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212B1 - 분리 탱크 - Google Patents

분리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212B1
KR100519212B1 KR10-2000-0026101A KR20000026101A KR100519212B1 KR 100519212 B1 KR100519212 B1 KR 100519212B1 KR 20000026101 A KR20000026101 A KR 20000026101A KR 100519212 B1 KR100519212 B1 KR 100519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vider
pipe
tank
sepa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891A (ko
Inventor
몬타이스조셉지
Original Assignee
엑스-셉터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셉터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엑스-셉터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0-002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21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빗물 및 폐수 처리용 분리 탱크는 디바이더에 의하여 상부의 바이패스 격실과 하부의 처리 격실로 분할되는 컨테이너를 구비한다. 상기 디바이더는 테이퍼진 횡단면을 갖는 하강 파이프 조립체를 포함한다. 하강 파이프 조립체는 T형 연결부를 구비한 하강 파이프를 포함한다. 조립체에 있어서, 하강 파이프는 디바이더의 구멍을 통하여 하강하여 개구와 마찰 결합부를 형성한다. 또한, 하강 파이프 조립체는 디바이더의 개구 위에 배치된 적절한 크기의 유량 제한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 탱크{IMPROVED SEPARATOR TANK}
본 발명은 분리 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배수조를 포함하며 향상된 유량 제어 구조를 갖는 분리 탱크에 관한 것이다.
조집기(interceptor)라고도 불리우는 분리 탱크는 우수로 또는 우수 배수로로부터의 우수(雨水) 및 유거수(流去水)를 수용하고, 유입될 수 있는 임의의 오일 또는 가솔린계 물질 및 부유 고형물을 추가적으로 분리 및 포획하여, 일정 비율의 물을 시의 수용 하수구 또는 수로로 배출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분리 탱크는 폐기 유체의 특정 성분을 수집하여 그것을 다른 성분과 분리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배플(baffle)과 챔버를 구비한다.
종래의 분리 탱크의 한 형태는 바닥벽, 측벽 및 상부 벽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구비하며, 이들 벽은 함께 내부 챔버를 형성한다. 컨테이너는 우수 또는 유거수가 분리 탱크로 도입되는 입구와 처리된 물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챔버는 디바이더(divider)에 의하여 디바이더 상부의 바이패스 격실과 디바이더 하부의 처리 격실로 분할된다. 디바이더는 입구와 출구 사이에 위치된 위어부(weir)와, 이 위어부의 대향 측면측에 있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한다.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바이패스 격실과 처리 격실 사이를 유체 연통시킨다. 제1 개구 및 제2 개구에는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가 각각 연결되며, 이들 파이프는 처리 격실로 연장한다. 각 파이프의 하단부는 처리 격실 내에서 중간 레벨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분리 탱크는 여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예컨대, 분리 탱크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상업용 주차장의 유거수 처리
·산업 시설의 유출 제어
·주유소 및 그 외의 자동차 서비스 시설의 유거수 처리
·고속도로 및 그 외의 도로의 유거수 처리
·공항, 육로의 기점 및 항구의 유거수 처리 및 유출 제어
·침투 및 여과 시스템, 연못 및 습지대로 유입되는 유거수 예비처리.
·주택 단지의 유거수 처리
·큰 웅덩이(연못)가 있는 시스템에 유용하지 않은 땅의 용도를 갱신
·적하장, 급유대 및 변압기 핏트와 같은 작은 영역의 유거수 처리.
용도와는 관계없이, 전술한 분리 탱크는 일반적으로 2개의 다른 작동 조건에 대해 서로 다른 2개의 반응을 보이하도록 구성된다.
저유량 조건하에서, 분리 탱크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유거수는 입구로 유입되어 제1 개구 및 제1 파이프(이하에서는 하강 파이프로 칭함)를 통하여 처리 격실로 흐른다. 조집기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유거수는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은 오일, 동물, 식물, 광물성 지방 또는 그리스, 가솔린, 침전물, 금속 부스러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깨끗한 물이 준비되어 있는 분리 탱크의 처리 격실 내에 수집된다. 고형물은 처리 격실의 바닥에 침전되고, 부유물은 처리 격실의 상부로 상승한다. 처리 격실의 중간 레벨에 있는 액체에는 비교적 이물질이 없다.
작은 유량이 분리 탱크로 유입되므로, 위어부로 인해 수두(水頭)가 제1 개구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수두는 처리 격실의 중간 레벨에 있는 액체를 제2 파이프(이하에서는 상승 파이프로 칭함)로 흐르게 한다. 그에 따라, 유거수의 물 부분은 상승 파이프와 제2 개구를 통하여 분리 탱크의 출구로부터 우수로 등을 향하여 인상된다. 오일, 동물, 식물, 광물성 지방 또는 그리스, 가솔린 등으로 이루어진 액체 부분과 고형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은 분리 탱크 내에 포획된 채로 유지되고, 통상적으로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송출된다.
또한, 분리 탱크는 폭우 중의 많은 비로 인한 유입물을 처리하도록 되어있다. 많은 유량은 저유량 상태에서처럼 입구를 통하여 분리 탱크로 유입된다. 그러나, 고유량 조건하에서, 흐름의 일부는 제1 개구를 통하여 처리 격실로 유입되지만, 유입 유량의 용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흐름은 위어부 뒤에 이르게 되며 결국에는 위어부를 넘쳐 흐르고, 출구밖으로 유출되어 처리 격실을 우회한다.
고유량 조건하에서의 바이패스(bypass)는 처리 격실 내의 고형물과 부유물이 다량의 흐름으로 인하여 씻겨가거나 재부유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고유량 조건하에서의 바이패스는 일반적으로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폭우는 홍수로서 시작하지 않고, 분리 탱크는 즉각적으로 바이패스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폭우 중에 하수로 시스템에 유입되는 부유물과 고형물의 대부분은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동안에 유입된다. 폭우의 초기 동안에, 분리 탱크로 유입되는 유량은 유입 유거수의 대부분이 처리 격실로 유입되도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분리 탱크로 유입되는 유량이 바이패스 레벨에 도달할 때 즈음에, 부유물과 고형물의 대부분은 이미 처리 격실에 있다.
분리 탱크가 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처리 격실 내에서 분리가 지속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처리 격실의 중간 레벨에 있는 액체는 비교적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상부에는 부유물이 하부에는 고형물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탱크로 유입되는 유량은 고형물 또는 부유물이 재부유되거나 상승 파이프를 통하여 인상되어 분리 탱크의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강 파이프의 하단부에 부착된 T형 구조체를 이용하여 접선 방향으로 정향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는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분리 탱크가 적절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분리 탱크는 전부는 아닐지라도 정상적인 상태하에서 유입 유량의 대부분을 처리해야 하며, 고유량 상태에서는 바이패스시켜야 한다. 그러나, 정상 상태를 이루는 것과 고유량 상태를 이루는 것은 분리 탱크가 사용되는 환경, 예컨대 분리기로 배수되는 불침투성의 배수 영역 등의 환경에 따라 정확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상이한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적어도 상이한 크기의 개구 및 강하 파이프를 구비한 디바이더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디바이더의 재고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익하지 않다.
또한, 처리 격실 내로 그리고 그것을 통과하는 유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T형 구조체는 탱크로의 흐름을 제한하지 않도록 크기가 정해져야 한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제1 파이프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는 T형 구조체를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종래의 구조체는 대개 상향식(bottom-up)으로 조립할 필요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제1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하측으로부터 디바이더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조립 중에 탱크 내측에 있을 것이 요구되었다. 이는 위험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분리 탱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 융통성과 조립 안전성이 향상된 디바이더 구조체를 구비하는 분리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분리 탱크는 입구, 출구, 그리고 탱크를 처리부와 바이패스부로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탱크를 포함한다. 디바이더는 입구에 인접하고 바이패스부와 처리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는 제1 개구와, 출구에 인접하고 바이패스부와 처리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는 제2 개구를 구비한다. 또한, 디바이더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배치되는 위어부를 포함하며, 이 위어부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수두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개량된 하강 파이프를 포함한다. 하강 파이프는 하단부로서 제1 단부와 상단부로서 제2 단부를 구비한다. 하강 파이프의 제1 단부는 제1 개구와 마찰 결합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강 파이프의 제2 단부는 제1 개구를 통하여 끼워 맞춰지는 치수를 갖는 T형 또는 유사한 구조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탱크용 디바이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분리 탱크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한 탱크를 포함한다. 디바이더 시스템은 탱크를 처리부와 바이패스부로 분할하고, 그들 사이를 연통시킨다. 디바이더 시스템은 탱크를 처리부와 바이패스부로 분할하는 디바이더,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위어부를 포함한다. 디바이더의 제1 개구는 탱크의 입구에 인접하고 바이패스부와 처리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다. 디바이더의 제2 개구는 탱크의 출구에 인접하고 처리부와 바이패스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다. 위어부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수두를 생성시키는 기능을 한다. 하강 파이프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유익하다. 하강 파이프 조립체는 하강 파이프, T형 구조체 및 오리피스판을 구비한다. 하강 파이프는 상단부로서 제1 단부 및 하단부로서 제2 단부를 포함한다. 하강 파이프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개구에 연결될 수 있게 크기가 정해진다. 하강 파이프의 제2 단부는 처리부로 연장한다. T형 구조체는 하강 파이프의 제2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개구를 통과하여 끼워 맞춰지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오리피스판은 제1 개구를 덮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분리 탱크가 사용되는 환경 조건에 맞게 적절한 크기의 중앙 개구를 구비한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는 분리 탱크(10)가 도시되어 있다. 분리 탱크(10)는 원형 바닥벽(12), 원통형 측벽(13), 원통형의 등급 조정부(14), 실질적으로 원형인 상부 벽(15) 및 맨홀 덮개(16)를 구비하는 컨테이너(11)를 포함한다. 상기 벽(12, 13, 15)과 등급 조정부(14)는 디바이더(21)에 의하여 디바이더 상부의 바이패스 격실(22)과 디바이더 하부의 처리 격실(23)로 분리되는 내부 챔버(20)를 형성한다.
측벽(13)은 소정 용적의 내부 챔버(20)를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섹션으로 형성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13)은 섹션(131, 132, 133, 134)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 챔버(20)의 용적은 추가의 섹션을 부가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벽(12, 13, 15)과 등급 조정부(14)는 해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로 형성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측벽(12, 13, 15)과 등급 조정부(14)는 유리섬유 또는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다.
또한, 분리 탱크(10)는 디바이더(21)의 상면 위에 인접한 측벽(13)을 관통하는 입구(24)를 포함하며, 이 입구(24)는 액체가 바이패스 격실(22)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분리 탱크(10)는, 측벽(13)의 둘레 위치에서 입구(24)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디바이더(21)의 상면 위에 인접한 측벽(13)을 관통하는 출구(25)를 포함하며, 이 출구(25)는 액체가 바이패스 격실(22) 밖으로 흘러 나갈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출구(25)는 입구(24)보다 약간 아래에 배치되어, 분리 탱크(10)를 통과하는 흐름을 촉진시키는 구배가 마련된다. 도 1에는 입구와 출구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입구와 출구는 측벽(13) 상의 임의의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 탱크(10)는 사용되는 특정의 환경 조건에 따라 필요한 경우 복수 개의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21)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더(21)의 외주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원통형 측벽(13) 내에 알맞게 끼워 맞춰질 수 있게 크기가 정해진다. 디바이더(21)는 위어부(211), 제1 개구(212), 제2 개구(213), 통기구(214), 거널(215; gunnel), 하강 파이프 부분(216) 및 상승 파이프 부분(217)을 포함한다. 위어부(211)의 일측은 입구(24)와 제1 개구(212)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은 출구(25)와 제2 개구(213) 사이에 배치된다. 위어부(211)는 액체가 입구(24)를 통하여 유입되어 바이패스 격실(22)을 지나 출구(25)에 도달할 수 있게 하며, 이와 같이 하기 위해 위어부(211)를 범람한다. 다시 말하면, 이는 고유량하에서의 주요한 흐름 패턴이다.
개구(212, 213)는 하강 파이프 부분(216)과 상승 파이프 부분(217)에 대해 각각 개방되어 있으며, 이들은 처리 격실로 연장한다. 개구(212, 213)와 해당 파이프 부분은, 위어부(211)를 범람할 필요가 없는 액체가 제1 개구(212)와 하강 파이프를 지나 처리 격실(23)로 가고, 이어서 처리 격실(23)을 지나 상승 파이프의 바닥에 이르며, 뒤이어 제2 개구(213)를 상향 통과하여 배출용 출구(25)에 이르게 통과함으로써 입구(24)로부터 출구(25)까지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고 이해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는 저유량 조건하에서 주요한 흐름 패턴이다. 위어부(211)는 개구(212) 위에 수두를 형성할 수 있어, 상기 흐름 패턴의 형성을 촉진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213)는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즉 바이패스 격실(22)로부터 처리 격실(23)로 보수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내경이 충분히 크다. 통상적으로, 제1 개구[즉, 입구측 위어부(211)의 개구]는 상이한 처리 격실 크기에 대하여 상이한 평균 유량을 수용하도록 가변의 개구 크기를 갖는다. 이는 제조될 복수 개의 상이한 디바이더가 복수 개의 상이한 크기의 하강 파이프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문제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구(212)는 평균 유량 또는 처리 격실 크기에 상관없이 개구의 크기가 일정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212)는 약간 타원형 형상을 가지며, 그 장축은 유입 흐름의 방향에 수직하고, 단축은 유입 흐름의 방향에 평행하다. 제1 개구(212)에 대해서는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상이한 크기의 제1 개구를 갖는 복수 개의 상이한 디바이더를 제작 및 저장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기 위하여, 제1 개구(212)는 구성되는 분리 탱크에 대하여 최대 유량을 갖는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게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디바이더(21)는 보다 적은 유량을 갖는 환경에서도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디바이더(21)는 오리피스판(218)이 제1 개구(21) 위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오리피스판(218)의 3가지 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오리피스판(218)은 제1 개구(21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1 개구(212)의 내경(장축 단축 모두를 따라)보다 약간 작은 외경(장축과 단축 모두를 따라)을 갖는다. 따라서, 오리피스판(218)은 제1 개구(212)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개구(212) 내에서 마찰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오리피스판(218)은 분리 탱크가 사용되는 환경에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 내측 오리피스(219A, 219B, 219C)를 구비한다. 분리 탱크(1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구(212)는 그 장축과 단축이 각각 14" 및 12.5" 이며, 6", 8" 또는 10"의 내측 오리피스를 구비한 오리피스판을 수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리 탱크(10)는 오리피스판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격실로 연장하는 하강 파이프는 처리 격실 내의 부유물과 고형물의 재부유를 방지하도록 T형 연결부에서 종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하강 파이프와 T형 연결부의 구성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향식 조립을 필요로 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더(21)는 개량된 하강 파이프와 T형 연결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더(21)는 하강 파이프 부분(216)을 포함한다. 하강 파이프 부분(216)은 약간 테이퍼지고, 제1 개구(212)에서 최대 직경(장축과 단축 모두를 따라)을 가지며, 처리 격실(23)로 연장하는 제2 단부(220)에서 최소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식 조립을 피하기 위해, T형 연결부(222)가 제공된다. T형 연결부(222)는 측부를 따라 있는 개구와 단단한 바닥을 구비한 테이퍼진 파이프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연결부(222)는 중첩부(2221)와 T형 부분(2222)을 포함한다. 중첩부는 하강 파이프 부분(216)의 제2 단부(2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2 단부(220)의 내경(장축과 단축 모두를 따라)보다 약간 큰 외경(장축과 단축 모두를 따라)을 갖는다. 따라서, 제2 단부(220)의 반대측 제1 단부에 구비된 T형 연결부(222)는 디바이더(21)의 바이패스 격실측으로부터 하강 파이프 부분(216)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부(2221)는 하강 파이프 부분(216)의 제2 단부(220)와 마찰 결합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첩부의 길이(L)는 4" 내지 6" 이다. 그 밖의 중첩 길이도 가능하다. 타원형 형상은 개구(212)와 쉽게 정렬될 수 있게 하며, 개구를 확실하게 적절히 정향하는 데 기여한다.
T형 부분(2222)은 대향 측면에 컷아웃(cut-outs)을 포함하여 개구(2224)를 형성한다. 도 5a는 T형 연결부(222)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T형 연결부(222)의 측면도이다. T형 부분(2222)의 개구(2224) 중 하나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어떤 용례의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T형 연결부는 처리 격실(23) 내에서 충분한 깊이로 연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환경에는 보다 큰 처리 격실이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에 있어서, 동일한 디바이더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처리 격실(23)은 디바이더 아래의 처리 격실(23)의 벽을 스커트 모양으로 펼침으로써(즉, 처리 격실(23)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처리 격실(23)을 보다 깊게 함으로써 용량이 증가된다. 이러한 환경에 있어서, 연장된 T형 연결부가 이용된다. 도 6a 및 도 6b는 연장된 T형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6에서 동일 부분은 동일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연장된 T형 연결부는 유입 흐름이 처리 격실(23) 내의 부유물을 확실히 교란시키지 않는데 기여한다.
유사하게, 어떤 용례에서는, 상승 파이프 부분(217)이 처리 격실(23) 내에서 충분한 깊이로 연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큰 처리 격실(23)이 필요한 환경에서는 상승 파이프 부분(217)도 또한 테이퍼져서, 개구(213)에서 최대 직경(원형 단면으로 가정)을 가지며, 처리 격실(23)로 연장하는 단부(221)에서 최소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큰 처리 격실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데 연장부(223)가 이용될 수 있다. 연장부(223)는 중첩부(2231)를 포함한다. 중첩부(2231)는 상승 파이프 부분(217)의 단부(2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단부(221)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원형 단면으로 가정)을 갖는다. 따라서, 연장부(223)는 디바이더(21)의 바이패스 격실측으로부터 상승 파이프 부분(217)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부(2231)는 상승 파이프 부분(217)의 단부(221)와 마찰 결합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첩부의 길이(L)는 4" 내지 6" 이다. 그 밖의 중첩 길이도 가능하다.
다시 도 1에 있어서, 컨테이너(11)의 상부벽(15)에는 개구(213)의 위치와 거의 중첩되도록 원형 상부벽(15)의 축선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는 접근 개구(16; access opening)가 마련되어 있다. 접근 개구(16)를 폐쇄하도록 커버가 제공된다. 개구(16)를 개구(213)와 대략 정렬함으로써, 접근 개구(16) 위의 위치로부터 처리 격실의 전체 내용물을 송출하고 체취하고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작업자는 많은 보수 유지의 임무를 위하여 실제로 컨테이너(11)로 들어갈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 및 그 밖의 목적을 위하여 컨테이너로 들어가 수행할 것이 요구되는 개인적 업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통형 측벽(13)과 등급 조정부(14)에 사다리단(26)이 고정된다.
컨테이너(11)의 바이패스 격실(22) 내에서 상승하는 통기 파이프(19)가 도 1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 파이프(19)는 오일 제거 포트의 기능도 겸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8 및 도 9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배수조 타입의 분리 탱크를 도시한다. 분리 탱크의 제2 실시예는 탱크의 입구가 탱크의 상부에서 탱크의 측벽을 통하여 대향해 있다는 점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다르다. 입구 위치의 이러한 변경은 디바이더의 구성에 있어서도 약간의 변경을 요구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조 조집기는 탱크의 측면에 그 입구가 있다. 저유량 조건과 고유량 조건하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배수조 타입의 조집기의 주요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분리 탱크(10)의 기능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8 및 도 9의 설명은 차이점에 대해서 중점을 둘것이다.
도 8은 배수조 조집기(80)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배수조 조집기(80)는 상부벽(15)에 입구(81)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구(81)는 개방 격자형이다. 이 개방 격자는 통상적으로 주철로 제조된다. 입구(81)는 원형 상부 벽(15)에 대하여 편심되게 배치되고, 디바이더(82)의 제1 개구(83)의 위에 배치된다는 것을 주지하라. 디바이더(82)의 외주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원통형 측벽(13) 내에 알맞게 끼워 맞춰지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디바이더(82)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부 엣지(86)로부터 엣지(87)를 향하여 좌측 하방으로 연장하는 비스듬히 경사진 슬로핑 램프(sloping ramp)(85)를 형성하도록 형상화된 중간 영역을 갖는다. 또한, 디바이더는 측벽(13)으로부터 우측 하방으로 연장하여 엣지(87)에서 램프(85)와 만나는 비스듬히 경사진 슬로핑 램프(88)를 형성하도록 형상화된 엣지 영역을 또한 포함한다. 장방형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수직한 벽(89)이 상부 엣지(86)로부터 하부 엣지(90)까지 하방으로 연장하여 활꼴 형태인 출구 영역(91)의 직선형 내측 경계를 형성한다. 출구 또는 제2 개구(84)는 실질적으로 출구 영역(91)의 중심에 배치된다. 출구 개구(84)는 처리 격실(23) 안으로 거의 수직하게 하향 연장하는 상승 파이프 부분(217)의 상단부를 구성한다.
또한, 디바이더(82)는 출구 영역(91)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치된 흡입 영역(92)을 형성하며, 이것도 마찬가지로 활꼴 형태이다. 흡입 또는 제1 개구(83)는 실질적으로 흡입 영역(92)의 중앙에 배치된다. 흡입 개구(83)는 처리 격실(23) 안으로 거의 수직하게 하향 연장하는 하강 파이프 부분(216)의 상단부를 구성한다. 출구 영역(91)이 흡입 영역(92)보다 약간 하방의 수직 위치에 있다는 것을 주지하라. 이러한 높이 차이는 상승 파이프 부분(217)과 출구(25)를 통하는 범람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격실 안으로 연장하는 하강 파이프는 처리 격실 내에서 부유물과 고형물의 재부유를 방지하도록 T형 연결부에서 종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조집기(80)는 바스켓과 어느 정도 유사하게 구성된 T형 연결부를 구비하는 개량된 하강 파이프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강 파이프 부분(216)은 약간 테이퍼져서, 제1 개구(83)에서 최대 직경(장축과 단축 모두를 따라)을 가지며, 처리 격실(23)로 연장하는 제2 단부(220)에서 최소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조 조집기(80)에는 T형 연결부(93)가 마련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T형 연결부(93)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T형 연결부(93)는 측면을 따라 있는 개구와 중실형 바닥을 구비하는 테이퍼진 파이프 부분으로 구성된다. T형 연결부(93)는 중첩부(931), T형 부분(932) 및 핸들(933)을 포함한다. 중첩부(931)는 하강 파이프 부분(216)의 제2 단부(2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2 단부(220)의 내경(장축과 단축 모두를 따라)보다 약간 큰 외경(장축과 단축 모두를 따라)을 갖는다. 따라서, T형 연결부(93)는 디바이더(82)의 바이패스 격실측으로부터 하강 파이프 부분(216)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부(931)는 하강 파이프 부분(216)의 제2 단부(220)와 마찰 결합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첩부의 길이(L)는 4" 내지 6" 이다. 그 밖의 중첩 길이도 가능하다.
T형 연결부(93)에는 처리 격실(23)의 청소 및 유지보수를 허용하기 위하여 T형 연결부를 바깥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핸들(933)이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T형 연결부(93)는 핸들을 구비하지 않는다.
변형예에 있어서, 변형된 T형 연결부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T형 연결부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변형된 T형 연결부(103)를 도시한다. 변형된 T형 연결부(103)는 테이퍼진 파이프 부분(1031), 개구(1032), 부유판(1033) 및 힌지(1034)를 구비한다. 분리 탱크의 정상 작동 중에, 부유판(1033)은 폐쇄되고, 변형된 T형 연결부가 유입 흐름을 처리 격실의 둘레에서 접선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 10b에 도시되어 있다. 하강 파이프 내에 폐기물이 쌓이는 경우, 또는 처리 챔버를 청소해야 하는 경우, 힌지(1034)는 폐기물이 처리 격실로 유입될 수 있게 또는 청소를 목적으로 호스가 처리 격실로 통과할 수 있게 부유판(1033)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도 10c에 도시되어 있다. 변형된 T형 연결부(93)의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위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더는 탱크에 배치되는 인서트(insert)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서트는 일반적으로 유리 섬유 또는 유사한 물질로 제조된다. 그 밖의 디바이더 구조와 물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전술한 설명으로 예시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핵심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그에 대한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파이프 직경의 많은 디바이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종래의 구조체에서는 상향식 조립이 요구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에게 위험할 수 있는 작동 중에 작업자가 탱크 내측에 있을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탱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놀리식 하강 파이프를 구비하는 분리 탱크용 디바이더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놀리식 하강 파이프를 구비하는 분리 탱크용 디바이더의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판의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어떠한 환경 조건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형 연결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그 밖의 환경 조건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형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강 파이프 연장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승 파이프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조 분리 탱크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조 분리 탱크의 평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T형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리 탱크
11 : 컨테이너
12 : 바닥벽
13 : 측벽
14 : 등급 조정부
15 : 상부벽
21 : 디바이더
22 : 바이패스 격실
23 : 처리 격실
211 : 위어부(weir)
216 : 하강 파이프 부분
217 : 상승 파이프 부분

Claims (16)

  1.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를 처리부와 바이패스부로 분리하는 디바이더로서,
    - 입구에 인접하고 바이패스부와 처리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는 제1 개구와,
    - 출구에 인접하고 처리부와 바이패스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는 제2 개구와,
    - 제1 개구 및 제2 개구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수두를 형성하는 기능을 하는 위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더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는 하강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하강 파이프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개구와 마찰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강 파이프의 제2 단부는 T형 구조체를 구비하되, 상기 T형 구조체는 상기 바이패스부 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제1 단부에서 마찰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파이프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긴 테이퍼진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파이프는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파이프의 제2 단부는 T형 구조체의 바닥에 연결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하강 파이프를 상기 디바이더의 바이패스측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탱크의 상부 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탱크의 측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디바이더의 제1 개구와 일체로 형성되고 말단부를 구비한 하강 파이프 부분을 더 포함하며, 이 하강 파이프의 제1 단부는 상기 하강 파이프 부분의 말단부와 마찰 결합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의 제2 개구와 일체로 형성된 상승 파이프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상승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승 파이프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개구에 연결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상기 상승 파이프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끼워 맞춰지게 크기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탱크.
  11.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한 탱크를 포함하는 분리 탱크용 디바이더 시스템으로서, 상기 탱크를 처리부와 바이패스부로 분리하고 그들 사이를 연통시키며,
    상기 탱크를 처리부와 바이패스부로 분할하는 디바이더와,
    탱크의 입구에 인접하고 바이패스부와 처리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는 디바이더의 제1 개구와,
    탱크의 출구에 인접하고 처리부와 바이패스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는 디바이더의 제2 개구와,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수두를 생성시키는 기능을 하는 위어부와,
    하강 파이프 조립체
    를 구비하고,
    상기 하강 파이프 조립체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하강 파이프와, 하강 파이프의 제2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T형 구조체 및 제1 개구를 덮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오리피스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강 파이프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개구에 연결될 수 있게 크기가 정해지고, 그 제2 단부는 처리부로 연장하며, 상기 T형 구조체는 제1 개구를 통과하여 끼워 맞춰질 수 있게 크기가 정해지고, 상기 오리피스판은 분리 탱크가 사용되는 환경 조건에 적합하게 크기가 정해진 중앙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의 제1 개구와 일체로 형성되고 말단부를 구비하는 하강 파이프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강 파이프의 제1 단부는 상기 하강 파이프 부분의 말단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디바이더의 제2 개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승 파이프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더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파이프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긴 테이퍼진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더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상승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승 파이프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개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상승 파이프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끼워 맞춰지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더 시스템.
KR10-2000-0026101A 2000-05-16 2000-05-16 분리 탱크 KR10051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01A KR100519212B1 (ko) 2000-05-16 2000-05-16 분리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01A KR100519212B1 (ko) 2000-05-16 2000-05-16 분리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891A KR20010104891A (ko) 2001-11-28
KR100519212B1 true KR100519212B1 (ko) 2005-10-07

Family

ID=4367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101A KR100519212B1 (ko) 2000-05-16 2000-05-16 분리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21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563Y1 (ko) * 1985-08-09 1988-07-14 금성통신 주식회사 자판기용 음료 용기 추출문
US4985148A (en) * 1990-02-08 1991-01-15 Fibresep Ltd. Improved separator tank construction
EP0711879A1 (en) * 1994-11-08 1996-05-15 Joseph Gordon Monteith Tank interceptor
JPH1037296A (ja) * 1996-04-29 1998-02-10 Stormceptor Canada Inc 遮集タンク
US5753115A (en) * 1996-07-09 1998-05-19 Stormceptor Corporation Submerged pipe separator tank
JPH10299069A (ja) * 1997-05-02 1998-11-10 Aron Kasei Co Ltd 防臭装置を備えた雨水浸透桝
US5849181A (en) * 1997-06-02 1998-12-15 Stormceptor Corporation Catch basi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563Y1 (ko) * 1985-08-09 1988-07-14 금성통신 주식회사 자판기용 음료 용기 추출문
US4985148A (en) * 1990-02-08 1991-01-15 Fibresep Ltd. Improved separator tank construction
EP0711879A1 (en) * 1994-11-08 1996-05-15 Joseph Gordon Monteith Tank interceptor
JPH1037296A (ja) * 1996-04-29 1998-02-10 Stormceptor Canada Inc 遮集タンク
US5753115A (en) * 1996-07-09 1998-05-19 Stormceptor Corporation Submerged pipe separator tank
JPH10299069A (ja) * 1997-05-02 1998-11-10 Aron Kasei Co Ltd 防臭装置を備えた雨水浸透桝
US5849181A (en) * 1997-06-02 1998-12-15 Stormceptor Corporation Catch bas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891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765A (en) Separator tank
EP0711879B1 (en) Tank interceptor
EP1667779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a fluid stream
JP5997750B2 (ja) 水処理およびバイパスシステム
JP3581233B2 (ja) 遮集タンク
US6126817A (en) Oil and debris separator
US7540953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US5753115A (en) Submerged pipe separator tank
EP3033456B1 (en) A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US20080185325A1 (en) Pollutant Trap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0519212B1 (ko) 분리 탱크
JP3107019U (ja) 油水分離槽を備えた排水路
KR200338729Y1 (ko) 배수량의 저하를 방지하는 하수구용 구조물
AU2007201784A1 (en) A filt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