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587A -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과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 및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과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 및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587A
KR20060052587A KR1020050107541A KR20050107541A KR20060052587A KR 20060052587 A KR20060052587 A KR 20060052587A KR 1020050107541 A KR1020050107541 A KR 1020050107541A KR 20050107541 A KR20050107541 A KR 20050107541A KR 20060052587 A KR20060052587 A KR 20060052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ed
audio
video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714B1 (ko
Inventor
데트레프 타이흐너
헤르만 린크
Original Assignee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5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떨어진 재생 장치에서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에 관한 것이다.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인코딩되고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통신 링크를 거쳐 재생 장치로 전송된다.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수신된 비디오 정보를 디코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 자동차, 버스, 열차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되며, 이동하는 동안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신호 강도는 끊임없이 가변하며 신호 왜곡이 빈번히 발생한다. 인식된 이미지 및 오디오 품질에서 신호 왜곡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 왜곡을 검출하자마자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재생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압축 사전저장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삽입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코딩 처리는 불충분한 신호 강도를 갖는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도 불구하고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과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 및 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MOBILE TELEVISION RECEIVER}
도 1은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설치 포인트의 도식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요도.
도 2는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의 더 상세한 예를 도시하는 상세도.
본 발명은 재생 장치에서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생을 위해 재생 장치에 텔레비전 신호를 제공하는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점점 자동차에 내장 텔레비전 수신기를 장착하고 있다. 각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일련의 무선국(radio station)에 의해 지상파 방송된다. 방송 프로그램 이 보도되는 지역 내의 각 위치에서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무선국에 의해 수신될 수 있도록 무선국이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텔레비전 수신기는 인접한 무선국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채널 선택은 운전자의 프로그램 선택과 가장 가까운 무선국에 관한 차량의 위치에 의존한다. 현재 사용되는 무선 망은 각 무선국이 개별적인 채널, 즉 개별적인 무선 주파수에서 상기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작동한다. 이동하는 동안,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의 현재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급격히 페이딩(fading)되는 경향이 있고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더 좋은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즉 더 높은 신호 강도를 갖는 무선국을 끊임없이 선택할 필요가 있다.
지상파 방송 텔레비전 신호는 현재 오랫동안 확립된 텔레비전 표준을 기초로 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주로 전송된다. 그러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은 PAL, SECAM 및 NTSC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PAL(Phase Alternate Lines) 표준은 서유럽 및 아시아에서 사용된다. SECAM(Sequentiel Couleur Avec Memoire) 표준은 PAL을 기초로 발전하여 왔고, 예를 들어 프랑스, 동유럽, 북아프리카에서 사용한다. PAL 및 SECAM은 초당 25프레임의 프레임 속도에서 625라인의 동일한 해상도를 사용한다.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표준은 북아메리카 및 일본에서 사용한다. NTSC는 PAL 및 SECAM과 비교하여 더 낮은 라인(525 라인)의 해상도를 가지며 초당 30프레임의 프레임 속도에서 프레임을 표시한다.
텔레비전 수신기가 수신한 텔레비전 신호는 합성 비디오 신호(composite video signal, CVBS)로 먼저 디코딩된다. 통상적으로 합성 비디오 신호는 YUV 또는 RGB 신호로 변환되어 직접 표시장치에 인가된다.
텔레비전 신호는 또한 최근 생겨난 DVB 또는 DAB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방송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는 자동차, 버스 및 열차에서 사용된다. 모든 이러한 차량에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분리되고, 떨어진 위치에 탑재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전송하는 것은 텔레비전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특정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오늘날 자동차는 점점 자동차 내에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또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텔레비전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디오 신호를 전송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는 IEEE 1394 표준 또는 MOST 표준 중 하나에 따라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MOST 통신 네트워크는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비디오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전송 방법에 적응하여야 한다. 이를 목적으로 비디오 정보를 표준화된 디지털 비디오 인코딩 기술에 따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디지털 코딩 표준은 예를 들어 MPEG-x 표준(MPEG-1, MPEG-2, MPEG-4 및 MPEG-7)과 H.26x 표준(H.261, H.262, H.263 및 H.264)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MPEG-2 표준은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다수의 구성요소 부분의 형식(format)을 정의한다. 그러한 프로그램들은 MPEG-2로 인코딩된 비디오, 오디오, 제어 데이터 등을 구비한다. MPEG-2는 단일 동시 전송 비트 스트림(single synchronous transmission bit stream)으로 구성요소들의 다중화를 더 정의한다. MPEG 비트 스트림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이다. MPEG 오디오, 비디오 또는 데이터 인코더에 의해 출력된 각 기본 스트림은 신호의 단일 유형을 포함한다. 각 기본 스트림은 "패킷화 기본 스트림(Packetised Elementary Stream, PES)" 패킷의 스트림으로 축적된다. PES 패킷은 고정된 또는 다양한 크기의 블록(block)이 될 수 있다. PES는 "기본 흐름 클록 참조(elementary stream clock reference, ESCR)"와 같은 동기화 정보를 포함한다.
MPEG 수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의 발생을 위하여, 각 PES 패킷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을 결합하는 범용 방법을 형성하는 고정크기의 수송 패킷으로 쪼개진다. 상기 수송 스트림은 188 바이트 패킷의 시퀀스를 구비한다. 각 패킷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 및 4 바이트 헤더를 포함한다.
4 바이트 헤더는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PID)를 포함하며, 그 패킷 식별자는 상기 패킷이 속하고 수신기가 TS 패킷을 각각 구별하도록 하는 상기 스트림을 유일하게 식별한다. 각 패킷은 상기 패킷 헤더에서 PID 값의 설정(setting)을 통해 PES와 결합한다. 어떤 PID 값은 미리 정하여지고 제어 정보의 다수의 스트림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알려지지 않은 PID를 갖는 패킷은 수신기에 의해 조용히 무시된다. 0x1FFF의 특정 PID 값은 남겨두어 그 패킷이 널(null) 패킷임을 표시 하고 수신기에 의해 무시된다. 그러한 널 패킷은 상기 식별된 TS 비트 속도(bit rate)를 유지하기 위해 삽입된다.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MPEG TS 형식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재생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MPEG TS는 다른 PID 값에 의해 구별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패킷보다는 비디오 패킷이 더 전송된다.
재생 장치는 상기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확성기를 갖는다. 재생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텔레비전 신호는 상기 디지털 인코딩 표준 중 하나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는 MPEG TS 형식으로 인코딩되고, 재생 장치("헤드 유닛(head units)"이라고도 칭함)로 전송된다. 각 재생 장치는 수신한 인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또는 확성기에 재생하는 디코딩 유닛과 함께 제공된다.
자동차가 이동하는 동안,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신호 강도는 가변되고 급격히 페이딩되는 경향이 있다. 신호 강도의 그러한 변화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오디오 신호에서의 왜곡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복구된 이미지 및 오디오 데이터에서 외란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더 좋은 신호 강도를 갖는 텔레비전 신호를 계속해서 찾아 전환하여야 한다.
다른 무선국 사이의 변동 및 전환의 발생은 계속해서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를 방해하고 재생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에서의 왜곡의 원인이 된다. 각각의 상기 왜곡의 길이에 따라, 디지털 인코딩 처리 및 재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방해된다. 그러한 방해는 상기 인코더의 인코딩 동작을 멈추게 하는 원인이 된다. 결과적으로, 재생 장치에 수신된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시퀀스는 갑자기 멈추게 되고, 상기 신호 왜곡이 제거되고 인코딩된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의 전송이 다시 시작될 때 초기화 처리에 소모되는 시간이 재생 장치의 디코더에서 필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요구되는 재동기화 처리로 인해 왜곡의 실제 기간이 연장되는 것보다 더 오랫동안 재생된 텔레비전 신호의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디코딩 및 재생 처리를 재시작하는데 필요한 모든 단계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비디오 신호 표시의 방해의 길이는 연장된다. 예를 들어, 각 디코딩 유닛에는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데이터 언더플로우(underflow)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를 막는 버퍼가 함께 제공된다. 비디오 버퍼는 비디오 데이터 레벨이 미리 정하여진 버퍼 레벨 값 주변에서 유지되도록 작동한다. 그 결과, 버퍼가 미리 정하여진 버퍼 레벨로 다시 도달할 때까지 재생 장치에서의 새로운 비디오 정보를 디코딩 및 재생하는 것을 시작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표시의 방해 기간은 그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인지된 화질에서 신호 왜곡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의 접근 방식은 디스플레이측, 즉 재생 장치 내에서 오차 은폐(error concealment) 수단을 제공하 는 것이다. 재생 장치가 어떤 새로운 인코딩된 비디오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때, 미리 정하여진 비디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적용하여 그 기간을 메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하기 위해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추가 메모리에 의해 이것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비디오 정보는 일정한 색 또는 그 속에 "신호 없음"과 같은 문장을 갖는 일정한 배경이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비디오 신호 방해를 막기 위한 다른 종래의 접근 방식은 마지막으로 완전하게 수신되고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을 고정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동일한 것을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 기술의 고찰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및 상기 재생된 신호의 향상된 품질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독립 청구항에서 설명된 내용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재생 장치에서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 링크를 통해 인코딩된 형식으로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인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재생 장치에서 디코딩하는 단계 및 디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메모리에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신호 왜곡에 대하여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서 왜곡을 검출하자마자, 상기 메모리로부터, 인코딩되어 전송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로, 상기 저장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하는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인코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서 왜곡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및 삽입 수단(insertion means)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 수단은 검출 유닛에 의해 신호 왜곡을 검출하자마자 상기 저장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된 상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로 삽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접근 방식은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왜곡을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적 노력이 서로 떨어진 위치에 수신기 및 재생 장치(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나누어진 시스템에서 재생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수신기로 이동한다. 통상적으로, 왜곡이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서 발생하면 비디오 정보를 재생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작용, 즉 인코딩, 전송 및 디코딩 처리가 갑자기 실패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재생 장치로 전송되는 인코딩된 데이터의 연속적인 스트림을 유지한다. 그 결과, 시청자에 대한 그러한 신호 왜곡의 효과가 최소화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오디오 및/비디오 정보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송이 회복될 때, 통신 링크의 재동기화 또는 디스플레이에서의 디코딩 유닛의 재동기화 모두 필요하지 않다. 그래서 인식된 화질/음질에서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왜곡의 효과는 최소로 감소한다.
본 발명이 다수의 디스플레이에 대해 하나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오차 은폐를 가능하게 함에 따라, 종래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던 하드웨어적 노력 및 처리 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저렴한 재생 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 유닛을 사용하여 향상된 화질/음질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하는 동안,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서로 다른 방송 채널 사이에서 급격히 변동되고 빈번히 교환된다. 자동차, 버스 및 열차에 본 발명을 사용하여, 열악한 수신 상태의 끊임없는 발생에도 불구하고 고화질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지상 방송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위성을 경유한 또는 DVD 플레이어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 방송 수신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모든 텔레비전 신호 전송 경로는 오류 경향이 있고 인식된 화질 및 음질에 대한 오류의 영향은 본 발명을 사용하여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비디오 프레임은 MPEG 코딩 표준 시리즈와 같 은 공지된 국제 비디오 코딩 표준 중 하나에 따라 인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지털 코딩 표준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는 통신 링크를 통하여 디지털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함께 간단한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한 표준을 사용하면 기존의 재생 장치(보다 상세하게는 어떤 오차은폐 테크놀로지가 장치되지 않은 것)에 대한 상호운용성이 확실해진다. 자동차, 버스 또는 열차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를 장착할 때, 평범한 기존의 자동차가 화질 및 음질 향상의 이익을 볼 수 있다.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상기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인 PAL, SECAM, NTSC 중 하나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곧 나타날 디지털 전송 표준,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에 대하여 사용하여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재생 장치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보장될 수 없게 된 경우, 즉 연속적인 인코딩 절차가 방해된 경우 곧바로 사전저장된(pre-stored)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삽입한다.
비디오 왜곡에 대하여, 사전저장된 인코딩된 프레임은 재생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의 스트림으로 삽입된다. 텔레비전 신호 왜곡이 더 긴 기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이 반복적으로 삽입되어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처리를 유지한다. 충분한 신호 강도의 텔레비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곧바로, 반복적인 삽입이 중단되고 정규 인코딩 및 전 송 절차가 회복된다.
더 긴 텔레비전 신호 왜곡에 대처하기 위하여, 비디오 프레임의 시퀀스가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다.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통상적인 데이터 스트림, 바람직하게 MPEG TS에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간단한 방법으로 재생 장치에 제공된다.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재생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검출된 왜곡의 종류에 의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만약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왜곡이 검출되면,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만이 재생 장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삽입된다. 상응하는 방법으로, 만약 비디오 데이터에서 왜곡이 탐지된다면,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만이 상기 재생 장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의 오차은폐는 현재 왜곡의 종류에 적합하게 적응한다.
비디오 데이터는 MPEG TS 패킷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동기화 정보가 단지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 상기 패킷을 삽입할 때 적응되기 위하여 필요한 만큼 왜곡을 탐지하는 즉시 필요한 계산 노력은 최소화된다.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또한 MPEG TS 인코딩된 형식으로 저장되고 왜곡을 검출하는 즉시 TS로 삽입된다. 대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왜곡을 검출하는 즉시 MPEG TS 형식으로 실시간 인코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삽입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는 삽입된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로부터 독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의 시퀀스로 삽입된 비디오 데이터의 삽입은 왜곡의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좋다. 단지 다소 짧은 왜곡만이 더미(dummy) 데이터의 삽입을 시작하고, 중간 길이의 왜곡은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이 삽입을 시작하고, 반면에 더 길게 지속하는 왜곡은 비디오 프레임의 시퀀스를 삽입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오차은폐 처리는 왜곡의 심한 정도에 따라 좌우되도록 적응하여 설정된다.
대응하는 방법으로, 오디오 데이터의 삽입은 탐지된 왜곡의 길이를 기초하여 적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지 짧은 방해의 경우에만 더미 데이터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는 반면에, 더 긴 왜곡은 사전저장된 새로운 시퀀스의 삽입 또는 심지어 그것의 반복적인 삽입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대상 내용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첨부한 도면에 따른 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증이 되는 실시예는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하는 자동차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한 것처럼, 이동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텔레비전 시스템의 서로 다른 구성 요소가 자동차의 떨어진 위치에 분포되어 있다. 처리 장치는 안테나(3)에 근접한 곳인 자동차의 후면에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4, 5)는 자동차의 계기판 위에 탑재하거나 뒷좌석 승객을 위해 앞좌석에 또는 사이에 탑재된다.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신호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4, 5)로 전송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하나의 처리 하드웨어가 개별적인 승객 좌석에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해야하는 버스 또는 열차에서 발생한다. 상기 처리 유닛에 디스플레이 장치(4, 5)를 연결하는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관련 오디오와 함께 비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재생 장치는 "헤드 유닛(head unit)"으로 작동하고 디스플레이 화면 주위에 배열된 확성기로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와 달리, 확성기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떨어져 배열될 수 있다.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다.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시스템의 모든 구성 요소(10, 11, 13, 14)는 통신 링크(12)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전 수신기(10)는 통신 링크(12)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장치(14)로 전송하며 이 재생 장치는 그 위에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재생 장치에 결합한 확성기에 의해 재생된다.
통신 링크(12)는 자동차 안에 제공되는 다수의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유닛(10, 11, 13, 14)을 연결하기 위한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자동차에서 이미 이용 가능한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는 MOST 버스(MOST bus)이다. 텔레비전 수신기(10), 재생 장치(14) 그리고 다른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유닛(11, 13)은 MOST 버스(MOST bus)(12)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디오 데이터는 인코딩된 형식으로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10)로부터 상기 재생 장치(14)로 전송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비디오 코딩 표준들 중 하나에 관련하여 인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비디오 코딩 표준은 두 개의 국제 기관, 즉 국제 정보통신 연맹(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T) 및 국제 표준화 기구/국제 전자-기술 협정(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sation/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nvention, ISO/ICE)에 의해 표준화되어 왔다. ITU-T 코딩 표준(ITU-T Coding Standards)이 권장되고 ISO/ICE 표준이 MPEG-x로 표시되는 반면에 ITU-T 코딩 표준은 H.26x로 표시된다. MPEG-x 및 H.26x 비디오 코딩 시리즈는 공지된 비디오 코딩 표준인 H.261, H.262, H.263, H.264, MPEG-1, MPEG-2, MPEG-4 및 MPEG.7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디오 코딩 표준은 실시간 비디오 통신 애플리케이션용으로 개발되어 왔고 비디오 저장, 방송 및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을 해결한다. 텔레비전 수신기(10)로부터 재생 장치(14)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언급한 비디오 코딩 표준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다른 비디오 코딩 표준을 사용하여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또한 인코딩된 형식으로 텔레비전 수신기(1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이를 위해 오디오 데이터는 MPEG-2 표준에 관련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다중화된다. 재생 장치측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역 다중화되고 각각의 재생 수단 즉, 디스플레이 화면 및 확성기에서 개별적인 재생을 위해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10)의 구성은 도 3에서 도시한다. 전송 표 준 PAL, SECAM, NTSC 중 어떤 것으로 무선국에 의해 방송되어 텔레비전 신호는 자동차의 안테나(3)에 의해 수신되고 합성 비디오 신호(composite video signal, CVBS)(20)으로 복조 된다. 합성 비디오 신호(20)는 텔레비전 신호의 비디오 프레임(35)의 시퀀스를 인코딩 유닛(40)으로 공급하는 비디오 프로세서(30)에 인가된다. 본 명세서의 문장에서 "프레임" 및 "비디오 프레임"의 표현이 단지 순차 비디오 데이터 형식(format)에 제한되지 않고 비월주사(interlaced) 비디오 데이터 포맷의 "영역"을 또한 포함한다. 인코딩 유닛(40)은 비디오 프레임(35)의 시퀀스를 이미지 인코딩에 종속시키고 압축 비디오 데이터(45)의 스트림을 출력한다. 출력 포맷터(formatter)(50)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45)의 스트림을 상기 통신 링크(12)에 삽입한다. 상세하게, 출력 포맷터(50)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병렬 형식으로 수신하고 병렬-직렬 변환 후 동일한 것을 통신 링크(12)로 출력한다.
비록 본 발명이 주로 아날로그 전송 표준과의 접속에서 상기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또한 디지털 형식으로 전송될 것이라는 것을 안다. 보다 상세하게는, DVB 및 DAB 표준은 국제적으로 합의되어 왔고 미래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비디오 프로세서(30)는 추가로 수신된 비디오 신호(바람직하게 그로부터 복조된 합성 비디오 신호(20))를 감시하여 신호 왜곡의 발생을 검출한다. 만약 신호 왜곡이 인코딩 유닛(40)으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45)의 연속적이고 동기화된 전송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출되면, 비디오 프로세서(30)는 사전 저장된 압축 비디오 데이터(75)를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45)의 아직 존재하는 스 트림으로 삽입하기 시작한다. 삽입된 비디오 데이터(75)는 신호 왜곡의 발생으로 인해 없어진 비디오 정보를 대체한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30)로부터 메모리 제어기(60)로 삽입 명령(37)을 내리자마자 삽입 처리가 시작된다. 제어기(60)는 사전저장된 비디오 데이터가 판독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텔레비전 신호 왜곡의 경우에 삽입된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10)의 메모리(70)에 사전에 저장된다. 메모리(70)는 압축 형식으로 미리 정하여진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70)는 롬(ROM) 메모리 형식 또는 램(RAM) 메모리 형식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롬 메모리의 사용이 미리 정하여진 비디오 데이터를 오직 한번 저장하도록 하는 반면에, 재기록가능(re-writable) 메모리의 사용은 저장된 비디오 정보의 교환이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로 삽입되고 신호 왜곡의 경우 표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플래시 타입의 메모리는 메모리(70)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래시 메모리는 블록 단위의 메모리에서 소거되고 재프로그램될 수 있는, 끊임없이 작동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형이다.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소거할 수 있고 프로그램할 수 있는 리드-온리-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memory, EEPROM)의 변형이다. 플래시 메모리가 블록 크기에서 재기록될 수 있는 것처럼, 그것은 사전저장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의 갱신(update)을 용이하게 한다.
사전에 메모리(70)에 저장된 비디오 정보는 다른 종류의 "왜곡" 화면을 표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색의 빈 화면 또는 그 위에 겹쳐진, "신호없음(no signal)"과 같은 추가 텍스트를 갖는 화면이 텔레비전 신호 방해의 경우에 보인다. 메모리(70)에 저장된 프레임(또는 프레임의 시퀀스)은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조하는 동안 메모리에 영구히 기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미리 정하여진 시점,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리는 동안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가 켜질 때에, 메모리(70)의 사전저장된 비디오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그 메모리에 기록된다. 메모리(70)에 사전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또한 자동차를 정비하는 동안 공인 서비스 담당자 또는 운전자 자신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충분한 신호 강도의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삽입을 위해 메모리(70)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데이터는 압축된 형식으로 저장된다. 선택된 압축 형식(format)은 인코딩 유닛(40)에 의해 사용된 것에 대응한다. 만약 텔레비전 신호 왜곡이 검출되면, 제어기(60)는 사전저장된 비디오 정보가 메모리(70)로부터 판독되게 하고 출력 포맷터(50)를 경유하여 통신 링크(12)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관련한 텔레비전 수신기(10)의 더 상세한 구성은 도 4에서 도시한다. 그 안의 동일한 참조 번호가 대응하는 기능 블록을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메모리(70)로부터 통신 링크(12)로 삽입하기 위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메모리(70)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45)의 전송된 시퀀스로 비디오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의 적절한 동기화는 수송 스트림 스위치(transport stream switch)(80), 수송 스트림 검출기(transport stream detector)(90) 및 시간 보정 유닛(100)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어기(60)는 비디오 프로세서(30)로부터 왜곡 검출 신호(37)를 수신하자마자 사전저장된 비디오 데이터(75)의 삽입을 시작한다. 그에 관련하여, 인코더(40)의 인코딩 처리가 중단되고 사전저장된 비디오 데이터(75)의 판독이 시작된다. 판독된 비디오 데이터(75)는 시간 코드 보정에 적용되어 사전에 인코딩되고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45)에 새로운 비디오 데이터(75)를 시간적으로 동기화시킨다. 시간 보정 완료 후, 동기화된 비디오 정보(105)는 수송 스트림 스위치(80)에 적용된다. 수송 스트림 스위치(80)는 통신 링크(12)에서 삽입을 위하여 현재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45)와 사전저장되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105) 사이에서 전환한다.
비디오 데이터는 TS 패킷의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된 데이터를 수송 스트림으로 삽입하자마자, 패킷들은 재표시되어 수송 스트림에 동기화 정보를 적응시키고 식별된 TS 비트 속도를 유지한다.
삽입은 텔레비전 신호의 왜곡을 검출하자마자 시작된다. 만약 텔레비전 신호가 MPEG 인코딩된 형식에서 전송된다면 이것은 신호 강도, 복조 결과 또는 MPEG 디코딩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된 왜곡의 길이는 오차은폐와 같은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만약 짧은 길이의 왜곡이 검출되면, 단지 MPEG TS 널 패킷만이 수송 스트림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짧은 지속기간은 단지 몇 개의 TS 패킷만을 포함할 뿐이다. 더 긴 길이의 왜곡이 검출되자마자, 뮤트 프레임(mute frame)이 삽입된다. 그러한 프레임 데이터는 메모리로부터 획득되고 파란 화면 또는 검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한 길이의 왜곡은 단지 하나 또는 소수의 프레임을 유지한다. 더 긴 왜곡을 검출하자마자 사전저장된 비디오 시퀀스/음악 마디가 삽입된다.
비록 선택된 실시예가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와 텔레비전 신호의 비디오 신호 부분의 왜곡의 은폐를 기초하여 주로 설명되었지만, 오디오 신호 왜곡의 처리가 대응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이것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떨어진 재생 장치에서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에 관한 것이다.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인코딩되고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통신 링크를 거쳐 재생 장치로 전송된다.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수신된 비디오 정보를 디코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 자동차, 버스, 열차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되며, 이동하는 동안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신호 강도는 끊임없이 가변하고 신호 왜곡이 빈번히 발생한다. 인식된 이미지 및 오디오 품질에서 신호 왜곡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 왜곡을 검출하자마자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재생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압축 사전저장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삽입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코딩 처리는 불충분한 신호 강도를 갖는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도 불구하고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인코딩되고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통신 링크를 거쳐 재생 장치로 전송된다.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수신된 비디오 정보를 디코딩한다. 인식된 이미지 및 오디오 품질에서 신호 왜곡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 왜곡을 검출하자마자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재생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압축 사전저장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삽입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코딩 처리는 불충분한 신호 강도를 갖는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도 불구하고 유지될 수 있다.

Claims (46)

  1. 복수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상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된 형식으로 통신 링크(12)를 거쳐 재생 장치(14)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재생장치(14)에서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장치(14)에 의하여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 장치(14)에서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메모리(70)에 저장하는 단계와;
    신호 왜곡에 대해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서 왜곡의 검출시, 상기 메모리(70)로부터의 상기 저장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될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로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는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10)에 의하여 방송되고 수신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지상으로 또는 위성을 경유하여 방송되거나 또는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는 압축 형식으로 메모리(70)에 저장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고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MPEG-x 또는 H.26x 비디오 코딩 표준 중 하나에 따라 인코딩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인코딩된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70)는 플래시 메모리인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왜곡의 검출시 상기 재생 장치로만 전송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서 왜곡의 검출시 상기 재생 장치로만 전송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데이터는 무음 또는 한 소절의 음악을 나타내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대응하는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은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보다 더 긴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비디오 데이터는 MPEG TS 패킷의 형식으로 저장되고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MPEG TS의 형식으로 상기 재생 장치(14)로 전송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는 MPEG TS 패킷 형식으로 실시간 인코딩되고 재생 장치(14)로 전송하기 위해 MPEG TS로 삽입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데이터의 동기화 정보는 현재 전송 스트림 데이터의 동기화 정보에 적응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는 검출된 왜곡의 길이에 따라 더미 데이터,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 및 비디오 프레임의 저장된 시퀀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재생 장치(14)로 전송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MPEG TS 형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되고 상기 더미 데이터는 MPEG 널 패킷 형식으로 상기 MPEG TS에 삽입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8. 제1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상기 데이터 형식은 PAL, SECAM 또는 NTSC 표준화된 텔레비전 신호 형식 중 하나인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반복의 횟수는 상기 왜곡된 텔레비전 신호 부분의 길이에 의존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70)는 비디오 프레임의 미리 정하여진 시퀀스를 저장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14)는 디스플레이 및 확성기를 포함하는 것인 텔레비전 신호의 재생 방법.
  23.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4)로 전송하는 인코딩 유닛(40)을 구비하여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링크(12)를 거쳐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 를 재생 장치(14)로 공급하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70)와;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서 왜곡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60)과;
    상기 검출 유닛(60)에 의해 신호 왜곡을 검출하자마자 상기 저장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로 삽입하는 삽입 유닛(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인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지상으로 또는 위성을 경유하여 방송되거나 또는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하여 적응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는 압축된 형식으로 메모리(70)에 저장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고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MPEG-x 또는 H.26x 비디오 코딩 표준 중 하나에 따라 인코딩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인코딩된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70)는 플래시 메모리인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0. 제23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만약 왜곡이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검출되면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직 상기 재생 장치(14)로 전송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1. 제23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만약 왜곡이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서 검출되면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오직 상기 재생 장치(14)로 전송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오디오 데이터는 무음 또는 한 소절의 음악을 나타내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3.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대응하는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4.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은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보다 더 긴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5. 제23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비디오 데이터는 MPEG TS 패킷 형식으로 저장되고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MPEG TS 형식으로 상기 재생 장치(14)로 전송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유닛은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MPEG TS 패킷 형식으로 실시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MPEG TS로 삽입하여 재생 장치(14)로 전송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7. 제2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저장된 데이터의 동기화 정보를 현재 전송 스트림 데이터의 동기화 정보에 적응시키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8. 제2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검출된 왜곡의 길이에 따라 더미 데이터,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 및 비디오 프레임의 저장된 시퀀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재생 장치(14)로 전송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MPEG TS의 형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되고 상기 더미 데이터는 MPEG 널 패킷의 형식으로 상기 MPEG TS에 삽입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40. 제23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의 상기 데이터 형식은 PAL, SECAM 또는 NTSC 표준화된 텔레비전 신호 형식 중 하나인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41. 제23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80)은 상기 재생 장치(14)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70)로부터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삽입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42. 제41항에 있어서, 반복의 횟수는 상기 검출 유닛(60)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왜곡된 텔레비전 신호 부분의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43. 제23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70)는 비디오 프 레임의 미리 정하여진 시퀀스를 저장하는 것인 텔레비전 수신기.
  44. 제23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10)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14)는 디스플레이 및 확성기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재생 장치(14)에 연결되어 비디오 프레임의 상기 시퀀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적용하는 통신 링크(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링크(12)는 MOST 버스 표준에 따르는 것인 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1020050107541A 2004-11-11 2005-11-10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과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 및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101248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26829A EP1657928A1 (en) 2004-11-11 2004-11-11 Mobile television receiver
EP04026829.4 2004-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587A true KR20060052587A (ko) 2006-05-19
KR101248714B1 KR101248714B1 (ko) 2013-03-28

Family

ID=3492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541A KR101248714B1 (ko) 2004-11-11 2005-11-10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과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 및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46435B2 (ko)
EP (1) EP1657928A1 (ko)
JP (1) JP4891595B2 (ko)
KR (1) KR101248714B1 (ko)
CN (1) CN1791227B (ko)
CA (1) CA25219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48B1 (ko) * 2006-01-11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VoIP 화상 통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19986B1 (ko) 2006-05-19 2008-04-0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모스트 망을 이용한 헤드업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TE463124T1 (de) 2006-05-24 2010-04-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edergeben eines mobil-videoprogramms
EP1916598A1 (fr) * 2006-10-23 2008-04-30 Nagravision S.A. Méthode de chargement et de gestion d'une application dans un équipement mobile
KR101352517B1 (ko) * 2007-06-08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유알엘 접속 방법
KR20090004061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방송 신호 처리방법
DE102009022183A1 (de) * 2009-05-20 2010-11-25 Delphi Delco Electronics Europe Gmbh Video-Anlage,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US8695054B2 (en) * 2010-09-29 2014-04-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gesting heterogeneous video content to provide a unified video provisioning service
US8466965B2 (en) * 2010-11-18 2013-06-18 Winegard Company Wall plate digital television antenna signal meter and method
CN103167335A (zh) * 2011-12-15 2013-06-19 英顺源(上海)科技有限公司 用于移动装置的电视信号播放系统及其方法
EP2680599A1 (en) * 2012-06-29 2014-01-01 Thomson Licensing Provision of a personalized media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2988A (en) * 1979-10-05 1981-05-12 Sony Corp Processing unit of digital video signal
US6337947B1 (en) * 1998-03-24 2002-01-08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ed editing of video and/or audio signals
US7631338B2 (en) * 2000-02-02 2009-12-08 Wink Communications, Inc. Interactive content delivery methods and apparatus
JP2002359833A (ja) * 2001-03-27 2002-12-13 Hitachi Ltd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通信端末
JP2002359603A (ja) * 2001-05-31 2002-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トリーム変換装置
US6975836B2 (en) * 2001-06-28 2005-12-13 Kabushiki Kaisha Toshiba Data broadcasting system, receiving terminal devic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JP2004064120A (ja) * 2002-07-24 2004-02-26 Nippon Hoso Kyokai <Nhk> デ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
JP3772830B2 (ja) * 2002-09-27 2006-05-10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体用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140505A (ja) * 2002-10-16 2004-05-13 Sharp Corp 放送番組の提供方法および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
JP2004140506A (ja) * 2002-10-16 2004-05-13 Sharp Corp 放送番組の提供方法および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
KR100547136B1 (ko) * 2003-08-05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예비 컨텐츠를 부호화/복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1227A (zh) 2006-06-21
US7646435B2 (en) 2010-01-12
US20060195870A1 (en) 2006-08-31
JP2006141009A (ja) 2006-06-01
EP1657928A1 (en) 2006-05-17
CA2521981A1 (en) 2006-05-11
CN1791227B (zh) 2010-08-18
JP4891595B2 (ja) 2012-03-07
KR101248714B1 (ko) 2013-03-28
CA2521981C (en)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714B1 (ko) 텔레비전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과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 및자동차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JP4615958B2 (ja) デジタル放送の送出装置、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JP4894858B2 (ja) 受信機
KR100954659B1 (ko) 로버스트 모드 스태거캐스팅의 사용자 제어형 전환 모드들
JP4632825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US20060039482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storing broadcast data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data
JP2007158492A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120019719A1 (e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1695134B (zh) 一种弱信号环境下提高终端播放性能的终端、系统及方法
JP4562560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JP4578297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JP4583212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CA2723861A1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s thereof
KR100324741B1 (ko) 디지털방송수신기의영상획득/재생방법
KR101229896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JP4557764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JP4606214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JP497005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0246165A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KR2008003674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장치의 방송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