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155A -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7155A KR20060047155A KR1020050029769A KR20050029769A KR20060047155A KR 20060047155 A KR20060047155 A KR 20060047155A KR 1020050029769 A KR1020050029769 A KR 1020050029769A KR 20050029769 A KR20050029769 A KR 20050029769A KR 20060047155 A KR20060047155 A KR 200600471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filter
- cap
- container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PVYNHNXODAKFH-UHFFFAOYSA-N Cu2+ Chemical compound [Cu+2] JPVYNHNXODAK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31 copper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6 steril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가정용 정수기에 있어서,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용기로부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필터 수용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터 수용용기(1)는, 하부에 수돗물(W)의 유입구(3a) 및 유출구(3b)를 가지며 상부에 플랜지(3f)를 설치한 원통상의 용기본체(3)와, 용기본체(3)의 플랜지(3f)에 겹쳐맞춰지는 플랜지(4a)를 가지고 용기본체(3)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4)과, 용기본체(3)의 플랜지(3f)와 캡(4)의 플랜지(4a)에 끼워져 양 플랜지(3f)(4a)를 조여붙여 고정하는 반으로 나뉘는 구조의 환상 클램프(5)로 이루어지고, 용기본체(3)와 캡(4) 사이의 공간에 수돗물(W)을 정화하는 필터(2)를 수용하도록 한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1)로서, 용기본체(3)의 상단부에 캡(4)의 내주면에 끼워맞춰지는 상향의 환상 돌출편(3g)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돌출편(3g)을 O링(6)을 개재하여 캡(4)의 내주면에 끼워맞추어 용기본체(3)의 돌출편(3g)과 캡(4)의 사이를 O링(6)에 의해 밀봉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터수용용기를 사용한 가정용 정수기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필터수용용기의 수용본체와 캡을 조여 부착, 고정하는 클램프의 일부 절개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가정용 정수기의 용기 일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필터수용용기 2...필터 3...용기본체
3a...유입구 3b...유출구 3e...지지부
3f...플랜지 3g...돌출편 3h...O링 홈
4...캡 4a...플랜지 5...클램프
6...O링 8...하부지지판 8a...삽입부
8b...O링 홈 W...수돗물
본 발명은 주로 개인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수도관의 도중에 설치하여 음료용이나 조리용 등에 사용되는 수돗물을 정화처리하는 가정용 정수기에 있어서, 염소나 유기물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수용하는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공의 수돗물의 수질 악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것은 수돗물의 원수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정수장에서 산화제나 멸균제로서의 염소를 다량으로 주입할 필요가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수돗물에 다량의 염소가 함유되면 맛이 나빠지거나 냄새가 나며 인체의 건강상에 있어서도 좋지않다. 이에 따라 각 가정에서는 수돗물을 정화처리하는 정수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정수기는 가정의 수도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음용 등으로 사용되어지는 부엌의 수도꼭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부엌의 수도꼭지에만 정수기를 설치하는 경우 정화되지 않은 수돗물이 급탕기내에 직접 유입되어 급탕기 내의 열교환관이나 밸브, 급탕기의 출구측에 접속된 급탕관에 스케일 등이 부착되기 쉬워 급탕기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욕실에 사용하는 수돗물이나 온수는 염소나 유기물 등의 유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때문에 피부나 모발에 손상을 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가정 등의 수도계량기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수도관에 설치하여 급탕기나 부엌, 욕실, 세면대 등에 사용하는 모든 수돗물을 정화처리하도록 한 정수기가 널리 이용되어지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2002-59153호 공보 참조).
즉, 상기 가정용 정수기는, 수돗물의 유입구 및 정화된 수돗물의 유출구를 형성한 개폐가능한 밀폐 용기와, 용기내에 탈착가능하게 내장된 탁도(濁度) 필터, 섬유상 활성탄 필터 및 세라믹 필터 등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있어, 용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수도계량기 하류측에 위치한 수도관에 각각 연결되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밀폐 용기는, 수돗물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형성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쪽에 부착된 원통형의 케이싱과, 케이싱의 상단부에 부착되어진 캡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내장한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캡이 케이싱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정용 정수기에 의하면, 수도계량기를 통과한 수돗물이 모두 정수기에 유입되어 여기서 정화처리 되어진 후 수도관에 접속된 복수의 분기관을 통하여 보일러, 부엌, 욕실, 세면대 등에 각각 공급되어지게 되어 가정내에 사용하는 모든 수돗물을 정화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술한 가정용 정수기에 있어서는, 용기내의 수돗물이 케이싱과 캡의 사이로부터 새어나오지 않도록 케이싱과 캡을 클램프 또는 볼트, 넛트로 조여주어 케이싱과 캡의 사이를 O링으로 눌러 밀봉하도록 하고 있다.
즉, 가정용 정수기의 용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상단부에 설치한 플랜지(11a)의 상면에 O링(12)이 끼워지는 환상의 O링 홈(11b)을 형 성하고, 이 O링의 홈(11b)에 O링(12)을 끼워넣어 케이싱(11)의 플랜지(11a)와 캡(13)의 외주부에 형성된 플랜지(13a)를 겹쳐 맞추어 이 상태로 양 플랜지(11a와 13a)를 클램프(14) 또는 볼트, 넛트로 조여주어 고정함으로써 케이싱(11)과 캡(13)을 밀폐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정용 정수기의 용기(10)에 있어서는, 클램프(14) 또는 볼트, 넛트의 조이는 힘으로 O링(12)을 눌러서 밀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클램프(14)의 조이는 힘이나 볼트, 넛트의 조이는 힘이 약하면 용기(10)내의 수돗물이 케이싱(11)과 캡(13)의 사이로부터 외부로 새어나온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볼트, 넛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싱(11)과 캡(13)을 탈착할 때에 복수의 볼트, 넛트로 조여주거나 풀어주지 않으면 안되는 등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그 주요한 목적은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용기로부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하부에 수돗물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에 플랜지를 구비한 바닥이 막힌 원통형의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플랜지에 겹쳐 맞춰지는 플랜지를 가지며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과, 용기본체의 플랜지 및 캡의 플랜지에 끼워져 양 플랜지를 조여 붙여 고정하는 반으로 나뉘어진 구조의 환상의 클램프로 구성되고, 용기본체와 캡 사이의 공간에 수돗물을 정화하는 필터를 수용하도록 한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캡의 내주면에 끼워 결합되는 상향의 환상 돌출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돌출편을 O링에 의해 캡의 내주면에 끼워 결합하고, 용기본체의 돌출편과 캡의 사이를 O링에 의해 밀봉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용기본체의 하부에 수돗물의 유출구와 연통하는 원통형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부에 필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지지판의 중앙부에 형성한 원통형의 삽입부를 O링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끼워 맞춰, 용기본체의 지지부와 하부지지판의 삽입부의 사이를 O링에 의해 밀봉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용기본체의 돌출편의 외주면 또는 캡의 내주면의 어느 한 쪽에 O링이 끼워지는 환상의 O링 홈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하부지지판의 삽입부의 외주면 또는 용기본체의 지지부의 내주면의 어느 한 쪽에 O링을 끼워넣을 수 있는 환상의 O링 홈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터 수용용기(1)를 사용한 가정용 정수기를 나타내며, 이 가정용 정수기는 개인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수도계량기의 하류 측의 수도관(미도시)에 개설되어, 음료용이나 조리용, 세면용, 목욕용 등에 쓰이는 수돗물(W)을 한꺼번에 정화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가정용 정수기는, 수도계량기의 하류측에 수도관에 연통되도록 접속되는 밀폐상의 필터 수용용기(1)와, 필터수용용기(1)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수용되어 염소나 유기물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2)로 구성되어 있고, 필터 수용용기(1)를 개폐가능하도록 하여 필터 수용용기(1)를 개방함으로써 필터 수용용기(1) 내부의 필터(2)를 교환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필터 수용용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돗물(W)의 유입구(3a) 및 유출구(3b)를 가지고 바닥이 막힌 원통형의 용기본체(3)와, 용기본체(3)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4)과, 용기본체(3)와 캡(4)을 조여붙여 고정하는 반으로 나누어진 구조의 환상의 클램프(5)로 구성되어 있고, 용기본체(3)와 캡(4)의 사이를 O링(6)에 의해 밀봉함과 아울러, 용기본체(3)와 캡(4) 사이의 공간에 수돗물(W)을 정화하는 필터(2)를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관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에 의해 바닥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3)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수돗물(W)의 유입구(3a)를 형성하는 L자형의 입구측 배관(3c)이 기밀상태로 연결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용기본체(3)의 하부중심부에는 수돗물(W)의 유출구(3b)를 형성하는 L자형의 출구측 배관(3d)이 기밀상태로 연결고정되어 있다. 이들 입구측 배관(3c) 및 출구측 배관(3d)의 선단부는, 유니온 너트(미도시)를 통하여 수도관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구측 배관(3d)의 기 단부는 용기본체(3)의 하부에 연직하게 배치되어 있고, 수돗물(W)의 유출구(3b)에 연통하여 필터(2)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판(8)의 일부가 탈착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원통상의 지지부(3e)로 되어져 있다.
또한, 용기본체(3)의 상단부에는, 바깥 쪽으로 수평으로 돌출설치되어진 환상의 플랜지(3f)와, 캡(4)의 내주면에 끼워맞춰지는 상향의 환상 돌출편(3g)이 각각 용기본체(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편(3g)의 외주면에는 O링(6)이 끼워지는 환상의 O링 홈(3h)이 형성되어 있다.
캡(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에 의해 둥글게 형성되어져 있어 그 외주부에는 용기본체(3)의 플랜지(3f)에 겹쳐맞춰지는 플랜지(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4)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용기본체(3)의 돌출편(3g)이 밀접상태로 끼워맞춰지는 환상의 계단형 단차(段差)(4b)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의 환상 부재를 반으로 나뉘어지게 형성된 두 개의 원호상 부재(5a)와, 두 개의 원호상 부재(5a)의 일단부들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리벳(5b)과, 두 개의 원호상 부재(5a)의 타단부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볼트(5d)가 관통되는 체결편(5c)과, 두 체결편(5c)을 연결고정하는 볼트(5d), 너트(5e)로 이루어지고, 겹쳐맞추어진 용기본체(3)의 플랜지(3f) 및 캡(4)의 플랜지(4a)에 두 개의 원호상 부재(5a)를 끼워넣고 양 원호상 부재(5a)의 대향하는 체결편(5c)들을 볼트(5d), 너트(5e)로 연결고정함으로써, 용기본체(3)의 플랜지(3f)와 캡(4)의 플랜지(4a)를 조여붙여 고정하는 것이 가 능하다.
한편, 상기 필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코우크스탄을 섬유상으로 하여 원통상으로 고화시킨 중공(中空)원통상의 섬유상 활성탄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원판상의 상부지지판(7)에 의해, 또한, 하단부가 원판상의 하부지지판(8)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섬유상 활성탄 필터는 입상 활성탄과 비교하여 동일 체적에서 10배 이상의 염소제거능력을 갖고 있어 유량을 크게하여 처리수량도 3배 이상이다.
또한, 하부지지판(8)은 그 중심부에 용기본체(3)의 지지부(3e)에 탈착가능하도록 삽입지지되는 원통상의 삽입부(8a)가 하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이 삽입부(8a)를 용기본체(3)의 지지부(3e)에 삽입함으로써 용기본체(3)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필터(2) 또한 하부지지판(8)을 통하여 용기본체(3)내에 연직하게 지지되어진다.
나아가, 하부지지판(8)의 삽입부(8a)의 외주면에는 O링(6)이 끼워넣어지는 환상의 O링 홈(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정용 정수기에 있어서는, O링(6)을 끼워넣은 하부지지판(8)의 삽입부(8a)를 용기본체(3)의 지지부(3e)에 삽입고정하고, 필터(2)를 하부지지판(8)을 통하여 용기본체(3) 내에 수용고정하며, 다음으로 O링(6)을 끼워넣은 용기본체(3)의 돌출편(3g)을 캡(4)의 단차(4b)에 끼워넣고 용기본체(3)의 플랜지(3f)와 캡(4)의 플랜지(4a)를 겹쳐맞춰, 이 상태로 양 플랜지(3f), (4a)에 클램프(5)의 두 개의 반원형 부품(5a)을 끼워넣은 후 두 개의 원호상 부재(5a)를 볼트(5d), 너트 (5d)로 연결고정하여, 용기본체(3)와 캡(4)의 양 플랜지(3f)(4a)를 조여붙여 고정함으로써 밀폐상으로 조립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조의 가정용 정수기를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다.
상기 가정용 정수기는, 일반 가정의 수도 계량기의 2차측의 수도관(미도시)에 개설되어 있고, 필터 수용용기(1)의 입구측 배관(3c)(유입구(3a))에는 수도계량기에 접속된 수도관의 일단부가 접속되며, 또한 필터 수용용기(1)의 출구측 배관(3d)(유출구(3b))에는 가정내의 수도꼭지나 보일러 등의 말단의 수도기기에 수돗물(W)을 각각 공급하는 분기상의 수도관의 기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수도본관으로부터 수도계량기 및 수도관을 통하여 필터 수용용기(1)의 유입구(3a)에 유입된 수돗물(W)은, 유입구(3a)로부터 필터 수용용기(1)내에 유입되어 용기본체(3)와 필터(2)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공간을 상방향으로 흘러감과 아울러, 서서히 필터(2)를 통과하여 필터(2)의 중공부분에 유입된다. 이때, 수돗물(W)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 등의 유해물질이 필터(2)에 의해 제거된다.
필터(2)의 중공 부분에 도달한 정화된 수돗물(W)은, 필터(2)의 중공 부분의 아래방향으로 흘러 하부지지판(8)의 삽입부(8a)로부터 유출구(3b)로 유출되며, 유출구(3b)로부터 분기상 수도관을 통하여 건물내에 보내져 음료용이나 조리용, 세면용, 목욕용 등의 물로서 사용된다.
상술한 가정용 정수기 필터 수용용기(1)는, 용기본체(3)의 상단부에 캡(4)의 내주면에 끼워맞춰지는 상향의 환상 돌출편(3g)을 형성하고, 이 돌출편(3g)을 O링 (6)을 통하여 캡(4)의 내주면에 끼워맞추며, 용기본체(3)와 캡(4)의 사이를 O링(6)에 의해 밀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가령 클램프(5)의 조여붙이는 힘이 작은 경우에도 용기본체(3)와 캡(4)의 사이로부터 수돗물(W)이 새어나오는 일이 없다. 그 결과 필터 수용용기(1)의 내부로부터 외부에의 누수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필터 수용용기(1)는 용기본체(3)의 하부에 수돗물(W)의 유출구(3b)에 연통하는 원통형의 지지부(3e)를 형성하고, 이 지지부(3e)에 필터(2)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판(8)의 중앙부에 형성한 원통형의 삽입부(8a)를 O링(6)을 통하여 탈착가능하게 끼워맞추며, 용기본체(3)의 지지부(3e)와 하부지지판(8)의 삽입부(8a)의 사이를 O링(6)에 의해 밀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3)와 필터(2)의 하부지지판(8)의 사이가 확실히 밀폐되게 된다. 그 결과 유입구(3a)로부터 유입된 수돗물(W)은 수용용기의 지지부(3e)와 필터(2)의 하부지지판(8)의 사이로부터 직접 유출구(3b)로 유출되는 일이 없이 필터(2)를 통과한 뒤 유출구(3b)에 흘러들어가도록 되어, 필터(2)에 의해 확실히 정화되게 된다.
게다가, 이 필터 수용용기(1)는, 용기본체(3)의 플랜지(3f)와 캡(4)의 플랜지(4a)를 겹쳐맞추고, 양 플랜지(3f)(4a)를 반으로 나누는 구조의 환상 클램프(5)로 조여붙여 고정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용기본체(3)와 캡(4)의 탈착을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 특히, 클램프(5)는 2개의 원호상 부재(5a)의 일단부들을 리벳(5b)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원호상 부재(5a)의 타단부(체결편(5c))들을 하나의 볼트(5d), 너트(5e)로 조여붙이는 것만으로 용기본 체(3)의 플랜지(3f) 및 캡(4)의 플랜지(4a)를 조여붙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품수를 필요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기본체(3)의 돌출편(3g)의 외주면에 O링(6)이 끼워넣어지는 환상의 O링 홈(3h)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4)의 내주면(용기본체(3)의 돌출편(3g)이 끼워맞춰지는 부분)에 O링(6)이 끼워넣어지도록 환상의 O링 홈(미도시)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부지지판(8)의 삽입부(8a)의 외주면에 O링(6)이 끼워넣어지는 환상의 O링 홈(8b)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기본체(3)의 지지부(3e)의 내주면(하부지지판(8)의 삽입부(8a)가 끼워맞춰지는 부분)에 O링(6)이 끼워넣어지는 환상의 O링 홈(미도시)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기본체(3)의 돌출편(3g)의 외주면 또는 하부지지판(8)의 삽입부(8a)의 외주면에 O링 홈(3h)(8b)을 각각 한개씩만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편(3g)의 외주면 및 삽입부(8a)의 외주면에 각각 복수열의 O링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각 O링 홈에 O링(6)을 각각 끼워넣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캡(4)의 내주면 및 용기본체(3)의 지지부(3e)의 내주면에 각각 복수열의 O링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각 O링 홈에 O링(6)을 각각 끼워넣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용기본체(3)과 캡(4)의 사이, 용기본체(3)와 하부지지판(8)의 사이의 밀봉을 더 한층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터(2)를 섬유상 활성탄 필터로 형성하도록 하 였으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터(2)를 면사나 폴리프로필렌제의 실, 역침투막, 중공사(中空絲) 등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필터(2)의 외주면에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 원통상의 1차필터를 동심원상으로 설치하고, 수돗물(W)이 필터(2)를 통과하기 전에 비교적 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나아가, 필터(2)의 중공 부분에 입상의 세라믹(예를 들어, 계면활성 및 침투력의 향상을 위한 입상의 압전성 전자 세라믹, 용해력 및 열전도성의 향상을 위한 입상의 원적외선 세라믹, 맛의 개선을 위한 입상의 미네랄 세라믹, 용해력 및 침투력의 향상을 위한 입상의 자기 세라믹, 항균을 위한 입상의 동이온 세라믹)을 충진하여 필터(2)에 의해 정화된 수돗물(W)을 활성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정용 정수기를 일반가정의 수도계량기의 하류측의 수도관에 설치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돗물(W)을 한꺼번에 정화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정용 정수기를 수도꼭지나 보일러의 급수구 등과 같이 수돗물(W)이 나오는 말단의 배관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돗물(W)이 유입구(3a), 용기본체(3)와 필터(2)의 사이, 필터(2)의 중공 부분을 경유하여 유출구(3b)로 흐르도록 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돗물(W)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흘려보내 정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필터 수용용기는, 하부의 수돗물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에 플랜지를 설치한 원통형의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플랜지에 겹쳐지 는 플랜지를 가지며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과, 용기본체의 플랜지 및 캡의 플랜지에 끼워지고 양 플랜지를 조여 붙여 고정하는 반으로 나뉘어진 구조의 환상의 클램프로 이루어지고, 용기본체와 캡 사이의 공간에 수돗물을 정화하는 필터를 수용하도록 한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캡의 내주면에 끼워 결합되는 상향의 환상 돌출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돌출편을 O링에 의해 캡의 내주면에 끼워 결합하고 용기본체의 돌출편과 캡의 사이를 O링에 의해 밀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설령 클램프의 조여 붙이는 힘이 약한 경우라 하더라도 용기본체와 캡의 사이로부터 수돗물이 새어나오는 것과 같은 일이 없다. 그 결과, 필터 수용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에의 누수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밀봉부의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 수용용기는, 용기본체의 하부에 수돗물의 유출구에 연통하는 원통형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부에 필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판의 중앙부에 형성한 원통형의 삽입부를 O링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끼워 맞추며, 용기본체의 지지부와 하부지지판의 삽입부의 사이를 O링에 의해 밀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와 필터의 하부지지판의 사이가 확실히 밀봉되어진다. 그 결과,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은 수용용기의 지지부와 필터의 하부지지판의 사이로부터 직접 유출구로 유출되는 일이 없이, 필터를 통과한 후 유출구로 흘러가게 되어 필터에 의해 확실히 정화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필터 수용용기는, 용기본체의 플랜지와 캡의 플랜지를 겹쳐 맞추고, 그 상태로 양 플랜지를 반으로 나누는 구조의 환상 클램프로 조여 붙여 고정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와 캡의 탈착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
Claims (4)
- 하부에 수돗물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에 플랜지를 구비한 바닥이 막힌 원통형의 용기본체와,용기본체의 플랜지에 겹쳐 맞춰지는 플랜지를 가지고,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과,용기본체의 플랜지 및 캡의 플랜지에 끼워져 양플랜지를 조여 고정하는 반분할 구조의 환상 클램프를 구비하고,용기본체와 캡 사이의 공간에 수돗물을 정화하는 필터를 수용하도록 한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로서,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캡의 내주면을 끼워 결합되는 상향의 환상 돌출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돌출편을 O링을 개재하여 캡의 내주면에 끼워 결합하여, 용기본체의 돌출편과 캡의 사이를 O링에 의해 밀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수돗물의 유출구에 연통하는 원통형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부에 필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판의 중앙부에 형성한 환상의 삽입부를 O링을 개재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하여, 용기본체의 지지부와 하부지지판의 삽입부의 사이를 O링에 의해 밀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돌출편의 외주면 또는 캡의 내주면의 어느 한 쪽에 O링이 끼워넣어지는 환상의 O링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 제2항에 있어서, 하부지지판의 삽입부의 외주면 또는 용기본체의 지지부의 내주면의 어느 한 쪽에 O링이 끼워넣어지는 환상의 O링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08374A JP4085077B2 (ja) | 2004-07-15 | 2004-07-15 | 家庭用浄水器のフィルター収容容器 |
JPJP-P-2004-00208374 | 2004-07-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7155A true KR20060047155A (ko) | 2006-05-18 |
KR100629852B1 KR100629852B1 (ko) | 2006-09-29 |
Family
ID=3589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9769A KR100629852B1 (ko) | 2004-07-15 | 2005-04-11 |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085077B2 (ko) |
KR (1) | KR10062985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01347A1 (ko) * | 2009-03-05 | 2010-09-10 | Yu Ki-Cheol | 녹과 스케일 생성 방지용 정수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4094B1 (ko) | 2007-05-11 | 2009-04-20 |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 전기이온제거장치의 모듈 고정장치 |
KR200453890Y1 (ko) * | 2008-06-12 | 2011-06-01 | 유기철 | 스케일 성분제거 및 생성 방지용 정수장치 |
KR200453889Y1 (ko) * | 2008-06-12 | 2011-06-01 | 유기철 | 스케일 성분제거 및 생성 방지용 정수장치 |
CN104548737A (zh) * | 2014-12-26 | 2015-04-29 | 上海璞玉环保科技有限公司 | 卡接式滤瓶 |
KR20170004166A (ko) | 2015-07-01 | 2017-01-11 | 에스엔에스필텍(주) | 가정용 정수기 필터 유닛 |
KR20170014260A (ko) | 2015-07-29 | 2017-02-08 | 에스엔에스필텍(주) | 가정용 정수기 다중 필터 유닛 |
RU205946U1 (ru) * | 2021-05-18 | 2021-08-12 |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фильтрующего патрон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99522B2 (ja) | 2002-09-30 | 2009-07-22 |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
JP4068498B2 (ja) | 2003-05-09 | 2008-03-26 | 株式会社日本技術開発センター | 浄水器のシール構造 |
-
2004
- 2004-07-15 JP JP2004208374A patent/JP408507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4-11 KR KR1020050029769A patent/KR1006298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01347A1 (ko) * | 2009-03-05 | 2010-09-10 | Yu Ki-Cheol | 녹과 스케일 생성 방지용 정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026517A (ja) | 2006-02-02 |
KR100629852B1 (ko) | 2006-09-29 |
JP4085077B2 (ja) | 2008-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9852B1 (ko) |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 |
US3822018A (en) | Water filter device | |
JP4430604B2 (ja) | 家庭用浄水器の容器 | |
JP5052859B2 (ja) | 浄水器用容器 | |
JP4441476B2 (ja) | 家庭用浄水器の容器 | |
JP4537915B2 (ja) | 浄水器用容器のシール構造 | |
JP4113503B2 (ja) | バイパス機能付き浄水器 | |
JP3108450U (ja) | 浄水器 | |
JPH0993U (ja) | シンクタンクに設けた浄水器付湯水混合水栓 | |
KR20180111169A (ko) | 수전 및 조리수밸브에 동시에 사용가능한 직수형 정수기 | |
KR200420880Y1 (ko) | 세척수관을 가지는 정수기 | |
RU2198724C1 (ru) | Проточный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москвич" | |
JP2007222818A (ja) | 浄水器のバイパス切り換えユニット | |
CN216242456U (zh) | 一种温度可调节的净水龙头 | |
RU2811148C1 (ru) | Картридж для соединений устройства очистки воды | |
KR20110033464A (ko) |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 |
CN215352413U (zh) | 一种便于更换过滤材料的净水壶滤芯 | |
CN217578375U (zh) | 一种过流式杀菌装置 | |
CN216457241U (zh) | 便捷式滤芯清洗结构、滤芯和过滤器 | |
KR102442323B1 (ko) | 정수 장치용 다단식 복합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 |
KR101368425B1 (ko) |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 |
JP3137167U (ja) | 浄水器 | |
KR200399248Y1 (ko) | 정수기용 필터 | |
KR20200111409A (ko) | 직결형 정수필터 유니트 | |
JP2005048467A (ja) | 浄活水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