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237A - 정보처리장치, 휴대단말장치, 서버컴퓨터, 데이터보존방법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휴대단말장치, 서버컴퓨터, 데이터보존방법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237A
KR20060052237A KR1020050101564A KR20050101564A KR20060052237A KR 20060052237 A KR20060052237 A KR 20060052237A KR 1020050101564 A KR1020050101564 A KR 1020050101564A KR 20050101564 A KR20050101564 A KR 20050101564A KR 20060052237 A KR20060052237 A KR 20060052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folder
serv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준이치 후쿠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이치 후쿠다 filed Critical 준이치 후쿠다
Publication of KR2006005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간단한 조작으로 서버에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그때에 서버에 있어서의 보존지를 유저가 인식하면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과 서버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저장고의 작성요구를 받아 들이는 요구 접수부(14)와, 이 요구를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12)와, 이것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수신부(13)와, 수신한 프로그램 등을 인스톨하는 인스톨부(15)를 구비한다. 또 이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화상을 취득하는 동화상 취득부(16)와, 동화상이 보존된 포스트를 특정하는 포스트특정부(17)와, 휴대단말의 포스트와 서버의 저장고와의 대응정보를 관리하는 대응정보 관리부(18)가 실현되고, 송신부(12)는 지정된 포스트에 대응하는 서버의 저장고로 동화상을 송신한다. 또, 동화상의 송신후에 포스트내를 정리하는 동화상 정리부(19)도 실현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휴대단말장치, 서버컴퓨터, 데이터보존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SERVER COMPUTER, DATA ST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컴퓨터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휴대단말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의 일례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장고 작성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장고 관리 DB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화상 송신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대응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장고 관리 DB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화상 송신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장고 관리 DB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휴대단말에 있어서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장고의 사용등록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단말 11, 21 : 제어부
12, 23 : 송신부 13, 22 : 수신부
14 : 요구 접수부 15 : 인스톨부
16 : 동화상 취득부 17 : 포스트 특정부
18 : 대응정보 관리부 19 : 동화상 정리부
20 : 서버 24 : 저장고 작성부
25 : 저장고 관리 DB 26 : 코맨드 작성부
27 : 프로그램 작성부 28 : 동화상 보존부
29 : 저장고 관리부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데이터를 다른 장치에 송신 가능한 정보처리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동화상, 정지화상을 포함한다)을 촬영 가능한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주식회사 NTT 도코모의「FOMA(등록상표)」 등이다. 이와 같은 화상 촬영기능부착 휴대단말을 사용하면, 비디오 카메라나 스 틸 카메라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이어도 간단하게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 가령 카메라를 소지하고 있었다 하여도 그것을 지참할 정도도 아닌 일상의 평범한 한 장면을 마음 편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화상 촬영기능부착 휴대단말의 하드웨어로서의 보급에 의하여, 화상을 촬영한다는 행위는 일반적인 것이 되고 있다. 그러나 촬영한 화상의 보존, 정리, 열람, 재생 등, 그 화상으로 실제로 즐긴다는 행위가 일반적으로 침투되어 있는가라고 한다면, 반드시 그렇다고 잘라 말할 수 없는 면이 있다.
왜냐하면, 휴대단말에서도 기능의 향상에 의하여 비교적 용량이 큰 화상(고화질의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으나, 휴대단말의 한정된 기억용량 중에서는, 그와 같은 화상을 장기에 걸쳐 보존하여 둘 수 없기 때문이다. 또, 휴대단말은 휴대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낙하나 물에 젖음에 의한 파손의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화상을 촬영하여 휴대단말에 보존하여 두더라도 그것이 열람/재생 불가능하게 될 위험성은 항상 존재하여, 화상을 안심하고 휴대단말에 보존하여 둘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도록, 휴대단말로 촬영한 화상을 일단 퍼스널컴퓨터(이하,「PC」라 한다)나 메모리 카드로 옮겨 보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그와 같은 조작은 번잡하고 어려우며, 메모리 카드는 작아서 취급이 번거롭다. 따라서 휴대단말에서의 화상의 촬영조작은 남녀노소 누구나가 행할 수 있다 하여도, PC나 메모리 카드로의 화상의 이동조작까지 행할 수 있는 것은 그 중의 극히 일부의 사람에한정되는 것이 현상이다.
또, 동일한 문제를 감안하여 휴대단말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에 업로드하는 서비스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원하는 송신지에 전자메일로 송신하는 기술도 존재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338998호 공보(제 5, 6 페이지, 도 8 ~ 11)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4-165847호 공보(제 5 ~ 7페이지, 도 5 ~ 7)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휴대단말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일단 PC로 옮기고 나서 서버 컴퓨터에 업로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처음부터 PC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사람의 해결책은 될 수 없고, PC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 있어서도, 상기한 PC로 화상을 이동하여 보존하는 경우와 같은 번잡함이 있어, 유효한 해결책은 될 수 없다.
또, 특허문헌 1에서는 신(scene)번호를 화상 데이터에 부가하여 서버 컴퓨터에 업로드하고, 서버 컴퓨터에서는 신번호에 대응하는 저장영역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화상 데이터를 업로드할 때, 통상 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신번호는 유저로부터는 보이지 않아, 화상 데이터가 서버 컴퓨터상의 어느 저장영역에 저장되려 하고 있는지가 유저에 있어서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문제는 화상 데이터 이외의 일반 데이터에 대해서도 발생할 염려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촬영화상을 송신지 폴더에 일단 저장한 후, 선택 버튼을 길게 눌러 조작함으로써 송신지 폴더내의 화상 데이터를 전자메일에 첨부하여 서버에 송신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2에는 촬영화상의 보존과 송신이라는 2개의 작업공정이 존재한다.
그런데 2개의 작업공정을 마련함으로써, 먼저 조작이 번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에 있어서는, 화상의 촬영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었다 하여도, 그 후에 보존, 송신이라는 2단계의 조작순서를 밟지 않으면 안되어, 이것은 컴퓨터에 대한 장애를 높게 하는 큰 요인이 되어 버린다.
또, 2개의 작업공정을 마련함으로써, 촬영화상을 보존하여도 그것이 서버에 송신되어 있지 않은 시기가 반드시 존재하게 된다. 가령 이와 같은 시기에 갑작스런 강우, 분실 등의 사고가 있으면, 화상 데이터를 잃을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정보처리장치로 촬영/작성한 데이터를 간단한 조작으로 서버 컴퓨터에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그때에 서버 컴퓨터에 있어서의 보존지를 유저가 인식하면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처리장치에의 데이터의 보존 및 이것에 의한 서버 컴퓨터에의 데이터의 보존을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하에,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의 소정의 폴더에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만으로, 송신을 위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 그 폴더에 대응지어진 다른 장치의 보존지로 데이터가 송신, 보존되도록 구성하였다.
이것을 정보처리장치측에서 파악한 경우,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는, 보존대상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미리 자기장치내에 작성된 폴더 중에서 그 데이터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특정수단과, 이 특정수단에 의하여 특정된 폴더에의 데이터의 보존요구에 따라 그 폴더에 미리 대응지어진 다른 장치내의 보존지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이 된다.
또, 이것을 다른 장치(서버 컴퓨터)측에서 파악한 경우, 본 발명의 서버 컴퓨터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정보처리장치내의 폴더 중에서 상기 데이터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특정수단과, 이 특정수단에 의하여 특정된 폴더에 미리 대응지어진 보존지에 그 데이터를 보존하는 보존수단을 구비한 것이 된다.
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데이터보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처리를 행하는 서버 컴퓨터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서버 컴퓨터는, 첫째로 다른 장치내에 폴더를 작성하는 제 1 작성수단과, 그 폴더가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데이터의 보존지를 작성하는 제 2 작성수단과, 제 1 작성수단에 의하여 작성된 폴더와, 제 2 작성수단에 의하여 작성된 보존지와의 대응정보를 작성하는 제 3 작성수단을 구비한 것이 된다. 또, 둘째로 다른 장치내의 폴더와 그 폴더가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데이터의 보존지와의 대응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수단과, 그 보존지의 사용 개시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사용 개시 요구의 수신에 따라 대응정보에 그 보존지의 사용이 개시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장치로부터 제 2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여 보존하는 데이터 보존방법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의 데이터 보존방법은, 제 1 장치내의 폴더와 제 2 장치내의 보존지와의 대응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 제 1 장치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제 1 장치내의 폴더 중에서 데이터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폴더에의 데이터의 보존 요구에 따라 대응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그 폴더에 대응하는 제 2 장치내의 보존지를 구하는 단계와, 구해진 보존지에 제 2 장치가 데이터를 보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정의 단계를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미리 자기장치내에 작성된 폴더 중에서 데이터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폴더에의 데이터의 보존 요구에 따라, 그 폴더에 미리 대응지어진 다른 장치내의 보존지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여기서 기록매체에는,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여러가지 매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디스크, CD-ROM, 메모리카드 등이 예시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 실시형태」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컴퓨터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시스템은 휴대단말(101, 102, …, 10n)과, 서버 컴퓨터(이하, 「서버」라 한다)(20)로 이루어진다.
휴대단말(101, 102, …, 10n)은, 동화상을 촬영하여 송신 가능한 휴대단말(예를 들면, 휴대전화나 통신기능부착 디지털 카메라)이다. 그 하드웨어 구성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과 동일하여도 되고, CPU, 메모리, 통신제어장치 등을 구비한 것이 상정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휴대단말(101, 102, …, 10n) 중에서 1대를 대표시켜, 휴대단말(10)이라는 것으로 한다. 또한 휴대단말(1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서버(20)는, 휴대단말(101, 102, …, 10n)로부터 무선통신을 거쳐 엑세스 가능한 컴퓨터이다. 그 하드웨어 구성은, 일반적인 컴퓨터와 동일하여도 좋고, CPU, 주기억장치, 보조 기억장치, 통신제어장치 등을 구비한 것이 상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0)에 있어서 동화상을 촬영하여, 몇개인가의 폴더 중에서 그 동화상의 보존장소로서 하나의 폴더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폴더에 동화상을 보존하는 것만으로 그 폴더에 대응지어진 서버(20)의 보존지에 동화상을 송신하여 보존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서버(20)의 보존지에 대응지어진 폴더는, 그것을 선택하여 동화상을 보존하도록 지시하면, 그 동화상이 원격지의 서버(20)에 보내지기 때문에 우편 포스트에 비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와 같은 폴더를, 특별히「포스트」라 부르기로 한다. 즉, 「포스트」란, 동화상을 보존함으로써 그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는 것을 전제로 휴대단말(10)에 작성된 폴더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보존지는, 동화상을 저장하는 창고라는 뜻으로부터, 본 명세서에서는 「저장고」라 부르기로 한다.
도 2에 동화상을 촬영하여 서버(20)에 보존하기까지의 휴대단말(10)에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a)는, 피사체에 휴대단말(10)의 렌즈를 단지 향하고 있는 시점에 있어서의 화면으로, 아직 녹화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화면 하부에 나타낸 「STOP」의 표시가 이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녹화를 개시하면, 화면은 도 2(b)와 같이 된다. 이때, 화면 하부의「STOP」의 표시는「REC」의 표시로 변환되어 있다.
그후, 녹화를 정지하면, 화면은 도 2(c)와 같이 된다. 이때 화면 하부의「REC」의 표시는「STOP」의 표시로 변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존」을 지시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d)와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 즉, 동화상의 보존장소로 지정 가능한 폴더의 일람이 표시된다. 도 2(d)의 예에서는 「MY MOVIE」,「애완견」,「아이」,「친구」가 폴더로서 표시되어 있다. 단, 「MY MOVIE」는 휴대단말(10)에 로컬로 보존하기 위하여 설치된 폴더라고 한다. 유저가 서버(20)에의 보존을 희망하지 않고, 로컬 보존만을 행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편, 「애완견」,「아이」,「친구」는 포스트이다. 즉,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화상을 보존하는 지시를 행하면, 그 동화상은 대응하는 서버(20)의 보존지로 보내지게 된다.
또한, 여기서의 폴더의 선택은, 선택하고 싶은 폴더에 커서를 위치부여함으로써 선택을 행한다. 또 도 2(d)에 있어서, 「보존」버튼은 선택한 폴더에 동화상을 보존하기 위한 버튼으로, 「취소」 버튼은, 동화상의 보존을 일단 취소하고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버튼이다.
유저가 「보존」을 지시하면, 도 2(e)와 같이 보존중을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지고, 동화상의 보존이 완료되면 도 2(f)와 같이 그 취지가 표시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화상의 보존을 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10) 및 서버(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휴대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10)은 제어부(11)와, 송신부(12)와, 수신부(13)와, 요구 접수부(14)와, 인스톨부(15)와, 동화상 취득부(16)와, 포스트 특정부(17)와, 대응정보 관리부(18)와, 동화상 정리부(19)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휴대단말(1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부이다. 송신부(12)는, 서버(20)에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부이며 송신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수신부(13)는, 서버(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부이다. 요구 접수부(14)는, 서버(20)에 저장고를 작성하는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기능부이고, 인스톨부(15)는, 서버(20)로부터 수신한 프로그램 등을 인스톨하는 기능부이다. 또 동화상 취득부(16)는, 보존된 동화상을 취득하는 기능부이며, 취득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포스트 특정부(17)는, 그 동화상이 보존된 포스트를 특정하는 기능부이며, 특정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대응정보 관리부(18)는, 휴대단말(10)의 포스트와 서버(20)의 저장고와의 대응정보를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또 동화상 정리부(19)는, 동화상의 송신후에 포스트내를 정리하는 기능부이며, 소정의 정보를 보존하는 보존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기능부는, 하드웨어에 의해서만도 실현 가능하나, 하드웨어 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는, 휴대단말(10)의 도시 생략한 CPU가, 예를 들면 도시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기능부가 실현된다. 또, 특히 도면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싼 제어부(11)의 일부, 동화상 취득부(16), 포스트 특정부(17), 대응정보 관리부(18), 동화상 정리부(19)의 각 기능부에 대해서는 인스톨부(15)에 의하여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휴대단말(10)의 도시 생략한 CPU가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4는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버(20)는 제어부(21)와, 수신부(22)와, 송신부(23)와, 저장고 작성부(24)와, 저장고 관리 데이터베이스(이하, 「저장고 관리 DB」라 한다)(25)와, 코맨드 작성부(26)와, 프로그램 작성부(27)와, 동화상 보존부(28)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서버(2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부이다. 수신부(22) 는, 휴대단말(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부이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휴대단말(10)로 지정된 포스트를 특정하는 특정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송신부(23)는 휴대단말(10)에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부이다. 저장고 작성부(24)는, 휴대단말(10)로부터 수신한 요구에 따라 저장고 및 포스트와 저장고와의 대응정보를 작성하는 기능부이며, 저장고 작성수단(제 2 작성수단) 및 대응정보 작성수단(제 3 작성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저장고 관리 DB(25)는, 저장고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코맨드 작성부(26)는, 휴대단말(10)에 송신하는 코맨드를 작성하는 기능부이며 포스트 작성수단(제 1 작성수단)이나 메뉴 작성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프로그램 작성부(27)는, 휴대단말(10)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기능부이며 프로그램 작성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 동화상 보존부(28)는 휴대단말(10)로부터 수신한 동화상을 저장고에 보존함과 동시에 저장고 관리 DB(25)의 이용상황을 갱신하는 기능부이며, 보존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기능부는, 하드웨어에 의해서만도 실현 가능하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는, 서버(20)의 도시 생략한 CPU가 예를 들면 도시 생략한 보조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기능부가 실현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서 휴대단말(10)의 포스트 및 서버(20)의 대응하는 저장고를 작성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유저는 휴대단말(10)에 대하여 포스트의 작성을 요구한다. 그렇게 하면 요구 접수부(14)는 그 요구를 접수하여 제어부(11)에 주고 받는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11)는 그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의 작성을 요구하는 신호(이하, 「저장고 작성요구」라 한다)를 작성하여 송신부(12)에 주고 받는다. 그리고 송신부(12)가 서버(20)에 대하여 저장고 작성요구를 송신한다(단계 101).
서버(20)에서는 수신부(22)가, 이 저장고 작성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1)에 주고 받는다(단계 102).
이에 의하여 제어부(21)는, 저장고 작성부(24)에 대하여 저장고의 작성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저장고 작성부(24)가 저장고를 작성한다(단계 103).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지정한 용량의 영역을 저장고로서 확보하고, 그 영역에 엑세스하기 위한 저장고 ID를 생성한다.
여기서 저장고 ID란, 저장고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유저 사이에서 중복되는 일이 없도록, 휴대단말(10)을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단말 ID와 유저가 지정한 저장고명을 조합시키는 등으로 하여 작성된다. 예를 들면 단말「T0001」의 유저가 「개」라는 이름의 저장고의 작성을 요구하였다고 한다. 그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고 ID「T0001_개」를 작성한다. 또, 단말「T0001」의 유저가「아이」라는 이름의 저장고를 작성하면 저장고 ID는「T0001_아이」가 되고, 「친구」라는 이름의 저장고를 작성하면, 저장고 ID는「T0001_친구」가 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버(20)가 제공하는 저장고는, 모두 동일한 디렉토리 하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디렉토리의 1계층 밑의 디렉토 리를 나타내는 데 저장고 ID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서버(20)가 제공하는 저장고가 「www. aaa. co. jp/memorybank」 하에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단말「T0001」의 유저가 작성한「개」라는 저장고의 어드레스는 「www. aaa. co. jp/ memorybank /T0001_개」가 된다. 또 단말「T0001」의 유저가 작성한 「아이」라는 저장고의 어드레스는 「www. aaa. co. jp/memorybank/T0001_아이」가 되고, 「친구」라는 저장고의 어드레스는 「www. aaa. co. jp/memorybank/T0001_친구」가 된다.
또, 저장고 작성부(24)는 단말 ID와 저장고 ID와의 대응을 저장고 관리 DB(25)에 등록하여 처리가 완료되면, 그 취지를 제어부(21)에 보고한다(단계 104).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저장고 관리 DB(25)에 등록되는 정보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장고 관리 DB(25)에는 단말 ID, 저장고 ID 이외에도 과금방식, 사용허가, 이용상황이라는 정보가 저장된다. 과금방식, 사용허가의 각 정보는, 저장고 작성요구를 송신할 때에 휴대단말(10)로부터 서버(20)에 송신되어, 저장고 관리 DB(25)에 등록된다. 한편, 이용상황은 이 시점에서는 동화상의 저장이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하, 각 항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말 I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가 소지하는 휴대단말(10)을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10)의 제조시에 부여된 기기 ID나, 휴대단말(10)의 전화번호 등, 서버(20)를 운영하는 기업에서 편리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저장고 I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고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규칙으로 작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과금방식은, 저장고에 동화상을 저장한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요금에 관한 과금방식이다. 예를 들면 동화상의 크기와 저장일수에 의거하여 과금액을 결정하는 종량제의 과금방식이나, 동화상의 크기와 저장일수에 상관없이, 예를 들면 월액을 고정으로 하는 정액제의 과금방식이 있다. 또한 과금방식은 휴대단말(10)마다 등록하여도 좋고, 저장고마다 등록하여도 좋다.
사용허가는 각 저장고를 타인이 사용하는 것을 그 작성자가 허가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저장고「T0001_개」, 「T0001_아이」,「T0001_친구」에 대해서는 「본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T0001」의 유저만이 이들 저장고를 사용 가능한 설정으로 되어 있다. 한편,「T0002_가족」에 대해서는 「가족」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T0002」의 유저의 가족인 단말「T0003」,「T0004」의 유저도 이 저장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유저가 가족인지의 관련부여는 따로 행하여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다시 도 5로 되돌아가서 동작의 설명을 계속한다.
제어부(21)는, 코맨드 작성부(26)에 대하여 휴대단말(10)에 송신하는 코맨드를 작성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코맨드 작성부(26)는, 코맨드를 작성하여 제어부(21)에 주고 받는다(단계 105).
구체적으로는 코맨드 작성부(26)는, 다음 2개의 코맨드를 작성한다.
하나는, 휴대단말(10)에 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코맨드(이하,「포스트 작성 코맨드」라 한다)이다. 예를 들면 유저가 「개」라는 명칭의 저장고를 작성하였다 고 하면, 코맨드 작성부(26)는, 휴대단말(10)에 「개」라는 명칭의 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코맨드를 작성한다. 또 유저가 「아이」라는 명칭의 저장고를 작성하였다 고 하면, 코맨드 작성부(26)는 휴대단말(10)에 「아이」라는 명칭의 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코맨드를 작성한다. 「친구」라는 명칭의 저장고를 작성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하나는, 휴대단말(10)로 동화상을 보존할 때에 표시되는 메뉴를 갱신하기 위한 코맨드(이하,「메뉴갱신 코맨드」라 한다)이다. 예를 들면 포스트가 작성되어 있지 않은 휴대단말(10)로 동화상을 보존할 때에 표시되는 메뉴에는 「MY MOVIE」만이 선택 브랜치로서 표시된다고 한다. 이 경우, 유저가 「개」라는 명칭의 저장고를 작성하였다고 하면 코맨드 작성부(26)는, 메뉴에 포스트「개」를 선택 브랜치로서 포함시키기 위한 코맨드를 작성한다. 또 유저가 「아이」라는 명칭의 저장고를 작성하였다고 하면 코맨드 작성부(26)는, 메뉴에 포스트 「아이」를 선택 브랜치로서 포함시키기 위한 코맨드를 작성한다. 「친구」라는 명칭의 저장고를 작성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는 유저가 「개」,「아이」,「친구」라는 명칭의 저장고를 동시에 작성하였다고 하면 코맨드 작성부(26)는, 메뉴에 포스트 「개」,「아이」,「친구」를 동시에 선택 브랜치로서 포함시키기 위한 코맨드를 작성한다.
또, 제어부(21)는 프로그램 작성부(27)에 대하여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하,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이라 한다)을 작성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작성부(27)는,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제어 부(21)에 주고 받는다(단계 106).
여기서,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이란, 휴대단말(10)에 작성된 포스트에 동화상이 보존된 것을 인식하여, 그 동화상을 서버(20)상의 대응하는 저장고에 송신하는 프로그램이다. 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휴대단말(10)의 포스트와 서버(20)의 저장고와의 대응정보가 포함될 필요가 있다.
그후, 제어부(21)는 포스트작성 코맨드, 메뉴갱신 코맨드,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을 송신부(23)에 주고 받아 송신부(23)가 그것들을 휴대단말(10)에 송신한다 (단계 107).
휴대단말(10)에서는 수신부(13)가 포스트작성 코맨드, 메뉴갱신 코맨드,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제어부(11)에 주고 받는다(단계 108).
그리고 제어부(11)는 인스톨부(15)에 대하여 포스트작성 코맨드, 메뉴갱신 코맨드의 발행 및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의 인스톨을 지시한다. 이에 의하여 인스톨부(15)는 코맨드를 발행하여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을 인스톨한다(단계 109). 구체적으로는 포스트작성 코맨드를 발행함으로써 포스트를 작성한다. 또 메뉴갱신 코맨드를 발행함으로써 동화상을 보존할 때에 표시되는 메뉴를 갱신한다. 또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동화상 취득부(16), 포스트 특정부(17), 대응정보 관리부(18), 동화상 정리부(19)의 각 기능부를 휴대단말(10)에 설치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의 저장고「T0002_가족」와 같은 복수의 휴대단말(10)로부터 송신된 동화상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저장고의 존재를 허용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가족이라는 하나의 저장고를 작성하여 두고 그 저장고를 가족 전원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6의 예에서는 저장고「T0002_가족」는, 단말「T0002」의 유저가 작성한 저장고인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단말「T0003」,「T0004」의 유저는, 저장고「T0002_가족」의 작성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고, 이미 작성된 「T0002_가족」의 사용을 요구함으로써, 동화상을 보존하기 위한 저장고를 확보한다. 이 경우도, 도 5에 나타낸 것과 대략 동일한 동작이 행하여지나, 단계에 따라서는 저장고를 작성하는 경우와 약간 다른 처리를 행하는 것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101에서는 작성이 끝난 저장고(예를 들면「T0002_가족」)의 사용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저장고 사용요구)를 송신하고, 단계 102에서는 저장고 사용요구를 수신한다. 또 단계 103에서는 저장고를 작성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을 요구받은 저장고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도 6의 저장고 관리 DB(25)의 그 저장고의 사용허가의 설정이 「본인」 이외의 「가족」등 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판정의 결과, 사용이 허가되는 경우는 단계 104에 있어서 저장고 관리 DB(25)에 단말 ID와 저장고 ID와 과금방식과의 대응을 등록한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면서 휴대단말(10)로 포스트에 동화상을 보존함으로써, 서버(20)에 동화상을 송신하여 보존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유저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동화상을 촬영하여 특정한 포스트에의 보존을 요구한다. 이에 의하여 동화상 취득부(16)가 특정한 포스트에 보존된 동화상을 취득하여 제어부(11)에 주고 받는다(단계 201).
또, 포스트 특정부(17)가, 동화상이 보존된 포스트를 특정하여 제어부(11)에 통지한다(단계 202).
이에 의하여 제어부(11)는 대응정보 관리부(18)에 대하여 특정된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 ID를 구하여 돌려보내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대응정보 관리부(18)는 단계 106에서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에 짜 넣어진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저장고 ID를 구하여 제어부(11)로 돌려보낸다(단계 203).
여기서, 대응정보 관리부(18)에서 관리되는 대응정보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정보에는 휴대단말(10)에 있어서의 포스트명과, 서버(20)에 있어서의 저장고 ID와, 휴대단말(10)로부터 서버(20)에 동화상을 송신후에 로컬 보존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로컬보존」이 포함된다.
포스트명은 제일 먼저 서버(20)에 작성한 저장고의 명칭과 같은 것이 정의되어 있으나, 그후 유저가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서버(20)에 저장고를 작성하였을 때는「개」라는 명칭으로 하고 있었으나, 도 8에서는 「애완견」으로 변경하고 있다.
저장고 ID는, 서버(20)에 저장고를 작성하였을 때에 작성된 ID 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고는 모두 동일한 디렉토리 하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 저장고 ID로부터 저장고의 어드레스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가 제공하는 저장고가「www. aaa. co. jp/memorybank」하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면, 저장고「T0001_개」의 어드레스는 「www. aaa. co. jp/memorybank/T0001_개」가 된다. 또 저장고「T0001_아이」의 어드레스는 「www. aaa. co. jp/memorybank/T0001_아이」가 되고, 저장고「T0001_친구」의 어드레스는 「www. aaa. co. jp/memorybank/T0001_ 친구」가 된다.
로컬 보존은,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의 인스톨 후에 유저가 설정하는 항목이다. 로컬 보존에 「YES」를 설정하면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여 보존이 성공한 경우에도 동화상은 휴대단말(10)에 보존된 채가 된다. 한편, 로컬 보존에「NO」를 설정하면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여 보존이 성공한 경우에, 동화상은 휴대단말(10)로부터 삭제된다.
다시 도 7로 되돌아가 동작의 설명을 계속한다.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 ID의 반환을 받은 제어부(11)는, 송신부(12)에 대하여 단계 201에서 취득한 동화상을 그 저장고에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송신부(12)는 동화상을 서버(20)의 그 저장고에 대하여 송신한다(단계 204).
서버(20)에서는 수신부(22)가 동화상을 수신하여, 그 동화상과 그 동화상을 보존해야 할 저장고의 어드레스를 제어부(21)에 주고 받는다(단계 205).
이에 의하여 제어부(21)는 동화상 보존부(28)에 대하여 동화상을 지정된 저장고에 보존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 보존부(28)는 동화상을 지정된 저장고에 보존한다(단계 206).
또, 동화상 보존부(28)는, 저장고 관리 DB(25)의 이용상황을 갱신하여 처리가 완료되면 그 취지를 보고한다(단계 207). 여기서 이용상황으로서는 예를 들면 몇 메가바이트의 동화상이 몇일에 걸쳐 저장고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파악 가능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21)는 송신부(23)에 대하여 동화상의 보존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동화상 보존 완료 보고」라 한다)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송신부(23)는 동화상 보존 완료 보고를 휴대단말(10)에 송신한다(단계 208).
휴대단말(10)에서는 수신부(13)가 동화상 보존 완료 보고를 수신하여 제어부(11)에 주고 받는다(단계 209).
그리고 제어부(11)는, 동화상 정리부(19)에 대하여 송신이 끝난 동화상을 정리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 정리부(19)는, 동화상을 정리한다(단계 210). 또한 제어부(11)는 동화상의 정리를 지시할 때에 대응정보 관리부(18)로부터 취득한 로컬 보존할지의 여부의 설정정보를 동화상 정리부(19)에 주고 받는다. 동화상 정리부(19)는, 이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로컬 보존이 「YES」이면 동화상의 정리는 행하지 않고, 로컬 보존이 「NO」이면 다음과 같은 정리를 행한다.
즉, 서버(20)에의 보존이 성공한 동화상은, 필요하면 서버(20)에 엑세스하여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10)에도 보존하여 두는 것은 기억영역의 헛된 사용이 된다. 그 반면, 송신이 끝난 동화상을 완전히 삭제하여 버리는 방법은, 자기가 어떠한 동화상을 송신하였는지를 휴대단말(10)로 확인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송신이 끝난 동화상 그것 자체는 삭제하고, 그 대신에 동화상을 송신한 흔적이 되는 정보(이하, 「흔적정보」라 한다)를 남기도록 하고 있다. 흔적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동화상의 개시 시에 있어서의 화상의 섬네일이나, 동화상의 촬영일시 등의 정보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09에서 일정시간내에 동화상 보존 완료 보고를 수신하지 않은 경 우는, 휴대단말(10)을 서버(20)에 엑세스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동화상을 일단 포스트에 보존하고, 일정시간 경과후에 다시 송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단말(10)로 촬영한 동화상이 서버(20)의 저장고에 보존되게 된다.
그후, 유저는 휴대단말(10)로부터 서버(20)에 엑세스하여 동화상을 재생할 수있다. 이와 같은 동화상의 재생은, 포스트에 남겨진 흔적정보 중에서 재생하고 싶은 동화상의 흔적정보를 선택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 유저는 휴대단말(10)로부터 서버(20)에 엑세스하여 동화상을 삭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화상의 삭제도, 포스트에 남겨진 흔적정보 중에서 삭제하고 싶은 동화상의 흔적정보를 선택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한편, PC 등으로부터 인터넷을 거쳐 서버(20)에 엑세스하여 동화상의 재생, 삭제를 행할 수도 있다. 단, PC 등으로부터 엑세스하는 경우는, 미리 휴대단말(10)로 서버(20)에 엑세스하여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발행받아 그것들을 사용하여 엑세스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ID와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대응지은 테이블이 서버(20)내에 작성된다. 그리고 입력된 유저 ID와 패스워드의 조합이 등록된 것과 일치하면, 유저 ID에 대응하는 단말 ID가 돌려보내진다. 그리고 PC 등의 화면상에는 단말 ID에 대응하는 저장고만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단말「T0001」의 유저가 엑세스하였다고 하면, 저장고로서「개」,「아이」,「친구」가 표시된다. 이에 의하여 표시된 저장고에 저장된 동화상의 재생, 삭제는, 원칙으로 서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단, 도 6의 저장고「T0002_가족」와 같은 경우는, 저장고에 저장된 동화상의 재생 및 삭제는, 등록한 본인밖에 행할 수 없게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204에서 동화상을 송신할 때에, 그 동화상을 송신하는 단말의 ID를 아울러 송신한다. 그리고 저장고에 동화상을 저장할 때에, 그 단말 ID를 동화상의 부수정보로서 기억하여 둔다. 이에 의하여 재생, 삭제를 요구하는 유저의 ID로부터 구한 단말 ID와, 동화상의 부수정보로서 기억된 단말 ID가 일치한 경우에만 재생, 삭제를 허가하도록 한다.
이상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의 동작은 종료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0)의 포스트와 서버(20)의 저장고와의 대응정보를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에 짜 넣어 휴대단말(10)에 송신하였다. 이에 의하여 휴대단말(10)의 포스트로부터 서버(20)의 저장고를 구하는 처리를 휴대단말(10)로 행하 도록 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0)의 포스트와 서버(20)의 저장고와의 대응정보를 서버(20)에 기억하여 두고, 휴대단말(10)의 포스트로부터 서버(20)의 저장고를 구하는 처리를 서버(20)에서 행하도록 구성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10) 및 서버(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휴대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10)의 구성과 비교하면, 대응정보 관리부(18)를 가지 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다르다. 대응정보의 관리는, 서버(20)에서 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서버(20)의 대략적인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단말(10)의 포스트 및 서버(20)의 대응하는 저장고를 작성할 때의 동작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대략 동일하다.
단, 단계 104에서 저장고 관리 DB(25)에 등록하는 정보가,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여기서 등록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도 10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장고 관리 DB(25)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장고 관리 DB(25)에 대하여 포스트명이 추가되어 있다. 또한 포스트명은, 휴대단말(10)로 유저가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는 저장고 관리 DB(25)의 포스트명에 변경이 반영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106에서 작성하는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에, 대응정보를 짜 넣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이란, 휴대단말(10)에 작성된 포스트에 동화상이 보존된 것을 인식하여, 그 동화상을 서버(20)에 포스트명과 함께 송신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휴대단말(10)로 포스트에 동화상을 보존함으로써, 서버(20)에 동화상을 송신하여 보존할 때의 동작을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은, 도 7을 약간 변경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단말(10)은, 도 7의 단계 203과 같은 저장고의 특정을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계 204에서는 동화상을 서버(20)의 특정한 저장고에 송신하는 것은 아니고, 포스트명과 함께 서버(20)에 송신한다.
한편, 서버(20)는 단계 211에서 저장고 관리 DB(25)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포스트명에 대응하는 저장고를 특정한다.
이상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의 설명을 종료한다.
(제 3 실시형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0)의 구입후의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휴대단말(10)에 있어서의 포스트의 작성, 메뉴의 갱신,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의 인스톨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0)의 구입시에 이미 휴대단말(10)에 포스트, 메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 이 시점에서는 포스트에는 명칭은 붙어 있지 않고, 메뉴상의 선택 브랜치도 공란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는 휴대단말(10)의 구입후, 서버(20)에 접속하여 이것들의 설정을 행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10) 및 서버(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휴대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10)의 구성과 비교하면, 인스톨부(15)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다르다. 포스트, 메뉴, 프로그램은 제일 처음부터 휴대단말(10)에 존재하고 있어,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도 13은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20)의 구성과 비교하면, 저장고 작성부(24) 대신에 저장고 관 리부(29)가 설치되고, 코맨드 작성부(26) 및 프로그램 작성부(27)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점에서 다르다. 전자는 저장고는 이미 작성되어 있어 새롭게 작성하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고, 후자는 포스트, 메뉴, 프로그램은 제일 처음부터 휴대단말(10)에 존재하고 있어 서버(20)가 작성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에는, 구입시에 이미 포스트가 마련되어 있다. 단, 이 시점에서는 포스트에는 이름은 붙여져 있지 않고, 예를 들면 일련 번호로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서버(20)에는 휴대단말(10)로부터 송신된 동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고의 ID가 이 시점에서 이미 관리되어 있다. 단, 저장고에도 이 시점에서는 이름은 붙여져 있지 않고, 예를 들면 포스트에 대응하는 일련 번호로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T0001」의 1번째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 ID는 「T0001_01」, 2번째의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 ID는「T0001_02」, 3번째의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 ID는 「T0001_03」이라는 바와 같이 미리 포스트와 저장고는 관련지어져 있다.
또, 휴대단말(10)에는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이 미리 인스톨되어 있다. 이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에는 소정의 포스트에 동화상이 보존되면, 그 포스트에 관련지어진 저장고에 그 동화상을 송신하는 바와 같은 기능이 이미 조립되어 있다.
또한, 이 시점에서 서버(20)에는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저장고 관리 DB(25)가 이미 작성되어 있다. 즉, 단말마다 단말 ID와, 그 단말에 할당하는 저장고의 저장고 ID가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유저의 사용요구는 아직 없기때문에 과금방식이나, 사용허가나, 이용상황에 대해서는 공란으로 되어 있다.
먼저, 유저가 휴대단말(10)에 대하여, 본 서비스의 이용개시등록을 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것은 휴대단말(10)의 구입시에 3개의 포스트를 신청한 경우의 예이며, 3개의 포스트명 설정란(1a, 1c, 1e)과, 3개의 포스트에 대한 용량 선택란(1b, 1d, 1f)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포스트명을 설정하고 용량을 선택한 후, 휴대단말(10)에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패드워드 입력란(1g)에 입력하고 송신 버튼(1h)을 누른다. 이에 의하여 서버(20)에 대하여 설정한 포스트명으로 저장고의 사용을 요구하게 된다.
그때의 동작을 도 16에 나타낸다.
먼저, 이와 같은 유저의 요구에 의하여 제어부(11)는 저장고 사용요구를 작성하여 송신부(12)에 주고 받는다. 그리고 송신부(12)가, 서버(20)에 대하여 저장고 사용요구를 송신한다(단계 111).
서버(20)에서는 수신부(22)가 이 저장고 사용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1)에 주고 받는다(단계 112).
이에 의하여 제어부(21)는, 저장고 관리부(29)에 대하여 저장고의 사용등록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저장고 관리부(29)가, 저장고의 사용등록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지정한 용량의 영역을 저장고로서 확보한다(단계 113). 또 유저로부터 저장고 사용요구와 함께 송신된 저장고명, 과금방식, 사용허가를, 저장고 관리 DB(25)의 저장고 ID에 대응지어 등록한다(단계 114). 예를 들면 단말 「 T0001」의 유저가 1번째의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의 명칭을 「애완견」이라 하고, 2번째의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의 명칭을 「아이」라고 하고, 3번째의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의 명칭을 「친구」라 하고, 단말「T0002」의 유저가 1번째의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의 명칭을 「가족」이라 하였다고 하면, 저장고 관리 DB(25)의 내용은,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된다. 또한 저장고 「T0002_02」에 대해서는 단말「T0002」의 유저가 사용요구를 송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저장고명, 과금방식, 사용허가 모두 공란으로 되어 있다.
또한, 휴대단말(10)로 포스트에 동화상을 보존함으로써, 서버(20)에 동화상을 송신하여 보존할 때의 동작은, 도 7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0)의 구입시에, 휴대단말(10)의 포스트와 서버(20)의 저장고가 이미 관련지어지고,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에는 소정의 포스트에 동화상이 보존되면, 그 포스트에 관련지어진 저장고에 그 동화상을 송신하는 기능이 이미 조립되어져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휴대단말(10)의 포스트와 서버(20)의 저장고와의 관련부여는 휴대단말(10)을 구입한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에는 소정의 포스트에 동화상이 보존되면 서버(20)에 그 동화상을 송신하는 기능만이 조립되어져 있다. 또 휴대단말(10)의 구입시점에서는 서버(20)에는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말 ID와 저장고 ID와의 대응정보는 기억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그후 유저가 저장고명을 정하여 저장고의 사용개시를 요구하면, 예를 들면, 도 14(b)와 같은 대응정보가 서버(20)에 작성됨으로써, 사용개시가 등록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저장고는 유저가 지정 가능한 용량마다 복수개 준비하여 두고, 유저가 지정한 용량의 저장고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할당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화상이 보존된 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고가 서버(20)에 있어서 특정되고, 그 특정된 저장고에 동화상이 보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을 저장고에 보존하기 위한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을 가능한 한 휴대단말(10)에 조립한 상태에서 그 판매를 행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저는 그와 같은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서비스의 이용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의 설명을 종료한다.
제일 마지막으로 휴대단말(1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여 둔다.
도 17은 휴대단말(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휴대단말(10)은 렌즈(31)와, 촬상소자(32)와, A/D 변환회로(33)와, 컨트롤러(34)와, 액정디스플레이(35)와, 조작 키(36)와, 내장 메모리(37)와, 통신 인터페이스(38)로 구성된다. 또한 이 도면은 개략을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등에 필요한 구성이어도 본 발명에 직접 관계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생략하 고 있는 경우가 있다.
렌즈(31)는, 피사체를 촬상소자(32)의 위에 결상하는 것이다. 촬상소자(32)는, 렌즈(31)를 통하여 들어온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이며, 촬상수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iode)나 CM0S(Complementary Metal 0xide Semiconductor)이다. 또 A/D 변환회로(33)는 아날로그신호로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이다.
컨트롤러(3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가지고 있고, A/D 변환회로(33)로부터의 신호입력제어, 액정디스플레이(35)에의 표시제어, 조작 키(36)로부터의 입력제어, 내장 메모리(37)에의 출력제어, 통신 인터페이스(38)에의 출력제어 등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부분이다.
액정디스플레이(35)는, 내장 메모리(37)에 저장된 화상이나, 디지털 카메라에 대하여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이다. 조작 키(36)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하여 각종 설정조작을 행하기 위한 키이다. 또 내장 메모리(37)는 촬영한 화상이나,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통신 인터페이스(38)는, 촬영한 화상을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유선이거나 무선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유저 스스로가 휴대단말(10)을 조작함으로써, 서버(20)로부터 휴대단말(10)에 포스트,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 등의 인스톨이나, 서버(20)의 저장고의 사용 개시 등록을 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휴대단말(10)을 판매할 때에 판매원이 이들 조작을 대행하여 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 좋다.
또, 저장고는 모두 동일한 디렉토리 하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반드시 그와 같은 형태로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저장고의 작성시에 서버(20) 이외의 장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동화상이 그 어드레스 보내지도록 대응정보를 작성하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 서버(20)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소프트웨어를 개인 또는 회사의 PC에 인스톨하면, 휴대단말(10)의 특정한 포스트에 보존함으로써, 동화상을 그 개인 또는 회사의 PC에 보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휴대단말(10)로 동화상을 보존할 때에 표시되는 메뉴를, 서버(20)로부터 송신된 메뉴갱신 코맨드에 의하여 갱신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휴대단말(10)로 표시해야 할 선택 브랜치를 모두 포함하는 메뉴를 서버(20)에서 작성하여 휴대단말(10)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은, 모든 포스트에 대한 동화상의 보존을 감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하나의 포스트에 대한 동화상의 보존만을 감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각 포스트에 각각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을 기억하여 두는 방법이나, 각 포스트 자체에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동화상 송신 프로그램은, 휴대단말(10)의 특정한 포스트에 동화상이 보존된 것을 인식하면, 그 동화상을 서버(20)에 포스트명 또는 저장고 ID와 함께 송신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이 포스트에 보존됨으로써 그 보존된 동화상을 송신 대상의 동화상으로서 취득하게 하였다.
그러나 송신 대상의 동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트리거로서는 이외에도 여러가지변화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응정보 관리부(18)의 로컬 보존에 「YES」가 설정되어 있으면, 동화상은 서버(20)에 송신된 후, 포스트에 보존되기 때문에, 그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동화상을 수정한 후의 덮어쓰기 보존의 요구(갱신요구)를 트리거로 하여 수정후의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소정의 폴더에 보존되어 있던 동화상을 삭제한 경우에, 그 동화상을 송신 대상의 동화상으로서 취득하여도 좋다. 원래, 동화상의 삭제는 그 동화상이 불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에 행하고 있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삭제한 동화상이 나중에 필요하게 된다는 것도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서버(20)의 저장고를 이른바휴지통으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동화상은 최초의 보존요구에 따라 서버(20)에 송신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후의 조작에 의하여 그 동화상이 서버(20)로부터도 삭제되어 있는 경우에, 이 변화는 유효하다]. 또한 삭제한 동화상을 휴지통으로서의 저장고에 저장하여 두는 기간에 제한을 설정하여도 좋다.
또, 동화상의 송신이 실패한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미송신의 동화상을 송신 대상의 동화상으로서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미 보존된 동화상 뿐만 아니라, 특정한 포스트에 보존하는 것이 예정된 동화상을 송신 대상의 동화상으로서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유저는 동화상을 포스트에 보존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고, 직접 서버(20)에 송신하는 조작을 행한다. 단, 그 송신의 조작 에 앞서 동화상을 서버(20)의 저장고에 보존할 수 없었던 경우에 그 동화상을 보존하는 포스트는 지정하여 둔다. 이와 같이 생각하면, 본 발명은 포스트에의 동화상의 보존을 계기로 그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한다는 형태로부터, 포스트에의 보존에 상관없이 서버(20)에 동화상을 직접 송신한다는 형태로 까지 확장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동화상은 서버(20)의 저장고에 보존할 수 없었던 경우는, 사전에 지정한 포스트에 보존되게 되기 때문에, 이 사전에 지정한 포스트도「동화상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포스트」라는 개념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동화상을 송신 후에 포스트에 보존할지의 여부는, 유저가 미리 설정한 로컬 보존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였으나, 예를 들면 동화상의 형식(확장자)에 따라 포스트에 보존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도 좋고, 그것 이외의 포스트나 동화상에 관한 어떠한 조건을 사용하여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여 보존할 때의 인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휴대단말(10)을 분실하거나 도둑맞거나 한 경우에 대비하여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여 보존할 때에도 패스워드 등의 입력을 요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미리 포스트와 저장고를 설정하여 두고 동화상을 그 작성된 포스트에 보존하도록 하였으나, 동화상 촬영시에 포스트와 저장고의 설정조작을 행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상정 밖의 동화상 등이 찍혔다 하여도 그 자리에서 간단하게 포스트를 작성하여 그곳에 보존하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다.
또,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0)의 포스트에 보존된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여 왔으나, 휴대단말(10) 이외의 일반의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PC)의 포스트에 보존된 동화상을 서버(20)에 송신하는 것으로 하여 본 발명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PC 등의 메모리 용량 부족의 염려가 없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서버(20)에 동화상을 송신한 후에도 그 동화상에 대하여 가공/수정을 실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대응정보 관리부(18)에서 로컬 보존에 「YES」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동화상의 갱신요구를 트리거로 한 송신이 특히 유효하게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을 송신하여 보존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여 왔으나, 동화상 이외의 정지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나, 그것 이외의 일반 데이터(예를 들면, 표계산 소프트웨어나 묘화 소프트웨어 등으로 작성된 데이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0)의 포스트에 데이터를 보존하면, 그 포스트에 대응지어진 서버(20)의 저장고에 데이터가 보존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휴대단말로 촬영/작성한 데이터를 간단한 조작으로 서버 컴퓨터에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그때 서버 컴퓨터에 있어서의 보존지를 유저가 인식하면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데이터의 보존, 송신이라는 2개의 작업공정을 보존(= 송신)이라는 하나의 작업공정만으로 것이다. 따라서 유저는 몇개인가의 포스트 중에서 보내고 싶은 보존지에 대응하는 포스트를 선택하여(복수 선택 브랜치), 그 포스트에 보존하는 것만으로 송신작업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구체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로서는 보존 대상의 데이터를 드래그와 드롭으로 원하는 포스트에 보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보존 대상인 「모모코. jpg」를 마우스 등을 조작하여 선택한다. 다음에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모코. jpg」를 포스트「회사」까지 드래그하여 드롭한다. 이에 의하여 포스트「회사」에 대응하는 보존지에 「모모코. jpg」가 송신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보존하여 송신한다는 개념을, 보존할(= 송신한다)뿐이라는 개념으로 바꿈으로써,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에 있어서, 컴퓨터에 대한 장애는 분명히 낮아진다. 그리고 많은 유저가 컴퓨터 세계에 참가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의하여 초래되는 효과는 헤아릴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로 촬영/작성한 데이터를 간단한 조작으로 서버 컴퓨터에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그때에 서버 컴퓨터에 있어서의 보존지를 유저가 인식하면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보존대상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미리 자기장치내에 작성된 폴더 중에서 상기 데이터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특정수단과,
    상기 특정수단에 의하여 특정된 상기 폴더에의 상기 데이터의 보존 요구에 따라 상기 폴더에 미리 대응지어진 다른 장치내의 보존지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상기 데이터의 송신후에, 상기 데이터를 상기 폴더에 보존하는 보존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보존수단에 의하여 보존된 상기 데이터의 갱신요구에 따라 상기 폴더에 미리 대응지어진 다른 장치내의 보존지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폴더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 우에, 상기 데이터를 상기 폴더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상기 데이터의 송신후에, 상기 데이터 대신에 상기 데이터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폴더에 보존하는 보존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폴더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폴더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데이터가 상기 다른 장치내의 보존지에 보존되지 않은 경우에, 소정의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미리 자기장치내에 작성된 폴더 중에서 상기 촬영수단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화상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특정수단과,
    상기 특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폴더가 특정되면, 상기 화상의 송신요구에 의하지 않고 상기 폴더에 미리 대응지어진 다른 장치내의 보존지에 상기 화상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9.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다른 장치내의 폴더 중에서 상기 데이터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특정수단과,
    상기 특정수단에 의하여 특정된 상기 폴더에 미리 대응지어진 보존지에 상기 데이터를 보존하는 보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
  10. 다른 장치내에 폴더를 작성하는 제 1 작성수단과,
    상기 폴더가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데이터의 보존지를 작성하는 제 2 작성수단과,
    상기 제 1 작성수단에 의하여 작성된 상기 폴더와, 상기 제 2 작성수단에 의하여 작성된 상기 보존지와의 대응정보를 작성하는 제 3 작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
  11. 다른 장치내의 폴더와 상기 폴더가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데이터의 보존지와의 대응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수단과,
    상기 보존지의 사용 개시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사용 개시 요구의 수신에 따라 상기 대응정보에 상기 보존지의 사용이 개시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
  12. 제 1 장치로부터 제 2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여 보존하는 데이터 보존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장치내의 폴더와 상기 제 2 장치내의 보존지와의 대응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장치내의 폴더 중에서 상기 데이터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상기 폴더에의 상기 데이터의 보존요구에 따라 상기 대응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폴더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장치내의 보존지를 구하는 단계와,
    구해진 상기 보존지에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데이터를 보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상기 제 1 장치내의 폴더와, 하나의 상기 제 2 장치내의 보존지와의 상기 대응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보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를 취득한 제 1 장치를 식별 가능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관련지어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존방법.
  14. 컴퓨터에,
    미리 자기장치내에 작성된 폴더 중에서 데이터의 보존장소로서 지정된 폴더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상기 폴더에의 상기 데이터의 보존요구에 따라 상기 폴더에 미리 대응지어진 다른 장치내의 보존지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송신후에, 상기 데이터 대신에 상기 데이터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폴더에 보존하는 단계를 컴퓨터로 더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50101564A 2004-10-29 2005-10-27 정보처리장치, 휴대단말장치, 서버컴퓨터, 데이터보존방법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60052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7328 2004-10-29
JP2004317328 2004-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237A true KR20060052237A (ko) 2006-05-19

Family

ID=3564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564A KR20060052237A (ko) 2004-10-29 2005-10-27 정보처리장치, 휴대단말장치, 서버컴퓨터, 데이터보존방법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95509A1 (ko)
EP (1) EP1653741A3 (ko)
KR (1) KR20060052237A (ko)
CN (1) CN17668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79B1 (ko) * 2012-03-14 2014-01-24 (주)비씨앤컴퍼니 고객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42283A (ja) * 2014-01-29 2015-08-03 コクヨS&T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データ化キット、プログラ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1887A1 (en) * 2007-05-10 2008-11-13 Nokia Corporation Application specific garbage coll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0136A (ja) * 1999-03-26 2000-12-15 Seiko Epson Corp 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3756371B2 (ja) * 1999-03-31 2006-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ワイヤレス情報伝送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レス情報伝送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ワイヤレス送信装置
FR2818480A1 (fr) * 2000-12-04 2002-06-21 Marc Jacky Labarthe Camescope numerique bas cout
DE60224055D1 (de) * 2001-08-10 2008-01-2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aufzeichnungsfähigkeit
FI20012061A (fi) * 2001-10-24 2003-04-25 Nokia Corp Tiedon tallennus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20030115226A1 (en) * 2001-12-13 2003-06-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quick save to remote stor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79B1 (ko) * 2012-03-14 2014-01-24 (주)비씨앤컴퍼니 고객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42283A (ja) * 2014-01-29 2015-08-03 コクヨS&T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データ化キット、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6881A (zh) 2006-05-03
US20060095509A1 (en) 2006-05-04
EP1653741A2 (en) 2006-05-03
EP1653741A3 (en)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71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log information
JPH07202982A (ja) 電子的撮像装置
JP6223534B2 (ja) 撮影機器、撮影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0917155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管理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02585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ding functionality to a digital camera
US20110019007A1 (en)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functionality to a digital camera
JP2006157886A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サーバコンピュータ、データ保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96270A (ja) 撮像システム
JP5268960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060052237A (ko) 정보처리장치, 휴대단말장치, 서버컴퓨터, 데이터보존방법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908672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and associating private information with an image
JP2002259332A (ja) 電子機器、サーバ、画像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4312367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ータ同期システム、データ同期方法
JP74153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323942B2 (ja) 画像送信装置、画像受信装置、画像送信方法、画像受信方法、および画像通信システム
JP201402742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13628A (ja) 携帯機器におけるデータ保存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機器
WO2023281928A1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28960A (ko) 데이터 자동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4200997A (ja) 情報処理装置
WO202302175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WO2023281955A1 (ja) 通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548526B2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04096623A (ja) 撮像装置を制御可能な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631440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