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511A - 분리기 - Google Patents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511A
KR20060050511A KR1020050075119A KR20050075119A KR20060050511A KR 20060050511 A KR20060050511 A KR 20060050511A KR 1020050075119 A KR1020050075119 A KR 1020050075119A KR 20050075119 A KR20050075119 A KR 20050075119A KR 20060050511 A KR20060050511 A KR 20060050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oduction
chamber
discharge
opening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987B1 (ko
Inventor
마이클 가이 파람
마크 리챠드 보디치
폴 레코누
팜 제이 디알
제레미 핑크
마크 피 워가맨
로버트 야 그왐피 엔도
Original Assignee
하이드로 인터내셔날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드로 인터내셔날 피엘씨 filed Critical 하이드로 인터내셔날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6005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11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having a tangentia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7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yc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6Construction of inlets or outlets to the vortex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yclon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리기는 배출 및 도입 덕트(10, 12)를 갖는 하수 챔버(2)를 포함한다. 이 분리기 내에는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이 배치되고 이들 하우징은 하수 챔버(2)의 벽을 따라 연장된 바이패스 덕트(2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있다. 유체는 회전흐름을 발생시키도록 배향된 도입개구를 통해서 하수 챔버로 흘러들어가고, 배출 하우징(22)에 마련된 배출개구를 통해서 하수 챔버로부터 흘러나온다. 배출개구는 유체가 회전흐름을 거슬러서 배출구를 통과하하도록 회전흐름의 방향으로 배향되어있다.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은 적절한 개구를 형성시킬 수 있는 동일한 구조의 성형품으로 제조된다. 바이패스 덕트는 기 설치된 도입 및 배출 덕트(10, 12)의 단부에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을 위치시키기에 적합한 길이로 절단되어있다.
하수 챔버, 천정벽, 바닥벽, 원통형 벽, 도입 덕트, 배출 덕트, 도입 슈트, 배출개구, 바이패스 모듈, 도입 하우징, 배출 하우징, 바이패스 덕트

Description

분리기{SEPA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기의 단면도.
도 2는 변형예의 분리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리기를 반대쪽에서 본 도면.
도 4는 또 다른 변형예의 분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분리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하수 챔버 4: 천정벽
6: 바닥벽 8: 원통형 벽
10: 도입 덕트 12: 배출 덕트
14: 도입 슈트 16: 배출개구
18: 바이패스 모듈 20: 도입 하우징
22: 배출 하우징 24: 바이패스 덕트
본 발명은 유체 흐름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빗물로부터 모래, 거리의 쓰레기, 고체 덩어리 등과 같은 고형물을 일차적으로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하수 시스템용 분리기에 관한 것이며, 이것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로나 기타 포장 영역의 아래에 설치되는 통상의 하수장치는 도입 및 배출 파이프를 갖는 챔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도입 및 배출 파이프는 챔버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서 챔버 내로 개방되어있다. 또한 챔버에는 상부 도입구가 마련되며, 이 상부 도입구는 도로의 표면, 예를 들면 배수구에 설치된 그레이팅을 통해서 챔버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사용시에 있어서, 도입 파이프 혹은 그레이팅을 통해서 챔버 내로 유입된 고형물은 중력에 의해 챔버의 바닥에 모이게 되며, 이 고형물은 그레이팅을 들어내고 흡입 파이프를 챔버 내로 밀어넣어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하수장치는 분리효율이 낮다. 또한 강한 빗물이 도입될 경우 챔버의 바닥에 쌓인 고형물과 표면에 떠있는 고형물이 뒤섞여서 배출 파이프로 빠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입개구와 배출개구를 갖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개구는 도입 유체가 챔버 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흐름을 생성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배출개구는 배출 유체가 상기 회전흐름의 반대방향으로 배출개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배향되는, 유체 흐름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가 제공된다.
도입개구는 도입 유체가 챔버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챕버 내로 흘러들어가도록 배향할 수 도 있다. 또한 배출개구도 도입개구와 마찬가지로 접선방향으로 배향시켜 회전흐름에 효과적으로 대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입개구와 배출개구를 상대적으로 배향하면, 유체의 흐름량이 많은 경우에도 고형물이 배출개구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챔버 내에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새로 도입된 고형물과 이미 바닥에 가라앉거나 표면에 떠있던 고형물이 챔버 내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는 것이다.
도입개구는 챔버내에서 도입실을 구획하고 있는 도입 하우징의 벽에 형성시킬 수 있다. 챔버의 벽을 통해 연장되는 도입 덕트는 도입 하우징 내부로 노출된다. 그러므로, 도입 덕트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먼저 도입실로 들어간 다음, 도입개구를 통해 챔버의 내부로 토출되게 된다.
배출개구에 대해서도 유사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즉, 배출개구는 챔버 내에 배치된 배출실을 구획하는 배출 하우징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도입 및 배출 하우징은 그 상단이 개방된 것일 수 있다.
도입 및 배출 하우징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덕트가 연장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입개구를 갖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개구는 챔버 내에서 도입실을 구획하는 도입 하우징의 벽에 마련되고, 상기 도입개구는 도입되는 유체가 챔버 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흐름을 일 으키도록 배향되고, 또한 상기 챔버는 배출 하우징의 벽에 마련된 배출개구를 가지며, 배출 하우징은 챔버 내에서 배출실을 구획하고 있고, 배출실 내에는 바이패스 덕트가 도입 및 배출 하우징 사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 둘레로 연장되어있는, 유체흐름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가 제공된다.
바이패스 덕트는 챔버의 중앙에 접근통로를 남겨둔 채 챔버의 벽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이 접근통로를 통해 흡입 파이프 또는 기타 장치가 챔버의 상부로부터 그 바닥이나 유체 표면까지 삽입되어 고형물이나 부유물 및 기름을 제거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패스 덕트는 원호형이며, 사각형, 예를 들면,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바이패스 덕트는 도입실의 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도입실과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입실과 바이패스 덕트 사이에는 둑(weir)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둑의 상측 가장자리는 도입실에 위치한 도입구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위쪽에 놓여있다. 그러므로 물이 많이 흐를 경우, 도입실로 들어가는 흐름의 일부만이 도입개구를 통과하게 되고, 나머지는 둑을 넘어 바이패스 덕트를 통과한 다음 배출실로 직접 빠져나간다.
도입 및 배출 하우징은 성형 완료 후 개구를 형성시킨 하우징 성형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도입개구를 갖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개구는 챔버 내에서 도입실을 구획하는 도입 하우징의 벽에 마련되고, 상기 도입개구는 도입되는 유체가 챔버 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흐름을 일으키도록 배향되고, 또한 상기 챔버는 배출 하우징의 벽에 마련된 배출개구를 가지며, 배출 하우징은 챔버 내에서 배출실을 구획하고 있고, 배출실 내에는 바이패스 덕트가 도입 및 배출 하우징 사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 둘레로 연장되어있고, 상기 도입 및 배출 하우징은 성형 완료 후 개구를 형성시킨 하우징 성형품을 포함하는, 유체흐름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성형품의 개구는 예를 들면 도입실과 배출실 사이에서 도입 및 배출 덕트와 각각 연통함과 아울러 바이패스 덕트의 양단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입 및 배출 하우징용 하우징 성형품은 개구를 형성시키기 전의 상태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하우징 성형품은 바이패스 덕트에 끼워맞춤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각각의 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자리를 잡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도입 개구를 갖는 도입 하우징, 배출 개구를 갖는 배출 하우징 및 이들 하우징을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덕트로 바이패스 모듈을 조립하는 단계와; (b) 도입유체가 챔버 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흐름을 일으키도록 도입개구를 배향시키고 배출유체가 상기 회전흐름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출개구를 빠져나가도록 배출개구를 배향시켜서 상기 바이패스 모듈을 하수 챔버에 설치하는 단계와; (c) 도입 덕트에서 흘러나온 유체가 도입실로 들어가도록 하수 챔버의 도입 덕트에 인접한 도입실에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d) 유체가 바이패스 모듈로부터 배출 덕트로 흐르도록 하수 챔버의 배출 덕트에 인접한 배출실 또는 바이패스 덕트에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수 챔버를 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바이패스 덕트는, 바이패스 모듈을 조립하기 전에, 도입 및 배출 하우징을 도입 및 배출 덕트의 근방에 위치시키기에 적합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분리기에 대한 도입구 및 배출구의 방향 설정이 자유로워지고 분리기이 설치방향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분리기는 천정벽(4), 바닥벽(6) 및 원통형의 외곽벽(8)을 갖는 하수 챔버(2)를 구비한다. 도입 덕트(10)와 배출 덕트(12)는 하수 챔버(2)의 대략 반대쪽에서 원통형 벽(8)내로 개방되어있다. 도입 슈트(14)는 천정벽(4)에 끼워맞춤되며, 분리기 상부의 노면에 놓여진 그레이팅(도시하지 않음)으로 덮여있다. 이러한 도입 슈트(14)는 하수 챔버(2)의 외곽벽(8)에 인접한 배출개구(16)를 갖는다.
하수 챔버(2)내에는 바이패스 모듈(18)이 배치되며, 이 바이패스 모듈(18)은 도입 하우징(20), 배출 하우징(22) 및 바이패스 덕트(24)로 구성된다.
도입 하우징(20)은 외곽벽(8)의 내면에 밀착되어있으며, 도입 하우징(20)내에서 도입 덕트(10)와 도입실(28) 사이를 연통시키는 개구(26)를 갖는다. 도입 하우징(20)의 바닥에는 개구(30)가 마련되어있으며, 이 개구(30)는 하수 챔버(2)의 내부로 이어지는 도입구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입개구(30)는 외곽벽(8)의 내면에 근접 배치되며, 도입유체의 흐름이 하수 챔버(2)에 대하여 접선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즉, 도입개구(30)는 하수 챔버(2)의 중심축선(X)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상에 놓여있다.
도입 하우징(20)은 대략 부채꼴의 형상을 이루며, 하수 챔버(2)의 외곽벽(8)의 내면에 근접 배치되는 원호형 벽(32)과 하수 챔버(2)의 대략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단부벽(34, 36)을 갖는다. 각각의 단부벽(34, 36)은 바이패스 덕트(24)의 내면 형상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형상의 사각 돌출부(38, 40)를 갖추고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돌출부(38)는 완전한 상태이지만, 나머지 하나의 돌출부(40)의 단부 표면의 일부는 바이패스 덕트(24)와 연통하도록 절개되어있다. 단부 표면은 그 상부만을 제거하여 도입실(28)과 바이패스 덕트(24)의 내부 사이에 둑(42)이 형성되도록 한다. 둑(42)의 상측 가장자리는 도입 및 배출 덕트(10, 12)의 최하측 가장자리보다 높게 위치한다.
배출 하우징(22)은 도입 하우징(20)과 유사하다. 이러한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은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된 하우징 전구체(precursor)로 제작하며, 이 하우징 전구체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도입 및 배출 덕트 그리고 바이패스 덕트(24)와의 연통을 위한 개구를 형성시키는 방식만 다르다. 배출 하우징(22)의 경우는, 배출실(46)과 배출 덕트(12)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개구(44)가 형성되며, 돌출부(40)의 전체 단부벽은 바이패스 덕트(24)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바이패스 덕트(24)와 배출실(46)간에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절개된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출 하우징(22)은 도입 하우징(20)의 개구(30)에 대응하는 개구(47)(도 3 참조)를 갖는다. 배출 하우징(22)에 마련된 개구 (47)는 하수 챔버(2)의 중심축선(X) 둘레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도입 개구(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어있다.
도 1에 도시한 분리기는 하수 챔버(2)와 바이패스 모듈(18)을 포함하는 완전한 단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바이패스 모듈(18)을 기존의 하수 챔버(2)에 설치해서 하수 챔버의 고형물 분리 및 보유 특성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이패스 모듈(18)은 단지 3개의 주요 부품, 즉, 도입 하우징(20), 배출 하우징(22) 및 바이패스 덕트(24)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바이패스 덕트는 하수 챔버(2)의 설치방향 및 직경에 맞춰 다른 형상 및 크기, 즉 다른 곡률반경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바이패스 모듈(18)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의 위치에 맞춰 바이패스 덕트(24)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다.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에는 개구(26, 44)를 형성시키고, 돌출부(40)에도 적절한 개구를 형성시킨다. 이어서 바이패스 모듈을 적당한 수단으로 하수 챔버(2)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적당한 도입구가 아직 마련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입 슈트(14)를 하수 챔버(20)의 천정벽(4)에 끼워맞춘다. 도입 슈트(14)의 출구(16)는 도입 하우징(20)의 개방 상단 위에 배치함으로써, 도입 슈트(14)를 통해 흘러들어오는 빗물이 도입실(28)로 직접 낙하하도록 한다.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유체의 흐름량이 적거나 보통일 경우, 도입 덕트(10) 및 도입 슈트(14)를 통해 흘러들어오는 물은 도입실(28)로 진입하고, 이어서 도입 개구(30)를 통해 흐른다. 도입개구(30)에서 흘러나오는 유체 흐름은 배출 덕트(120 의 하측 가장자리 아래에서, 하수 챔버(2)의 하부 영역에 잔류하고있는 물에 순환흐름을 발생시킨다. 비교적 낮은 에너지를 갖는 이 순환흐름은 도입 유체 내의 고형물이 그 밀도에 따라 하수 챔버(2)의 바닥에 모이거나 수면 위로 상승하는 것을 도와준다. 또한, 고형물은 배출 하우징(22)의 배출개구를 스쳐지나가게 되며 배출실(46)내로 진입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배출실(46), 나아가서 배출 덕트(12)는 실질적으로 깨긋한 물만을 받게 된다.
도입 덕트(10)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의 유량이 도입개구(30)를 통과할 수 있는 유량 이상으로 많아지면, 도입실(28)의 수위가 상승한다. 수위가 둑(42)의 상부 가장자리의 높이까지 올라가면 바이패스 덕트(24)로 넘쳐흐른다. 도입 덕트(10)를 통해 도입실(28)로 진입하는 고형물의 상당 부분은 도입 하우징(20)의 바닥으로 보내져서 도입개구(30)로부터 배출되며,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수 챔버(2)의 바닥에 가라앉거나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반면, 유체의 흐름량이 많을 경우에는, 고형물의 일부가 물과 함께 둑(42)을 넘어 바이패스 덕트(24)로 들어가고, 결국 배출실(46)과 배출 덕트(12)로 흘러간다. 그러나, 하수 챔버(2) 내의 주 유체 흐름은 바이패스 덕트(24)를 통과한 잉여 유체를 받지 않으므로, 대량의 유체 흐름으로 인하여 고형물이 하수 챔버(2)의 바닥 또는 수면에서 소용돌이를 일으켜 배출실(46)로 빠져나갈 가능성은 적다.
도 2 및 도 3은 바이패스 모듈(18)의 배치를 다르게 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바이패스 덕트(24)는 짧은 길이로 절단되는데, 그 이유는 도입 하우징(20)을 도입 덕트(10)에 인접하게 배치하였을 때, 배출 하우징(22)이 도입 덕트 (10)와 직렬로 놓여지지 않은 배출 덕트(12)의 근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설치 작업에 융통성을 부여하는 것은 바이패스 모듈(18)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며, 이에 의해 바이패스 모듈(18)을 간단한 방식으로 여러 가지 구조의 도입 및 배출 덕트(10, 12)에 맞춰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2 및 도 3의 분리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의 분리기도 역시 도입 및 배출 도관(10, 12)이 직렬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개구(44)에 대응하는 개구가 배출 하우징(22)의 원호형 벽에 형성되어있지 않다. 대신에, 바이패스 덕트(240의 외측 원호형 벽에 대응 개구(48)가 형성되어있다. 그러므로, 배출수가 도입개구(30)에 대응하는 배출개구로 진입하여 배출실(46)을 통과한 다음 바이패스 덕트(24) 및 배출 덕트(12)로 들어간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도입 및 배출 덕트(10, 12) 사이의 원호에 맞춰 바이패스 덕트(24)를 절단할 필요가 없다.
도 5의 실시예는 바이패스 덕트가 3개의 벽, 즉, 내부 벽(50), 상부 벽(52) 및 하부 벽(54)과 일체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의 그것과 유사하다. 상부 및 하부 벽은 그들을 하수 챔버(2)의 외곽벽(8)의 내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56)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덕트(24)의 내부는 사실상 바이패스 덕트924) 그 자체와 하수 챔버(2)의 외곽벽(8)에 의해 구획된다. 이렇게 되면, 바이패스 덕트(24)와 배출 덕트(12)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개구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도 6의 실시예에는 분리기에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해서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의 특징이 도시되어있다. 도 1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분리기에 있어서, 도입실(28) 및 배출실(46)(도 1참조)은 그 상단이 벽(60, 62)으로 막혀있으며, 이 벽은 고정식이거나 분리식일 수 있다. 도입 슈트(14)의 출구(16)는 아래를 향해 뻗어있으며, 가요성 파이프(64)에 의해서 도입실의 상부 벽(6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꼭지와 연결된다. 가요성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꼭지를 착탈식 마개로 막아둔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패스 덕트(24)와 결합되지 않는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의 사각형 돌출부(38, 40)는 하우징 자체와 일체로 성형되며 아무런 가공도 하지 않는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배출 하우징(20)의 돌출부(38)는 고형물 배출공(66)이 형성되도록 절개한다. 이와 다른 형태로, 돌출부의 성형 단부 면은 잘라 낼 수도 있고 완정히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결과 생기는 개구는 구멍(66)을 갖거나 갖지 않은 보수정비용 덮개로 막아둔다. 배출 하우징(22)의 돌출부(40)도 배출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그 단부 면을 제거한 후 위와 유사한 보수정비용 덮개로 폐쇄한다.
도 6에 도시된 분리기의 사용 시, 도입 슈트(14)로 들어오는 물과 그것에 혼입된 고형물은 가요성 파이프(64)를 통해서 도입 하우징(20)으로 직접 보내진다. 유량이 적을 경우, 부유물 중 일부는 배출 하우징(20) 내부의 수면에 모인다. 유량이 클 경우, 물은 도입 하우징(20)에서 정체된다. 배출공(66)은 도입 하우징(20)내의 수면이 둑(420의 상측 가장자리에 도달하기 전에 도입 하우징(20)에 모인 부유 물을 하수 챔버(2)의 주 흐름에 합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하면, 고형물이 둑(42)을 넘어 바이패스 덕트(24) 및 배출 덕트(12)로 들어가지 않고 도입 하우징(20)에서 주 흐름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목적에서 배출공(66)의 상측 가장자리는 둑(420의 상측 가장자리와 같거나 그보다 낮게 형성시킨다.
배출 덕트(120를 통한 흐름이 어떠한 이유로든 방해를 받을 경우에는, 하수 챔버(2) 내의 수면이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의 천정보다 높게 상승한다. 이러한 경우, 상부 벽(60, 62)은 부유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부유물을 하수 챔버(2)의 상부 영역에 가두어 둔다.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의 벽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착탈식 덮개(68, 70)는 정비보수의 목적으로 또는 막힌 것을 뚫기위해서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의 내부로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또 다른 대안으로서, 바이패스 덕트(24)를 도입 및 배출 하우징(20, 22)보다 높게 설치함으로써 바이패스 덕트(24)의 바닥벽이 바이패스 수위를 결정하도록 하면 별도의 둑(42)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대부분의 고형물을 분리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분리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성형품을 사용해서 최소의 제조 및 조립 작업으로 기존의 하수 장치에 바이패스 모듈(38)을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바이패스 덕트(24)가 하수 챔버(2)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직선적으로 연장되지 않고 중심축선(X)을 피해가도록 원호형으로 되어있으므로, 하수 챔버(2)의 바닥에 쌓인 고형물 및/또는 수면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비를 투입할 수 있는 접근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Claims (26)

  1. 도입개구와 배출개구를 갖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개구는 도입 유체가 챔버 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흐름을 생성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배출개구는 배출 유체가 상기 회전흐름의 반대방향으로 배출개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배향되는, 유체 흐름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입 유체가 하수 챔버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하수 챔버에 도입되도록 상기 도입개구를 배향시킨 분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구가 상기 도입개구와 동일하게 접선방향으로 배향되는 분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개구가 하수 챔버 내에 도입실을 구획하는 도입 하우징의 벽에 마련되는 분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도입 덕트가 상기 하수 챔버의 벽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도입 하우징 내로 돌출되어있는 분리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하우징이 그 상단에서 개방되어있는 분리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하우징의 상단이 천정벽에 의해 막혀있는 분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도입 파이프가 천정벽을 통해 상기 도입 하우징의 내부로 개방되어있는 분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구가 하수 챔버 내에서 배출실을 구획하는 배출 하우징의 벽에 마련되어있는 분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하우징이 그 상단에서 개방되어있는 분리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하우징의 상단이 천정벽에 의해 막혀있는 분리기.
  12. 제 7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벽이 착탈 가능한 분리기.
  13. 하수 챔버 내에서 도입실을 구획하는 도입 하우징의 벽에 마련된 도입개구를 갖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개구는 도입되는 유체가 챔버 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흐름을 일으키도록 배향되고, 또한 상기 하수 챔버는 그 내부에서 배출실을 구획하는 배출 하우징의 벽에 마련된 배출개구를 가지며, 하수 챔버 내에는 바이패스 덕트가 상기 도입 및 배출 하우징 사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 둘레로 연장되어있는, 유체흐름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덕트가 상기 하수 챔버의 벽에 인접하게 연장되어있는 분리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덕트가 원호형이고,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분리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덕트가 상기 도일실의 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도입실과 연통하는 분리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실과 상기 바이패스 덕트 사이에 둑이 마련되어있는 분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실이 상기 도입 하우징의 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상기 하수 챔버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둑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높지 않은 상측 가장자리를 갖는 분리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하우징 내로는 도입 덕트가 개방되어있고,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최저 수위는 상기 도입 덕트의 최저 수위보다 높은 분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실이 상기 도입 하우징의 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상기 하수 챔버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최저 수위보다 높지 않은 상측 가장자리를 갖는 분리기.
  21. 하수 챔버 내에서 도입실을 구획하는 도입 하우징의 벽에 마련된 도입개구를 갖는 하수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개구는 도입되는 유체가 하수 챔버 내에서 하수 챔버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흐름을 일으키도록 배향되고, 또한 상기 하수 챔버는 그 내부에서 배출실을 구획하고 있는 배출 하우징의 벽에 마련된 배출개구를 가지며, 상기 배출실 내에는 바이패스 덕트가 도입 및 배출 하우징 사이에서 챔버의 중심축선 둘레로 연장되어있고, 상기 도입 및 배출 하우징은 성형 완료 후 개구를 형성시킨 하우징 성형품을 포함하는, 유체흐름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및 배출 하우징 용의 하우징 성형품들이 개구를 형성시키기 전에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분리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성형품들이 부품의 상대 위치를 잡아주도 록 상기 바이패스 덕트에 끼워맞춤되는 돌출부를 갖는 분리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및 배출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가 폐쇄 가능한 정비보수용 구멍을 갖는 분리기.
  25. (a) 도입 개구를 갖는 도입 하우징, 배출 개구를 갖는 배출 하우징 및 이들 하우징을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덕트로 바이패스 모듈을 조립하는 단계와; (b) 도입유체가 하수 챔버 내에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흐름을 일으키도록 도입개구를 배향시키고 배출유체가 상기 회전흐름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출개구를 빠져나가도록 배출개구를 배향시켜서 상기 바이패스 모듈을 하수 챔버에 설치하는 단계와; (c) 도입 덕트에서 흘러나온 유체가 도입실로 들어가도록 하수 챔버의 도입 덕트에 인접한 도입실에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d) 유체가 바이패스 모듈로부터 배출 덕트로 흐르도록 하수 챔버의 배출 덕트에 인접한 배출실 또는 바이패스 덕트에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수 챔버를 개조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모듈을 조립하기 전에, 상기 도입 및 배출 하우징을 상기 도입 및 배출 덕트에 인접하게 위치시키기에 적합한 길이로 상기 바이패스 덕트를 절단하는 방법.
KR1020050075119A 2004-08-26 2005-08-17 분리기 KR101282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26,339 US7344636B2 (en) 2004-08-26 2004-08-26 Separator
US10/926,339 2004-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511A true KR20060050511A (ko) 2006-05-19
KR101282987B1 KR101282987B1 (ko) 2013-07-05

Family

ID=3509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119A KR101282987B1 (ko) 2004-08-26 2005-08-17 분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44636B2 (ko)
KR (1) KR101282987B1 (ko)
CA (1) CA2516248C (ko)
GB (2) GB24174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8352B2 (en) * 2001-08-07 2003-07-29 Edward A. Higginbotham Self cleaning gutter shield
US7913458B2 (en) 2004-05-21 2011-03-29 Edward Alan Higginbotham Self cleaning gutter shield
US8322540B2 (en) * 2005-01-26 2012-12-04 Royal Environmental Systems, Inc. Filter element for water loaded with solid particles and dissolved toxic substances and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said filter element
US20060283814A1 (en) * 2005-04-29 2006-12-21 Williamson J K Gravitational separator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particulate and volatile liquids from a stormwater stream adaptable for inline usage
US8746463B2 (en) * 2006-05-22 2014-06-10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 from stormwater
TW200934352A (en) * 2007-08-07 2009-08-01 Cooligy Inc Internal access mechanism for a server rack
GB2459896B (en) * 2008-05-09 2012-12-26 Hydro Int Plc A stormwater gully
US9315981B2 (en) 2013-08-14 2016-04-19 Hydro International Plc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WO2016094299A1 (en) 2014-12-08 2016-06-16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Hydrodynamic separator
CN106013401B (zh) * 2016-07-20 2018-01-02 同济大学 一种雨水检查井中初期雨水分流装置
US10150063B2 (en) 2016-12-29 2018-12-11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Hydrodynamic separator
WO2020097678A1 (en) * 2018-11-13 2020-05-22 Leigh Maxwell A vortex inducing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for concentrating sediment in a water tank
US11002000B2 (en) 2019-03-26 2021-05-11 Aquashield, Inc. Gravitational separator providing enhanced contaminant separation
GB2593669B (en) * 2020-02-19 2023-02-01 Hydro Int Ltd An inlet module for a separator, a separa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para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95267A (de) 1968-02-23 1970-08-31 Luwa Ag Leitgehäuse für mit Staub oder Fasern beladene oder verunreinigte Luft
JPS59177105A (ja) 1983-03-28 1984-10-06 Ebara Corp 固液分離装置
GB9122178D0 (en) 1991-10-18 1991-11-27 Foster William W Separators
AUPM628594A0 (en) 1994-06-17 1994-07-07 Blanche, Paul A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solids from flowing liquid
GB2293993B (en) 1994-09-30 1998-08-05 John B Mckeown Separation device
DE19753966A1 (de) 1996-12-16 1999-05-06 Guenter Linzmaier Verfahren zum Klären von mit Schwebstoffen beladenen Medien und Vorrichtung hierzu
US6370222B1 (en) * 1999-02-17 2002-04-09 Ccvs, Llc Container contents verification
GB9908634D0 (en) 1999-04-15 1999-06-09 Hydro Int Ltd Hydrodynamic vortex separator
KR20010088510A (ko) * 2001-07-30 2001-09-28 김행웅 배수용 오물제거장치
US7133647B2 (en) * 2002-09-23 2006-11-07 Ericsson Inc. Chiprate correction in digital transceivers
US6780310B1 (en) * 2002-10-21 2004-08-24 Glenn B. Howe Variable vortex baffle fluid filter
GB2403170B (en) * 2003-06-27 2006-08-23 Hydro Int Plc Hydrodynamic treatment device
KR200358547Y1 (ko) 2004-05-10 2004-08-11 이병수 원심유동법에 의한 침전물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3010A1 (en) 2006-03-02
IE20090032A1 (en) 2009-03-18
GB0810026D0 (en) 2008-07-09
GB2417437B (en) 2008-11-05
CA2516248C (en) 2010-12-14
GB0516606D0 (en) 2005-09-21
IE20050505A1 (en) 2006-03-08
GB2417437A (en) 2006-03-01
GB2447168B (en) 2008-11-05
CA2516248A1 (en) 2006-02-26
US7344636B2 (en) 2008-03-18
GB2447168A8 (en) 2008-09-17
GB2447168A (en) 2008-09-03
KR101282987B1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987B1 (ko) 분리기
EP0711879B1 (en) Tank interceptor
US7296692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a fluid stream
EP3033456B1 (en) A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JP2002242290A (ja) 雨水分離桝
US20100181237A1 (en) Oil and Debris Separator
KR20050112624A (ko) 우수처리장치
KR200436505Y1 (ko) 교량용 집수구
KR100681265B1 (ko) 하수처리장치
KR100521011B1 (ko) 산계곡물을 이용한 간이상수도 취수장치
KR101852393B1 (ko) 배수성이 향상된 인버트 맨홀
JP7499192B2 (ja) 側溝設備
KR870001336Y1 (ko) 차진식 빗물받이
KR200204121Y1 (ko) 선박용 맨홀
WO2006065964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200404266Y1 (ko) 인버트 맨홀
KR100519212B1 (ko) 분리 탱크
KR200366648Y1 (ko) 하수처리장치
IE85329B1 (en) A separator
KR200338728Y1 (ko) 맨홀 퇴적물의 안정화 구조
IE85341B1 (en) A separator
KR200338729Y1 (ko) 배수량의 저하를 방지하는 하수구용 구조물
JP2004353410A (ja) 汚濁分離装置
HU195456B (hu) Berendezés felosztatható és ülepíthető anyagokkal szennyezett folyadékok tisztításá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