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211B1 -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211B1
KR101441211B1 KR1020120154500A KR20120154500A KR101441211B1 KR 101441211 B1 KR101441211 B1 KR 101441211B1 KR 1020120154500 A KR1020120154500 A KR 1020120154500A KR 20120154500 A KR20120154500 A KR 20120154500A KR 101441211 B1 KR101441211 B1 KR 10144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cell module
sensing block
sensing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724A (ko
Inventor
강순선
전두성
임주왕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2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를 축소함으로써 차량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셀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셀 모듈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삽입 슬롯이 직립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로어 케이스, 상기 각각의 셀 모듈의 과전류 방지를 위한 퓨즈 박스 및 상기 셀 모듈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케이스, 퓨즈 박스 및 센싱 수단은 상기 로어 케이스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VOLTAGE SENSING FUSE BOX FOR BATTERY OF HYBRID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를 축소함으로써 차량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되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 배터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모듈 여러개를 조립하여 HEV 배터리로 제작한다. 상기 셀 모듈은 HEV 시스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무게나 가격 및 공간 측면에서도 다른 부품보다 영향도가 크다.
특히 차종에 따라 셀 모듈 여러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며,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타입은 +, - 단자가 한 방향으로 이루어진 단방향 셀 타입이다.
종래 적용된 배터리 셀 모듈의 조립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어 케이스(10)에 단위 셀 8개로 이루어진 셀 모듈(20)를 용접하여 끼운 후 전압 센싱부(미도시)와 퓨즈 박스(미도시)를 별도로 연결하고 어퍼 하우징(30)을 조립하여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HEV 배터리 시스템의 중량이 과다하여 차량 연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싱부 및 퓨즈 박스를 위한 설치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하므로 트렁크나 기타 자동차에 사용되는 공간이 적어진다는 단점을 내포한다.
또한,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원가 절감 측면에서도 불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팩 시스템을 축소시켜 자동차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는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셀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셀 모듈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삽입 슬롯이 직립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로어 케이스, 상기 각각의 셀 모듈의 과전류 방지를 위한 퓨즈 박스 및 상기 셀 모듈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케이스, 퓨즈 박스 및 센싱 수단은 상기 로어 케이스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셀 모듈의 상측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로어 케이스와 결합되는 어퍼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 케이스, 퓨즈 박스, 센싱 수단 및 어퍼 케이스는 상기 로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셀 모듈의 일측 모서리의 상하측에는 양극 탭 및 음극 탭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탭이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방향 셀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셀 모듈의 전극 탭이 일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 탭이 인접하는 셀 모듈의 전극 탭과 연결되도록 각각 절곡되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셀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에 연결되는 어퍼 센싱 블럭 및 상기 셀 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에 연결되는 로어 센싱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 센싱 블럭과 로어 센싱 블럭은 각각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퓨즈 박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셀 모듈은 8개의 단위 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조립 방법은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셀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셀 모듈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삽입 슬롯이 직립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로어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로어 케이스에 셀 모듈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셀 모듈의 상부를 덮기 위한 어퍼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어퍼 케이스를 상기 로어 케이스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셀 모듈을 완전히 감싸도록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어 케이스와 어퍼 케이스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에 의하면, 로어 케이스와 퓨즈 박스, 와이어 및 센싱 수단 등의 부품이 일체화된 구조이므로 상기 각 부품들을 별도록 조립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각 부품이 일체화되어서 자재 관리 및 착탈이 용이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공수 시간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으며,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조립 공간이 보다 확보되기 때문에 자동화도 가능해지며 조립 시 별도의 공구나 지그가 생략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셀 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는 셀 모듈(410)이 삽입되는 로어 케이스(100), 상기 로어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퓨즈 박스(200) 및 상기 셀 모듈(410)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 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셀 모듈(41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마주보는 면이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셀(4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셀 모듈(410)의 양극 탭 및 음극 탭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탭(411a, 411b)이 상호 직렬 연결됨으로써 셀 모듈 어셈블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탭(411a, 411b)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셀 모듈(410)의 상호 인접하는 전극 탭(411a, 411b)의 극성은 교호로 배치되도록 하여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극 탭(411a, 411b)은 직각으로 절곡된다. 예를 들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극 탭은 좌측으로 향하도록 절곡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 탭은 우측을 향하도록 절곡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 탭(411a, 411b)은 상기 셀 모듈(410)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상하측에 일렬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방향 셀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 셀(411)은 박판 알루미늄으로 둘러싸인 파우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완충 기능을 갖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로어 케이스(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로어 케이스(100)에는 상기 셀 모듈(410)이 하측을 향하여 결합되는 삽입 슬롯(10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 슬롯(101)은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셀 모듈(410)이 직립 배치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격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퓨즈 박스(200)는 상기 셀 모듈(410)의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상기 로어 케이스(100)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센싱 수단(300)은 상기 복수개의 셀 모듈(410) 각각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센싱 수단(300)은 상기 셀 모듈(4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411a)에 연결되는 어퍼 센싱 블럭(320) 및 상기 셀 모듈(4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411b)에 연결되는 로어 센싱 블럭(310)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 센싱 블럭(320)과 로어 센싱 블럭(310)은 각각 와이어(W)를 통하여 상기 퓨즈 박스(2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셀 모듈(410) 전압값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셀 모듈(410)로부터 상기 어퍼 센싱 블럭(320)과 로어 센싱 블럭(310)을 통하여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퓨즈 박스(200)에 의해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쇼트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퓨즈 박스(200)에는 도시하지 않은 BMS(battery module system)으로 연결되는 BMS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체로 형성되는 로어 케이스(100), 퓨즈 박스(200) 및 센싱 수단(300)을 마련한다.
이후, 상기 로어 케이스(100)에 단위 셀(411) 8개를 용접한 부품을 밀어 넣고, 어퍼 케이스(120)를 덮는다.
여기서, 볼트 부재(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M3 사이즈 나사 4개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퓨즈 박스(200), 전압 센싱용 와이어(W) 등은 상기 로어 케이스(100)와 일체형이므로 공정 속도나 원가 절감 면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로어 케이스(100)와 어퍼 케이스(120)는 슬라이드(slide) & 후크(hook) 타입으로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기존에 사용하였던 프론트 커버(front cover)의 역할을 상기 로어 케이스(100)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가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즉, 상기 로어 케이스(100)와 퓨즈 박스(200), 와이어(W), 센싱 수단(300) 등이 일체화된 구조이므로 상기 각 부품들을 별도록 조립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각 부품이 일체화되어서 자재 관리 및 착탈이 용이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즉, 공수 시간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으며,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조립 공간이 보다 확보되기 때문에 자동화도 가능해지며 조립 시 별도의 공구나 지그가 생략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로어 케이스
101: 삽입 슬롯
120: 어퍼 케이스
200: 퓨즈 박스
300: 센싱 수단
310: 로어 센싱 블럭
320: 어퍼 센싱 블럭
400: 셀 모듈 어셈블리
410: 셀 모듈
411: 단위 셀
411a, 411b: 전극 탭
W: 와이어

Claims (10)

  1.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셀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셀 모듈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삽입 슬롯이 직립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로어 케이스;
    상기 각각의 셀 모듈의 과전류 방지를 위한 퓨즈 박스; 및
    상기 셀 모듈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퓨즈 박스 및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로어 케이스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셀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에 연결되는 어퍼 센싱 블럭, 상기 셀 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에 연결되는 로어 센싱 블록, 상기 셀 모듈로부터 상기 어퍼 센싱 블럭과 상기 로어 센싱 블럭을 통한 과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 박스의 전류 차단에 의한 쇼트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어퍼 센싱 블럭과 상기 로어 센싱 블럭을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2.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셀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셀 모듈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삽입 슬롯이 직립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로어 케이스;
    상기 각각의 셀 모듈의 과전류 방지를 위한 퓨즈 박스;
    상기 셀 모듈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 수단; 및
    상기 셀 모듈의 상측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로어 케이스와 결합되는 어퍼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 박스, 상기 센싱 수단 및 상기 어퍼 케이스는 상기 로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셀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에 연결되는 어퍼 센싱 블럭, 상기 셀 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에 연결되는 로어 센싱 블록, 상기 셀 모듈로부터 상기 어퍼 센싱 블럭과 상기 로어 센싱 블럭을 통한 과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 박스의 전류 차단에 의한 쇼트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어퍼 센싱 블럭과 상기 로어 센싱 블럭을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3. 인접하는 한 쌍의 단위 셀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셀 모듈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삽입 슬롯이 직립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로어 케이스; 및
    상기 각각의 셀 모듈의 과전류 방지를 위한 퓨즈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 박스는 상기 로어 케이스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센싱 수단이 상기 셀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에 연결되는 어퍼 센싱 블럭, 상기 셀 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 탭에 연결되는 로어 센싱 블록, 상기 셀 모듈로부터 상기 어퍼 센싱 블럭과 상기 로어 센싱 블럭을 통한 과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 박스의 전류 차단에 의한 쇼트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어퍼 센싱 블럭과 상기 로어 센싱 블럭을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 모듈의 일측 모서리의 상하측에는 양극 탭 및 음극 탭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탭이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방향 셀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 모듈의 전극 탭이 일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 탭이 인접하는 셀 모듈의 전극 탭과 연결되도록 각각 절곡되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모듈은 8개의 단위 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54500A 2012-12-27 2012-12-27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KR10144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500A KR101441211B1 (ko) 2012-12-27 2012-12-27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500A KR101441211B1 (ko) 2012-12-27 2012-12-27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24A KR20140084724A (ko) 2014-07-07
KR101441211B1 true KR101441211B1 (ko) 2014-09-17

Family

ID=5173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500A KR101441211B1 (ko) 2012-12-27 2012-12-27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884B1 (ko) 2014-12-30 2022-02-1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교체형 퓨즈 박스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277562B1 (ko) * 2014-12-30 2021-07-1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밀봉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2497B1 (ko) * 2015-10-29 2020-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의 퓨즈 조립 구조
KR102018720B1 (ko) 2016-11-29 2019-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센싱 커넥터 고정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KR20210103079A (ko) 2020-02-13 2021-08-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891A (ko) * 2004-05-13 2006-05-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형광관 구동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14409A (ko) * 2006-05-29 2007-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080038467A (ko) * 2006-10-30 2008-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20110112896A (ko) * 2010-04-08 2011-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용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891A (ko) * 2004-05-13 2006-05-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형광관 구동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14409A (ko) * 2006-05-29 2007-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080038467A (ko) * 2006-10-30 2008-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20110112896A (ko) * 2010-04-08 2011-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용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24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416B1 (ko)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270234B1 (ko) 크로스 빔을 내장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02927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1361208B (zh) 电池系统
KR100920207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제조용 전원 스위칭 모듈
JP5256634B2 (ja) 組電池、および組電池用コネクタモジュール
KR101441211B1 (ko)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전압 센싱 퓨즈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EP3416209B1 (en) Integrated cartridg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US20180114960A1 (en) Battery pack
US20110269001A1 (en) Assembled battery
US20180166673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nductor and conductive module
US9893340B2 (en) Battery wiring module
CN107438911A (zh) 具有改进的紧固结构的电池模块
CN111684620B (zh) 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及包括其的电子装置及车辆
JP6382524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WO2013069756A1 (ja) 配線モジュール
KR101561123B1 (ko) 조립식 전압 센싱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441019B1 (ko) 외부 단락 방지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JP2016051641A (ja) 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配線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50287969A1 (en) Wiring module
CN104040755B (zh) 电源装置
KR102082497B1 (ko) 전지팩의 퓨즈 조립 구조
KR102093942B1 (ko) 전지팩의 와이어 조립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US10483516B2 (en) Electricity storage module and electricity storage pack
KR101792819B1 (ko) 전지팩용 릴레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