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790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790A
KR20060043790A KR1020050019738A KR20050019738A KR20060043790A KR 20060043790 A KR20060043790 A KR 20060043790A KR 1020050019738 A KR1020050019738 A KR 1020050019738A KR 20050019738 A KR20050019738 A KR 20050019738A KR 20060043790 A KR20060043790 A KR 20060043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container
dust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요코야마
리츠오 다케모토
마사토시 다나카
아츠시 모리시타
겐지 하라다
다츠오 마치다
히토시 스즈키
겐지 고지마
아이 다나카
사토코 이이즈미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19454A external-priority patent/JP39644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472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22729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를 소형화하고, 또한 전동 송풍기의 공기 흡인 효율을 높인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애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52)를 갖는 집진 용기 본체(53)와, 흡입구(52)로부터 흡입된 진애 및 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로 안내하는 안내 풍로(57)와, 집진 용기 본체(53)의 상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이 집진 용기 본체(53)를 운반하기 위한 파지부(54)를 가지며, 파지부(54)와 대향하는 집진 용기 본체의 벽에 파지부(54)를 쥘 때에 손이 들어가는 오목부(200)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200)를 형성하는 벽(201a)이, 안내 풍로(57)를 흐르는 공기를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로 원활하게 안내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집진 용기의 부분을 확대하여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집진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집진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집진 용기의 배면도.
도 6은 집진 용기로부터 전동 송풍기로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집진 용기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전동 송풍기
24 : 흡입 개구
53 : 집진 용기 본체
54 : 파지부
57 : 안내 풍로
200 : 오목부
201a : 벽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집진 용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집진 용기를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하도록 한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제3460832호 공보 참조). 이러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집진 용기 안에 모여진 진애(塵埃)를 버리는 경우, 집진 용기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내고, 이 집진 용기의 바닥부에 설치된 개폐 덮개를 개방함으로써 행해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집진 용기를 청소기 본체에 장착하거나, 이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 내거나 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 집진 용기에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를 설치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 용기에 파지부를 설치하면, 이 파지부 부분만큼, 집진 용기를 수납하는 청소기 본체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나아가서는, 청소기 전체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집진 용기가 부착되는 청소기 본체의 소형화를 실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 송풍기의 공기 흡인 효율을 높인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의 전기 청소기는 진애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는 집진 용기와,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진애 및 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로 안내하는 안내 풍로와, 집진 용기에 설치되어 이 집진 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파지부와, 이 파지부에 대향하는 집진 용기의 외벽에 설치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는 파지부와 집진 용기의 외벽 사이에서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는 안내 풍로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되고 또한 이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안내 풍로의 벽이, 안내 풍로를 통하는 공기를 전동 송풍기에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10)가 도시되어 있고, 이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11)는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스(20)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본체 케이스(20) 안에는 집진 용기(50)와, 본체 케이스(20)의 예컨대 상면에 설치된 덮개(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40)는 그 일단, 예컨대, 후단(도 1에서 보아 우측)이 본체 케이스(20)에 힌지 결합되어 전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케이스(20)의 전측에 설치된 접속구(10A)에는 도시하지 않은 집진 호스의 일단이 접속되고, 이 집진 호스의 타단에는 주지와 같이, 손잡이 조작관, 연장관을 통해 흡입구체가 접 속된다.
본체 케이스(20)의 전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용기(50)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집진 용기실(21)이 형성되고, 이 집진 용기실(21)의 상부 개구(22)가 덮개(40)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0)의 후측의 하부에는 전동 송풍기(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가 집진 용기(50)의 후방부 개구(51)에 접속 풍로(G)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풍로(G)의 전면에는 격자(Ga)가 설치되어 있고, 접속 풍로(G)의 후벽부(Gb)의 하부에는 접속 개구(Gbc)가 형성되며, 이 접속 개구(Gbc)에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가 접속되어 있다. 즉,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0A)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전동 송풍기(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P는 격자(Ga)에 설치된 플리츠 필터체이다.
집진 용기(50)는 집진 용기 본체(53)를 가지며, 이 집진 용기 본체(53)는 접속구(10A) 및 이 접속구(10A)에 접속된 흡입구(52)로부터 흡입된 진애 및 공기를 진애와 공기로 분리하는 진애 분리 수단(60)과, 이 진애 분리 수단(60)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모으는 동시에 진애 분리 수단(60)의 하측에 형성된 집진실부(55)와, 진애 분리 수단(60)으로 분리된 진애를 집진실부(55)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풍로부(56)와, 집진실부(55) 위에 일체 형성된 부압실 또는 안내 풍로(5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 풍로(57)는 후방부 개구(51)로 연통하고, 이 안내 풍로(57) 안에 진애 분리 수단(60) 및 가이드 풍로(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애 분리 수 단(60)의 풍로(62)는 프레임(61)의 각 개구(61A)를 통해 안내 풍로(57)에 연통하고 있다.
집진 용기(50)의 상부에는 이 집진 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파지부(54)가 설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파지부(54)는 예컨대 집진 용기 본체(5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의 U자형의 띠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는 집진 용기 본체(53)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용기(50)는 집진 용기 본체(53)의 상부의 벽에 파지부(54)와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200)를 갖는다. 이 오목부(200)는 그 전방으로부터 후방(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함에 따라 깊이가 서서히 깊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면(201)을 갖는다. 오목부(200)를 이와 같이 형성하면, 사용자가 파지부(54)를 쥘 때에 그 오목부(200)에 손을 넣기 쉽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오목부(200)의 경사면(201)을 형성하는 경사벽(201a)은 진애 분리 수단(60) 상부의 개구(61A)로부터 안내 풍로(57)로 흐르는 공기를 화살표(Q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아래쪽으로 향해 원활하게 흐르게 하도록 형성되고, 공기를 이 안내 풍로(57), 집진 용기(50)의 후방부 개구(51) 및 접속 풍로(G)를 통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로 안내한다.
개구(61A)에는 네트 필터(F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집진실부(55)의 후방부벽(55H)에는 개구(55Ha)가 형성되고, 이 개구(55Ha)를 통해 집진실부(55)내와 안내 풍로(57)가 연통하며, 개구(55Ha)에는 필터(F2)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동 송풍기(23)가 구동되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공기가 접속 풍로(G)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후방부 개구(51)에 작용하며, 추가로 플리츠 필터체(P)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안내 풍로(57)가 부압이 된다.
이 부압이 집진실부(55)의 필터(F2)를 통해 집진실부(55) 안이나 진애 분리 수단(60)의 네트 필터(F1)를 통해 진애 분리 수단(60)의 풍로(62)에 작용하고, 이 부압이 집진 용기(50)의 흡입구(52)를 통해 집진 호스, 연장관 및 흡입구체에 작용하며, 이 흡입구체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가 흡인되어 나간다.
이 흡인된 진애 및 공기가 연장관 및 집진 호스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흡입구(52)로 흡인되어 나간다. 이 흡입구(52)로 흡인된 진애 및 공기는 진애 분리 수단(60)의 풍로(62)로 흡인되어 나간다.
풍로(62)로 흡인된 공기의 일부는 진애 분리 수단(60)의 네트 필터(F1)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안내 풍로(57)로 흡인되고, 추가로 집진 용기(50)의 후방부 개구(51)의 플리츠 필터체(P) 및 접속 풍로(G)를 통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로 흡인되어 나간다.
이 때, 진애 분리 수단(60)의 상부의 개구(61A)로부터, 도 6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풍로(57)의 가이드 풍로부(56)의 양측을 통과하여 집진 용기(50)의 후방부 개구(51)로 향하는 공기는 도 4의 화살표(Q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200)의 경사벽(201a)에 의해 안내되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가 있는 플리츠 필터(P)의 하부를 향해 흐르기 때문에, 안내 풍로(57)의 풍로 저항은 작아진다.
한편, 진애 분리 수단(60)의 풍로(62)에 흡인된 진애는 공기보다도 질량이 있음으로써 풍로(62)를 직진해 나가고, 집진실부(55) 안으로 도입되어 나간다. 즉, 진애 분리 수단(60)에 의해 공기와 진애가 분리되고, 이 분리된 진애는 집진실부(55)로 집진되어 나가게 된다.
이 집진실부(55)내로 도입된 공기는 집진실부(55)의 후방부벽(55H)의 필터(F2)를 통해 집진 용기(50)의 후방부 개구(51)로 흡인되고, 추가로 집진 용기(50)의 후방부 개구(51)의 플리츠 필터체(P) 및 접속 풍로(G)를 통해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로 흡인되어 나간다.
청소가 종료되면 전동 송풍기를 정지하고, 청소기 본체(11)의 덮개(40)를 열어 집진 용기(50)의 오목부(200)에 손을 넣어 파지부(54)를 잡고 집진 용기(50)를 꺼내어 집진 용기 안의 진애를 버린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 용기(53)의 상부에 파지부(54)를 잡기 쉽도록 오목부(200)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파지부(54)를 마련하는 위치[집진 용기 본체(53)의 상면(53M; 도 3 참조)으로부터 파지부(54)까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집진 용기실(21)의 높이를 높게 하거나, 덮개(40)의 높이를 높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청소기 본체(1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23)를 청소기 본체(11)의 아래쪽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1)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23)를 청소기 본 체(11)의 아래쪽에 설치하여도,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0A)가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청소 중에 청소기 본체(11)의 전측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0A)와 전동 송풍기(23)의 흡입 개구(24)와의 높이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집진 용기(50)의 오목부(200)의 경사벽(201a)에 의해 공기가 안내됨으로써, 청소기 본체(11)의 풍로 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를 소형화하고, 또한 전동 송풍기의 공기 흡인 효율을 높인 전기 청소기가 제공된다.

Claims (5)

  1. 진애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는 집진 용기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진애 및 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로 안내하는 안내 풍로와, 상기 집진 용기에 설치되어 이 집진 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대향하는 집진 용기의 외벽에 설치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파지부와 집진 용기의 외벽 사이에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안내 풍로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안내 풍로의 벽이, 안내 풍로를 통하는 공기를 상기 전동 송풍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집진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는 상기 집진 용기의 접속구보다 낮은 레벨로 배치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집진 용기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 청소기.
KR1020050019738A 2004-04-07 2005-03-09 전기 청소기 KR200600437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3338 2004-04-07
JPJP-P-2004-00113338 2004-04-07
JP2004119454A JP3964400B2 (ja) 2004-04-14 2004-04-14 電気掃除機
JPJP-P-2004-00119454 2004-04-14
JPJP-P-2004-00124724 2004-04-20
JP2004124724A JP4322729B2 (ja) 2004-04-20 2004-04-20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790A true KR20060043790A (ko) 2006-05-15

Family

ID=3714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738A KR20060043790A (ko) 2004-04-07 2005-03-09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37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0984B2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KR100697429B1 (ko) 진공 청소기
KR10146294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EP1495710A3 (en) Vacuum cleaner
JP3983047B2 (ja) 電気掃除機
JP4294060B2 (ja) 電気掃除機
KR100818225B1 (ko) 진공청소기
JP4911643B2 (ja) 電気掃除機
JP2006006453A (ja) 電気掃除機
JP4814062B2 (ja) 電気掃除機
EP2524641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ucked up materials for use in vacuum cleaner appliances
KR20060043790A (ko) 전기 청소기
JP5188413B2 (ja) 電気掃除機
KR100540793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08011985A (ja) 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065954B1 (ko) 진공 청소기
JP2010115513A (ja) 電気掃除機
JP2007054266A (ja) 電気掃除機
JP4322729B2 (ja) 電気掃除機
KR20070114000A (ko) 전기청소기
KR20130025794A (ko) 진공청소기 및 그 집진장치
RU2002125120A (ru) Много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ос
KR100548933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조
JP2006006454A (ja) 電気掃除機
JP201105597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30

Effective date: 2008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