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173A -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 형태로 가공한 필러 - Google Patents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 형태로 가공한 필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173A
KR20060048173A KR1020050047741A KR20050047741A KR20060048173A KR 20060048173 A KR20060048173 A KR 20060048173A KR 1020050047741 A KR1020050047741 A KR 1020050047741A KR 20050047741 A KR20050047741 A KR 20050047741A KR 20060048173 A KR20060048173 A KR 20060048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filler particles
injected
particles
derm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134B1 (ko
Inventor
박우삼
Original Assignee
박우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4007322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50118060A/ko
Application filed by 박우삼 filed Critical 박우삼
Publication of KR2006004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5Fibrin; Fibrin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2Skin, e.g. dermal papill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60Materials for use in artificial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한 형태로 가공한 필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자가 폭 1.5㎜ 내지 2.3㎜, 길이 4㎜ 내지 8㎜ 이며 유선형으로 가공된 필러를 제공한다.
유선형으로 가공된 필러 입자는 주사바늘을 용이하게 통과함으로써 주사시 주입 압력을 낮추어 시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폭이 1.5㎜ 내지 2.3㎜ 범위에 포함됨으로써 필러 입자가 하나씩 16 게이지 또는 18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통과되도록 하여 균일하게 볼륨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볼륨 확장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길이가 4㎜ 내지 8㎜ 범위에 포함됨으로써 안면 근육의 움직임에 자연스럽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무세포 진피, 필러, 유선형, 주사기, 주름 제거, 안면 윤곽

Description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 형태로 가공한 필러{INJECTABLE FILLER MADE BY ACELLULAR DERMIS}
도 1 은 무세포 진피의 일종인 슈어덤 또는 알로덤을 2㎜×2㎜ 로 커팅한 필러 입자를 도시.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무세포 진피의 일종인 알로덤 또는 슈어덤을 유선형 특히 아몬드 모양으로 커팅한 필러 입자를 도시.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무세포 진피의 일종인 알로덤 또는 슈어덤을 유선형 특히 길쭉한 육각형 모양으로 커팅한 필러 입자를 도시.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무세포 진피의 일종인 알로덤 또는 슈어덤을 유선형 특히 길쭉한 팔각형 모양으로서 어느 한변에 가는 막대형 조각이 부가되도록 커팅한 필러 입자를 도시.
도 5 는 도 2 에 도시된 필러를 사용하여 안면부에 시술하는 과정을 도시.
도 6 은 피하 지방층에 주입된 필러 입자의 폭과 피부 볼륨 확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 은 필러 입자가 일정한 방향 즉 표면을 상방으로 하여 배열된 모습을 도시.
도 8 은 필러 입자의 표면, 배면 및 측면이 골고루 섞인채 배열된 모습을 도 시.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에 의한 필러를 실험용 쥐의 진피 부분에 주입하고, 6주가 경과한 후 해당 부분을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법(H-E stain)으로 염색하여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으로 촬영한 사진.
도 10a 및 도 10b 는 본 발명에 의한 필러를 실험용 쥐의 진피 부분에 주입하고, 13주가 경과한 후 해당 부분을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법(H-E stain)으로 염색하여 TEM 으로 촬영한 사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필러를 실험용 쥐의 진피 부분에 주입하고, 32주가 경과한 후 해당 부분을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법(H-E stain)으로 염색하여 TEM 으로 촬영한 사진.
도 12a 및 도 12b 는 주입된 본 발명의 필러 입자 사이에 섬유모세포가 생성된 상태, 및 주입된 본 발명의 필러의 콜라겐 섬유와 섬유모세포에 의해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를 함께 TEM 으로 촬영한 사진.
본 발명은 무세포 진피를 사용한 주름 제거 및 안면 윤곽 교정에 사용되는 필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필러 (filler) 는 특정 부위에 삽입되어 연부 조직을 확장시킴으로써, 주름 개선이나 안면 윤곽 교정에 사용되는 보형물로서, 일반적으로 생체 조직이나 화학 물질을 사용 한다.
폴리아크릴 아마이드나 폴리에틸렌 등 화학 물질로 이루어진 필러는 인체 내에서 이물 단백질에 의한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시간이 지나도 인체 내에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영구적 필러로 사용될 수는 있으나, 일단 주입하고 나면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주변 조직에 침윤을 일으키기 때문에 시술시 신중을 기해야 하며, 잘못 주입하게 되면 복구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가 지방, 콜라겐 등 환자 자신의 생체 조직으로 이루어진 필러는 환자의 인체로부터 분리된 생체 조직이므로 주입 후 알러지 반응은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술 전에 자신의 생체 조직을 추출해 내는 별도의 과정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체에서 분리해 낸 진피를 면역처리한 알로덤 (alloderm)이나 슈어덤 (surederm) 같은 무세포 진피 필러가 개발되어 성형외과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무세포 진피는 사람의 피부에서 표피층과 면역세포를 제거해 만든 물질로서, 면역이 없는 조직과 섬유소 즉,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면역 거부 반응이나 감염 등의 부작용이 없다.
이는 1991년 화상 치료를 위하여 미국에서 개발되었으나 점점 사용범위가 넓어져 입가주름제거, 코성형수술 및 흉터제거 등의 성형에 널리 상용되고 있다. 무세포 진피를 피부에 이식하게 되면 먼저 그 안으로 새로운 세포 즉, 섬유모세포(fibroblast)가 들어가 자라는 한편 새 혈관이 형성되면서 섬유모세포의 침윤으로 새로운 콜라겐 섬유가 생성되며, 주입된 콜라겐 섬유는 면역세포에 의해 제거되는 과정을 겪는다.
무세포 진피는 피부 이식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체내에 흡수되므로, 화학적 필러가 갖는 단점인 제거의 곤란함은 존재하지 않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내에 흡수되어 볼륨감이 소멸되면 다시 시술해야 하는 단점이 남는다.
무세포 진피를 주름부위나 안면 윤곽 등 확장하고자 하는 연부 조직에 삽입하는 시술방법은 크게 2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피부에 스트라입 형태(판 형태나 판을 겹친 형태 또는 말아놓은 형태)의 무세포 진피를 삽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무세포 진피를 분말형태로 가공하여 주사하는 것이다.
외과적 수술에 의한 시술법은 절개 부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수술자국이 크며, 수술후 생기는 부종 치료 등 회복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피부에 매립된 스트라입 형태의 무세포 진피는 환자의 피부에 생착되기 전까지 환자 피부와는 별개의 조직으로서 하나의 판으로써 움직이기 때문에 외관상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단점도 있다.
주사기를 사용한 주입법은 크기 1200 ㎛ 내외로 분말 가공된 무세포 진피를 생리식염수와 함께 시술부위에 주사하는 것이다. 이 시술법은 피부를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시술이 간편하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속기간이 10 주 내외로 매우 짧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즉, 무세포 진피를 미세한 알갱이로 가공함으로써, 주사가 가능해져 시술이 간편한 효과가 있으나, 입자가 미세하여 표면적이 넓어 면역세포 및 대식세포의 침윤이 빨라 체내에 흡수되는 기간이 짧아진 것이다. 지속기간이 짧다는 문제는 시술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짧은 기간을 두고 시술을 되풀이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낳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무세포 진피 사용으로 인한 시술 비용 부담으로 인하여 이 시술법의 활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분말 가공된 무세포 진피의 경우, 급격한 섬유모세포의 침윤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주입 부위의 피부 촉감이 정상적인 피부보다 단단하게 느껴지는 문제점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필러는 이물 단백질에 의한 알러지 반응 여부, 시술의 간편성 및 효과의 지속성 등 여러가지 해결 과제들을 갖고 있으며, 특히 무세포 진피를 사용한 주름 제거술에 있어서는 시술의 간편성과 시술 효과의 지속성이 양립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알려져 왔다.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세포 진피의 일종인 알로덤을 2㎜×2㎜ 입자로 가공한 후 이를 16 또는 18 게이지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함으로써, 스트라입 형태의 무세포 진피를 삽입한 것과 유사하게 시술의 효과가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사실이 학계에 보고된 바 있다. 즉, 주사기 사용으로 간편하게 시술함과 동시에 필러의 입자 크기를 크게 하여 혈관증식 및 대식작용을 지연시키고 섬유모세포의 치환을 늦춰 지속기간도 연장됨으로써, 무세포 진피를 이용한 시술법 분야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참고적으로, 시술시 16 또는 18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사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안면 피부 두께는 1㎜ 내외이기 때문에 이보다 두꺼운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피하에 무세포 진피를 주입할 경우에는, 주입되는 무세포 진피층이 피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시술후 얼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또한, 시술 부위가 커져 수술 후 부종이 발생하기 쉽고 주입부위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할 정도가 되어 바람직스럽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16 또는 18 게이지보다 가는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시술할 경우에는 볼륨 확장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안면 부위에 필러를 주입할 경우에는 16 또는 18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러 입자를 정사각형 형태로 (2㎜×2㎜) 로 가공하여 주입할 경우에는 16 또는 18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통과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주사압력이 높다. 주사압력이 일정한 임계치(주사바늘내 압력: 0.41 kgf/㎠) 이상으로 높으면 필러의 주입량을 정교하게 제어하기 어려워지며, 결과적으로 시술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필러의 길이가 2㎜ 정도와 같이 짧을 경우에는 볼륨 확장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이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주입량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정도의 주사압력을 허용하는 형상의 필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 입자가 하나씩 16 게이지 또는 18 게이지의 주사바늘 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일하게 볼륨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러 주입으로 인한 볼륨 확장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형상의 필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세포 진피로 이루어진 필러 주입시 무세포 진피의 표면, 배면 및 측면이 고루 섞일 수 있는 형상의 필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러를 주입한 후 생착되기까지 외관상 안면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하는 형상의 필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러를 피브린과 믹스하여 주입함으로써, 필러가 생체에 흡수되는 것을 더욱 지연시켜 지속시간을 증가시킨 필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5 mm 내지 2.3 mm 범위의 폭과 4 mm 내지 8 mm 범위의 길이를 갖는 유선형 필러를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4 에는 무세포 진피의 일종인 슈어덤 또는 알로덤을 상기한 형상으로 가공한 필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 에 도시된 필러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피하 지방층에 필러를 주입한 경우 필러의 폭에 따라 볼륨이 확장되는 정도를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는 필러 입자가 표면이 상방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에는 필러 입자의 표면, 배면 및 측면이 골고루 섞여 배열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무세포 진피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체로부터 분리한 피부에서 표피층과 면역세포를 제거한 것으로서, 부위에 따라 다소 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두께가 1㎜ 내외이며, 가로 세로 2㎝×7㎝ 또는 3㎝×7㎝ 등의 크기 제품이 상용화되어 있다. 도 2 에는 그 예로서 2㎝×7㎝ 크기의 슈어덤이 도시되어 있으며, 1.5㎜ 내지 2.3㎜ 폭과 4㎜ 내지 8㎜ 길이의 유선형 입자, 특히 아몬드 모양의 입자로 패터닝한 필러를 특징적 구성으로서 제안하고 있다. 이때, 필러는 도 2 에서와 같이 아몬드 모양의 머리 부분과 꼬리부분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편, 끝이 뾰족한 첨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부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무세포 진피를 패터닝할 때의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 에는 상기 사이즈의 유선형 입자로서 길쭉한 육각형 모양으로 패터닝한 필러를 특징적 구성으로 제안하고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사이즈의 유선형 입자로서 길쭉한 팔각형으로서 어느 한 변에 가는 막대형 조각이 부가되어 패터닝한 필러를 특징적 구성으로 제안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패터닝된 필러는 일정한 시간동안의 수화 (rehydration) 처리를 거쳐 주사기를 통하여 피하 지방층에 주입된다. 이때, 충분한 수화 시간을 필요로 하며, 피부 본래의 점도(viscosity)를 유지시킴으로써 주입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시술할 때 필러의 주입량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필러가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사각 공간(dead space)이 없이 필러 입자의 중첩이 이루어진다.
본 출원인은 시술후 볼륨 확장 정도를 고려하여 수화 시간을 20분간으로 설 정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패터닝된 필러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상기한 형상의 필러가 주름제거나 안면 윤곽 교정 시술에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선, 필러의 폭과 필러 주사시 주입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러가 주사기를 통과하는 동작을 세분하면, 필러가 주사기 입구에 막 들어가는 단계와 주사기를 통과해서 흘러나오는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필러가 주사기 입구에 막 들어가는 단계에서의 주입 압력은 필러가 주사기를 통과해 흘러나오는 단계의 주입 압력보다 높다. 따라서, 필러를 주사기로 주입할 때 손에 느껴지는 압력은 일정하지 않고, 필러가 주사바늘에 하나씩 주입됨에 따라 막힘과 통과가 반복되어 느껴진다.
그런데, 필러의 폭이 2.3㎜ 이상이 되면 16 게이지의 주사 바늘을 통과하는 압력이 0.41 kgf/㎠ 이상이 되며, 이때 손에 느껴지는 막힘과 통과의 압력 차는 매우 커진다. 따라서, 필러의 주입량을 균일하게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막힘 단계에서 통과 단계로 천이할 때 손에 인가하는 압력을 적절히 감쇠할 수 없기 때문에 필러의 주입량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압력에서는 하나의 필러가 주사바늘로부터 빠져나올 때 빠른 속도로 튀어나가게 되기 때문에 이미 주입된 다른 필러의 분포와 모양에도 악영향을 미쳐 주입된 필러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서로 뭉치게 되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필러의 폭이 2.3 ㎜ 이하가 되면, 막힘과 통과 단계에서의 압력 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균일한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필러의 폭이 2.3 ㎜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러의 폭이 2.3 ㎜ 이하라고 하여 주입 압력이 반드시 0.41 kgf/㎠ 이하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필러 입자의 형상에 따라 주입 압력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데, 폭이 2㎜ 라고 하여도 필러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라면 주입 압력은 0.41 kgf/㎠를 초과하여 시술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필러 입자를 유선형으로 가공할 것을 제안한다. 본 출원인은 필러를 유선형으로 가공하여 주입함으로써, 주입 압력을 현저히 낮추어 시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여기서 유선형이라 함은 필러 입자의 머리와 꼬리 부분은 가늘고 몸통 부분은 두툼한 형태를 일컫는다. 머리와 꼬리부분은 가늘게 함으로써 주사 바늘을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몸통 부분은 두툼하게 함으로써 연부 조직의 볼륨이 효율적으로 확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필러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몬드 모양으로 패터닝함으로써, 무세포 진피를 패터닝할 때의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서와 같이 필러가 아몬드 모양의 머리 부분과 꼬리부분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편, 끝이 뾰족한 형상의 첨부를 갖도록 함으로써 무세포 진피를 패터닝할 때의 로스를 더욱 줄일 수 있다. 고가의 무세포 진피를 사용한 시술에 있어서 로스를 최소화한다는 것은 곧 동일한 비용으로 보다 크게 볼륨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 다.
다음으로, 도 5 와 도 6 을 참조하여 필러 입자의 폭과 볼륨 확장성의 관계를 설명한다. 필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 지방층에 16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통하여 주입된다. 우선 주사바늘을 피하 지방층에 찔러 넣어 필러 주입공간을 형성한 후, 주사기에 압력을 가하여 필러를 주입하면서 주사 바늘을 후퇴시킨다.
시술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시술 부위에 7㎜ 내외의 간격을 두고 필러의 주입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5 에는 3 개의 라인이 주입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입공간을 형성할 때는 각 라인마다 주사바늘을 꽂는 것은 아니다. 시술 부위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곳에 주사 바늘을 꽂고 피부 탄력을 고려하면서 바늘의 각도를 조절하여 각 라인마다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필러 주입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외부에 드러나는 주사바늘 자국은 1 개로 족하다.
이때, 16 게이지 주사바늘의 직경은 1.295㎜ (16 게이지) 이므로, 주사바늘에 의하여 형성된 필러 주입공간은 직경이 1.295㎜ 정도가 된다. 따라서 이보다 폭이 큰 필러 입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공간의 양 측면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받아 피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불룩해진다. 이와 같이 불룩해짐으로써 안면 피부의 볼륨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필러 입자의 두께는 1㎜로 제한되어 있음은 앞서 밝힌 바와 같다)
따라서, 필러 입자의 폭이 크면 클수록 볼륨 확장의 효과는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안면 피부의 두께가 1㎜ 내외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폭이 큰 필러를 주입할 경우에는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 등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안면 피부 두께를 고려하여 표면이 지나치게 울퉁불퉁해지지 않도록 하는 필러의 폭을 제안하며, 그 값은 2.3㎜ 이하이다.
한편, 필러 입자의 폭이 1.5㎜ 이하가 되면, 필러 입자의 폭과 필러 입자가 주입되는 피하 지방층의 주입공간의 직경이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피하 지방층에 주입된 필러 입자가 주입공간의 측면으로부터 받는 힘이 작고, 그 결과 피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정도도 작다. 따라서, 필러 주입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필러 입자의 폭이 1.5 ㎜ 이하가 되면 16 게이지 또는 18 게이지의 주사바늘에 2 개의 필러 입자가 한번에 끼일 위험이 있으며, 이 경우 필러 입자가 주사바늘을 통과할 수가 없어 시술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필러 입자의 폭은 1.5㎜ 내지 2.3 ㎜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필러 입자의 폭과 필러 입자의 배열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필러 주입시 필러 입자는 하나씩 하나씩 주사 바늘을 빠져나와 부분적으로 포개어지면서 배열된다. 한편, 무세포 진피는 그 표면, 배면 및 측면에 따라 인체 내에서 생착되는 과정이 인체 부위에 따라 미세하게 차이를 보인다.
이와 같은 생착 과정의 차이를 감안할 때,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세포 진피의 표면이 피부 세포와 맞닿을 수 있도록 무세포 진피의 표면이 모두 상방으로 정렬된 채 필러 입자가 배열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필러 주입시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세포 진피의 표면, 배면 및 측면이 무작위로 골고루 섞여 피부와 맞닿게 되도록 하는 것이 차선이다.
그런데 필러 입자의 폭이 2.3 ㎜보다 크게 되면 필러 입자의 측면이 피부와 맞닿을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다. 이는 필러 입자의 두께가 1㎜ 정도라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필러 입자의 두께가 1㎜ 정도로서 폭에 비하여 얇기 때문에, 입자의 폭이 2.3 ㎜ 보다 크게 되면 필러 입자가 측면으로 서 있기 어려워 기울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필러 입자가 쓰러져 표면 또는 배면이 피부에 맞닿게 된다. 즉, 필러 입자의 측면이 피부에 맞닿을 가능성은 낮아진다.
따라서 필러 입자의 표면, 배면 및 측면이 골고루 피부와 맞닿을 수 없게 되며, 이는 필러의 생착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필러 입자의 폭은 2.3 ㎜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러 입자의 길이와 안면 움직임의 자연스러움 및 시술의 효율성을 설명한다. 필러 입자의 길이는 8 ㎜ 보다 크면 안면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진다. 피하 지방층에 주입된 필러 입자는 각각 하나의 판처럼 움직인다. 각 입자는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배열되며, 중첩된 부분이 조인트가 되어 유기적으로 자연스럽게 움직여진다.
그러나 필러 입자의 길이가 8 ㎜보다 크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판의 크기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안면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모양을 형성하지 못한 다. 따라서 필러 입자의 길이는 8 ㎜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자연스러움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필러 입자의 길이가 4㎜ 이하이면 시술이 번거롭고 볼륨 확장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필러를 사용한 안면 윤곽 성형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즉, 귀, 볼 아래, 광대뼈, 관자놀이, 코밑, 입술, 턱선, 및 이마 등 필러를 사용한 안면 윤곽 성형에 전반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또한 주입 층을 적응에 따라 피부밑, 피하층, 근육층, 그리고 골막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어 볼륨 증가를 자연스럽고 적절히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안면 윤곽 교정에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며, 각 시술 부위에 따라 필러를 주입하는 위치와 주입량은 가변적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인 필러 입자의 형상과 크기에 관한 사항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컨데, 관자놀이는 안면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피부가 얇기 때문에 18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러 입자의 폭은 1.5㎜ 정도, 길이는 4㎜ 정도인 것을 사용한다. 이 범위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필러 입자의 폭과 길이 범위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지속시간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형상의 필러를 피브린과 믹스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자신의 혈액 10cc 를 채혈하고, 채혈한 혈액에 항응고제를 첨가한 후, 10분간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된 혈액에서 혈장 성분만을 채취하고 트롬복산 (thromboxane) 을 첨가하여 피브린을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과 크기의 무세포 진피 또는 근막과 피브린을 믹스하여 이를 시술 부위에 주입한다.
이와 같이 피브린이 믹스된 필러를 사용하면, 피브린의 메쉬 폼이 무세포 진피 (알로덤, 슈어덤) 또는 근막의 리콜라게네이션을 방어하여 생체내에 흡수되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지속시간을 증가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러를 실험용 쥐의 진피 부분(sub-dermal)에 주입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필러의 변화에 대해 살펴본다. 이때, 주입한 필러의 크기는 가로 세로 1.8 ㎜×4 ㎜ 이다.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에 의한 필러를 실험용 쥐의 진피 부분에 주입하고, 6주가 경과한 후 해당 부분을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법(H-E stain)으로 염색하여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이하 'TEM' 이라함)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9a 는 실험용 쥐의 표피, 근육 및 그 아래의 주입된 필러를 촬영한 것이며, 도 9b 는 도 9a 에서의 경계 부위를 확대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 에서, 주입된 필러 입자의 외곽 주변부에 필러 입자의 다른 부위보다 진한 적색 부위가 산재하여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진한 적색 부위는 섬유모세포의 침윤에 의해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로서, 주입된 필러에 대한 섬유모세포의 침윤이 필러 입자의 주변부로부터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필러가 주입되면, 먼저 주입 부위에 섬유모세포의 침윤이 일어난다. 이후, 섬유모세포의 침윤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섬유모세포에 의해 새로운 콜라겐 섬유가 생성되는 한편, 주입된 필러의 콜라겐 섬유는 대식세포에 의해 주변부로부터 제거되어 콜라겐 섬유의 대체가 이루어 진다.
이러한 섬유모세포의 침윤은 필러 입자의 경계부위에서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입자 크기가 큰 본 발명에 따른 필러의 경우 분말 가공된 필러 보다 섬유모세포의 침윤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분말 가공된 필러보다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콜라겐 섬유의 대체도 서서히 이루어지게 된다.
섬유모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콜라겐 섬유는, 정상 피부 보다 작고 치밀하기 때문에 정상 피부의 탄력이 아닌 흉터와 같은 단단한 피부 촉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분말 가공한 필러보다 섬유모세포의 침윤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섬유모세포에 의해 새로 생성되는 콜라겐 섬유로의 대체도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에 장기간 동안 자연스러운 피부 촉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 는 본 발명에 의한 필러를 실험용 쥐의 진피 부분에 주입하고, 13주가 경과한 후 해당 부분을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법(H-E stain)으로 염색하여 TEM 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a 는 실험용 쥐의 표피, 근육 및 그 아래의 주입된 필러를 촬영한 것이며, 도 10b 는 도 10a 에서의 경계 부위를 확대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 에서, 주입된 필러 입자의 주변부에 있는 다른 부위보다 진한 적색 부분은 도 9a 및 도 9b 에서와 같이 섬유모세포의 침윤에 의해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이다.
도 10a 및 도 10b 로부터, 주입된 필러 입자에 대한 섬유모세포의 침윤 및 섬유모세포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콜라겐 섬유로의 대체가 도 9a 및 도 9b 와 비교해 더욱 진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필러를 실험용 쥐의 진피 부분에 주입하고, 32주가 경과한 후 해당 부분을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법(H-E stain)으로 염색하여 TEM 으로 촬영한 사진으로서, 실험용 쥐의 표피, 근육 및 그 아래의 주입된 필러의 경계 부위를 확대 촬영한 것이다. 도 11 에서, 주입된 필러 입자에 있는 다른 부위보다 진한 적색 부분은 도 9a 및 도 9b 에서와 같이 섬유모세포의 침윤에 의해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이다.
도 11 을 보면, 주입된 필러 입자의 주변부로부터 시작된 섬유모세포의 침윤 및 새로운 콜라겐 섬유로의 대체가, 도 10a 및 도 10b 와 비교해 필러 입자의 내부 중앙까지 진행되어 있다. 그러나, 주입된 필러 입자의 상당 부분은 아직까지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에 필러를 분말 가공하여 주사한 경우, 연부 조직의 확장이 지속되는 기간은 최대 10주 정도이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필러의 경우, 이상의 도 9a 내지 도 11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러 주입 후 32 주가 경과한 후에도 필러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확장 상태도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형상과 크기를 갖는 필러는 종래의 분말 가공하는 경우보다 연부 조직 확장의 지속성이 현저히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9a 및 도 9b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입된 필러에 대한 섬유모세포의 침윤이 주입된 필러 입자의 주변부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형상과 크기를 갖는 필러의 경우 표면적이 넓은 분말 형태 보다 주입된 필러 입자에 대한 대식작용 및 새로운 콜라겐 섬유로의 대체가 훨씬 느려지기 때문이다.
특히, 실험용 쥐의 생장 속도가 사람의 20배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험용 쥐에서의 32주는 대략 사람의 10년에 해당되며,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본 발명의 필러에 의한 연부 조직 확장의 효과가 최장 10년 동안 유지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 도 12a 및 도 12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러 입자의 콜라겐 섬유와 본 발명에 의한 필러가 주입된 후 섬유모세포의 침윤 및 이에 의해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에 대해 살펴본다.
도 12a 는 주입된 본 발명의 필러 입자 사이에 섬유모세포가 생성된 상태를 TEM 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12b 는 주입된 필러 입자로의 섬유모세포의 침윤 및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에 의한 대체가 일정 시간 진행된 상태로서, 주입된 필러 입자의 콜라겐 섬유와 섬유모세포에 의해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를 함께 TEM 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a 로부터, 섬유모세포는 주입된 필러 입자 사이에 생성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섬유모세포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콜라겐 섬유는 주입된 필러 입자의 주변부로부터 침투 및 대체하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2b 로부터, 주입된 필러 입자의 콜라겐 섬유가 일정 간격을 두고 비교적 성글게 유지되고 있는 반면, 섬유모세포에 의해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의 조직은 작고 치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섬유모세포에 의해 새로 생성된 콜라겐 섬유는 정상 피부의 탄력이 아닌 흉터의 피부와 같이 단단한 피부 촉감을 나타내기 때문에, 새로 생성되는 콜라겐 섬유에 의한 대체가 빨라지게 되면 그 만큼 자연적인 피부 촉감을 오래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필러의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경우, 섬유모세포에 의한 콜라겐 섬유의 대체가 주입된 필러 입자의 주변부로부터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분말 가공되어 주입되는 필러에 비해 정상 피부의 자연스런 피부 촉감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동 업계에 종사하는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 들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명백히 한다.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필러 입자의 형상에 의하면, 필러의 주입량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어 시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술시 볼륨 확장의 효율성을 높여 보다 만족스런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세포 진피로 이루어진 필러 주입시 무세포 진피의 표면, 배면 및 측면이 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러의 생착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러를 주입한 후 생착되기까지 외관상 안면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되도록 함으로써, 시술 만족도를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한 형태로 가공한 필러에 있어서,
    필러 입자의 머리부와 꼬리부는 폭이 가늘고 몸통부는 두툼한 유선형이며,
    상기 필러 입자의 몸통부의 폭은 1.5 mm 내지 2.3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입자의 길이는 4 mm 내지 8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입자의 형상은 아몬드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입자의 형상은 상기 아몬드 모양의 머리부와 꼬리부로부터 더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편, 끝이 뾰족한 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입자의 형상은 길쭉한 육각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입자의 형상은 길쭉한 팔각형 모양으로서 어느 한 변에 가는 막대 모양의 조각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피브린과 믹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KR1020050047741A 2004-06-10 2005-06-03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하도록 입자 형태로 가공한 필러 KR100680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2593 2004-06-10
KR1020040042593 2004-06-10
KR1020040073227A KR20050118060A (ko) 2004-06-10 2004-09-14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 형태로 가공한 필러
KR1020040073227 2004-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73A true KR20060048173A (ko) 2006-05-18
KR100680134B1 KR100680134B1 (ko) 2007-02-08

Family

ID=3550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741A KR100680134B1 (ko) 2004-06-10 2005-06-03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하도록 입자 형태로 가공한 필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0134B1 (ko)
WO (1) WO2005120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5459B2 (en) 2007-08-02 2013-06-04 Medicis Pharmaceutical Corporation Method of applying an injectable filler
US9375513B2 (en) 2011-04-14 2016-06-28 Lifecell Corporation Regenerative materials
CN103127551A (zh) * 2013-03-13 2013-06-05 潘华倩 异种脱细胞真皮基质微粒软组织填充剂及其制备方法
KR102339700B1 (ko) * 2013-05-07 2021-12-14 케이엠 바이올로직스 가부시키가이샤 입자상 탈세포화 조직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겔
US11123375B2 (en) 2017-10-18 2021-09-21 Lifecell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tissue voids following removal of implantable infusion ports using adipose tissue products
CA3075099A1 (en) 2017-10-18 2019-04-25 Lifecell Corporation Adipose tissue products and methods of production
US11246994B2 (en) 2017-10-19 2022-02-15 Lifecell Corporation Methods for introduction of flowable acellular tissue matrix products into a hand
EP3697462B1 (en) 2017-10-19 2023-07-12 LifeCell Corporation Flowable acellular tissue matrix products and methods of production
EP3976127A1 (en) 2019-05-30 2022-04-06 LifeCell Corporation Biologic breast implant
CN113230451A (zh) * 2021-04-02 2021-08-10 长春圣博玛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可注射的皮肤填充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1444A (en) 1995-07-28 1997-01-07 Isolagen Technologies, Inc. Use of autologous dermal fibroblasts for the repair of skin and soft tissue defects
US6432710B1 (en) * 1998-05-22 2002-08-13 Isolagen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for regenerating tissue that has deteriorated, and methods for using such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20597A1 (en) 2005-12-22
KR100680134B1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134B1 (ko)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하도록 입자 형태로 가공한 필러
JP6851338B2 (ja) 組織移植および複製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448313B1 (ko) 픽셀 어레이 의료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912816B1 (ko) 조직이식 장치
WO2008072229A2 (en) Methods for dermal filling using microneedles
KR100724706B1 (ko)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EP1514574A2 (de) Narbenfreie Entfernung von Tätowierungen
KR200489893Y1 (ko) 평면부를 갖는 의료용 실
KR101486456B1 (ko)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CA2936906A1 (en) Surgical methods/devices for tissue injury removal by tattooing of autologous stem cells
RU2135122C1 (ru) Способ омолаживания кожи
KR20050118060A (ko)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 형태로 가공한 필러
Serra-Renom et al. Atlas of minimally invasive facelift: facial rejuvenation with volumetric lipofilling
Nordström et al. Correction of sideburn defects after facelift operations
Goodman Autologous fat and dermal grafting for the correction of facial scars
US20230020956A1 (en) Twelve-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US20210346018A1 (en) Ten-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KR200419574Y1 (ko)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JP7075568B2 (ja) ピクセルアレイ医療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Passy PMMA implants: a new way to correct body defects without surgery
CN101020899A (zh) 一种活体皮肤组织细胞聚合物的制备方法及其用途
Nordström Punch hair grafting methods
Rao et al. Soft-tissue augmentation: skin fillers
Barrera Hair transplantation
Nataf Particular techniques of hair transpla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