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252A - 혈관 갈림증 치료용 신규 스텐트 - Google Patents

혈관 갈림증 치료용 신규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252A
KR20060048252A KR1020050048752A KR20050048752A KR20060048252A KR 20060048252 A KR20060048252 A KR 20060048252A KR 1020050048752 A KR1020050048752 A KR 1020050048752A KR 20050048752 A KR20050048752 A KR 20050048752A KR 20060048252 A KR20060048252 A KR 2006004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extensions
vessel
arm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씨 매저케이크
매튜 크레버
진 에스 박
로버트 에스 버저마이스터
하이크메트 호제이베인
마틴 비 리언
Original Assignee
코디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디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디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4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6Single tubular stent with a side portal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1Ostial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33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phase between adjacent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8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pe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부(proximal)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를 갖고 기부 말단과 말초 말단 사이에 중간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배열의 격자를 포함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격자는 주름진 상태에서 팽창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고, 다수의 인접 후프(hoop)를 갖는다. 각 후프는 다수의 인접 루프를 갖는다. 추가로, 당해 스텐트는 인접 후프를 연결하는 다수의 브릿지 및 격자 상에 다수의 확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후프 및 브릿지 각각은 셀을 이룬다. 격자의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셀을 갖고, 격자의 중간부는 하나 이상의 셀을 갖는다. 다수의 확장부는 격자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다수의 확장부는 격자의 브릿지 및/또는 후프로부터의 캔틸레버식 돌출부이다. 다수의 확장부는 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고, 예를 들어,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브릿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고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후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다.
스텐트, 혈관 갈림증, 기부 말단부, 말초 말단부, 격자

Description

혈관 갈림증 치료용 신규 스텐트{Novel stent for treatment of a bifurcated vessel}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특별히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의 추가의 목적 및 이점과 함께, 구조 및 작동 방법에 대한 본 발명 자체는 첨부되는 도면과 결부하여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최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주름진 상태의 폐쇄 셀 도안의 종래 기술 스텐트의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연마 제조 단계에 도움이 되는 배열의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 스텐트의 단면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주름진 상태의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 스텐트의 단면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d는 팽창된 상태의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 스텐트의 단면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연마 제조 단계에 도움이 되는 배열의 개방 셀 도안의 종래 기술 스텐트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주름진 상태의 도 2a에 도시된 종래 기술 스텐트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팽창된 상태의 도 2a에 도시된 종래 기술 스텐트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방된 영역 중심부 및 하나 이상의 확장부를 갖는 폐쇄 셀 도안으로서의 스텐트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 3a에 도시된 스텐트의 확대된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셀 팽창 수술 후 분리된 도 3a에 도시된 스텐트의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르는, 셀 팽창 수술 후 주혈관 중의 도 3a에 도시된 스텐트의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르는, 주혈관 및 분지 혈관 중의 도 3a에 도시된 스텐트의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나의 개방 영역 중심부 및 하나 이상의 확장부를 갖는 개방 셀 도안으로서의 스텐트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 4a에 도시된 스텐트의 확대된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셀 팽창 수술 후 분리되는 도 4a에 도시된 스텐트의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르는, 셀 팽창 수술 후 주혈관 중의 도 4a에 도시된 스 텐트의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르는, 주혈관 및 분지 혈관 중의 도 4a에 도시된 스텐트의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가출원 제10/373,489호(2003년 2월 25일)의 부분 연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내강내 의학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불균일한 종축 패턴을 가져서 도안에서 중심부가 기부(proximal) 및 말초부보다 더욱 개방될 뿐만 아니라 혈관 피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지 혈관의 구멍을 지지하여 부합시키고 분지 혈관을 수용하기 위한 변형가능한 지주를 갖는 신규하고 유용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는 폐쇄를 경감시키기 위해 도관의 내강 내부 왼쪽에 관형 구조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스텐트는 내강에 비팽창된 형태로 삽입된 후, 원래 장소에서 자율적으로(또는 제2 장치의 도움으로) 팽창된다. 협착증을 경감시키기 위한 혈관형성술 과정과 같은 관상동맥 과정에 사용될 경우, 스텐트는 대퇴동맥을 통해 경피로 배치시킨다. 이러한 형태의 과정에서, 스텐트는 카테터로 인도되어 자체 팽창되거나, 대부분의 경우, 벌룬에 의해 팽창된다. 자체 팽창성 스텐 트는 벌룬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스텐트는 본질적으로 일정한 방사상 지지체를 나타내는 스프링형 또는 초탄성 특성을 갖는 금속(즉, 니티놀)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자체 팽창성 스텐트는 또한 피부에 밀접한 혈관(즉, 경동맥) 또는 많은 이동을 경험할 수 있는 혈관(즉, 오금동맥)에 흔히 사용된다. 천연 탄성 반동에 기인하여, 자체 팽창성 스텐트는 압력 또는 이동에 내성이 있고 이들의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벌룬 팽창된 스텐트의 통상적인 팽창 방법은 협착 혈관 또는 신체 통로 내에서 팽창된 카테터 장착된 혈관형성술 벌룬을 사용하여 수행하여 혈관벽 성분과 관련된 폐쇄를 전단변형시키고 붕괴시키고 확대된 내강을 수득한다.
벌룬 팽창성 스텐트는 장치를 혈관형성술 벌룬 위에서 주름지게 함을 포함한다. 벌룬이 팽창할때 스텐트는 형상을 취하여 벌룬 및 전달 시스템이 수축되어 제거될 경우 적소에 잔류한다.
또한, 벌룬 팽창성 스텐트는 예비고정되거나 고정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예비고정된 시스템은 벌룬 상에서 이미 주름진 스텐트를 갖는 반면, 고정되지 않은 시스템은 의사로 하여금 어떤 조합 상태의 장치(카테터 및 스텐트)를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과정에서, 스텐트는 먼저 벌룬 카테터 상의 혈관에 삽입된다. 이어서, 벌룬을 팽창시켜 스텐트가 팽창하도록 하고 혈관벽을 압착시킨다. 스텐트를 팽창시킨 후, 벌룬을 수축시키고 카테터와 함께 혈관으로부터 회수한다. 벌룬이 회수되면, 스텐트는 영구적으로 적소에 잔류하여 혈관을 개방된 채로 유지시키고 혈류를 개선시킨다.
따라서, 분지 혈관의 존재는 지난 10년 동안 혈관형성술 전략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혈관형성술 과정의 반 이상이 분지 혈관을 위험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적인 생각이다. 측쇄의 존재로 또한 절차가 더 복잡해질 수 있다. 관상동맥 혈관형성술 동안 측쇄의 폐쇄율은 혈관의 임상적 및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3 내지 15%이다. 스텐트는 선택 상황 및 응급조치 상황 둘 다에서 분지 혈관을 통하는 유동성을 개선시키거나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스텐트 막힘"이란 개념은 구멍이 피복되고 줄기 혈관 스텐팅으로 접근불가능하게 될 경우의 분지 혈관의 감금으로서 기술된다.
지금까지, 스텐트 막힘 문제를 뚜렷하거나 기록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피할 수 있는 적당한 스텐트 도안 또는 갈라진 혈관을 스텐팅하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신규한 스텐트 및 신규한 사용 방법으로 이러한 스텐트 막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스텐트 및 혈관내의 갈림 병변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는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를 갖고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 사이에 중간부를 갖는 실질 적으로 원통형 배열의 격자를 포함한다. 당해 격자는 주름진 상태에서 팽창된 상태로 이동가능하다. 당해 격자는 또한 각각의 후프가 다수의 인접 루프를 갖는 다수의 인접 후프를 갖는다. 다수의 브릿지는 인접 후프를 연결시킨다. 추가로, 다수의 확장부가 격자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한다. 후프 및 확장부 각각은 셀을 이룬다. 또한, 격자의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셀을 갖고, 격자의 중간부는 다수의 변형가능한 확장부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셀을 갖는다.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은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 각각의 인접 후프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배치된 인접 후프 사이에 배치된다.
다수의 확장부는 격자의 브릿지로부터의 캔틸레버식 돌출부이다. 또한, 다수의 확장부는 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텐트의 외경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브릿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후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는 갈림부를 종결시키는 중심 암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를 포함한다. 추가로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확장부는 갈림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는 갈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 및 제1 아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부 양태에서, 제1 아암의 길이는 제2의 아암보다 짧거나, 이와 반대, 즉 제1 아암의 길이가 제2 아암보다 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는 격자의 하나 이상의 부분 위에 약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양태에서, 스텐트는 격자의 하나 이상의 부분 위에 약물 및 중합체 배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적합한 약물의 예는 라파마이신, 파클리탁셀 및 본원 설명에서 이후 기술되는 다수의 기타 약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는 각종 물질로 제조된다. 스텐트를 위한 하나의 물질은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금속 합금이다. 스텐트를 위한 다른 물질은 NiTi와 같은 초탄성 합금을 포함하는 초탄성 물질이다. 기타 물질은 코발트-크롬(L605)과 같은 코발트계 합금을 포함한다.
스텐트의 조성물을 위한 또다른 적합한 물질은 중합체성 물질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부 양태에서, 스텐트는 생물분해성 중합체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혈관내의 갈림 병변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나의 양태에서, 주 혈관 및 주 혈관으로부터 연장되는 분지 혈관을 갖는 혈관 갈림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주 혈관에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를 갖고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 사이에 중간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배열의 격자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주혈관 중의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여기서, 격자는 주름진 상태에서 팽창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고, 각각의 후프가 다수의 인접 루프를 갖는 다수의 인접 후프, 인접 후프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브릿지 및 다수의 확장부(이때, 각각의 후프 및 브릿지는 셀을 이룬다) 를 갖고,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셀을 갖고,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은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의 인접 후프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인접 후프 사이에 배치되며 변형가능한 다수의 확장부를 갖는다];
분지 혈관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중간부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분지 혈관의 표면을, 하나 이상의 다수의 확장부를 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분지 혈관의 표면과 접촉하여 변형가능하게 이동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다수의 확장부로 지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나의 양태에서, 당해 방법은 분지 혈관에 인접한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을 벌룬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또하나의 양태에서, 스텐트는 NiTi와 같은 자체 팽창성 물질로 제조되고,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은 하나 이상의 셀(인접 후프 및 브릿지) 및 이와 연관된 확장부의 형상 기억 국면에 의해 팽창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양태에서, 당해 방법은 분지 혈관의 구멍에 인접한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분지 혈관의 구멍에 인접한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의 팽창은 벌룬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분지 혈관에 제2 스텐트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스텐트는 구멍에서 분지 혈관에 배치되고/되거나, 제2 스텐트는 제1 스텐트의 중간부의 팽창된 하나 이상의 셀에 인접한 분지 혈관에 배치되고/되거나, 제2 스텐트는 제1 스텐트의 중간부의 팽창된 하나 이상의 셀내의 분지 혈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또하나의 양태는 제1 혈관 및 제1 혈관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혈관을 갖는 혈관 갈림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방법은,
제1 혈관에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를 갖고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 사이에 중간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배열의 격자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1 혈관 중의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여기서, 격자는 주름진 상태에서 팽창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고, 다수의 인접 후프, 인접 후프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브릿지 및 다수의 확장부(이때, 각각의 후프 및 브릿지는 셀을 이룬다)를 갖고,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셀을 갖고,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은 변형가능한 다수의 확장부를 갖는다];
제2 혈관에 인접한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제2 혈관의 표면을, 하나 이상의 다수의 확장부를 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혈관의 표면과 접촉하여 변형가능하게 이동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다수의 확장부로 지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도 1a 내지 1d 및 도 2a 내지 2c에 충분히 예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0, 100a)는 각각 신체 통로용 팽창성 보철이다. 용어 "스텐트" 및 "보철"은 본 발명의 방법, 장치 및 구조물이 혈관, 관 또는 신체 통로의 부분 폐쇄된 단편을 기관 내에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성 내강내 혈관 이식편과 함께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많은 형태의 신체 통로용 팽창성 보철로서 기타 많은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 어느 정도까지 서로 대체하여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팽창성 보철은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1) 내부 지지체의 부재하에서는 붕괴되기 쉬운, 경혈관 재소통으로 개방된 차단된 동맥내의 지지성 이식편 배치; (2) 수술 불능인 아암에 의해 폐쇄된 세로칸 및 기타 정맥을 통해 카테터 통로를 따르는 유사한 용도; (3) 문맥고혈압을 앓고 있는 환자의 문맥 정맥 및 간 정맥 사이의 카테터 생성된 간내 신호전달의 강화; (4) 식도, 장, 요관, 우레타(uretha) 등의 협소화 지지성 이식편 배치; (5) 혈관 또는 기관 내에서 동맥류 또는 봉쇄와 같은 결함의 관내 바이패싱(bypassing); 및 (6) 재개방되고 사전 폐쇄된 담관의 지지성 이식편 강화. 따라서, 용어 "보철"의 용도는 각종 형태의 신체 통로 내에서의 상기한 용도를 포함하고, 용어 "관내 이식편"의 용도는 신체 통로의 내강을 팽창시키는 용도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로, 용어 "신체 통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인체 내의 내강 또는 관 뿐만 아니라, 사람 혈관계 내의 정맥, 동맥 또는 혈관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생물분해성", "분해성", "분해", "분해된", "생물부식성", "부식성" 또는 "부식"은 서로 교체가능하게 사용되고, 분해, 또는 물질 또는 성분이 일, 주, 달 또는 년과 같은 시간 경과에 따라 생성물, 부산물, 성분 또는 아성분으로 분해되거나 파쇄되는 민감도로서 정의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생물흡수성", "흡수성", "재흡수성" 및 "생물재흡수성"은 서로 교체가능하게 사용되고, 대사 및/또는 배출에 의한 분해 생성물의 생물학적 제거로서 정의된다.
스텐트(100)(도 1a 내지 도 1d) 및 (100a)(도 2a 내지 도 2c)는 인체 및 스텐트(100, 100a)가 접촉할 수 있는 체액(도시되지 않음)에 적합한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제조된 팽창성 격자 구조를 포함한다. 격자 구조는 관형 스텐트(100, 100a)가 도 1a, 1c 및 도 2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진 상태에서 도 1d 및 도 2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되거나 팽창된 상태로 팽창되거나 이동가능하게 하고, 추가로 스텐트(100, 100a)가 확대된 직경에서 이의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필요한 강도 및 탄성 특성을 갖는 물질로 제조된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배열이다. 스텐트(100, 100a)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물질에는 은, 탄탈, 스테인레스 강, 코발트계 합금, 예를 들어, 코발트-크롬(L605), 금, 티탄 또는 상기한 필수 특성을 갖는 임의의 적합한 플라스틱 물질이 포함된다.
스텐트(100, 100a)는 또한 초탄성 합금, 예를 들어, 니켈티탄(NiTi, 예: 니티놀)을 포함할 수 있다. 초탄성 물질로 제조된 스텐트(100, 100a)의 경우, 스텐트(100, 100a)의 초탄성 도안은 스텐트를 압착 재회복성으로 하고, 따라서 상이한 용도의 다수 혈관 장치를 위한 스텐트 또는 프레임으로서 적합하다.
스텐트(100, 100a)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배열을 규정하고 전면 및 후면 개방 말단(102, 104)을 갖고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종축(103)을 규정하는 상호연결 부재의 격자에 의해 형성된 관형 배열을 포함한다(도 1a). 스텐트(100)(도 1a 내지 1d)는 공지되어 있고 폐쇄 셀(120)(폐쇄 셀 도안)을 갖고, 스텐트(100a)(도 2a 내지 2c)는 공지되어 있고 개방 셀(120a)(개방된 셀 도안)을 갖는다. 개방된 셀 도안 및 폐쇄 셀 도안의 특징은 이후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이의 폐쇄된 주름진 상태에서, 스텐트(100, 100a)는 환자에게 삽입하기 위한 제1의 작은 외경을 갖고 혈관을 통해 운전하고, 이의 팽창된(배치된) 상태에서 혈관의 표적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제2의 큰 외경을 갖고, 이때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크다. 스텐트(100, 100a)는 전면 및 후면 말단(102, 104) 사이에 연장하는 다수의 인접 후프(106)를 포함한다. 후프(106)는 다수의 종축 배열된 지주(108) 및 인접 지주(108)를 연결하는 다수의 루프(110)를 포함한다. 인접 지주(108)는 대향하는 말단에서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S 또는 Z형 패턴과 같은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다수의 루프(110)는 실질적으로 반원형 배열을 갖고 실질적으로 이들의 중심 주위가 대칭이다.
스텐트(100, 100a)는 다수의 가요성 링크 또는 브릿지(114, 114a)를 각각 추가로 포함한다. 브릿지(114, 114a)는 인접 후프(106)를 연결시킨다. 브릿지(114, 114a)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 보다 충분히 기술한다. 용어 "가요성 링크" 또는 "브릿지"는 동일한 의미를 갖고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링크 또는 브릿지(114)로는 다수의 종류 또는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114, 114a)는 S-링크(S-형상 또는 사인곡선 형상을 가짐), J-링크(J-형상을 가짐), N-링크(N-형상을 가짐), M-링크(M형) 또는 W-링크(W형)일 수 있고, 이들 배열 각각은 역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릿지(114 및 114a)는 각각, 인접한 후프(106)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각각의 브릿지는 2개의 말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의 한쪽 말단은, 예를 들면, 제1 후프(106)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쪽 말단은, 예를 들면, 제2의 인접 후프에 부착되어 있다. 브릿지의 부착점은 후프(106) 상의 임의의 위치, 예를 들면, 루프(110)와 지주(108)의 연결점이거나 또는 루프(110) 또는 지주(108) 상에 직접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후프(106)의 모든 루프(110)를 연결하는 브릿지(114)는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쇄된 셀을 규정한다. 추가로, 상호연결된 브릿지 없이 선택된 갯수의 루프(110), 예를 들면, 일련의 갯수의 루프(110)에서만, 인접한 후프(106)를 연결하는 브릿지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셀을 규정한다.
위에 언급한 기하학적 구조는 스텐트(110 및 110a) 전체에 걸쳐 변형을 분포시키고 스텐트(110 및 110a)가 굽어지는 경우 금속과 금속의 접촉을 방지하며, 각각 스텐트(110 및 110a)의 구조형태들(feature), 즉 지주(108), 루프(110) 및 브릿지(114 및 114a) 사이의 개구부를 최소화한다. 지주(108), 루프(110) 및 브릿지(114 및 114a)의 갯수 및 도안 특성은 스텐트(110 및 110a)의 작업 특성 및 피로 수명 특성을 결정하는 경우 중요한 고안 요소이다. 스텐트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주(108)는 커야 하고, 따라서 후프(106) 1개당 지주(108)의 갯수는 적어야 한다는 것은 이미 교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주(108)의 크기가 작고 후프(106) 1개당 지주(108)의 갯수가 많을수록 스텐트(100)는 구조가 향상되고 강성이 증가된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도 1d 및 도 2c는 배치되거나 팽창된 상태의 스텐트(110 및 110a)를 나타낸다. 각각 도 1c 및 도 2b에 도시된 스텐트 배열과 각각 도 1d 및 도 2c에 도시된 스텐트 배열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텐트(110 및 110a)의 기하학적 구조는 주름진 상태로부터 팽창되거나 배치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당히 많이 변한다. 스텐트(110 및 110a)의 직경이 변함에 따라, 루프(110) 및 브릿지(114 및 114a)에서의 지주 각도 및 변형 수준이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스텐트의 구조형태들은 가능하게 변형되어 스텐트(100)의 강도는 신뢰적이고 일정하다. 추가로, 지주(108), 루프(110) 및 브릿지(114 및 114a)가 경험하는 최대 변형을 최소화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니티놀(Nitinol) 특성이 응력보다는 변형률에 의해 더욱 일반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 도안과 관련하여, 구조적 부재, 즉 인접한 후프(106)의 루프(110)의 둘레 주위의 모든 굴곡점에 대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릿지(114 및 114a)를 의미하는 규칙적인 연결부가 존재한다.
추가로, 개방 셀 도안을 갖는 스텐트, 예를 들면, 스텐트(100a)의 경우, 구조적 부재(격자) 둘레 주위의 굴곡점(루프(110))의 서브세트에 대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브릿지(114a)에 대한 주기적 연결부가 존재한다. 이들 주기적 연결부와 관련하여, 연결된 굴곡점(루프(110))과 연결되지 않은 굴곡점(루프(110))은 몇몇 소정의 형태로 교대로 나타난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브릿지는 상이한 지점에서, 인접한 구조적 부재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피크-피크" 연결부에서, 브릿지(114 및 114a)는 인접한 루프(110)에 의해 형성된 외부 반경들을 연결시킴으로써 인접한 구조적 부재들 또는 루프(110)를 연결시킨다. 또한, 브릿지(114 및 114a)는, 이들 브릿지가 (구조적 부재의) 하나의 굴곡점의 외부 반경을 인접한 구조적 부재의 굴곡점의 내부 반경에 연결시키는 "피크-밸리(valley)"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인접한 구조적 부재들의 굴곡점의 내부 반경이 연결되는 경우 "밸리-밸리" 연결부도 가능하다.
추가로, 인접한 구조적 부재들, 즉 후프(106) 사이의 브릿지(114 및 114a)는 위에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은 셀 형태를 규정한다. 예를 들면, 브릿지(114)는,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내부 굴곡점, 예를 들면, 루프(110)가 브릿지(114)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된 "폐쇄 셀"을 규정할 수 있다.
추가로, 브릿지(114)는 구조적 부재의 모든 내부 굴곡점이 브릿지(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필수적으로 연속 환 구조인 "폐쇄 셀"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폐쇄 셀의 경우, 굽힘 동안 스텐트(100)의 가소적 변형이 가능하여, 인접한 구조적 부재가 분리되거나 함께 겹쳐져 스텐트(100)의 형상 변화를 더욱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폐쇄 셀 스텐트 도안의 주된 이점은 스텐트의 굽힘 정도에 상관없이 최적의 비계(scaffold) 및 균일한 표면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폐쇄 셀 도안의 구체적인 구조형태에 따라, 스텐트(100)는 개방 셀 도안의 스텐트보다 가요성이 낮을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면, 동일한 참조번호가, 구조형태가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100b)(도 3a 내지 3e) 및 스텐트(100c)(도 4a 내지 4e)에 대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형태들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나의 신규한 스텐트(100b)는 도 3a 및 3b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셀 도안의 스텐트이다. 예를 들면, 스텐트(100b)는 인접한 후프(106)의 모든 루프(110)를 연결하는 브릿지(114b)를 포함하고 사용하는 중심 영역, 중심부, 중심 세그먼트, 가운데 영역, 가운데 부분 또는 가운데 세그먼트(모두 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브릿지(114b)는 사인 곡선(sinusoid)형 브릿지로서 나타나 있지만, 임의의 특정 형상 또는 배열, 예를 들면, 위에 언급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브릿지(114b)는 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이와 인접하는 핑거(finger) 또는 확장부(118)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확장부(118)는 브릿지(114b)로부터의 핑거 또는 핑거형 돌출부이다. 각각의 브릿지(114b)는 이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확장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인 곡선형 브릿지(114b)는 하나 이상의 정점(apex)(116) 및 포켓(115)을 포함하며, 포켓(1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점(116)의 바로 아래쪽 또는 밑에 있는 공간이다. 당해 예에서, 확장부(118)는 선형 돌출부이고 인접한 브릿지(114b)의 포켓(115)으로부터 연장된다. 확장부(118)와 측면 확장부(119)(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됨)는 스텐트(100b)의 임의의 목적하는 위치, 예를 들면, 기부 말단 영역, 기부 말단 세그먼트 또는 기부 말단부(102), 말초 말단 영역, 말초 말단 세그먼트 또는 말초 말단부(104) 및 중심 영역, 중심 세그먼트 또는 중심부(105)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확장부(118) 및 측면 확장부(119)는 스텐트(100b)의 중심 영역(105)에 위치한다.
확장부(118)는 브릿지(114b)의 각각의 포켓(115)으로부터 연장되고, 예를 들면, 혈관 갈림(vessel bifurcation), 혈관 세갈림(vessel trifurcation) 또는 두 개 이상의 분지를 갖는 혈관 내에서 병변을 치료하고 조직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혈관 갈림의 갈림부에서 병변을 치료하고 조직을 지지, 예를 들면, 엉덩 동맥의 치료 및/또는 지지하는 등의 분지 접근 수술 동안, 벌룬력 또는 형상 기억 등에 의해 브릿지(114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가능하거나 이동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는 캔틸레버식 돌출부로서 고안되어 있다. 확장부(118)는 갈림부(140)에서 종결되는 중심 아암(arm)을 갖는다. 각각의 갈림부(140)는 하나 이상의 아암, 예를 들면, 제1 아암(142) 및 제2 아암(144)을 추가로 포함한다. 아암(142 및 144)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아암(142)의 길이가 제2 아암(144)보다 더 짧거나, 이와 반대, 즉, 제1 아암(142)의 길이가 제2 아암(144)보다 더 길 수 있다. 또는, 확장부(118)는 브릿지(114b)의 정점(116)으로부터 돌출된다(도시되지 않음).
추가로, 측면 확장부(119)가 인접한 루프(110)의 각각의 포켓에 위치하고 스텐트(110b)의 중심 또는 가운데 영역(105)에 위치하는 셀(120) 속으로 돌출된다. 스텐트(100b)를 이의 전달장치 또는 카테터 상에 주름지게하기 위한 압축성 및 낮은 프로파일을 보장하는 등의 효율 목적을 위해, 갈림부(140)는 인접한 브릿지(114b)의 정점(116)을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스텐트(100b)가 주름진 상태인 경우 인접한 브릿지(114b)는 서로 겹치는 인접한 확장부(118)를 갖게 된다. 인접한 브릿지(114b)의 인접한 확장부(118)의 나란한 정렬은 브릿지의 형상(당해 예에서는 사인 곡선 형상의 양태)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브릿지 형상에 의해 각각의 정점(116)의 하부 면에, 확장부(핑거)(118)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 및 배열을 갖는 브릿지 포켓(115)이 존재한다. 최소한, 하나의 브릿지(114b)의 정 점(116)은 주름진 상태에서, 인접한 브릿지(114b)의 확장부(118)의 갈림부(140)의 아암(142 및 144) 내에 꼭 들어맞는다.
추가로, 스텐트(100b)는 인접한 후프(106) 사이의 간격이 스텐트(100b)의 기부 말단 영역 또는 세그먼트(102) 및 말초 말단 영역 또는 세그먼트(104) 또는 이들 부근에서의 간격(또는 개방된 공간 영역의 크기)보다 더 큰 중심부 또는 가운데 부분 또는 중심 영역 또는 가운데 영역(105)(점선으로 나타냄)을 갖는다. 따라서, 중심 영역 또는 중심부(105)의 셀(120)은 인접한 후프(106) 사이의 간격이 기부 말단 영역(102) 및 말초 말단 영역(104) 각각에서 또는 이들의 부근에서의 인접한 후프(106) 사이의 간격보다 더 넓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양태에서 개방-이격된 중심 영역(105)의 주된 이점은, 스텐트(100b)가 혈관, 예를 들면, 주 혈관 또는 줄기 혈관(trunk vessel)(200) 속에서 팽창된 후, 셀 팽창(dialation) 수술, 예를 들면, 도 3a 내지 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지 접근 수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셀(120) 자체가 팽창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텐트(100b)의 셀(120)이 셀 팽창 수술, 예를 들면, 분지 접근 수술을 통해 팽창되는 경우, 한 양태에서 중심 영역(105)의 셀(120) 내에 벌룬을 위치시키고 셀(120) 내의 벌룬을 팽창시킴으로써 셀(120)이 팽창된다. 셀(120)이 팽창됨에 따라, 확장부(118 및 119)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브릿지(114b) 및 루프(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확장부(118 및 119)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120)의 팽창시 분지 혈관(220) 조직과 접촉되어 이를 지지하게 변형되도록 고안된다. 이러한 변형은, 확장부(118)가 이의 갈림부(140) 및 측면 아암(142 및 144)으로 인해 분지 혈관에 대한 양호한 접촉 및 표면 지지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분지 혈관을 지지하기 위한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확장부(119)는 셀(120) 팽창시 분지 혈관에 대한 추가의 접촉 및 지지 표면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개방 셀 스텐트(100c)(도 4a 내지 4e)도 이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게다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스텐트(100b)(도 3a 내지 3e) 및 스텐트(100c)(도 4a 내지 4e)는 각각 형상 기억 물질, 예를 들면, NiTi로 제조된 자체 팽창성 스텐트이고, 셀(120)(도 3c 내지 3e) 및 셀(120a)(도 4c 내지 4e,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은 셀을 규정하는 격자 구조형태의 형상 기억 국면에 의해 팽창된다. 즉, 별도의 벌룬 팽창 단계가 필요하지 않고, 오히려 셀(120 및 120a)이 각각 단지 형상 기억 특성에만 기초하여 팽창되어, 각각 셀(120 및 120a)에서 격자로부터 멀어지는 확장부(118 및 119)의 변형을 포함한다.
추가로, 확장부(118 및 119)는 루프(110), 지주(108), 브릿지(114b) 또는 이들의 조합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스텐트(100b)(도 3a 내지 3e) 및 스텐트(100c)(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스텐트 격자의 중심 영역(105)의 브릿지(114b), 후프(106), 루프(110) 및/또는 지주(108) 중 하나 이상의 부재 상에 각각 위치하는 확장부(118 및 119)를 갖는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확장부(118 및 119)는 기부 말단 영역(102), 중심 영역(105) 및 말초 말단 영역(104)의 임의의 조합 중의 하나 이상의 이들 스텐트 구조형태 상에 위치한다. 즉, 확장부(118 및 119)는 스텐트 전체 길이 상에 위치하거나 기부 말단 영역(102), 중심 영역(105) 및 말초 말단 영역(104) 중의 하나 이상의 영역 상에 위치한다. 추가로, 스텐트 격자의 부재 및 확장부(118 및 119) 각각은 약물, 즉 천연물을 포함하는 항증식/항유사분열 제제, 예를 들면, 빈카 알칼로이드(즉,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및 비노렐빈), 파클리탁셀, 에피디포도필로톡신(즉, 에토포시드, 후프니포시드), 항생제(닥티노마이신(악티노마이신 D), 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및 이다루비신), 안트라사이클린, 미톡산트론, 블레오마이신, 플리카마이신(미트라마이신) 및 미토마이신, 효소(L-아스파라긴을 전신에서 대사하고 자체의 아스파라긴을 합성하는 능력이 없는 세포를 제거하는 L-아스파라기나제); 항혈소판제, 예를 들면, G(GP)IIbIIIa 억제제 및 비트로넥틴 수용체 길항제; 항증식/항유사분열 알킬화제, 예를 들면, 질소 머스타드(메클로레타민,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이의 동족체, 멜팔란, 클로르암부실), 에틸렌이민 및 메틸멜라민(헥사메틸멜라민 및 티오후프파), 알킬 설포네이트-부설판, 니트로소우레아(카르무스틴(BCNU) 및 이의 동족체, 스트렙토족신), 트라젠-다카바진(DTIC); 항증식/항유사분열 항대사물, 예를 들면, 엽산 동족체(메토트렉세이트), 피리미딘 동족체(플루오로우라실, 플록수리딘 및 시타라빈), 푸린 동족체 및 관련 억제제(머캅토푸린, 티오구아닌, 펜토스타틴 및 2-클로로데옥시아데노신{클라드리빈}); 백금 배위 착물(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프로카바진, 하이드록시우레아, 미토탄, 아미노글루후프티미드; 호르몬(즉, 에스트로겐); 항응고제(헤파린, 합성 헤파린 염 및 기타 트롬빈 억제제); 섬유소용해제(예를 들면, 조직 플라 스미노겐 활성화제, 스트렙토키나제 및 우로키나제), 아스피린,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압식시맙(abciximab); 항전이제(antimigratory); 항분비제(브레벨딘); 소염제, 예를 들면, 부신피질 스후프로이드(코르티솔, 코르티손, 플루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6α-메틸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베타메타손 및 덱사메타손), 비스후프로이드제(살리실산 유도체, 즉 아스피린; 파라-아미노페놀 유도체, 즉 아세토미노펜; 인돌 및 인덴 아세트산(인도메타신, 설린닥 및 에토달락), 헤후프로아릴 아세트산(톨메틴, 디클로페낙 및 케토롤락), 아릴프로피온산(이부프로펜 및 이의 유도체), 안트라닐산(메페남산 및 메클로페남산), 에놀산(피록시캄, 후프녹시캄, 페닐부타존 및 옥시펜타트라존), 나부메톤, 금 화합물(아우라노핀, 아우로티오글루코스, 금 나트륨 티오말레이트); 면역억제제(사이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FK-506), 시롤리무스(라파마이신), 아자티오프린,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혈관형성제;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섬유모세포성장인자(FGF), 혈소판 유도된 성장인자(PDGF), 에리트로포에틴;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산화질소 공여체;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배합물; 세포 주기 억제제, mTOR 억제제 및 성장인자 신호전달 키나제 억제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 피복물 또는 약물 및 중합체 피복 배합물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격자 부재(예를 들면, 후프, 루프, 지주, 브릿지 및 확장부)가 하나 이상의 약물 피복물 또는 약물 및 중합체 피복 배합물로 도포됨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100b 및 100c)는 임의의 물질, 예를 들면, 금속 합금, 니켈티탄 합금, 예를 들면, NiTi, 예를 들면, 변형가능한 금속 합금 또 는 플라스틱, 스텐트의 배치시 파쇄되거나 되감기는 금속 합금 및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물질, 예를 들면, 생물분해성 중합체 및/또는 생물흡수성 중합체로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전체 스텐트(100b 및 100c) 자체(모든 부재) 또는 스텐트(100b 및 100c)의 선택가능한 부재는 이러한 종류의 물질 중 임의의 물질로 제조되어 플라스틱 또는 생물분해성 중합체 및/또는 생물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스텐트(100b 및 100c)용 물질로서 사용되는 생물분해성 중합체 및/또는 생물흡수성 중합체는 임의의 목적하는 방출 프로파일에 따라 치료학적 및/또는 약제학적 제제를 용출시킬 수 있는 약물 용출 중합체일 수 있다.
도 3a 내지 3e 및 도 4a 내지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18 및 119)는 캔틸레버식 돌출부이고, 한쪽이 자유 말단(스텐트 격자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예를 들면, 단지 한쪽 말단만 스텐트 격자에 연결되어 있음)에서 종결되어 스텐트가 팽창되거나 배치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스텐트(100b 및 100c)의 세로축 및 스텐트 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확장부(118 및 119)는, 특히 상이한 강성이 요구되는 경우, 스텐트 격자에 사용되는 나머지 부재들(예를 들면, 후프, 루프, 지주 및 브릿지)과는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100c)는 또한 중심 영역(105)을 갖는 개방 셀 도안의 스텐트이다. 중심 영역(105)은 확장부(118)(브릿지(114b)에 연결됨) 및 루프(110)의 가장 안쪽 부분(예를 들면, 루프(110)의 정점)에 연결된 측면 확장부(119)를 포함하는 다수의 셀(120a)을 갖는다. 따라서, 스텐트(100c)의 중심 영역(105)의 셀(120a)은 기부 말단 영역(102) 및 말초 말단 영역(104) 각각에서 또는 이들 부근에서의 셀과 관련된 개방-이격된 영역(인접한 루프(110) 사이의 간격으로서 정의됨)과 비교하여 더 큰 개방-이격된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100c)가 개방 셀 도안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스텐트(100b)에 대해 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구조형태 및 작용성이 스텐트(100c)에도 적용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확장부(118 및 119)는, 특히 분지 혈관 접근을 확립하기 위한 셀 팽창 수술의 일부로서 셀(120)이 팽창되는 경우, 스텐트(100b 및 100c) 각각의 전체 표면적을 향상시킨다. 확장부(118 및 119)를 포함하는 스텐트 격자에 의해 규정된 공간 또는 면적 내의 증가된 표면적은, 혈관(200) 내, 즉 혈관내 병변 부위에 배치되는 경우, 플라크 또는 조직이 셀(120a) 속으로 탈출하여 최종적으로 스텐트(100b 및 100c)의 내강 속으로 탈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분지 혈관(220)의 조직을 지지함으로써 "막힘(jailing)"을 억제하고 분지 혈관(220)의 양호한 개방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부 또는 핑거(118 및 119)는 각각 이러한 탈출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병변 부위에서의 혈관(200)의 재협착증에 대한 방지 차단막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분지 혈관(220)를 통해 혈류를 양호하게 한다. 추가로, 확장부 또는 핑거(118 및 119)는 갈림부에서의 재협착의 경우 매우 일반적인 부위, 즉 혈관 융기 및 /또는 구멍에 국소적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 확장부 또는 핑거(118 및 119)는 각각 다른 형상 및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100b 및 100c)는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각종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텐트(100b 및 100c)는 합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다. 또는, 스텐트(100b 및 100c)는 파쇄-회복가능한 물질, 예를 들면, 초탄성 물질 또는 초탄성 합금 또는 합금의 배합물로 제조된다. 특히, 스텐트(100b 및 100c)는 니켈티탄(NiTi) 또는 니켈티탄 3급(tertiary) 합금으로 제조되어 자체 팽창성 스텐트로서 초탄성 및 파쇄 회복가능한 특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물질은 스테인레스 강 및 코발트-크롬과 같은 가소적으로 변형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확장부(118 및 119) 각각의 주된 이점은 스텐트(100b 및 100c)에서 예를 들면, 위에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은 분지 혈관 접근 수술의 일부로서 셀(120a)의 팽창이 수행되는 경우, 이들 확장부(118 및 119)가 폐쇄 셀 또는 개방 셀 스텐트(100b 및 100c) 각각의 경우 분지 혈관(220)(각각 도 3d 및 도 4d)의 구멍 및 융기에서 향상되고/되거나 추가적인 덮개 및 지지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텐트(100b 및 100c) 각각의 중심 영역(105)에서 셀(120a) 팽창시, 확장부(118 및 119)는 각각 벌룬 팽창으로 인해(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형상 기억 변형에 의함) 분지 혈관(220)에서의 흐름 통과로부터 벗어나고, 캔틸레버식 확장부(118 및 119)는 각각 격자 및 셀(120a)로부터 분리되어 분지 혈관(220)을 직접 지지하기 위한 분지 혈관(220) 조직에 대한 지지 위치(각각 벌룬 팽창 또는 형상 기억 변형에 의함)로 이동하여, 도 3d 및 도 4d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혈관(220)과 분지 혈관(220)의 연결부에서 안정한 이식체를 형성한다.
분지 혈관을 수용하는 방법
도 3d 및 3e와 도 4d 및 4e에 각각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분지 혈관을 수용하고 스텐트 막힘 문제를 방지하는 신규한 방법은 스텐트, 예를 들면, 스텐트(100b 및 100c)를 사용하여 치료할 혈관(200)을 확인하는 단계 및 스텐트(100b 및 100c)를 표적 혈관(200)내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표적 혈관은 임의의 동맥 중 주 혈관 또는 줄기 혈관(200)이거나 이로부터 연장된 최소 분지 혈관(220)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추가로, 표적 혈관내 부위에 인접한 임의의 연결 혈관이 또한 스텐트 배치를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스텐트(100b 및 100c)를 표적 혈관 내에 배치시키기 전 또는 당해 위치에 스텐트(100b 및 100c)를 배치시킨 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텐트(100b 및 100c)를 주 혈관 또는 줄기 혈관(200) 또는 초기 혈관 또는 제1 혈관(200) 내에 배치시킨 후, 제2 스텐트(100b 및 100c)를 분지 혈관(220) 또는 표적 혈관(200)을 연결하는 혈관(220) 중의 하나에 배치시키는 것은, 예를 들면, 협착증, 취약한 플라크, 허혈성 심장 질환 등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또는 스텐트(100b 및 100c) 격자의 부재 또는 구조형태 중 하나 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분지 혈관(220) 또는 제2 혈관(220) 구멍에서의 폐쇄증 제거, 즉 "막힘" 문제를 해결하거나 또는 분지 혈관(220) 또는 제2 혈관(220) 구멍에서, 예를 들면, 내막과 같은 혈관 중의 하나의 조직을 이동시켜 분지 혈관(220) 또는 제2 혈관(220)의 개방성을 확립 또는 재확립하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텐트(100b 및 100c)를 주 혈관(200) 또는 줄기 혈관(200)(스텐트를 주입할 초기 혈관 또는 제1 혈관) 속에 배치시키는 경우, 스텐트(100b 및 100c)의 중심 영역(105)을 주 혈관 또는 제1 혈관(200)과 상호연결된 분지 혈관(220) 또는 제2 혈관(220)의 구멍에서, 그 부근에서 또는 그 구멍에 걸쳐서 정렬시킨다.
따라서, 주 혈관 또는 제1 혈관(200) 내에 제1 스텐트(100b 및 100c)를 배치시키고 분지 혈관 또는 제2 혈관(220) 구멍에, 그 부근에 또는 그 구멍에 걸쳐서 중심 영역(105) 내의 셀(120 및 120a)을 정렬시킨 후, 셀(120 및 120a)을 확인하고 예를 들면, 팽창 장치, 예를 들면, 벌룬을 포함하는 카테터를 삽입하고 벌룬을 팽창시켜 셀(120 및 120a)을 (셀(120 및 120a)의 초기 배치 후 및 팽창 전의 크기, 즉 초기의 작은 크기와 비교하여) 더 큰 크기로 확장 또는 팽창시킴으로써 셀(120 및 120a)을 팽창시키거나,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양태에서는, 셀(120 및 120a)을 규정하는 격자 부분, 즉 인접한 후프(106) 및 브릿지(114b)가 스텐트(100b 및 100c)의 자체 팽창성 물질의 일부로서 팽창되어, 스텐트(100b 및 100c)를 팽창된 상태 또는 팽창된 배열로 배치할 때 확장부(118 및 119)의 자체 팽창성을 포함한다.
분지 혈관 또는 제2 혈관(220)의 구멍에서의 셀(120a)의 팽창은 스텐트(100b 및 100c)의 셀(120a)을 규정하는 격자의 하나 이상의 부재, 예를 들면, 후프(106), 루프(110), 지주(108), 브릿지(114b), 확장부(118 및 119), 갈림부(140) 및 아암(142 및 144)에 힘을 인가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팽창 장치, 예를 들면, 팽창가능한 벌룬을 포함하는 카테터를 셀(120a) 속, 예를 들면,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격자 부재의 인접 또는 부근 위치에 삽입한다. 벌룬의 팽창은 격자의 하나 이상의 셀 규정 부재에 대해 필수적인 힘을 인가한다.
추가로, 예를 들면, 벌룬 팽창을 통한 셀(120a)의 팽창시, 격자의 부재가 각각 도 3c 및 3d 및 도 4c 및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120a)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다. 특히, 캔틸레버식 확장부(118 및 119)가 각각 브릿지(114b) 및 루프(110)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다(스텐트(100b 및 100c)의 세로축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 확장부(118 및 119)는 확장부(118)(예를 들면, 중심 아암, 갈림부(140) 및 아암(142 및 144))의 펴면적의 일부와 확장부(119)가 접촉하고 분지 혈관 또는 제2 혈관(220)의 혈관벽을 특히 이의 구멍에서 지지함으로써, 분지 혈관 또는 제2 혈관(220)을 위한 추가의 지지체를 제공하여 혈관 갈림부에서의 조직의 탈출을 방지하고 분지 혈관 또는 제2 혈관(220)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고안된다.
도 3e 및 도 4e에 각각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셀(120a) 팽창 후,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스텐트(100b 및 100c)를 분지 혈관 또는 제2 혈관(220) 내, 즉 분지 혈관 또는 제2 혈관(220)의 구멍에 배치시킨다. 제2 스텐트(100b 및 100c)는 이를 벌룬 팽창시 배치시켜 셀(120a) 팽창와 동시에 배치시키거나, 제2 스텐트 (100b 및 100c)를 운반하는 제2 전달장치, 예를 들면, 카테터를 사용하여 셀(120a)을 팽창시킨 후 배치시킨다.
본원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가 기재 및 설명되어 있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이러한 양태들이 단지 예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음을 명백히 알고 있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변형, 변화 및 대체가 수행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취지 및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스텐트 막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39)

  1. 기부(proximal)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를 갖고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 사이에 중간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배열이고, 주름진 상태에서 팽창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고,
    다수의 인접 후프, 인접 후프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브릿지 및 다수의 확장부(이때, 각각의 후프 및 브릿지는 셀을 이룬다)를 갖고,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셀을 갖고,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은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 각각의 하나 이상의 셀의 인접 후프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인접 후프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를 포함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확장부가 격자의 중간부 위에 존재하는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확장부가 격자의 브릿지로부터의 캔틸레버식 돌출부인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확장부가 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형성인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브릿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형성인 스텐트.
  6. 제2항에 있어서,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후프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고, 후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형성인 스텐트.
  7. 제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확장부가 갈림부에서 종결되는 중심 아암을 포함하는 스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확장부가 갈림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는 스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확장부가 갈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포함하는 스텐트.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아암의 길이가 제2 아암보다 짧은 스텐트.
  11. 제4항에 있어서, 격자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
  12. 제11항에 있어서, 격자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약물 및 중합체 배합물을 추가 로 포함하는 스텐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약물이 라파마이신을 포함하는 스텐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약물이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스텐트.
  15. 제4항에 있어서,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스텐트.
  16. 제4항에 있어서, 초탄성 물질로 제조된 스텐트.
  17. 제4항에 있어서, 초탄성 합금으로 제조된 스텐트.
  18. 제4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물질로서 제조된 스텐트.
  19. 제4항에 있어서, 생물분해성 중합체로 제조된 스텐트.
  20.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를 갖고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 사이에 중간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배열이고, 주름진 상태에서 팽창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고,
    다수의 인접 후프, 인접 후프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브릿지 및 다수의 확장부 (이때, 각각의 후프 및 브릿지는 셀을 이룬다)를 갖고,
    기부 말단부 및 말초 말단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셀을 갖고,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셀은 기부 말단부와 말초 말단부 각각의 하나 이상의 셀의 인접 후프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인접 후프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를 포함하는, 혈관 갈림증용 스텐트.
  21. 제20항에 있어서, 다수의 확장부가 격자의 중간부 위에 존재하는 스텐트.
  22. 제21항에 있어서, 다수의 확장부가 격자의 브릿지로부터의 캔틸레버식 돌출부인 스텐트.
  23. 제22항에 있어서, 다수의 확장부가 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형성인 스텐트.
  24. 제23항에 있어서,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브릿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형성인 스텐트.
  25. 제21항에 있어서,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후프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고, 후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형성인 스텐트.
  26. 제2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확장부가 갈림부에서 종결되는 중심 아암을 포함하는 스텐트.
  27. 제2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확장부가 갈림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는 스텐트.
  28. 제2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확장부가 갈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포함하는 스텐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 아암의 길이가 제2 아암보다 짧은 스텐트.
  30. 제23항에 있어서, 격자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
  31. 제30항에 있어서, 격자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약물 및 중합체 배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약물이 라파마이신을 포함하는 스텐트.
  33. 제31항에 있어서, 약물이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스텐트.
  34. 제23항에 있어서,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스텐트.
  35. 제23항에 있어서, 초탄성 물질로 제조된 스텐트.
  36. 제23항에 있어서, 초탄성 합금으로 제조된 스텐트.
  37. 제23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물질로서 제조된 스텐트.
  38. 제23항에 있어서, 생물분해성 중합체로 제조된 스텐트.
  39. 제23항에 있어서, 생물흡수성 중합체로 제조된 스텐트.
KR1020050048752A 2004-06-08 2005-06-08 혈관 갈림증 치료용 신규 스텐트 KR20060048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63,192 2004-06-08
US10/863,192 US7918884B2 (en) 2003-02-25 2004-06-08 Stent for treatment of bifurcated les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252A true KR20060048252A (ko) 2006-05-18

Family

ID=3498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752A KR20060048252A (ko) 2004-06-08 2005-06-08 혈관 갈림증 치료용 신규 스텐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18884B2 (ko)
EP (1) EP1604621B1 (ko)
JP (1) JP4902142B2 (ko)
KR (1) KR20060048252A (ko)
AT (1) ATE508710T1 (ko)
AU (1) AU2005202178B2 (ko)
CA (1) CA2509298C (ko)
HK (1) HK1084008A1 (ko)
IL (1) IL1686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23A1 (ko) * 2009-05-13 2010-1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 사이드 브랜치 혈관용 스텐트
WO2022240255A1 (ko) * 2021-05-13 2022-11-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2085A1 (en) * 2004-07-27 2006-02-09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Apparatus for treating atherosclerosis
US9101500B2 (en) * 2005-01-10 2015-08-11 Trireme Medical, Inc. Stent with self-deployable portion having wings of different lengths
JP4979591B2 (ja) * 2005-01-10 2012-07-18 トライレム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己展開可能な部分を有するステント
US7833260B2 (en) * 2006-07-20 2010-11-16 Orbusneich Medical, Inc. Bioabsorbable polymeric medical device
EP3047860A1 (en) 2006-07-20 2016-07-27 OrbusNeich Medical, Inc. Bioabsorbable polymeric composition for a medical device
CN103494661B (zh) * 2006-07-20 2016-03-30 奥巴斯尼茨医学公司 可生物吸收的聚合物医疗器械
US9408607B2 (en) 2009-07-02 2016-08-09 Edwards Lifesciences Cardiaq Llc Surgical implant devic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
US8252036B2 (en) 2006-07-31 2012-08-28 Syntheon Cardiology, Llc Sealable endovascular implant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9585743B2 (en) 2006-07-31 2017-03-07 Edwards Lifesciences Cardiaq Llc Surgical implant devic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
CN103212115B (zh) 2006-10-20 2016-09-14 奥巴斯尼茨医学公司 可生物吸收的聚合物组合物和医疗设备
US7959942B2 (en) * 2006-10-20 2011-06-14 Orbusneich Medical, Inc. Bioabsorbable medical device with coating
ES2603282T3 (es) 2007-06-22 2017-02-24 C.R. Bard, Inc. Estent flexible con conectores articulados
US20110130822A1 (en) * 2007-07-20 2011-06-02 Orbusneich Medical, Inc. Bioabsorbable Polymeric Compositions and Medical Devices
US9566178B2 (en) 2010-06-24 2017-02-14 Edwards Lifesciences Cardiaq Llc Actively controllable stent, stent graft, heart valv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10042854A1 (en) * 2008-10-10 2010-04-15 Orbusneich Medical, Inc. Bioabsorbable polymeric medical device
WO2010042952A1 (en) * 2008-10-11 2010-04-15 Orbusneich Medical, Inc. Bioabsorbable polymeric compositions and medical devices
US9402754B2 (en) * 2010-05-18 2016-08-02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Expandable endoprosthe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 bifurcated lumen
US9233014B2 (en) 2010-09-24 2016-01-12 Veniti, Inc. Stent with support braces
US9827093B2 (en) 2011-10-21 2017-11-28 Edwards Lifesciences Cardiaq Llc Actively controllable stent, stent graft, heart valv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A2865013C (en) 2012-02-22 2020-12-15 Syntheon Cardiology, Llc Actively controllable stent, stent graft, heart valv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629735B2 (en) 2012-11-16 2017-04-25 W. L. Gore & Associates, Inc. Flexible endoluminal device
EP2777604B1 (en) * 2013-01-23 2018-10-0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tent with positioning arms
WO2015098443A1 (ja) 2013-12-25 2015-07-02 株式会社 京都医療設計 脈管用ステント
WO2015114463A2 (en) 2014-02-02 2015-08-06 Gil Hefer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annalization, valve repair and replacement
US11712353B2 (en) 2018-05-02 2023-08-01 W. L. Gore & Associates, Inc. Expansion members for implantable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307A (en) 1987-12-08 1993-03-09 Wall W Henry Angioplasty stent
CA2079417C (en) 1991-10-28 2003-01-07 Lilip Lau Expandable st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354308A (en) 1992-05-01 1994-10-11 Beth Israel Hospital Association Metal wire stent
US5397355A (en) 1994-07-19 1995-03-14 Stentco, Inc. Intraluminal stent
CA2171896C (en) 1995-03-17 2007-05-15 Scott C. Anderson Multi-anchor stent
FR2733682B1 (fr) 1995-05-04 1997-10-31 Dibie Alain Endoprothese pour le traitement de stenose sur des bifurcations de vaisseaux sanguins et materiel de pose a cet effet
US6436104B2 (en) 1996-01-26 2002-08-20 Cordis Corporation Bifurcated axially flexible stent
US6258116B1 (en) 1996-01-26 2001-07-10 Cordis Corporation Bifurcated axially flexible stent
US5938682A (en) 1996-01-26 1999-08-17 Cordis Corporation Axially flexible stent
US5868781A (en) 1996-10-22 1999-02-09 Scimed Life Systems, Inc. Locking stent
DE19653721A1 (de) 1996-10-28 1998-04-30 Biotronik Mess & Therapieg Stent
US6599316B2 (en) 1996-11-04 2003-07-29 Advanced Stent Technologies, Inc. Extendible stent apparatus
WO1998019628A1 (en) 1996-11-04 1998-05-14 Vardi Gil M Extendible stent apparatus and method for deploying the same
US7341598B2 (en) * 1999-01-13 2008-03-1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protruding branch portion for bifurcated vessels
US6596020B2 (en) 1996-11-04 2003-07-22 Advanced St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delivering a stent with a side opening
US6325826B1 (en) 1998-01-14 2001-12-04 Advanced Stent Technologies, Inc. Extendible stent apparatus
US6206911B1 (en) 1996-12-19 2001-03-27 Simcha Milo Stent combination
US5733330A (en) 1997-01-13 1998-03-3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Balloon-expandable, crush-resistant locking stent
DE29701758U1 (de) 1997-02-01 1997-03-27 Jomed Implantate Gmbh Radial aufweitbarer Stent zur Implantierung in ein Körpergefäß, insbesondere im Bereich einer Gefäßverzweigung
US5911732A (en) 1997-03-10 1999-06-15 Johnson & Johnson Interventional Systems, Co. Articulated expandable intraluminal stent
JP4083241B2 (ja) * 1997-04-23 2008-04-30 アーテミス・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分岐ステント及び遠位保護システム
DE19728337A1 (de) 1997-07-03 1999-01-07 Inst Mikrotechnik Mainz Gmbh Implantierbare Gefäßstütze
US6156062A (en) 1997-12-03 2000-12-05 Ave Connaught Helically wrapped interlocking stent
US6129754A (en) 1997-12-11 2000-10-10 Uni-Cath Inc. Stent for vessel with branch
US6129755A (en) 1998-01-09 2000-10-10 Nitinol Development Corporation Intravascular stent having an improved strut configuration
US6676696B1 (en) 1998-02-12 2004-01-13 Thomas R. Marotta Endovascular prosthesis
US6033436A (en) 1998-02-17 2000-03-07 Md3, Inc. Expandable stent
US6224626B1 (en) 1998-02-17 2001-05-01 Md3, Inc. Ultra-thin expandable stent
DE19822157B4 (de) * 1998-05-16 2013-01-10 Abbott Laboratories Vascular Enterprises Ltd. Radial aufweitbarer Stent zur Implantierung in ein Körpergefäß
US6174316B1 (en) 1998-05-28 2001-01-16 Medtronic, Inc. Stent delivery system
US6083258A (en) 1998-05-28 2000-07-04 Yadav; Jay S. Locking stent
US6171334B1 (en) 1998-06-17 2001-01-0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xpandable stent and method of use
US5997563A (en) 1998-09-28 1999-12-07 Medtronic, Inc. Implantable stent having variable diameter
US6190403B1 (en) 1998-11-13 2001-02-20 Cordis Corporation Low profile radiopaque stent with increased longitudinal flexibility and radial rigidity
US6251134B1 (en) 1999-02-28 2001-06-26 Inflow Dynamics Inc. Stent with high longitudinal flexibility
JP4518609B2 (ja) * 1999-03-05 2010-08-04 テルモ株式会社 生体留置用ステント
US6383213B2 (en) 1999-10-05 2002-05-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and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for treating bifurcations
US6409753B1 (en) 1999-10-26 2002-06-25 Scimed Life Systems, Inc. Flexible stent
US6277078B1 (en) 1999-11-19 2001-08-21 Remon Medical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arameter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a heart
US6673107B1 (en) * 1999-12-06 2004-01-06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Bifurcated stent and method of making
EP1700581A3 (en) 2000-03-09 2006-09-20 Design & Performance - Cyprus Limited Stent assembly with eyelets for the attachment of graft material
AU5795401A (en) 2000-08-10 2002-02-14 Cordis Corporation Low profile radio-opaque stent with increased longitudinal flexibility and radial rigidity
MXPA03002871A (es) * 2000-09-29 2004-12-06 Johnson & Johnson Dispositivos medicos recubiertos.
US6540777B2 (en) 2001-02-15 2003-04-01 Scimed Life Systems, Inc. Locking stent
WO2002066096A2 (en) 2001-02-16 2002-08-29 Cordis Corporation Balloon catheter stent delivery system with ridges
US6749628B1 (en) * 2001-05-17 2004-06-1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and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for treating bifurcations
US6562067B2 (en) 2001-06-08 2003-05-13 Cordis Corporation Stent with interlocking elements
AU2002339717A1 (en) 2001-10-18 2003-07-15 Advanced Stent Technologies, Inc. Stent for vessel support, coverage and side branch accessibility
US7291165B2 (en) 2002-01-31 2007-11-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for delivering biologically active material
CA2484197A1 (en) 2002-05-08 2003-11-20 Abbott Laboratories Endoprosthesis having foot extensions
US7331986B2 (en) 2002-10-09 2008-02-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traluminal medical device having improved visi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23A1 (ko) * 2009-05-13 2010-1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 사이드 브랜치 혈관용 스텐트
WO2022240255A1 (ko) * 2021-05-13 2022-11-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09298A1 (en) 2005-12-08
ATE508710T1 (de) 2011-05-15
JP2005349204A (ja) 2005-12-22
IL168624A (en) 2013-04-30
HK1084008A1 (en) 2006-07-21
JP4902142B2 (ja) 2012-03-21
US20050288771A1 (en) 2005-12-29
AU2005202178A1 (en) 2005-12-22
EP1604621A1 (en) 2005-12-14
US7918884B2 (en) 2011-04-05
AU2005202178B2 (en) 2010-06-17
CA2509298C (en) 2012-08-28
EP1604621B1 (en)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8252A (ko) 혈관 갈림증 치료용 신규 스텐트
KR101055157B1 (ko) 보강된 혈관 보호를 위해 중첩식 핑거를 구비한 스텐트
KR101052188B1 (ko) 로킹 스텐트
US7273492B2 (en) Stent for treating vulnerable plaque
US8439966B1 (en) Intravascular stent and method of use
EP2680797B1 (en) Low strain high strength stent
KR20060047634A (ko) 다중 로킹 지점들을 갖는 로킹 스텐트
EP1928368B1 (en) Hybrid bifurcated stent
US20050131524A1 (en) Method for treating a bifurcated vessel
KR20060048255A (ko) 이분기 혈관의 치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