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237A - 차광체 부착 램프 - Google Patents

차광체 부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237A
KR20060043237A KR1020050016487A KR20050016487A KR20060043237A KR 20060043237 A KR20060043237 A KR 20060043237A KR 1020050016487 A KR1020050016487 A KR 1020050016487A KR 20050016487 A KR20050016487 A KR 20050016487A KR 20060043237 A KR20060043237 A KR 2006004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uter tube
mouthpiece
lamp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사카이
요시히로 야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카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56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3881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카메이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카메이트
Publication of KR2006004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종래의 차광체 부착 램프에서는 차광막이나 차광 부재로부터 반사된 열이 버너부 내에 축적되고, 버너부에 가스 누출 등이 쉽게 발생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차광체 부착 램프에 있어서는,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의 외주에 차광 부재를 공극을 매개로 하여 배치하고, 상기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에 상기 차광 부재를 고정한다. 상기 차광 부재를 상기 마우스피스부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시킨다.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고정한 홀더와, 이 홀더에 설치한 상기 차광 부재를 유지하는 아암을 이용한다.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부착되는 이형부(耳形部)를 갖고, 상기 마우스피스부는 차광부가 부착되는 외측관용 등기구와,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차광 부재가 있는 외측관을 마우스피스부에 부착했을 때, 상기 차광 부재의 이형부가 상기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막도록 한다.

Description

차광체 부착 램프{LIGHT SHIELD ATTACHED LA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광체 부착 램프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에 있어서 차광 부재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광 부재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차광체 부착 램프의 평면도.
도 8b는 구멍이 형성된 이형부의 변형례의 설명도.
도 8c는 구멍이 형성된 이형부의 또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차광체 부착 램프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8d의 스페이서 대신에 스프링을 이용한 예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변형례의 설명도.
도 11은 도 9의 변형례의 설명도.
도 12a는 도 10의 변형례의 설명도.
도 12b는 도 10의 변형례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결합부의 일례의 설명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른 예의 설명도.
도 17은 종래의 차광체 부착 램프의 정면도.
도 18은 도 7에 도시된 차광체 부착 램프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 유리관
2 : 차광막
3 : 버너부
4 : 발광부
5 : 마우스피스부
6 : 전극 리드선
7 : 차광 부재
8 : 개구
9 : 홀더
10 : 아암
11 : 자유단
12 : 핀
13: 요철
14 : 베이스부
15 : 슬릿
16 : 이형부(耳形部)
17 : 나사
18 : 구멍
19 : 스페이서
20 : 스프링
21 : 막대형상부
22 : 확대 헤드부
23 : 중간 막대형상부
24, 25 : 결합부
26 : 구멍
27 : 판형체
28 : 폐색 부재
본 발명은 차광체 부착 램프, 특히 전조등의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전조등의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램프에서는 눈부심을 막기 위한 차광막을 설치한 램프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차광막 대신에 차광판을 이용한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32903호 공보
[특허문헌 2] 실용 신안 등록 제3090796호 공보
그러나,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유리관(1)에 차광막(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특허문헌 1), 외측 유리관(1)과 차광막(2) 사이에 경계선이 생기고, 여기서 빛의 반사가 생겨, 열이 외측 유리관(1)을 통해 버너부(3)내에 축적해 버리고, 버너부(3)가 가혹한 상태가 되어, 가스 누출(슬로우 리크) 등이 쉽게 발생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차광막을 램프와 별개의 부재로 한 경우(특허문헌 2)라도, 양자는 서로 밀착하고 있어 동일한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도면 부호 4는 발광부, 도면 부호 5는 마우스피스부, 도면 부호 6은 전극 리드선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결점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는,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의 외주에 공극을 매개로 하여 배치하는 차광 부재와, 상기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로 구성된다. 상기 마우스피스부에는 상기 차광 부재가 자유자재로 착탈시킬 수 있게 되거나 또는 고정된다.
상기 차광 부재는 개방각이 115°이하인 개구를 갖는 통(筒)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극은 0.5 ㎜ 이상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의 내면에 내열 도료가 도포되고, 상기 차광 부재의 외면에 방열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의 표면에 표면적 확대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마우스피스부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는,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고정한 홀더와, 이 홀더에 설치한 상기 차광 부재를 유지하는 아암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의 베이스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맞닿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근방에서는, 상기 차광 부재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는,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의 외주에 공극을 매개로 하여 배치한 차광 부재와, 상기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 부재는 그 하부에 고정용 구멍이 형성된 이형부를 구비하며, 이 이형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나사에 의해 자유자재로 착탈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부의 구멍 직경(내경)은 나사의 외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는,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의 외주에 공극을 매개로 하여 배치한 차광 부재와, 상기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 부재는 그 하부에 고정용 이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형부는 구멍 또는 노치를 갖고, 상기 마우스피스부는 적어도 그 상단부가 용융 가능한 수지이며, 상기 이형부의 구멍 또는 노치에 상기 마우스피스부로부터 연장되는 막대형상부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이 막대형상부의 확대 헤드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 사이에 상기 이형부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광체 부착 램프는,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자유자재로 착탈시킬 수 있는 차광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부는 차광 부재가 부착된 외측관용 등기구와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의 노치를 갖는 동시에,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의 노치를 막는 폐색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의 노치를 막는 폐색 수단이 상기 차광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이형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유리관(1)의 외주에 공극을 매개로 하여, 예컨대 외경이 12 ㎜ 이하인 통형상의 차광 부재(7)를 외측 유리관(1)과 동심 배치시킨다. 이 차광 부재(7)의 두께는, 예컨대 0.5 ㎜로 하고, 그 일측면에는 개방각이 115°이하인 개구(8)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극은 컷라인의 흐림 방지를 위해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열방산을 위해서는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각이 115°이하인 차광 부재(7)를 갖는 램프를 리플렉터에 셋팅한 경우에는, 마주오는 차를 환혹(幻惑)시키지 않도록 적절하게 배광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의 홀더(9)를 마우스피스부(5)에 끼워 넣고, 접착, 용착 등에 의해 고정하며, 이 홀더(9)의 외주의 2지점 또는 3지점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아암(10)의 베이스부를 부착하고, 이 아암(10)의 자유단(11)의 사이에 상기 차광 부재(7)를 배치하며, 차광 부재(7)를 상기 마우스피스부(5)의 단부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동시에, 램프의 발광부(4) 또는 마우스피스부(5)의 기준 위치에 대하여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위치를 결정한 후에 차광 부재를 아암(10)의 자유단(11)에 용착 등에 의해 고정한다. 이러한 위치 결정에 따르면 열의 대류가 촉진되고, 방열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7)에는 결합 볼록부와 결합 오목부 중 어느 하나를, 마우스피스부(5)에는 다른 하나를 각각 형성해 두고, 양자를 압입함으로써 서로 결 합하며, 잡아당김으로써 서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으며, 또한 마우스피스부(5)에 형성한 삽입부에 차광 부재(7)를 삽입한 후 회전함으로써 양자를 서로 결합시켜도 좋다.
상기 차광 부재(7)는 비열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 내면에는 내열 도료를 도포하며, 외면에는 방열 도료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 부재(7)의 표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2)을 설치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13)을 설치하여, 표면적을 확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상기 차광 부재(7)의 베이스부(14)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9)에 맞닿게 하여, 홀더(9)의 아암(1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전에 상기 차광 부재(7)를 임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열 효과의 향상을 위해, 상기 베이스부(14)의 근방에 슬릿(15)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10)을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슬릿(15)에 의해 열의 대류가 촉진된다. 또한, 상기 홀더(9)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차광 부재(7)를 직접 마우스피스부(5)에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7)를 마우스피스부(5)에 대하여 고정하지 않고 자유자재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차광 부재(7)가 없는 램프와 동일한 상품 패키지로 판매할 수 있고, 유통상 및 생산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광체 부착 램프에 따르면, 차광 부재(7)의 내면과 외측 유리관(1)의 외면 사이에 0.5 ㎜∼1.5 ㎜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이 버너부(3) 내에 축적되는 일이 없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 부재(7)의 하부에 고정용 구멍이 형성된 이형부(16)를 형성하고, 이 이형부(16)를 상기 마우스피스부(5)에 나사(17)로 고정시킨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부(16)의 구멍 직경(내경)을 나사의 외경보다도 0.5 ㎜∼2 ㎜ 정도 크게 하면, 차광 부재(7)의 축선에 대한 직교 방향의 위치를 마우스피스부(5)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어, 각 부품의 치수나 위치 변동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은 U자형의 노치(18) 등이어도 좋다.
또한, 도 8d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부(16)와 마우스피스부(5) 사이에 스페이서(19)나 스프링(20)을 개재시키면, 차광체의 축선 방향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7)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마우스피스부(5)의 적어도 상단부를 용융 가능한 수지로 하며, 상기 이형부(16)의 구멍에 상기 마우스피스부(5)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막대형상부(21)를 삽입 관통시킨 후, 막대형상부(21)의 헤드부를 용융 압궤(壓潰)하여도 좋고,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부(21)와 마우스피스부(5) 사이에, 상기 이형부(16)의 구멍의 내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중간 막대형상부(23)를 설치한다. 상기 중간 막대형상부(23)의 길이는 상기 이형부(16)의 고정시의 설계 치수보다도 길게 설정해 두고, 상기 이형부(16)의 구멍을 막대형상부(21)에 삽입 관통시킨 후, 막대형상부(21)의 헤드부를 압궤 부재(29)에 의해 용융 압궤할 때 이와 동시에 상기 중간 막대형상부(23)를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소정의 치수로 용융 압궤함으로써, 차광체의 축선 방향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부(16)의 구멍 직경(내경)을 상기 막대형상부(21)의 외경보다도 0.5 ㎜∼2 ㎜ 정도 크게 함으로써, 차광 부재(7)의 축선에 대한 직교 방향의 위치를 마우스피스부(5)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고, 각 부품의 치수나 위치 변동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멍은 U자형의 노치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막대형상부(21) 및 중간 막대형상부(23)에, 연철, 알루미늄 합금 등의 소성 변형시킬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고, 상온 압궤에 의해 확대 헤드부의 형성 및 중간 막대형상부의 치수 조절을 행하여도 좋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우스피스부(5)의 외주에, 차광 부재가 부착된 외측관용 등기구와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도시 생략)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24, 25)를 형성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 부재(7)가 있는 외측 유리관(1)을 마우스피스부(5)에 부착시켰을 때, 상기 차광 부재(7)의 이형부가 상기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 유리관(1)용의 등기구에 결합하는 결합부(25)를 막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외측 유리관(1)을 부착한 마우스피스부(5)가 이것에 적합하지 않은 등기구에 잘못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24, 25)는, 예컨대 노치나 구멍(26)이어도 좋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노치나 구멍(26)을 얇은 판형체(27)로 막은 것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판형체(26)를 부수도록 하여도 좋으며, 또한 판형체(27) 대신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마개 형상의 폐색 부재(28)를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차광체 부착 램프에 따르면, 차광 부재를 갖고 있어도 버너부내에 열이 축적되지 않고, 보다 밝은, 높은 색온도의 램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의 외주에 공극을 매개로 하여 배치한 차광 부재와, 상기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자유자재로 착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마우스피스부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고정한 홀더와, 이 홀더에 설치한 상기 차광 부재를 유지하는 아암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베이스부를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맞닿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근방에서 상기 차광 부재에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8.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의 외주에 공극을 매개로 하여 배치한 차광 부재와, 상기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 부재는 그 하부에 고정용 이형부(耳形部)를 구비하며, 이 이형부를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9.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의 외주에 공극을 매개로 하여 배치한 차광 부재와, 상기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 부재는 그 하부에 고정용 이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형부는 구멍 또는 노치를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피스부는 적어도 그 상단부가 용융 가능한 수지이며, 상기 이형부의 구멍 혹은 노치에 상기 마우스피스부로부터 연장되는 막대형상부가 삽입 관통되고, 이 막대형상부의 확대 헤드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 사이에 상기 이형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10. 발광부를 갖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에 고정한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 피스부에 자유자재로 착탈시킬 수 있는 차광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부는 차광 부재가 부착된 외측관용 등기구와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의 노치를 갖는 동시에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의 노치를 막는 폐색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가 없는 외측관용 등기구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의 노치를 막는 폐색 수단이 상기 차광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이형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12.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개방각이 115°이하인 개구를 갖는 통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13.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0.5 ㎜ 이상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14.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내면에 내열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15.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외면에 방열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1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표면에 표면적 확대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체 부착 램프.
KR1020050016487A 2004-03-01 2005-02-28 차광체 부착 램프 KR20060043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6494 2004-03-01
JP2004056494A JP2005138815A (ja) 2003-10-16 2004-03-01 遮光体付きラ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237A true KR20060043237A (ko) 2006-05-15

Family

ID=3503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487A KR20060043237A (ko) 2004-03-01 2005-02-28 차광체 부착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43237A (ko)
CN (1) CN16644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83B1 (ko) * 2009-06-17 2010-01-14 에스케이라이팅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CN107975765A (zh) * 2017-11-28 2018-05-01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灯光调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6079A (zh) * 2019-12-09 2020-01-31 徐州格雷安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机械式遮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83B1 (ko) * 2009-06-17 2010-01-14 에스케이라이팅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CN107975765A (zh) * 2017-11-28 2018-05-01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灯光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4438A (zh)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47044A (ja) ユニット型ダウンライトのアダプタ
IT9068061A1 (it) Faro per autoveicolo
KR20060043237A (ko) 차광체 부착 램프
JP2005122906A (ja) 蛍光ランプ
US7967472B2 (en) Light unit
US6238072B1 (en) Vehicle lamp
JP2008034185A (ja) ユニット型ダウンライト
US7175317B2 (en) Bulb cooling
JP5612100B2 (ja) 放電ランプのバーナーを固定する器具
JP3717831B2 (ja) ランプ装置
JP2005138815A (ja) 遮光体付きランプ
CN1135029A (zh) 微型放电灯管托
CN103779180B (zh) 反射灯
CN207621709U (zh) Led光源组件固定结构及全玻璃球泡灯
KR101329235B1 (ko)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JP2010061841A (ja) 車両用灯具
JP2007035292A (ja) 照明器具
JPH10326516A (ja) 蛍光灯用反射板組立
JP2011054344A (ja) 蛍光ランプ用口金、蛍光ランプ及び照明器具
JP3912020B2 (ja) ランプ係合構造
KR100350108B1 (ko) 헤드 램프 유니트의 벌브 어댑터 장치
JP3180845U (ja) 自動車用放電ランプ
TWI708031B (zh) 具有模組化基座單元的光線投射裝置及其基座單元
TWI298378B (en) Lamps for vehicles
JP2006120427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