 Science Traveller International Inc Emergency, contingency and incid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586902B2 (en) 2004-05-10 2009-09-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ssociating local telephone numbers with emergency phone calls in a packet switched telephone system
DE102005006037A1 (de) * 2005-02-08 2006-08-10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Betreuung benötigender Personen
US8520069B2 (en) * 2005-09-16 2013-08-27 Digital Ally, Inc. Vehicle-mounted video system with distributed processing
US7916853B2 (en) * 2005-12-19 2011-03-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calendar based routings of communications
US20070191025A1 (en) * 2006-02-13 2007-08-16 Gemini Technologies Global Ltd. Locating device and system
JP5051120B2 (ja) * 2006-02-22 2012-10-1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監視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監視方法
US10049077B2 (en) * 2006-06-30 2018-08-14 Intel Corporation Handheld device for elderly people
US7773975B2 (en) * 2006-07-28 2010-08-10 West Corporation Providing an indication of network capabilities to a user for special number calls
US8331899B2 (en) * 2006-10-02 2012-12-1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act list
US7554439B2 (en) * 2006-10-11 2009-06-30 Lookout Portable Security Remote monitor system with radio dispatch
CN101606379A (zh) * 2007-01-10 2009-12-16 卡米洛·里科尔迪 移动紧急报警系统
ES2384480T3 (es) 2007-01-19 2012-07-05 Vodafone Group Plc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proporcionar respuestas automáticas a un gran número de mensajes entrantes
WO2009033228A1 (en) * 2007-09-14 2009-03-19 Red Button Technologies Pty Ltd Communications device, system and method
US8301630B2 (en) * 2007-12-20 2012-10-30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Handling, management and creation of ice contacts
US20100016746A1 (en) * 2008-07-15 2010-01-21 Hampton David R Personal alerting device for use with diagnostic device
EP2151188A1 (en) * 2008-08-04 2010-02-10 IDT Technology Limited Blood pressure measurement and reminder system
US8503972B2 (en) 2008-10-30 2013-08-06 Digital Ally, Inc. Multi-functional remote monitoring system
WO2011000060A1 (en) * 2009-07-03 2011-01-06 Raymond Francis Datodi Radio activated danger warning system
US8963707B2 (en) * 2009-08-27 2015-02-24 Douglas Bevel Alert and verification system
US8812065B2 (en) 2010-06-07 2014-08-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loc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in a vehicle based on signal strength
DE102010030309A1 (de) 2010-06-21 2011-1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einer energieverbrauchsoptimierten Route
US8600008B2 (en) 2010-06-30 2013-12-03 Mark Kra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emergency contact party line
US9111430B2 (en) 2010-06-30 2015-08-18 Mark Kraus Security system for a building
US10163074B2 (en) 2010-07-07 2018-1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and events
US20110225105A1 (en) * 2010-10-21 2011-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for trip planning
US8738574B2 (en) 2010-12-20 2014-05-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 wireless device data maintenance
US8335494B2 (en) 2010-12-30 2012-1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visioning of callback reminders on a vehicle-based computing system
US20110224852A1 (en) * 2011-01-06 2011-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 for selectively charging a vehicle
US8849499B2 (en) * 2011-01-06 2014-09-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 vehicle's energy source
US8406938B2 (en) 2011-05-19 2013-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operator assistance for one or more user commands in a vehicle
US20130041552A1 (en) 2011-08-11 2013-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ower Usage
US9612797B2 (en) 2011-08-25 2017-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to exchange occupant information
US8907776B2 (en) 2011-10-05 2014-1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o not disturb message delivery
WO2013112412A1 (en) * 2012-01-24 2013-08-01 Secure Couture, Llc System for initiating an emergency communications using a wireless peripheral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US8849742B2 (en) 2012-01-24 2014-09-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ging state alerts
US8896435B2 (en) * 2012-04-03 2014-11-25 Thomas Philip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onitoring with flexible operator control
US20140070939A1 (en) * 2012-09-12 2014-03-13 Michael Halverson Interactive wireless life safety communications system
US10272848B2 (en) 2012-09-28 2019-04-30 Digital Ally, Inc. Mobi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9019431B2 (en) 2012-09-28 2015-04-28 Digital Ally, Inc. Portab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11694797B2 (en) 2012-10-30 2023-07-04 Neil S. Davey Virtual healthcare communication platform
US9432806B2 (en) * 2012-12-04 2016-08-30 Ebay Inc. Dynamic geofence based on members within
US8682529B1 (en) 2013-01-07 2014-03-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embedded object handling
US9789788B2 (en) 2013-01-18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imary driver verification
US9462545B2 (en) 2013-03-14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ttery saver utilizing a sleep and vacation strategy
US9066298B2 (en) 2013-03-15 2015-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lert strategy between modules
US10764542B2 (en) 2014-12-15 2020-09-01 Yardarm Technologies, Inc. Camera activation in response to firearm activity
US9958228B2 (en) 2013-04-01 2018-05-01 Yardarm Technologies, Inc. Telematics sensors and camera activation in connection with firearm activity
US9159371B2 (en) 2013-08-14 2015-10-13 Digital Ally, Inc. Forensic video recording with presence detection
US9253452B2 (en) 2013-08-14 2016-02-02 Digital Ally, Inc.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data recording devices
US10075681B2 (en) 2013-08-14 2018-09-11 Digital Ally, Inc. Dual lens camera unit
US10390732B2 (en) 2013-08-14 2019-08-27 Digital Ally, Inc. Breath analyz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enticating, preserving, and presenting breath analysis data
EP2851833B1 (en) * 2013-09-20 2017-07-12 Open Text S.A. Application Gateway Architecture with Multi-Level Security Policy and Rule Promulgations
US10116697B2 (en) 2013-09-20 2018-10-30 Open Text Sa Ulc System and method for geofencing
WO2015040074A1 (en) * 2013-09-20 2015-03-26 Ultravex Trading Llc Person and propert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9361090B2 (en) 2014-01-24 2016-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of software implementation between a vehicle and mobile device
US20150319168A1 (en) 2014-04-30 2015-11-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users based on biometric data
US9542567B2 (en) 2014-04-30 2017-01-10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media guidance application operations based on biometric data
US10643457B2 (en) 2014-10-17 2020-05-05 Alert Media, Inc. Event-driven safety notification based on automated incident monitoring
AU2015336085B2 (en) 2014-10-20 2018-08-30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control
CN104618590B (zh) * 2015-01-22 2017-02-0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求助的方法及装置
US9734690B2 (en) 2015-04-15 2017-08-15 Nortek Security & Control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 monitoring and fall detection
US9841259B2 (en) 2015-05-26 2017-12-12 Digital Ally, Inc. Wirelessly conducted electronic weapon
US10068460B2 (en) 2015-06-04 2018-09-04 ESCO Technologies, LLC Interactive media device
US10013883B2 (en) 2015-06-22 2018-07-03 Digital Ally, Inc. Tracking and analysis of drivers within a fleet of vehicles
US10192277B2 (en) 2015-07-14 2019-01-29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CN105096512A (zh) * 2015-09-24 2015-11-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gsm短信技术的烟雾传感报警系统及其运行方法
US9648481B2 (en) * 2015-09-29 2017-05-09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Calling a response provider based on detec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US11593075B2 (en) 2015-11-03 2023-02-28 Open Text Sa Ulc Streamlined fast and efficient application building and custom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04474B2 (en) 2016-02-05 2021-01-26 Digital Ally, Inc. Comprehensive video collection and storage
US11388037B2 (en) 2016-02-25 2022-07-12 Open Text Sa U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anaged services
US10521675B2 (en) 2016-09-19 2019-12-31 Digital Ally, Inc. Systems and methods of legibly capturing vehicle markings
CN106355834A (zh) * 2016-11-04 2017-01-25 遵义师范学院 一种便于联系老年人家属的通讯系统
US10911725B2 (en) 2017-03-09 2021-02-02 Digital Ally, Inc. System for automatically triggering a recording
JP2018182672A (ja) * 2017-04-20 2018-11-15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緊急連絡システム
US11024137B2 (en) 2018-08-08 2021-06-01 Digital Ally, Inc. Remote video triggering and tagging
US11736892B2 (en) 2019-03-26 2023-08-22 Motorola Solutions, Inc. Coordinating task zones at a public safety incident scene
US11950017B2 (en) 2022-05-17 2024-04-02 Digital Ally, Inc. Redundant mobile video recording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1930A (en) * 1989-02-08 1992-02-25 Lifeline Systems, Inc. Enhancement of a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5210784A (en) * 1991-06-28 1993-05-11 Lifeline Systems, Inc. Adaptive speakerphone system
US5808564A (en) * 1992-02-06 1998-09-15 Simms Security Corp. Personal security system with remote activation
JP3392166B2 (ja) * 1993-01-08 2003-03-31 アツミ電氣株式会社 防犯警報システム
US5535204A (en) 1993-01-08 1996-07-09 Multi-Tech Systems, Inc. Ringdown and ringback signalling for a computer-based multifunction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US5416695A (en) * 1993-03-09 1995-05-16 Metripl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of emergency medical situations
US5554993A (en) * 1994-01-04 1996-09-10 Panasonic Technologies, Inc. Global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US5461365A (en) * 1994-10-27 1995-10-24 Schlager; Dan Multi-hazard alarm system using selectable power-level transmission and localization
US6072396A (en) * 1994-12-30 2000-06-06 Advanced Business Science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electronic monitoring and tracking of individuals
US5629678A (en) * 1995-01-10 1997-05-13 Paul A. Gargano Personal tracking and recovery system
JP3392564B2 (ja) * 1995-02-27 2003-03-31 三洋電機株式会社 単板式カラービデオカメラ
US5815678A (en) * 1995-07-14 1998-09-29 Adap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s bus
AU7396096A (en) * 1995-10-09 1997-04-30 Precision Tracking, Inc. Improved gps receivers and garments containing gps receivers and methods for using these gps receivers
US5852408A (en) * 1995-10-16 1998-12-22 Christiansen; Steven Aagard Medication dispensing and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US6049269A (en) * 1996-04-03 2000-04-11 Telectronics, Inc. Wide area wireless system for access into vehicles and fleets for control, security, messaging, reporting and tracking
US5838237A (en) * 1996-05-22 1998-11-17 Revell; Graeme Charles Personal alarm device
US6014080A (en) * 1998-10-28 2000-01-11 Pro Tech Monitoring, Inc. Body worn active and passive tracking device
US6405049B2 (en) * 1997-08-05 2002-06-11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data terminal and cradle
US6664922B1 (en) * 1997-08-28 2003-12-16 At Road, Inc. Method for distributing location-relevant information using a network
JPH1188545A (ja) * 1997-09-05 1999-03-30 Sekisui Chem Co Ltd 警報システム
US6512456B1 (en) * 1997-09-10 2003-01-28 John E Taylor, Jr. Mobile medical monitoring device
US6369705B1 (en) * 1997-12-04 2002-04-09 Thom Kennedy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US6504908B1 (en) * 1998-03-19 2003-01-07 Lifeline Systems, Inc. Reminder phone
US6272131B1 (en) * 1998-06-11 2001-08-07 Synchrodyne Networks, Inc. Integrated data packet network using a common time reference
US6535743B1 (en) * 1998-07-29 2003-03-18 Minorplanet Systems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ion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0101748A (ja) * 1998-09-21 2000-04-07 Hitachi Hometec Ltd 自動通報装置
US6671351B2 (en) * 1998-10-21 2003-12-30 Royal Thoughts, L.L.C. Assisted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263280B1 (en) * 1998-11-24 2001-07-17 Ralph J. Stingone, Jr. Global locating and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6201856B1 (en) * 1998-12-15 2001-03-13 Ameritech Corporation Emergency telephone call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6606556B2 (en) * 1999-03-31 2003-08-12 C2 Global Technologies, Inc.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US6611516B1 (en) * 1999-06-21 2003-08-26 Nokia Telecommunications Oyj Short message service support over a packet-switched telephony network
EP1071268B1 (en) 1999-07-21 2006-09-20 Lucent Technologies Inc. Telecommunication system
US6965868B1 (en) * 1999-08-03 2005-11-15 Michael David Bednarek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commerce, including sales agent assisted commerce, in a networked economy
US6262666B1 (en) 1999-08-11 2001-07-17 Rudolph V. Lodich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dividuals to maintain a trail of their well being and whereabouts
US6529500B1 (en) * 1999-08-26 2003-03-04 Verizon Laboratories Inc. Unified messaging notification
JP2001119499A (ja) * 1999-10-21 2001-04-27 Hitachi Hometec Ltd 自動通報装置
US6363247B1 (en) * 1999-10-28 2002-03-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 handset-based emergency audible beacon
US20060233346A1 (en) * 1999-11-16 2006-10-19 Knowlag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izing performance interventions
US6574480B1 (en) * 1999-12-10 2003-06-03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emergency paging
US6515985B2 (en) * 2000-02-08 2003-02-04 Airslide Systems Ltd. Convergence of telephone signaling, voice and data over a packet-switched network
US6388612B1 (en) * 2000-03-26 2002-05-14 Timothy J Neher Global cellular position tracking device
US6868074B1 (en) * 2000-03-30 2005-03-15 Mci, Inc. Mobile data device and method of locating mobile data device
WO2001076276A2 (en) 2000-04-05 2001-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tegrating cellular, packet-switched, and voice-over-ip infrastructures
US6389291B1 (en) * 2000-08-14 2002-05-14 Sirf Technology Multi-mode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use with wireless networks
US6807564B1 (en) * 2000-06-02 2004-10-1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Panic button IP device
US6559620B2 (en) * 2001-03-21 2003-05-06 Digital Ang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utilizing a rechargeable battery
KR20020029996A (ko) 2000-10-16 2002-04-22 임재용 인터넷을 이용한 비상연락 시스템
US7099332B2 (en) * 2000-12-29 2006-08-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mergency calling with a VoIP device in a VLAN environment
JP4258125B2 (ja) * 2001-02-06 2009-04-30 オムロン株式会社 下水道管理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管理装置
JP2002247202A (ja) * 2001-02-14 2002-08-30 Nec Corp 加入者位置通報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3735537B2 (ja) * 2001-03-09 2006-01-18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方法
US6678357B2 (en) 2001-09-26 2004-01-13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Internet protocol (IP) emergency connections (ITEC) telephony
JP2003109160A (ja) * 2001-09-29 2003-04-11 Toshiba Corp 緊急救助支援システム、緊急救助機能付き携帯端末、緊急救助情報受信無線端末及び緊急救助支援方法
US20030179743A1 (en) * 2001-12-18 2003-09-25 Bosik Barry S. Call management method responsive to network presence
JP4103383B2 (ja) * 2001-12-21 2008-06-18 オムロン株式会社 車両情報取得方法、車載センサ装置、および車両監視システム
JP3828431B2 (ja) * 2002-01-31 2006-10-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20040203563A1 (en) * 2002-06-07 2004-10-14 Menard Raymond J. Emergency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763226B1 (en) * 2002-07-31 2004-07-13 Computer Science Central, Inc. Multifunctional world wide walkie talkie, a tri-frequency cellular-satellite wireless instant messenger computer and network for establishing global wireless volp quality of service (qos) communications, unified messaging, and video conferencing via the internet
US7212506B2 (en) * 2002-11-18 2007-05-01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the secure distribution of priority call access codes to provide guarantee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priority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15B1 (ko) * 2013-12-20 2015-06-10 주식회사 크레디프 심신장애자 감시 및 미아방지용 장치, 미아인지용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심신장애자 감시 및 미아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601169D0 (en) 2006-03-01
US20060290490A1 (en) 2006-12-28
JP2007534189A (ja) 2007-11-22
CN1849810A (zh) 2006-10-18
CA2533257C (en) 2014-01-21
EP1647134A4 (en) 2008-12-17
US8098153B2 (en) 2012-01-17
US7126472B2 (en) 2006-10-24
CA2533257A1 (en) 2005-02-03
EP1647134A1 (en) 2006-04-19
US20080063152A1 (en) 2008-03-13
CN1849810B (zh) 2011-05-18
US20050031102A1 (en) 2005-02-10
WO2005011251A1 (en) 2005-02-03
WO2005011251A8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2862A (ko) 사용자에 사용자 장치 이송에 대한 비상응답 제공시스템 및방법
US8600008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emergency contact party line
US9954995B2 (en) End to end design of personal emergency service utilizing M2M cellular, XMPP/XML technologies on mobile help button
US7251470B2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with personal emergency device
US8510394B2 (en)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IP-based emergency services
US6807564B1 (en) Panic button IP device
US7920679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persons of an emergency telephone call
US5850344A (en) Medication dispensing and timing system
US6728341B1 (en)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tationary and mobile persons
US88563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nd use of communications devices through a central server
US5657236A (en) Medication dispensing and timing system utilizing patient communicator with internal clock
US20060284732A1 (en) Heart monitor with remote alarm capability
US8837683B2 (en) Critical health information profile an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27975A1 (en) Multiple identification access codes for a single data file
US20110111736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Emergency Tracking and Health Monitoring
JPH1071187A (ja) 患者の看護装置及び看護システム
US20110003601A1 (en) Communications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1595712A (zh) 使用无线通信阻止紧急呼叫错误使用的系统和方法
WO2005101276A2 (en) Medical tele-monitoring system
US20030091159A1 (en) Multiple identification access codes for a single data file
US20220223027A1 (en) Contingent ai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n emergency contact
FI111117B (fi) Kuittauspalvelu
JP200633085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用メールサーバ
JP2006148476A (ja) 識別情報供給装置及び安否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8047992A (ja) 携帯端末、サーバ、端末アクセス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