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891A - 형광관 구동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형광관 구동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891A
KR20060047891A KR1020050040174A KR20050040174A KR20060047891A KR 20060047891 A KR20060047891 A KR 20060047891A KR 1020050040174 A KR1020050040174 A KR 1020050040174A KR 20050040174 A KR20050040174 A KR 20050040174A KR 20060047891 A KR20060047891 A KR 2006004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fluorescent tube
winding
voltage
primar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끼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specially adapted components in the load circuit, e.g. feed-back transformers, piezoelectric transformers; using specially adapted load circuit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Liquid Cryst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형광관에 대한 고압 인가 시의 누설 전류를 억제하여 발광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드라이브·제어 회로(5)로부터의 교류 전압의 공급을 받은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로서, 서로의 2차 권선 N2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의 극성이 역극성으로 되도록 접속하고, 이에 따라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a, 단자 t10b에 대해 각각 역극성으로 되는 교류 전압을 인가한다. 냉음극 형광관(10)의 한쪽의 단자에만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각 단자에 인가할 전압 레벨을 반감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누설 전류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양측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하므로, 고압 인가측만이 밝게 전등하는 것 등의 휘도 불균일의 저감도 꾀할 수 있다.
교류 전압, 냉음극 형광관, 누설 전류, 고압 인가

Description

형광관 구동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FLUORESCENT LAMP DR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실시 형태에서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제1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에서 형광관에 대하여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예시한 파형도.
도 4는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드라이브·제어 회로의 내부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제2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제3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의 형광관 구동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형광관 구동 장치에서 형광관에 대하여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예시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형광관 구동 장치
5 : 드라이브·제어 회로
6 : 발진·드라이브 회로
7 : 비교기
10, 11 : 냉음극 형광관
TR1a, TR1b, TR2a, TR2b : 트랜스포머
N1 : 1차 권선
N2 : 2차 권선
Q1, Q2 : 스위칭 소자
R1 : 전류 검출 저항
C1 : 공진 컨덴서
20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1 : 패널 구동부
22 : 액정 패널
23 : 백 라이트부
24 : 조광부
25 : 광 센서
26 : 조작부
<특허 문헌1> 일본 특개평11-8087호 공보
본 발명은, 형광관을 발광 구동하기 위한 형광관 구동 장치,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자기 발광형이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광원으로서 냉음극 형광관(CCFL)을 이용한 백 라이트가 구비된다. 도 7은,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백 라이트로서의 냉음극 형광관을 구동하기 위한 형광관 구동 장치로서, 그 종래의 구성을 간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 우선 드라이브·제어 회로(50)는, 내부에 스위칭 소자 등을 구비하여, 도시되지 않는 직류 전원의 공급을 받아 교류 전압을 생성한다. 이 드라이브·제어 회로(50)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 전압은, 트랜스포머 TR의 1차 권선 N1에 공급된다.
트랜스포머 TR은 승압 또는 강압형의 트랜스포머로 되어, 드라이브·제어 회로(50)의 출력에 기초하는 교류 전압을 2차 권선 N2에 여기한다. 트랜스포머 TR의 2차 권선 N2는, 그 한쪽의 단부가 냉음극 형광관(10)의 한쪽의 단자 t10a에 접속되고, 2차 권선 N2의 다른 쪽의 단부는 냉음극 형광관(10)의 다른 쪽의 단자 t10b에 접속됨과 함께, 이들의 접속점이 어스에 접속된다.
종래에서는, 이와 같이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b 측을 어스(earth) 전위, 혹은 그것에 가까운 전위로 하여, 단자 t10a 측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 성된다. 즉, 이 경우의 형광관 구동 장치에서는,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a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0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V 레벨로 되는 전압 V를 인가함으로써, 냉음극 형광관(10)을 발광 구동하도록 된다.
또한, 관련된 종래 기술에 대해서는, 상기의 특허 문헌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백 라이트로서 이용하는 냉음극 형광관으로서도 장척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장척화가 진행되면, 그 만큼, 냉음극 형광관을 구동하기 위해 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구동 전압이 고압으로 되면, 냉음극 형광관과 그 주위와의 용량 결합 성분을 통하여 흐르는 누설 전류 성분이 증대하게 된다. 이 누설 전류는, 냉음극 형광관의 발광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그 증대에 의해서는 발광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누설 전류 성분이 증대함으로써는, 냉음극 형광관(10)의 전압 인가측과는 반대측(즉 어스 접지측)으로 됨에 따라, 발광 휘도가 저하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냉음극 형광관(10)의 길이 방향에서, 단자 t10a 측이 밝고, 단자 t10b측이 어두운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들의 것으로부터,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에 의해 냉음극 형광관의 장척화가 진행됨에 따라, 누설 전류가 증대하여 발광 효율이 악화됨과 함께, 휘도 불균일의 발생이 조장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한 특허 문헌1에는, 냉음극 형광관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 회로와 트랜스포머를 2조 준비하고, 이들 드라이브 회로와 트랜스포머의 조를 냉음극 형광관의 양단에 배치한 후에, 각각으로부터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단에서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이 때의 냉음극 형광관에는, 각각의 단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2배의 레벨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각각의 드라이브 회로·트랜스포머에 의해 인가할 전압 레벨은, 1조의 드라이브 회로·트랜스포머만으로 냉음극 형광관을 구동하는 경우의 1/2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형광관의 단자에 인가할 전압 레벨이 저하함으로써, 누설 전류가 저감되어 고효율화가 도모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한쪽에서뿐만 아니라 양측에서 전압을 인가하므로, 냉음극 형광관의 한쪽에서 휘도가 저하하는 등의 휘도 불균일의 현상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문헌1의 구성에 의하면, 1개의 냉음극 형광관에 관하여, 적어도 드라이브 회로, 제어 회로, 트랜스포머의 조를 복수 구비해야한다. 예를 들면, 40인치 클래스의 디스플레이에서는, 냉음극 형광관이 20개 정도 사용되므로, 이와 같이 1개의 냉음극 형광관에 관하여 드라이브 회로, 제어 회로, 트랜스포머의 조를 복수 구비하면, 회로 면적, 및 제조 코스트는 상당히 증대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형광관 구동 장치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하기로 하였다. 즉, 직류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각각의 1차 권선으로부터 2차 권 선에 대하여 여기되는 교류 전압으로서, 서로가 역극성으로 되는 교류 전압을 얻게 된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가, 상기 형광관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에,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을 상기 형광관의 한쪽의 단자에 인가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을 형광관의 다른 쪽의 단자에 인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으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했다. 즉, 적어도 액정 패널과 형광관에 의한 백 라이트부를 구비하여 화상 표시를 행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형광관을 발광 구동하기 위한 형광관 구동부로서, 우선, 직류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각각의 1차 권선으로부터 2차 권선에 대하여 여기되는 교류 전압으로서, 서로가 역극성으로 되는 교류 전압을 얻도록된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를 구비한다. 게다가, 상기 제1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가, 상기 형광관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에,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을 상기 형광관의 한쪽의 단자에 인가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을 형광관의 다른 쪽의 단자에 인가하도록 구성한 형광관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에서는, 1개의 스위칭 수단(드라이브 회로)에 의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서로가 역극성으로 되는 교류 전압이 2차 권선에 얻어진다. 게다가, 이들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의 2 차 권선에 얻어진 서로가 역극성으로 되는 교류 전압이, 형광관의 양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광관의 양측에서 각각 역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이 경우의 형광관의 각 단자에 인가할 전압 레벨은, 종래와 같이 1개의 트랜스포머에 의한 출력을 형광관의 한쪽의 단자에만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1/2의 레벨로 저감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각 단자에 인가할 전압 레벨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만큼 누설 전류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형광관의 양측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예를 들면 한쪽에만 고압을 인가하는 경우와 같이 전압 인가측만이 밝아지는 등의 휘도 불균일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1개의 드라이브 회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에서 각각 역극성으로 되는 전압을 얻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형광관의 양측에 트랜스포머와 드라이브 회로의 쌍방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형광관에 인가할 전압 레벨은 종래의 1/2로 저감되고, 이것에 의해서 누설 전류의 저감이 도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누설 전류의 저감이 도모되는 것으로, 발광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2개의 트랜스포머에 의해 형광관의 양측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휘도 불균일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서는, 하나의 드라이브 회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에서 각각 역극성으로 되는 전압을 얻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형광관의 양측에 트랜스포머와 드라이브 회로의 쌍방을 설치할 필요는 없게 되어, 형광관의 양측에 트랜스포머와 드라이브 회로의 쌍방을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회로 면적 및 회로 제조 코스트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를 형광관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각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과 형광관의 각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2차 권선으로부터 형광관의 단자까지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면, 누설 전류의 한층더 억제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발광 효율의 한층더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를 2개 설치하고, 형광관의 단자에 대하여 인가할 전압 레벨을 종래보다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의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의 코어 사이즈로서도, 종래와 같이 트랜스포머를 1개만으로 고압을 인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종래보다도 트랜스포머의 코어를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형광관 구동 장치, 나아가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도 종래보다 박형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 형태로 함)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우선은,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서의 형광관 구동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실시 형태에서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우선 도시하는 영상 단자 tv에서는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이 영상 신호는 패널 구동부(21)와 조광부(24)과 대하여 공급된다.
패널 구동부(21)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필요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도록 액정 패널(2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액정 패널(22)은, 이와 같이 패널 구동부(21)로써 생성된 구동 신호에 따른 동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된다.
조광부(24)는, 백 라이트부(23)의 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광 신호 Ap를 생성한다. 이 경우, 백 라이트부(23)의 광량 조정은, 첫째,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즉, 조광부(24)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 정보를 검출하여, 이 휘도 정보에 따른 광량으로 되도록 조광 신호 Ap의 설정을 행한다.
또한, 둘째, 도시하는 광 센서(25)로써 검출되는 광량 정보에 기초하여도 행해진다. 이 광 센서(25)는, 예를 들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케이싱 외부에 표출한 부분에서 광량 검출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0)가 놓여진 환경의 광량을 검출하게 된다. 조광부(24)는, 이러한 광 센서(25)로부터의 광량 정보에 따라서도 조광 신호 Ap의 설정을 행하게 된다.
또한 셋째,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서도 조정을 행하게 된다. 이 수동에 의한 조정은, 예를 들면 각종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에서 「밝기 조정」 등의 항목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동에 의한 조정은, 도시하는 조작부(26)를 통하여 행할 수 있다. 조광부(24)는 이 조작부(26)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따른 조광 신호 Ap의 설정도 행하게 된다.
이들 영상 신호, 광 센서(25)로부터의 광량 정보, 및 조작 입력에 따라 조광부(24)로써 설정된 조광 신호 Ap는, 형광관 구동 장치(1)(2, 3)에 대하여 공급된다. 또한, 조작부(26)로서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로 할 수도 있다.
형광관 구동 회로(1)(2, 3)는, 본 발명에서의 각 실시 형태에서 형광관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1, 2, 3)의 상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백 라이트부(23)는, 이 경우에는 냉음극 형광관을 광원으로서 구비하여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형광관 구동 장치(1)(2, 3)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전압의 인가에 따라 발광 구동된다. 이 때, 백 라이트부(23)의 광량의 조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조광부(24)가 생성한 조광 신호 Ap에 기초하여, 형광관 구동 장치(1)(2, 3)에서의 상기 구동 전압의 생성 레벨이 조정됨으로써 행해지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도 4에 의해, 본 발명에서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형광관 구동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형광관 구동 장치(1)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백 라이트부(23)도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백 라이트부(23)에서는 냉음극 형광관(10)이 하나만 구비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제1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1)로서는, 도시하는 냉음극 형광관(10)을 구동하는 것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드라이브·제어 회로(5)(스위칭 수단 및 스위칭 구동 수단)와 같이, 트랜스포머 TR1a(제1 트랜스포머)와 트랜스포머 TR1b(제2 트랜스포머)에 의한 2개의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선,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대해서는, 앞의 도 1에서 도시한 조광부(24)로부터의 조광 신호 Ap가 공급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제어 회로(5)는, 도시되지 않은 직류 전원 전압을 입력하여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것으로 되고, 이 교류 전압을 도시하는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 각각의 1차 권선 N1에 대하여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드라이브·제어 회로(5)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에 얻어진 교류 전압은, 이 트랜스포머 TR1a의 2차측에 권장된 2차 권선 N2에 여기된다. 이 경우, 트랜스포머 TR1a에서의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과의 감기 방향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되어, 이들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는 동극성의 교류 전압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감기 방향이란, 감기 시작부터 감기 종료로의 방향을 가리킨다.
트랜스포머 TR1a의 2차 권선 N2의 감기 시작 단부는, 냉음극 형광관(10)의 한쪽의 단자 t10a에 대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2차 권선 N2의 감기 종료 단부는, 도시하는 전류 검출 저항 R1을 통하여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a에 대해서는, 트랜스포머 TR1a 에서 1차 권선 N1로부터 2차 권선 N2에 여기된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들 2차 권선 N2의 다른 쪽의 단부와 전류 검출 저항 R1의 접속점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대하여 검출 라인 Ln1이 입력되는 것으로 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트랜스포머 TR1a에 대하여, 트랜스포머 TR1b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는, 각각이 동등한 특성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즉, 예를 들면 사용하는 권선이나 코어, 1차 권선 N1, 2차 권선 N2의 각 권수, 및 코어에 형성하는 갭 길이가 동등하게 되는 등, 각각의 특성이 동등하게 된다.
또한,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냉음극 형광관(10)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트랜스포머 TR1a는, 냉음극 형광관(10)의 한쪽의 단자측(단자 t10a측)에 배치되고, 트랜스포머 TR1b가 냉음극 형광관(10)의 다른 쪽의 단자측(단자 t10b측)에 배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트랜스포머 TR1b 측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는, 트랜스포머 TR1a측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에 대하여 접속된다. 또한,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에 대하여,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가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 형태에 의해, 이 경우의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접속 형태에 따르면, 서로의 1차 권선 N1의 감기 방향은 동일하지만, 전압 공급원으로 되는 드라이브·제어 회로(5)로부터 보면, 접속 방향은 역방향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서로의 1차 권선 N1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은 각각 역이 극성으로 되도록 된다.
그리고, 트랜스포머 TR1b에서는, 트랜스포머 TR1a의 경우와 같이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의 감기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b에는,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과 동극성의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 게다가, 이 2차 권선 N2의 감기 종료 단부는 어스에 접속되고, 감기 시작 단부는 냉음극 형광관(10)의 다른 쪽의 단자 tDb에 대하여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mb에 대해서는,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로부터 2차 권선 N2에 대하여 여기되는,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과는 역극성으로 되는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 결국은, 이 경우의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a와 단자 t10b는, 각각 역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a와 단자 t10b와 각각 역극성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한 것으로, 이 경우의 단자 t10a와 단자 t10b 각각에는, 다음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압 V1, 전압 V2를 인가하도록 된다. 즉, 앞의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에서, 단자 t10a에 인가할 전압 레벨을 「V」로 한 경우에, 도 3(a)(b)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이 「V」의 반의 「1/2V」의 레벨에 의한 전압 V1, 전압 V2를 인가하도록 된다.
이 경우에는, 단자 t10a와 단자 t10b에 대하여 인가되는 교류 전압은, 상기한 바와도 같이 극성이 역으로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단자 t10a에 대하여 「+1/2V」에 의한 전압 V1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단자 tDb에 대하여 「-1/2V」에 의한 전압 V2가 인가되는 것으로 된다. 즉, 이와 같이 「1/2V」 레벨에 의한 각각 역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냉음극 형광관(10)에 대해서는 「V」 레벨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이 경우에는 앞의 도 7의 종래의 구성인 경우의 반의 레벨에 의한 교류 전압을 냉음극 형광관(10)의 양측으로부터 인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종래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동 전압을 냉음극 형광관(10)에 대하여 인가할 수 있다.
도 4에는, 드라이브·제어 회로(5)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도, 도 2에 도시한 트랜스포머 TR1a와, 공진 컨덴서 C1과, 검출 라인 Ln1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이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발진·드라이브 회로(6)와, 이 경우에는 NPN 형의 트랜지스터로 된 스위칭 소자 Q1과 스위칭 소자 Q2, 및 비교기(7)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스위칭 소자 Q1의 콜렉터는,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대하여 공급되는 직류 전원 전압 Vin의 정극측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스위칭 소자 Q2의 콜렉터에 대하여 접속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는, 직류 전원 전압 Vin의 마이너스극측에 접속된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 Q1의 에미터와 스위칭 소자 Q2의 콜렉터와의 접속점(스 위칭 출력점)은, 도시한 공진 컨덴서 C1의 직렬 접속을 통하여,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가 접속된다. 즉,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는,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 출력점은, 공진 컨덴서 C1의 직렬 접속을 통하여 이들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하고 단부와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와의 접속점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는,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에 대하여 접속된다. 즉,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는, 트랜스포머 TR1a의 감기 종료 단부와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와의 접속점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들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와, 트랜스포머 TR1a의 감기 종료 단부와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의 접속점과의 접속점은, 도시한 바와 같이 어스에 접속된다.
발진·드라이브 회로(6)는, 내부에 발진기를 구비하고, 그 발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한 스위칭 소자 Q1과 스위칭 소자 Q2를 교대로 온/오프하도록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위칭 소자 Q1와 스위칭 소자 Q2가 교대로 온/오프하도록됨으로써, 이들 스위칭 소자 Q1와 스위칭 소자 Q2의 스위칭 출력점과 접속된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 및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에는,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1차 권선 N1에 교류 전류가 얻어지는 것으로, 각 1차 권선 N1에는 교류 전압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도 같이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의 2차 권선 N2에 대하여도 교류 전압이 얻어지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이 경우의 발진·드라이브 회로(6)는, 도시하는 검출 라인 Ln1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는 비교기(7)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소자 Q1과 스위칭 소자 Q2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한다.
이 경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검출 저항 R1은 트랜스포머 TR1a의 2차 권선 N2의 감기 종료 단부와 어스 사이에 삽입되어, 검출 라인 Ln1에는 트랜스포머 TR1a의 2차 권선 N2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레벨의 검출 전압이 얻어지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비교기(7)는, 검출 라인 Ln1을 통하여 공급되는 이 검출 전압에 따른 레벨의 제어 신호를 발진·드라이브 회로(6)에 대하여 출력하도록 된다. 발진·드라이브 회로(6)에서는, 이러한 비교기(7)로부터의 제어 신호 레벨에 따라, 스위칭 소자 Q1와 스위칭 소자 Q2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 2차 권선 N2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설정된 레벨로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냉음극 형광관(10)의 발광량은 일정하게 제어된다.
또한, 이 경우, 발진·드라이브 회로(6)에 대해서는, 앞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공급된 조광부(24)로부터의 조광 신호 Ap가 입력된다. 발진·드라이브 회로(6)는, 이 조광 신호 Ap에 따라서도 상기 스위칭 소자 Q1, Q2에 대한 스위칭 주파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된다. 즉, 2차 권선 N2에 흐르는 전류 레벨은 이 조광 신호 Ap에 따라서도 제어됨으로써, 이것에 의해 백 라이트부(23)에서의 광량은 이 조광 신호 Ap에 따라 제어된다.
또한, 이 경우, 발진·드라이브 회로(6)로서는, 트랜스포머 TR1a 측에 설치 된 전류 검출 저항 R1에 의한 검출 전압에만 기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안정화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도 같이 이 경우에는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는 동등한 특성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트랜스포머 TR1a의 2차 권선 전류에 대한 안정화 제어는, 트랜스포머 TR1b의 2차 권선 전류에 대해서도 같이 작용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트랜스포머 TR1a측의 2차 권선 전류에 대한 안정화를 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트랜스포머 TR1b측의 2차 권선 전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안정화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 도 4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1)에서는, 공진 컨덴서 C1을 1차 권선 N1과 직렬로 접속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하와 같은 이유에 의한다.
앞의 도 2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 형태에서는,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대하여, 냉음극 형광관(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데 있어서, 이 드라이브·제어 회로(5)측에 배치된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에의 배선은 비교적 짧은 것으로 할 수 있지만, 다른 쪽의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에의 배선은, 적어도 냉음극 형광관(10)의 길이 이상으로 주회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드라이브·제어 회로(5)로부터 각 1차 권선 N1로 흐르는 전류는 비교적 고주파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드라이브·제어 회로(5)로부터 1차 권선 N1에의 배선이 길어지도록 되면, 이 라인에서의 노이즈 복사가 우려된다. 따라서, 각 트랜스포머 TR의 1차 권선 N1과 직렬로 되도록 공진 컨덴서 C 1를 삽입함으로써, 이 공진 컨덴서 C1의 캐패시턴스와 1차 권선 N1의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공진 회로를 형성하여, 이것에 의해 각 트랜스포머 TR의 1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정현파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드라이브·제어 회로(5)측으로부터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측을 접속하는 라인을 흐르는 고주파 전류에 발생하는 고조파를 저감할 수 있고, 노이즈 복사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1)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관(10)의 양단에서 각각 역의 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에 인가할 전압 레벨은, 종래와 같이 1개의 트랜스포머에 의한 출력을 냉음극 형광관(10)의 한쪽의 단자에만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1/2의 레벨로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에 인가할 전압 레벨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만큼, 누설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누설 전류의 저감이 도모되는 것으로, 발광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이와 같이 냉음극 형광관(10)의 양측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한쪽의 단자에만 고압을 인가하는 경우와 같이 전압 인가측만이 밝아지는 등의 휘도 불균일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1)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냉음극 형광관(10)의 양측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구동용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드라이브·제어 회로(5)로부터 교류 전압의 공 급을 받는 트랜스포머로서, 각각 2차 권선에 역의 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이 얻어지도록 접속한 2개의 트랜스포머를 설치하도록 한 것으로, 각각 역극성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드라이브 회로를 냉음극 형광관(10)의 양측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이 점에서, 냉음극 형광관(10)의 양측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의, 회로 면적이나 회로제조 코스트의 증가의 억제가 도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하여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를 설치하여 냉음극 형광관(10)의 양측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이 경우의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의 코어 사이즈로서도, 종래의 트랜스포머를 1개만으로 냉음극 형광관(10)의 한쪽에만 고압을 인가하도록 된 구성과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종래부터도 트랜스포머 TR의 코어를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백 라이트부(23), 나아가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20)로서도 종래부터 박형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도 같이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가 냉음극 형광관(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하와 같은 이유에 의한다.
예를 들면, 만약 트랜스포머 TR1b를 트랜스포머 TR1a와 동일한 측에 배치한 경우에는, 트랜스포머 TR1b의 2차 권선 N2로부터 냉음극 형광관의 다른 쪽의 단자까지의 배선은, 적어도 냉음극 형광관(10)의 길이 이상으로 주회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2차 권선 N2로부터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까지의 배선이 길 어지는 것에 의해서는, 그 만큼, 누설 전류 레벨도 증가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2차 권선 N2로부터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까지의 배선이 길어지도록 되는 경우에는, 인가 전압의 레벨의 저감화에 의한 누설 전류의 억제 효과도 약해지게 된다. 특히, 냉음극 형광관과 같이 비교적 고압 고주파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에서는, 이러한 2차 권선 N2로부터 냉음극 형광관의 단자까지의 배선 길이가 길어지는 것에 의한 누설 전류 레벨의 증대가 심각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냉음극 형광관(10) 각각의 단자측에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 각각을 배치함으로써, 냉음극 형광관(10)의 쌍방의 측에서, 2차 권선 N2로부터 단자까지 사이의 배선 길이가 최소한으로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누설 전류의 레벨로서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를 냉음극 형광관(10)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했다고 하는 점에서도, 본 실시의 형태로서는 발광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실시의 형태로서의 형광관 구동 장치(1)를 구비하는 실시 형태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20)에 따르면, 백 라이트부(23)에서의 발광 효율의 향상 및 휘도 불균일의 저감, 게다가 박형화가 도모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2)의 구성예에 대하여, 다음의 도 5에 도시한다. 또한, 도 5에서, 이미 도 2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되는 드라이브·제어 회로(5)로서도, 앞의 도 4에서 설명한 것(와)과 마찬가지의 구성이 채용된다. 또한, 이 경우에서도, 백 라이트부(23)에는 냉음극 형광관(10)이 1개만으로 된 경우를 예로 든다.
도 5에서, 제2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2)로서는, 제1 실시 형태인 경우로서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던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를, 직렬로 접속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는, 앞의 도 2인 경우와 같이 공진 컨덴서 C1의 직렬 접속을 통하여, 드라이브·제어 회로(5) 내에서의 스위칭 소자 Q1의 에미터와 스위칭 Q2의 콜렉터의 접속점(스위칭 출력점)에 대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는, 도 4인 경우과는 달리, 드라이브·제어 회로(5) 내의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와 직접적으로는 접속되지 않게 된다. 즉,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에 대해서는,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가 접속되고,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가, 드라이브·제어 회로(5) 내의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에 대하여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 형태에 따르면, 이 경우의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는, 각각의 1차 권선 N1이 드라이브·제어 회로(5) 내의 스위칭 출력점과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것으로, 직렬의 관계에 의해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이들 1차 권선 N1로서는, 각각의 감기 종료 단부끼리가 접속된 직렬 접속 회로로서, 상기 스위칭 출력점과 스위칭 소 자 Q2의 에미터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다. 이것으로부터, 이 경우도 각각의 1차 권선 N1은 전압 공급원으로서의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대하여 각각 역방향으로 접속된 것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상호 역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이 경우로서도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에서는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의 감기 방향은 같은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a, 단자 t10b 각각에 대해서는, 트랜스포머 TR1a의 2차 권선 N2와 트랜스포머 TR1b의 2차 권선 N2에서 얻어지는 각각 역의 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2)의 구성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1)인 경우와 같이, 1개의 드라이브·제어 회로(5)의 출력에 기초하여, 냉음극 형광관(10)의 각 단자에 각각 역의 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도 제1 실시 형태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에서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형광관 구동 장치(3)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이 도 6에서도, 이미 도 2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경우도 드라이브·제어 회로(5)의 구성으로서는 도 4에 도시한 것으로 같이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3)로서는, 1개의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의해, 복수의 냉음극 형광관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냉음극 형광관(10)과 냉음극 형광관(11)의 2개의 형광관에 대응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이 경우의 냉음극관 구동 회로(3)로서는, 앞의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대하여, 트랜스포머 TR2a, 트랜스포머 TR2b가 추가된다. 이들 트랜스포머 TR2a, 트랜스포머 TR2b로서도, 트랜스포머 TR1a, 트랜스포머 TR1b와 동등한 특성이 얻어지도록 구성하고, 또한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의 감기 방향은 같은 방향으로 된다. 또한, 이들 트랜스포머 TR2a, 트랜스포머 TR2b는, 냉음극 형광관(11)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트랜스포머 TR2a의 1차 권선 N1로서는, 그 감기 시작 단부가, 트랜스포머 TR1a의 감기 시작 단부로부터 트랜스포머 TR1b 측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까지의 라인에 대하여 접속된다. 또한, 이 트랜스포머 TR2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는,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로부터,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까지의 라인에 대하여 접속된다. 즉, 이것에 따르면,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2a와의 관계는 병렬로 되고, 서로의 1차 권선 N1은 전압 공급원에 대해서는 같은 방향에 의해 접속되어, 동극성의 교류 전압이 얻어진다.
또한, 한쪽의 트랜스포머 TR2b의 1차 권선 N1로서는, 그 감기 시작 단부가,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로부터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까지의 라인에 대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이 트랜스포머 TR2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는,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로부터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까지의 라인에 대하여 접속된다. 따라서,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2b로서도 병렬의 관계로 되지만, 서로의 1차 권선 N1은 접속 방향이 역으로 되어, 각각 역극성의 교류 전압이 얻어진다.
게다가, 트랜스포머 TR2a의 2차 권선 N2의 감기 시작 단부는, 냉음극 형광관(11)의 단자 t11a에 접속되고, 감기 종료 단부는 어스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스포머 TR2b의 2차 권선 N2의 감기 시작 단부가 냉음극 형광관(11)의 단자 t11b에 접속되고, 마찬가지로 감기 종료 단부는 어스에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2a에서는, 서로의 1차 권선 N1의(전압 공급원에 대한) 접속 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동극성의 교류 전압이 얻어지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2b에서는, 서로의 1차 권선 N1의 접속 방향은 역으로 되어, 역극성의 교류 전압이 얻어지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트랜스포머 TR2a와 트랜스포머 TR2b에서도, 각2차 권선 N2에 대하여 각각 역의 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냉음극 형광관(11)의 단자 t11a, 단자 t11b의 각각에 대해서도, 역의 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1개의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의해 복수의 냉음극 형광관을 구동하는 구성예로서, 냉음극 형광관(10)의 양단에 배치되는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가 병렬 접속되는 구성을 베이스로 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를 직렬 접속하는 구성을 베이스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로부터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까지의 라인에 대하여, 트랜스포머 TR2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를 접속한다. 또한, 이 트랜스포머 TR2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는,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로부터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까지의 라인에 대하여 접속한다. 또한, 트랜스포머 TR2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를,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로부터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까지의 라인에 대하여 접속하고, 트랜스포머 TR2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는, 트랜스포머 TR1a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로부터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까지의 라인에 대하여 접속하면 된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냉음극 형광관에 대응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상기와 같이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각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에 대하여, 추가분의 트랜스포머 TR의 1차 권선 N1의 각 단부를 마찬가지로 접속하는 것으로, 3개 이상의 형광관에 대응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구성을 기초한 경우에는,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의 각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끼리 연결하는 라인과, 트랜스포머 TR1b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시작 단부와 스위칭 소자 Q2의 에미터를 연결하는 라인에 대하여, 추가분의 트랜스포머 TR의 1차 권선 N1의 각 단부를 마찬가지로 접속해 가는 것으로 하면 된다.
또한, 이 경우도 드라이브·제어 회로(5)에서는, 트랜스포머 TR1a의 2차 권 선 N2에 대하여 설치된 전류 검출 저항 R1에 의한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2차 권선 전류에 대한 안정화를 행하도록 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트랜스포머 TR의 특성이 동등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서도 각 트랜스포머 TR의 2차 권선 전류에 대한 안정화 제어를 같이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지금까지에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 트랜스포머 TR의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을 동일한 감기 방향에 의해 권장한 후에, 1차 권선 N1끼리 전압 공급원에 대한 접속 방향이 각각 역으로 되도록 접속하고, 각각의 1차 권선 N1에 역극성의 교류 전압을 얻는 것으로, 각각의 2차 권선 N2에 역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을 얻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을 대신하여, 1차 권선 N1끼리는 동일한 접속 방향에 의해 접속하여 동극성의 교류 전압이 얻어지게 한 후에, 한쪽의 트랜스포머 TR의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을 다른 감기 방향에 의해 권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각각의 2차 권선 N2에 역극성의 교류 전압을 얻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서는, 트랜스포머 TR1a와 트랜스포머 TR1b에서 서로의 1차 권선 N1의 감기 종료 단부끼리 접속함으로써 역극성으로 되도록 하였던 것을, 한쪽의 감기 종료 단부에 다른 쪽의 감기 시작 단부를 접속하여 동극성으로 되도록 하고, 게다가, 예를 들면 트랜스포머 TR1b에서,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의 감기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다. 이에 의해, 트랜스포머 TR1b 측의 2차 권선 N2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으로서는, 트랜스포머 TR1a 측의 2차 권선 N2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과는 역극성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냉음극 형광관(10)의 단자 t10a와 t10b와 각각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혹은, 마찬가지로 트랜스포머 TR1a 측과 트랜스포머 TR1b 측과의 1차 권선 N1이 동극성으로 되도록 한 후에, 트랜스포머 TR1a측에서,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의 감기 방향을 역방향으로 해도 된다.
어떤 경우든, 실시 형태의 형광관 구동 장치로서는, 각 트랜스포머 TR에서의 1차 권선 N1의 전압 공급원(드라이브·제어 회로(5))에 대한 접속 방향이나, 각각의 트랜스포머 TTR에서의 1차 권선 N1과 2차 권선 N2의 감기 방향의 설정에 의해, 결과적으로 냉음극 형광관의 양측에서 역의 극성에 의한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드라이브·제어 회로(5)의 구성으로서 스위칭 소자를 타려식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자려식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로서도, 트랜지스터 이외에 MOS-FET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형광관 구동 장치가 냉음극 형광관에 대하여 구동하는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으로서는 열 음극 형광관에 대하여 구동하는 구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관 구동 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형광관에 인가할 전압 레벨은 종래의 1/2로 저감되고, 이것에 의해서 누설 전류의 저감이 도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누설 전류의 저감이 도모되는 것으로, 발광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2개의 트랜스포머에 의해 형광관의 양측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휘도 불균일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서는, 하나의 드라이브 회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에서 각각 역극성으로 되는 전압을 얻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형광관의 양측에 트랜스포머와 드라이브 회로의 쌍방을 설치할 필요는 없게 되어, 형광관의 양측에 트랜스포머와 드라이브 회로의 쌍방을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회로 면적 및 회로 제조 코스트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를 형광관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각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과 형광관의 각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2차 권선으로부터 형광관의 단자까지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면, 누설 전류의 한층더 억제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발광 효율의 한층더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를 2개 설치하고, 형광관의 단자에 대하여 인가할 전압 레벨을 종래보다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의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의 코어 사이즈로서도, 종래와 같이 트랜스포머를 1개만으로 고압을 인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종래보다도 트랜스포머의 코어를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형광관 구동 장치, 나아가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도 종래보다 박형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직류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각각의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으로부터 2차 권선에 대하여 여기되는 교류 전압으로서, 서로가 역극성으로 되는 교류 전압을 얻도록 구성된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1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가, 상기 형광관의 양단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서 얻어지는 교류 전압을 상기 형광관의 한쪽의 단자에 인가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서 얻어지는 교류 전압을 상기 형광관의 다른 쪽의 단자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과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이, 각각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이 역극성으로 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에 대하여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에서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과의 감기 방향과, 상기 제2 트랜스포머에서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과의 감기 방향이 각각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과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이, 각각에서 발생하는 교류 전압이 동일한 극성으로 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에 대하여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 중의 한쪽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과의 감기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소요의 구동 주파수에 의해 구동하는 스위칭 구동 수단과,
    상기 제1 트랜스포머 또는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흐르는 전류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함과 함께,
    상기 스위칭 구동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류 레벨에 따라서 상기 구동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2차 권선에 흐르는 전류 레벨의 안정화를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과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과의 쌍방에 대하여 직렬로 되도록, 공진 컨덴서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관이 복수 구비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에 대하여, 상기 제1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조가 상기 형광관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관 구동 장치.
  7. 적어도 액정 패널과 형광관에 의한 백 라이트부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형광관을 발광 구동하기 위한 형광관 구동부로서,
    직류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각각의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으로부터 2차 권선에 대하여 여기되는 교류 전압으로서, 서로가 역극성으로 되는 교류 전압을 얻도록 구성된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1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가, 상기 형광관의 양단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서 얻어지는 교류 전압을 상기 형광관의 한쪽의 단자에 인가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얻어지는 교류 전압을 형광관의 다른 쪽의 단자에 인가하도록 구성한 형광관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40174A 2004-05-13 2005-05-13 형광관 구동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47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3510 2004-05-13
JPJP-P-2004-00143510 2004-05-13
JP2005035445A JP2005353572A (ja) 2004-05-13 2005-02-14 蛍光管駆動装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JP-P-2005-00035445 2005-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891A true KR20060047891A (ko) 2006-05-18

Family

ID=3530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174A KR20060047891A (ko) 2004-05-13 2005-05-13 형광관 구동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97198B2 (ko)
JP (1) JP2005353572A (ko)
KR (1) KR20060047891A (ko)
TW (1) TWI2999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11B1 (ko) * 2012-12-27 2014-09-1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543B1 (ko) * 2005-01-26 2006-11-10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멀티-램프 구동 시스템 및 방법
JP4760093B2 (ja) * 2005-03-30 2011-08-31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テレビ用バックライト装置の他励型インバータ回路、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他励型インバータ回路
JP2007059203A (ja) * 2005-08-24 2007-03-08 Sumida Corporation 放電灯の駆動回路
JP4830579B2 (ja) * 2006-03-29 2011-12-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ンス接続回路、放電管点灯回路、および電子装置
WO2007117011A1 (ja) * 2006-04-12 2007-10-18 Sanken Electric Co., Ltd. 放電管点灯装置
US7973759B2 (en) * 2006-07-06 2011-07-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emitters of backlight module using current mixing
JP4798444B2 (ja) * 2006-07-27 2011-10-19 ミネベア株式会社 多灯式放電灯点灯装置
KR20090010718A (ko) * 2007-07-24 2009-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 전원공급회로
JP4715884B2 (ja) 2008-08-13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の分流基板
WO2013003804A2 (en) 2011-06-30 2013-01-03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for programming a load control device using a smart phone
US11673163B2 (en) * 2016-05-31 2023-06-13 Stryker Corporation Power console for a surgical tool that includes a transformer with an integrated current source for producing a matched current to offset the parasitic curr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5096B2 (ja) 1993-04-02 1998-08-13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JPH1092589A (ja) 1996-09-12 1998-04-10 Taiyo Yuden Co Ltd 熱陰極蛍光管点灯装置のインバータ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熱陰極蛍光管点灯装置
US5767630A (en) 1996-09-18 1998-06-1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floating output drive to fluorescent lamps and minimizing installation requirements
JP3246397B2 (ja) 1997-06-19 2002-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の駆動回路
JP2002233158A (ja) 1999-11-09 2002-08-16 O2 Micro Internatl Ltd 高効率適応型dc/acコンバータ
US6195272B1 (en) * 2000-03-16 2001-02-27 Joseph E. Pascente Pulsed high voltage power supply radiography system having a one to one correspondence between low voltage input pulses and high voltage output pulses
JP2002203689A (ja) 2000-12-28 2002-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トランスを用いた冷陰極蛍光管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478292B (en) 2001-03-07 2002-03-01 Ambit Microsystems Corp Multi-lamp driving system
US7187139B2 (en) * 2003-09-09 2007-03-06 Microsemi Corporation Split phase inverters for CCFL backlight system
KR101012800B1 (ko) * 2004-05-13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광원의 구동 장치
US7126289B2 (en) * 2004-08-20 2006-10-24 O2 Micro Inc Protection for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system
JP3829142B2 (ja) * 2004-10-29 2006-10-04 Tdk株式会社 放電灯駆動装置
JP4318659B2 (ja) * 2005-03-28 2009-08-26 Tdk株式会社 放電灯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11B1 (ko) * 2012-12-27 2014-09-1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53572A (ja) 2005-12-22
US7397198B2 (en) 2008-07-08
TWI299963B (en) 2008-08-11
US20050253536A1 (en) 2005-11-17
TW200605731A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7891A (ko) 형광관 구동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7822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US7315132B2 (en) Apparatus for driving lamp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40246226A1 (en) Inver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inverter
EP1176580A2 (en) Driving circuit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1251648B1 (ko) 냉음극 형광 램프, 냉음극 형광 램프 구동 장치, 냉음극형광 램프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제어방법, 액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50269973A1 (en) Driving device of light source for display device
JP2006108073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の浮遊駆動回路
JP2011124234A (ja) 表示装置用光源の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US7235931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for lighting multiple discharge lamps
KR20130043023A (ko) Led 구동 장치, led 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345432B2 (en) Inverter circuit for lighting back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TW556445B (en) Discharge lamp apparatus and driving apparatus for discharge lamp
US20110122165A1 (en) Lamp driving circuit having low voltage control,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2001244094A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791284B2 (en) Cold cathode tube drive device
KR100824710B1 (ko) 냉음극관 구동 장치
JP3101783U (ja) デジタル制御による多光源駆動装置
JPWO2007055289A1 (ja) 蛍光灯の点灯装置
JP2005190835A (ja) 液晶テレビ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WO2006106578A1 (ja) 交流電源装置
CN1697584A (zh) 荧光管驱动器以及液晶显示装置
KR20080050043A (ko) 표시장치
JP3108916U (ja) 液晶表示装置
KR2011013852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