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881A - 화상 보호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보호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881A
KR20060049881A KR1020050060680A KR20050060680A KR20060049881A KR 20060049881 A KR20060049881 A KR 20060049881A KR 1020050060680 A KR1020050060680 A KR 1020050060680A KR 20050060680 A KR20050060680 A KR 20050060680A KR 20060049881 A KR20060049881 A KR 2006004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tection
unit
sig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지 하기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during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within a single document or p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1Multiple cameras having overlapping views on a single scene
    • G08B13/19643Multiple cameras having overlapping views on a single scene wherein the cameras play different roles, e.g. different resolution, different camera type, master-slave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3Surveillance related processing done local to the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71Addition of non-video data, i.e. metadata, to video stream
    • G08B13/19673Addition of time stamp, i.e. time metadata, to video strea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Interfaces for setting up or customising the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6Interfaces masking personal details for privacy, e.g. blurring faces, vehicle 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8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42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transmission mode
    • H04N2201/33357Compression mode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보호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프라이버시 보호의 대상으로 지정한 화상 영역의 화상은, 다른 화상으로 치환된다. 그러므로, 사후적으로 화상 영역의 화상을 확인할 필요가 생겨도, 보호 영역 내의 화상을 확인할 수 없다.
화상 보호 장치로서, (a) 화상의 보호 기능에 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설정 상태 판정부와, (b) 보호 기능이 유효 상태인 경우, 입력 화상 중 지정된 화상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역(可逆) 부호화하고, 대응 부분의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변환시키는 보호 처리부를 가진다. 이로써, 제삼자에 의한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는 한편, 사후적으로 화상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원래의 화상으로의 복원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화상 보호 장치, 촬상 장치, 프로그램, 설정 상태 판정부, 보호 처리부

Description

화상 보호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IMAGE PROTECTION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도 1은 화상 보호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보호 영역과 보호 영역 데이터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좌표 입력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보호 처리를 가하여 전후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보호 처리의 해제 전후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복수 종류의 보호 처리 기능을 탑재하는 화상 보호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화상 신호의 입력 전환 기능을 탑재하는 화상 보호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촬상 방향의 변경에 대한 자동 설정 기능을 탑재하는 화상 보호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촬상 방향의 변경에 대한 보호 영역의 자동 추종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보호 영역의 자동 설정 기능을 탑재하는 화상 보호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보호 영역의 자동 설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시큐리티 카메라 시스템으로의 응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허문헌] 일본국 특개 2004-80669호 공보
본 발명은, 입력 화상 중 지정된 화상 영역의 화상을 선택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화상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상에 가해진 보호 처리를 해제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화상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의 입력 화상에는, 촬상 화상, 재생 화상 및 그 외의 화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상 보호 장치를 탑재한 촬상 장치로서도 실현된다. 또, 본 발명은, 화상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서도 실현된다.
현재, 방범이나 범죄 증거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여, 감시 카메라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건물, 시설, 장소로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피사체는, 사람, 동물 그 외의 생물에 한정되지 않고, 부동산이나 자연물도 포함된다.
종래 장치의 경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보호 대상으로 하는 화상 범위를 마스크 화상으로 치환한다. 마스크 화상에는, 예를 들면 흑색 패턴, 회색 패턴, 백색 패턴, 색부여 패턴, 그 외의 것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장치의 경우에는, 사건이나 사고와 관련하여 마스크 화상으로 치환된 영역의 화상을 확인하고 싶어도, 이미 원래의 화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중요한 정보의 복원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출력 측에서의 마스킹 처리는 행하지 않고, 수신측에서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즉, 원화상은 그대로 출력하고, 수신 시스템 측에서 선택적으로 지정된 범위를 마스킹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신 시스템이 선택 마스킹 기능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수신 시스템이 선택 마스킹 기능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프라이버시 보호를 실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수신 시스템이 선택 마스킹 기능에 대응하는 경우라도, 제삼자가 선택 마스킹 기능의 실행을 선택하지 않으면,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이상의 기술적 과제에 주목하고, 이하의 기술 방법을 제안한다.
즉, 화상 보호 장치로서, (a) 화상의 보호 기능에 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설정 상태 판정부와, (b) 보호 기능이 유효 상태인 경우, 입력 화상 중 지정된 화상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역(可逆) 부호화하고, 대응 부분의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변환하는 보호 처리부를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화상 보호 장치는, 복수 종류의 가역 부호화 방식을 가지고, 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합에 의해, 지정된 화상 영역을 가역 부호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화상 보호 장치는, 촬상 방향의 이동 정보에 따라, 가역 부호화하는 화상 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촬상 방향의 이동에 관계없이, 보호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에 대한 보호를 계속할 수 있다.
또, 보호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의 모션에 따라, 가역 부호화할 화상 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화면 내에서 보호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에 대한 보호를 계속할 수 있다.
또, 화상 보호 장치로서, (a) 화상의 보호 기능에 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설정 상태 판정부와, (b) 보호 기능의 해제가 지시되어 있는 경우, 입력 화상 중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가역 부호화된 화상 영역을, 가역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호화하는 보호 해제부를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복수 종류의 가역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고, 입력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가역 부호화 방식의 정보에 따라, 대응 부분의 화상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에 관한 기술 방법의 채용에 의해, 보호 대상으로 지정된 화상 영역은 부호화되고, 화상 확인을 곤란한 상태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수신 시스템의 제삼자에 의한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방법의 경우, 지정된 화상 영역의 부호화에 가역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부호화 시에 사용한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을 알아야만, 보호되고 있던 원래의 화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이 대응하지 않으면, 보호 대상으로 지정된 화상 영역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보호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발명에 관한 기술 방법을 채용하는 화상 보호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특히 도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부분에는, 해당 기술 분야의 주지 또는 공지 기술을 적용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실시예 1
(a) 장치의 구성
도 1에, 화상 보호 장치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화상 보호 장치(1)는, 설정 상태 판정부(3)와, 프라이버시 보호부(5)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7)(이하, D/A 변환부(7)라고 함)를 구성 요소로 가진다.
설정 상태 판정부(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이나 설정을 통하여, 화상의 보호가 요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디바이스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예를 들면 버튼, 스위치, GUI 그 외의 것을 사용한다. 또, 설정 정보의 기억에는, 반도체 기억 장치나 하드 디스크, 그 외의 기록 매체를 사용한다.
그리고, 설정 상태 판정부(3)는, 2종류의 판정 기능을 탑재한다. 하나는, 입력 화상에 보호를 가할 것이지 여부에 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기능이다. 다른 하나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보호를 해제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기능이다.
설정 상태 판정부(3)는, 판정 결과를 보호 기능 신호 Ssw로서 출력한다. 프라이버시 보호부(5)에 보호 처리의 실행 또는 해제를 지시하는 경우, 설정 상태 판정부(3)는, 보호 기능 신호 Ssw를 "온"상태로 제어한다. 한편, 입력 화상을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 설정 상태 판정부(3)는, 보호 기능 신호 Ssw를 "오프"상태로 제어한다.
프라이버시 보호부(5)는, 입력 화상 중 지정된 화상 영역을 처리 대상으로 하는 신호 처리 디바이스이다. 이 프라이버시 보호부(5)는, 입력 화상에 보호를 가하는 경우, 보호 처리부로서 기능하고, 입력 화상에 가해진 보호를 해제하는 경우, 보호 해제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처리 대상으로 하는 화상 영역(이하, 「보호 영역」이라고 함)은, 보호 영역 데이터 Sp에 의해 부여된다. 보호 영역 데이터 Sp는, 외부 장치나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디바이스를 통해 부여된다.
프라이버시 보호부(5)에는,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의 각각의 용도로 신호 처리부(5A) 및 (5B)가 탑재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5A) 및 (5B)는, 보호 영역에 대하여, 미리 정한 보호 처리를 선택적에 가하는 디바이스이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5A) 및 (5B)는, 보호 영역 이 외의 화상 신호(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에는 처리를 가하지 않는다.
여기서, 미리 정한 보호 처리의 실행 또는 정지는, 설정 상태 판정부(3)로부터 주어지는 보호 기능 신호 Ssw에 의해 제어된다. 보호 처리는, 화상의 보호가 요구되었을 때, 또는 보호의 해제가 요구되었을 때 실행된다.
신호 처리부(5A) 및 (5B)가 실행하는 보호 처리는, 가역 부호화 처리 또는 그 복호 처리이다.
예를 들면, 보호 처리로서, 입력 신호를 2의 보수로 치환하는 처리(포지티브/네가티브 변환 처리에 대응함),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를 치환하는 처리, 비트 위치를 교체하는 처리, 그 외의 가역 부호화 처리를 적용한다. 또, 보호 처리에는, 이들 처리를 조합한 것도 포함한다.
여기서, 비트 위치의 교체 처리에는, 예를 들면 상위 측의 수비트와 하위 측의 수비트를 교체하는 처리, 사전에 정한 셔플링 패턴에 기초한 비트 데이터의 교체 처리가 포함된다.
이들 보호 처리에 의해, 보호 영역의 화상은, 확인하는 것이 곤란한(알기 어려운 정도를 포함함) 상태로 변환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적용하는 가역 부호화 처리는,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의 치환이다. 그러므로, 신호 처리부(5A)와 신호 처리부(5B) 사이에 양방향의 화살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5A) 및 (5B)가 사용하는 가역 부호화 처리는 미리 정해져 있고, 대응하는 처리 디바이스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D/A 변환부(7)는, 프라이버시 보호부(5)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 형식의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는 디바이스이다. 무엇보다, 보호 처리가 가해진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 형식인 채 출력하는 경우에는, D/A 변환부(7)를 탑재할 필요는 없다. 도 1은, 2종류의 신호 형식에 대응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프라이버시 보호부(5)와 D/A 변환부(7)에는, 동기 펄스가 부여된다.
도 2에, 보호 영역을 부여하는 보호 영역 데이터 Sp를 부여하는 2점을 예시한다. 도 2는, 화상 보호 장치(1)의 출력 신호를 모니터 상에 표시한 화면예에 대응한다.
보호 영역 데이터 Sp는, 보호 영역(11)의 스타트점(13)과, 그 대각(對角) 좌표인 엔드점(15)에서 부여된다.
보호 영역의 지정에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좌표 입력 장치를 사용한다. 마우스(21)를 통한 포인터의 위치 정보는, 위치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된다. 위치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된 포인터의 위치 정보는, 모니터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위치 검출부(23)는, 수평 방향 도트 카운터(23A), 수직 라인 카운터(23B), 위치 입력부(23C)로 구성된다.
수평 방향 도트 카운터(23A)는, 마우스의 X 방향으로의 이동을 펄스의 계수에 의해 검출하는 카운터이다. 수직 라인 카운터(23B)는, 마우스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펄스의 계수에 의해 검출하는 카운터이다. 위치 입력부(23C)는, 스위치(21A)의 클릭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이다.
보호 영역(11)의 지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한다. 먼저, 조작자가 화면 상의 포인터를 스타트점(13)으로서 사용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스위치(21A)를 클릭한다. 스위치(21A)의 클릭은, 위치 입력부(23C)에 의해 검출된다. 위치 입력부(23C)는, 그 시점의 X 좌표와 Y 좌표를 2개의 카운터를 통해 특정한다.
다음에, 조작자는, 스위치(21A)를 클릭한 채로 포인터를 대각 방향으로 이동하고, 엔드점으로서 사용하는 위치에서 클릭 상태를 정지한다. 스위치(21A)의 클릭을 정지한 위치는, 위치 입력부(23C)에 의해 검출된다. 위치 입력부(23C)는, 그 시점의 X 좌표와 Y 좌표를 2개의 카운터를 통해 특정한다.
이들 조작을 통하여, 보호 영역이 지정된다. 그리고, 최초에 엔드점을 지정하고, 다음에 스타트점을 지정하여도 된다. 또, 좌측 코너의 위치와 우측 상부 코너의 위치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들 좌표값을 기초로, 스타트점과 엔드점의 좌표값을 산출하면 된다.
(b) 처리 동작
도 4에, 화상 보호 장치(1)를 사용한 보호 처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촬상 카메라로 촬상된 화상 신호가 화상 보호 장치(1)에 입력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보호 영역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 (a)는, 보호 처리를 가하지 않은 경우의 화면예이다. 이 경우, 보호 기능 신호 Ssw는 "온"상태이다.
보호 기능 신호 Ssw는, 설정 상태 판정부(3)를 통해 프라이버시 보호부(5)에 주어지고, 프라이버시 보호부(5)의 처리 동작을 규정한다. 즉, 프라이버시 보호부(5)는, 촬상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를 입력시대로 출력한다.
도 4 (B)는, 보호 처리를 가하는 경우의 화면예이다. 이 경우, 보호 기능 신호 Ssw는 "오프"상태이다.
보호 기능 신호 Ssw는, 설정 상태 판정부(3)를 통해 프라이버시 보호부(5)에 주어지고, 프라이버시 보호부(5)의 처리 동작을 규정한다. 이 경우, 프라이버시 보호부(5)는, 보호 영역 데이터 Sp로 지정된 보호 영역(31)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입력되면, 그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를 교체하여 출력한다.
이 때, 원화상의 정보는, 위치가 교체되어 있을 뿐이며, 정보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단,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의 교체에 의해,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영역 내의 화상의 상세를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보호 영역 이외의 화상 부분은, 입력시대로 출력된다.
다음에, 보호 처리가 가해진 화상 신호가 화상 보호 장치(1)에 입력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B)가, 보호 처리를 해제하지 않는 경우의 화면예로 된다. 이 경우, 보호 기능 신호 Ssw는 "오프"상태이다.
보호 기능 신호 Ssw는, 설정 상태 판정부(3)를 통해 프라이버시 보호부(5)에 주어지고, 프라이버시 보호부(5)의 처리 동작이 규정된다. 즉, 프라이버시 보호부 (5)는, 촬상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를 입력시대로 출력한다. 따라서, 보호 처리가 가해져 있는 보호 영역(31)의 화상은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인 채이다.
도 5 (B)가, 보호 처리를 해제한 경우의 화면예로 된다. 이 경우, 보호 기능 신호 Ssw는 "온"상태이다.
보호 기능 신호 Ssw는, 설정 상태 판정부(3)를 통해 프라이버시 보호부(5)에 주어지고, 프라이버시 보호부(5)의 처리 동작이 규정된다. 즉, 프라이버시 보호부(5)는, 보호 영역 데이터 Sp로 지정된 보호 영역(31)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입력되면, 그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를 교체하여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원래의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가 복원되어 보호 영역(31)의 화상 확인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보호 처리의 해제시에, 보호 영역 데이터 Sp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 프라이버시 보호부(5)는 화면 전체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를 교체하여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도 5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영역(31)의 화상만이 확인 가능해지고, 다른 화상 영역은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변환된다.
또, 보호 처리의 해제에 사용하는 가역 부호화 방법이, 보호 처리를 가할 때 사용한 화상 보호 장치의 가역 부호화 방법과 상이한 한, 도 5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영역(31)의 화상은 정상적인 화상으로 복원할 수가 없다.
또, 보호 처리의 해제 기능을 탑재하지 않는 화상 처리 장치의 경우에는, 보 호 처리의 해제 처리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호 처리가 가해진 화상 신호가 잘못 유출된 경우라도 화상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c) 효과
이상과 같이, 보호 영역의 보호에 가역 부호화 기술을 적용한 것에 의해, 보호 영역에 사후적으로 확인하고 싶은 사상(事象)이 발생한 경우라도, 적절한 복호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화상을 완전하게 복원할 수 있다.
또, 이 보호 처리의 경우에는, 보호 영역에 변조가 가해지므로, 잘못 제삼자에게 유출된 경우라도, 화상의 내용이 확인될 우려가 없다.
또, 보호 처리를 가했을 때의 부호화 방법을 알 수 없는 한, 제삼자가 자유롭게 화상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프라이버시의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B) 실시예 2
(a) 장치의 구성
도 6에, 화상 보호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6에는, 도 1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화상 보호 장치(41)는, 설정 상태 판정부(3)와, 프라이버시 보호부(43)와, D/A 변환부(7)를 구성 요소로 가진다. 즉, 프라이버시 보호부(43) 이외의 구성은, 도 1의 경우와 같다. 이하에서는, 프라이버시 보호부(43)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라이버시 보호부(43)는, 복수개의 보호 처리에 대응하고,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보호 처리를 실행하는 점에서, 전술한 프라이버시 보호부 (5)와 다르게 하고 있다. 이 프라이버시 보호부(43)는, 포지티브/네가티브 변환 처리,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의 치환 처리, 비트 위치의 치환 처리, 그 조합 처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프라이버시 보호부(43)에는, 이들 복수개의 가역 부호화 방식에 대응한 복수개의 처리 디바이스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처리 디바이스는,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부(43A)와 (43B)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프라이버시 보호부(43)에는, 이들 복수개의 처리 디바이스에 의한 처리를, 방식 선택 신호 Sse11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방식 선택 신호 Sse11은, 외부 장치나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디바이스를 통해 부여된다.
여기서, 보호 처리에 사용하는 가역 부호화 방식은,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방식이라도 된다. 이 선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할 수도 있고, 화상 보호 장치(41) 내에 준비한 난수(亂數) 발생기를 통해 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 처리는, 선택한 부호화 방식을 고정적으로 사용해도 되고, 부호화 방식을 몇번이라도 전환해도 된다.
또, 전환 타이밍에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전환하는 방법(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이밍을 지정하는 경우를 포함함), 정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또, 사용하는 부호화 방식의 선택 방법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하 는 방법, 랜덤으로 전환하는 방법, 미리 정해진 순서로 전환하는 방법, 그 외의 것이 있다.
그리고, 부호화 방식을 랜덤으로 전환하는 경우, 방식 선택 신호 Sse11는, 난수 발생기가 발생하는 난수를 통해 주어진다. 난수에는 유사 난수를 포함한다.
프라이버시 보호부(43)는, 이들 방법에 의해 전환 부호화 방식의 이력을 처리한 화상 신호의 관리 정보(메타 데이터)로서 관리 정보 메모리에 보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복호시에는,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부호화 시와 같은 부호화 방식에 의한 화상의 보호를 해제 가능하다.
또, 이 관리 정보는 필요에 따라 판독하고, 다른 화상 보호 장치에 의한 복호 처리에 사용해도 된다. 이 구조의 채용에 의해, 화상의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b) 효과
이상과 같이, 화상의 보호 처리에 사용하는 가역 부호화 방식을 복수개 준비함으로써, 화상의 복호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프라이버시의 보호 기능을 높일 수 있다.
(C) 실시예 3
(a) 장치의 구성
도 7에, 화상 보호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7에는, 도 1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화상 보호 장치(51)는, 설정 상태 판정부(3)와, 프라이버시 보호부(5)와, D/A 변환부(7)와, 데이터 기억 장치(53)와, 입력 선택 스위치(55, 57, 59)로 구성된다. 즉, 데이터 기억 장치(53)와, 입력 선택 스위치(55, 57, 59) 이외의 구성은, 도 1의 경우와 같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기억 장치(53)와, 입력 선택 스위치(55, 57, 59)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기억 장치(53)는, 프라이버시 보호부(5)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기억 매체에 보존하는 기억 디바이스이다.
즉, 보호 영역에 보호 처리가 가해져 있는 화상 신호와, 보호 영역에 보호 처리가 가해져 있지 않은 또는 보호 처리가 해제된 화상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보존되는 기억 디바이스이다.
그리고, 화상 신호의 보존은, 동기 펄스에 동기하여 실행된다. 또, 화상 신호와 함께 보호 영역 데이터 Sp도 보존된다. 또, 복호시의 검색용으로 기록 일시, 그 외의 관리 정보도 동시에 보존된다.
기억 매체에는,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그 외의 자기 기록 매체, 광학적으로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의 광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그 외의 각종 미디어가 사용된다.
그리고, 기억 매체는 화상 보호 장치(51)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해도 된다. 물론, 기억 매체는, 내부 기억 장치라도 된다. 또, 기억 매체는, 화상 보호 장치(51)와 외부 접속된 외부 기억 장치에 탑재된 것이라도 된다.
입력 선택 스위치(55)는, 휘도 신호 Vy의 입력 전환용의 스위치이다. 여기서는, 주신호계의 휘도 신호 Vy와 재생계의 휘도 신호 Vy(PB)의 전환에 사용된다.
입력 선택 스위치(57)는, 색신호 Vc의 입력 전환용의 스위치이다. 여기서는, 주신호계의 색신호 Vc와 재생계의 색신호 Vc(PB)의 전환에 사용된다.
입력 선택 스위치(59)는, 보호 영역 데이터 Sp의 입력 전환용의 스위치이다. 여기서는, 외부 입력 또는 장치 내의 설정에 따른 보호 영역 데이터 Sp와 화상 신호와 함께 재생된 보호 영역 데이터 Sp(PB)의 전환에 사용된다.
그리고, 이들 입력 선택 스위치(55, 57) 및 (59)의 전환은, 주신호계와 재생계로 입력을 전환하는 입력 전환 신호 Sse12에 의해 실현된다.
(b) 처리 동작
이어서, 이 실시예의 처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입력 전환 신호 Sse12가 주신호계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즉, 보호 기능 신호 Ssw에 따라 주신호계로부터 입력되는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에 대한 보호 처리(해제 처리를 포함함)가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그리고, 보호 영역에 보호 처리가 가해지는 경우에는, 화상 신호와 함께 보호 영역 데이터 Sp가 데이터 기억 장치(53)에 기억된다. 한편, 보호 영역에 보호 처리가 가해지지 않은 경우나 보호 처리가 해제된 경우에는, 화상 신호만이 데이터 기억 장치(53)에 기억된다.
다음에, 입력 전환 신호 Sse12가 재생계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재생 어드레스로 특정된 위치의 재생 휘도 신호 Vy(PB), 재생 색신호 Vc(PB) 및 보호 영역 데이터 Sp(PB)가 데이터 기억 장치(53)로부터 판독되고, 입력 선택 스위치(55, 57) 및 (59)를 통해 프라이버시 보호부(5)에 입력된다.
입력된 재생 휘도 신호 Vy(PB) 및 재생 색신호 Vc(PB)에 대한 보호 처리의 내용은, 실시예 1과 같다. 예를 들면, 보호 처리의 추가나 보호 처리의 해제를 실현할 수 있다. 물론, 입력된 화상 신호를 입력시대로 출력할 수도 있다.
(c) 효과
이상과 같이, 처리 대상으로 하는 화상 신호를 주신호계와 재생계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화상에 대한 보호 처리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보호 영역의 위치를 몇번이라도 조정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면, 보호 영역의 편집 기능을 탑재하는 화상 보호 장치에 매우 바람직하다.
(D) 실시예 4
도 8에, 화상 보호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8에는, 도 7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화상 보호 장치(61)는, 실시예 3의 구성에, 보호 영역의 자동 추종 기능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 실시예에 특유의 구성인 보호 영역 추종부(63)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호 영역 추종부(63)는, 촬상 방향의 변경(이른바, 팬/틸트)에 추종하여, 보호 영역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기 위한 처리 디바이스이다.
도 9에, 그 추종 동작을 나타낸다. 도 9에서는, 촬상 중인 촬상 방향의 이 동을 굵은 화살표로 나타낸다. 또, 이동전의 보호 영역(71)의 위치를 파선(破線)으로 나타내고, 이동 후의 보호 영역(71)의 위치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보호 영역(71)의 이동을 가는 화살표로 나타낸다.
2개의 화살표를 보고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영역 추종부(63)는, 촬상 방향의 이동과는 반대 방향으로 보호 영역(71)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것은, 보호 대상이 촬상 방향의 이동에 의해 화면 중앙으로부터 화면 코너로 상대 이동하기 위해서이다.
보호 영역 추종부(63)는, 보호 영역 데이터 Sp와 촬상 방향의 변경 정보 Sm를 입력하고, 보호 영역의 위치를 변경한 보호 영역 데이터 Sp'를 생성한다. 여기서, 변경 정보 Sm는, 촬상시의 촬상 방향이 단위시간에 이동한 방향과 이동량을 부여하는 정보이다. 변경 후의 보호 영역 데이터 Sp'는, 입력 선택 스위치(59)의 한쪽 입력 단자에 주어진다.
(b) 효과
이상과 같이, 보호 영역의 자동 추종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보호 영역의 설정 후에 촬상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것에 추종하여 보호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보호 영역을 재설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E) 실시예 5
도 10에, 화상 보호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0에도, 도 7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화상 보호 장치(81)는, 실시예 3의 구성에, 보호 영역의 자동 설정 기능을 추가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 실시예에 특유의 구성인 보호 영역 설정부(83)에 대하여 설명하는 보호 영역 설정부(83)는, 화면 내에서 모션이 있는 영역을 보호 영역에 자동 설정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 디바이스이다. 보호 영역 설정부(83)는, 모션 검출부(83A)와, 프레임 메모리(83B)와, 모션 좌표 추출부(83C)를 구성 요소로 한다.
여기서, 모션 검출부(83A)에는, 입력 선택 스위치(55, 57)에 의해 선택된 휘도 신호 Vy(Vy(PB))와 색신호 Vc(Vc(PB))가 입력된다. 모션 검출부(83A)는, 이들 신호와, 프레임 메모리(83B)에 저장되어 있는 수 프레임 분의 신호를 비교하고, 모션이 있는 영역 부분을 검출한다. 검출 결과는, 모션 좌표 추출부(83C)에 주어진다.
그리고, 판단 기준에 따라 모션이 있는 영역 부분으로서 검출되는 범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벡터의 임계값을 크게 하면, 비교적 큰 모션이 있는 영역 부분만을 검출할 수 있다.
모션 좌표 추출부(83C)는, 검출된 영역 부분의 좌표를 구하고, 이것을 보호 영역 데이터 Sp"로 한다. 모션 좌표 추출부(83C)에 의해 생성된 보호 영역 데이터 Sp"는, 입력 선택 스위치(59)의 하나의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 선택 스위치(59)에 의한 입력 단자의 전환은, 주신호계와 재생계와 자동 설정계의 3개로 입력을 전환하는 입력 전환 신호 Sse13에 의해 실현된다.
도 11에, 이 보호 영역 설정부(83)를 사용하는 경우의 보호 영역의 설정예를 나타낸다. 도 11 (A)는, 모션이 있는 복수개의 영역 부분이 보호 영역(91)으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11(B)는,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보호 영역(91)이 추종하도록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b) 효과
이상과 같이, 모션이 있는 영역 부분을 자동적으로 보호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모션이 있는 피사체를 보호할 때의 작업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피사체의 모션에 따라 보호 영역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F) 시스템 예
도 12에, 이상 설명한 화상 보호 장치의 응용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화상 보호 장치의 시큐리티 카메라 시스템(101)으로의 응용예를 나타낸다.
시큐리티 카메라 시스템(101)은, 네트워크(103)에, 촬상 화상의 송신측 시스템(촬상 카메라(105, 107, 109) 및 화상 처리 장치(111)과 촬상 화상의 수신측 시스템(기억 장치(113) 및 모니터(115))를 접속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촬상 카메라(105)는, 프론트 엔드 신호 처리부(105A)와, 화상 보호 장치(1)와, 송신부(105B)를 상자체 내에 저장한 장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촬상 카메라(105)로 촬상된 화상 신호에는 전술한 보호 처리가 가해져, 네트워크(103)에 송신된다.
또, 촬상 카메라(107)는, 프론트 엔드 신호 처리부(107A)와, 화상 보호 장치(51)와, 송신부(107B)를 상자체 내에 저장한 장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역시, 촬상 카메라(107)와, 촬상된 화상 신호에는 전술한 보호 처리가 가해져, 네트워크 (103)에 송신된다.
또, 촬상 카메라(109)는, 프론트 엔드 신호 처리부(109A)와 송신부(109B)를 상자체 내에 저장한 장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촬상 카메라(109)는, 화상 보호 장치를 탑재하고 있지 않지만, 그 후단에 화상 처리 장치(111)가 접속되어 있고, 그 내부에 화상 보호 장치(61)와 (81)이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103)에는, 보호 처리가 가해진 화상 신호가 송신된다.
그리고, 이들 화상 신호 중 어떤 것은, 네트워크(103)를 통해 접속된 기억 장치(113)에 축적되고, 또 어떤 것은 모니터(115)에 표시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으로 함으로써, 프라이버시가 높은 화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라도, 프라이버시나 비밀을 지킬 수 있다.
(F) 다른 실시예
(a)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를 화상 신호로서 입력했지만, RGB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역 부호화 처리에 있어서, R(적색)신호, G(녹색)신호, B(청색)신호를 교체하거나 색차 신호를 교체해도 된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설명한 신호 형식으로 변환한 다음,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적용해도 된다. 물론, 휘도 신호 Vy와 색신호 Vc를 RGB 신호의 형식으로 변경하고, 또는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의 형식으로 변경해도 된다.
(b)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호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 디바이스가 프라이버시 보호부(5)에 하드웨어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대 응하는 보호 처리를 소프트 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된다. 이 경우, 보호 처리에 사용하는 처리 모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된다.
(c)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호 영역 데이터 Sp를 보호 영역의 지정에 사용하였으나, 비보호 영역의 지정에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보호 영역 데이터 Sp로 지정된 영역을 제외하는 영역이 보호 영역으로 된다.
(d)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보호 장치를 시큐리티 카메라 시스템에 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방송 시스템, 통신 시스템의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송신측 시스템에만 화상 보호 장치를 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수신측 시스템에 화상 보호 장치를 탑재할 수도 있다.
(f)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호 처리에 사용한 가역 부호화 방식의 정보는 화상 보호 장치 내에 유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화상 신호와 함께 출력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부호화 시와는 상이한 화상 보호 장치에 의해서도 보호 처리의 해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제한에서의 보호 처리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인증을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모션 검출부(83A)에 의해 검출된 모션이 있는 부분 영역을 보호 영역으로 설정했지만, 모션 검출부(83A)에 의해 검출된 모션 벡터에 따라 보호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채용해도, 보호 대상의 이동에 추종하도록 보호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h)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보호 장치를 촬상 카메라에 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화상 처리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에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인쇄 장치,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게임기기, 스캐너, 휴대 정보 단말기(휴대형의 컴퓨터, 휴대 전화기, 휴대형 게임기, 전자 서적 등), 시계, 화상 재생 장치(예를 들면, 광디스크 장치, 홈 서버), 모니터, 텔레비전 수상기, 발명에 관한 기능을 탑재한 처리 보드나 처리 카드에도 탑재할 수 있다.
어느 화상 처리 장치도, 상자체와, 신호 처리부와, 외부 인터페이스를 공통 구성으로 하고, 상품 형태에 따른 주변 장치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이면,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카메라 유닛이나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보존하기 위한 기록 회로를 가진다.
또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그 외의 통신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기이면,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송수신 회로나 안테나를 가진다.
(i) 전술한 실시예에는,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의 기재에 따라 창작되는 각종의 변형예 및 응용예도 생각할 수 있다.
발명에 관한 기술 방법의 채용에 의해, 보호 대상으로 지정된 화상 영역은 부호화되어,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수신 시스템의 제삼자에 의한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방법의 경우, 지정된 화상 영역의 부호화에 가역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부호화 시에 사용한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을 알아야만, 보호되고 있던 원래의 화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이 대응하지 않으면, 보호 대상으로 지정된 화상 영역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보호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화상의 보호 기능에 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설정 상태 판정부와,
    상기 보호 기능이 유효 상태인 경우, 입력 화상 중 지정된 화상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역(可逆) 부호화하고, 대응 부분의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변환하는 보호 처리부
    를 구비한 화상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처리부는, 복수 종류의 가역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고, 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합에 의해, 지정된 화상 영역을 가역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처리부는, 선택적으로 사용한 가역 부호화 방식의 정보를 화상 신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촬상 방향의 이동 정보를 취득하는 이동 정보 취득부와,
    취득된 이동 정보에 따라, 보호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에 추종하도록 상기 가 역 부호화하는 화상 영역을 이동시키는 부호화 영역 이동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보호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의 모션을 검출하는 모션 검출부와,
    취득된 이동 정보에 따라, 보호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에 추종하도록 상기 가역 부호화하는 화상 영역을 이동시키는 부호화 영역 이동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보호 장치.
  6. 화상의 보호 기능에 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설정 상태 판정부와,
    상기 보호 기능의 해제가 지시되어 있는 경우, 입력 화상 중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가역 부호화된 화상 영역을 가역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호화하는 보호 해제부
    를 구비한 화상 보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해제부는, 복수 종류의 가역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고, 입력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가역 부호화 방식의 정보에 따라 대응 부분의 화상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보호 장치.
  8. 촬상 화상을 화상 신호의 형식으로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와,
    화상의 보호 기능에 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설정 상태 판정부와,
    상기 보호 기능이 유효 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 출력부로부터의 입력 화상 중 지정된 화상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역 부호화하고, 대응 부분의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변환시키는 보호 처리부
    를 구비한, 보호 기능이 부가된 촬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화상의 보호 기능에 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설정 상태 판정부와,
    상기 보호 기능의 해제가 지시되어 있는 경우, 입력 화상 중 보호 영역을 선택적으로 복호화하고, 대응 부분의 화상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보호 해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기능이 부가된 촬상 장치.
  10. 화상의 보호 기능에 관한 설정 상태를 판정하는 처리와,
    상기 보호 기능이 유효 상태인 경우, 입력 화상 중 지정된 화상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역 부호화하고, 대응 부분의 화상 확인이 곤란한 상태로 변환시키는 처리
    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050060680A 2004-07-07 2005-07-06 화상 보호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KR20060049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9944 2004-07-07
JP2004199944A JP2006025060A (ja) 2004-07-07 2004-07-07 画像保護装置、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881A true KR20060049881A (ko) 2006-05-19

Family

ID=3510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680A KR20060049881A (ko) 2004-07-07 2005-07-06 화상 보호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08157A1 (ko)
EP (1) EP1615186A3 (ko)
JP (1) JP2006025060A (ko)
KR (1) KR20060049881A (ko)
CN (1) CN1003842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147A (ja) * 2006-08-28 2008-03-06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A2737610C (en) 2008-09-26 2016-10-11 Thomson Licensing Collusion resistant watermarking generation method
JP5701007B2 (ja) * 2010-10-19 2015-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装置の制御方法
JP5791256B2 (ja) * 2010-10-21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JP5871485B2 (ja) * 2011-05-17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329324A3 (en) * 2016-10-14 2024-05-01 Genetec Inc. Masking in video strea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9926B1 (en) * 2000-02-17 2003-01-21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Surveillance apparatus for camera surveillance system
AU2001253563A1 (en) * 2000-04-18 2001-10-30 Rtimage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lossless progressive streaming of imag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2281486A (ja) * 2001-03-16 2002-09-27 Dd Marketing:Kk 画像取得システム
ES2538804T3 (es) 2001-06-15 2015-06-24 L-1 Identity Solutions Ag Método para convertir en irreconocibles y restaurar contenidos de una imagen
WO2003010728A1 (en) * 2001-07-24 2003-02-06 Koninklijke Kpn N.V. Method and system and data source for processing of image data
JP2003319158A (ja) * 2002-04-18 2003-11-07 Toshiyuki Tani 画像処理システム
US8752197B2 (en) 2002-06-18 2014-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lication independent system, method, and architecture for privacy protection, enhancement, control, and accountability in imaging service systems
JP3966461B2 (ja) * 2002-08-09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カメラ装置
JP3770859B2 (ja) 2002-08-22 2006-04-2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監視カメラ装置
KR100408921B1 (en) * 2003-06-03 2003-12-11 Picaso Info Comm Co Ltd Image security system for protecting privacy and method therefor
US20050270372A1 (en) * 2004-06-02 2005-12-08 Henninger Paul E Iii On-screen display and privacy mask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5186A2 (en) 2006-01-11
US20060008157A1 (en) 2006-01-12
JP2006025060A (ja) 2006-01-26
CN100384219C (zh) 2008-04-23
EP1615186A3 (en) 2007-11-21
CN1750597A (zh)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09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compatible video scrambling
KR20060049881A (ko) 화상 보호 장치,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JP3770859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0877747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KR960700605A (ko) 텔레비젼 프로그램 흐름 트랙장치 및 그 방법(video facility management system)
CA2372110A1 (en) A system for digitally capturing and recording panoramic images
CN103051834A (zh) 信息处理设备、显示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CN112585605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终端装置和信息处理装置
CN111294543A (zh) 一种针对视频监控拍照防护的系统和方法
JP4487660B2 (ja) 画像保護装置及び撮像装置
US11158024B2 (en) Configuring alpha channel video based on display settings
JP2005094443A (ja) 監視システム
JP2005323007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CN114531528B (zh) 用于视频处理的方法和图像处理设备
CN11124781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无人机、眼镜设备及存储介质
CA225272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compatible video scrambling
AU7141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compatible video fingerprinting
KR100408827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녹화 장치 및 방법
CN112399148B (zh) 基于虚拟三维场景的虚拟监控方法及装置
KR100489717B1 (ko) 압축호환가능한비디오스크램블링을위한방법및장치
JP2001245278A (ja) 監視装置及び方法
Zhang et al. ‘Window of visibility’inspired security lighting system
JP200033261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918886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20467A (ja) Tv会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