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740A -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740A
KR20060039740A KR1020040088949A KR20040088949A KR20060039740A KR 20060039740 A KR20060039740 A KR 20060039740A KR 1020040088949 A KR1020040088949 A KR 1020040088949A KR 20040088949 A KR20040088949 A KR 20040088949A KR 20060039740 A KR20060039740 A KR 2006003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ank
tank body
evapora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545B1 (ko
Inventor
최재혁
김형수
이윤빈
정백영
장세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545B1/ko
Priority to US11/254,664 priority patent/US7624590B2/en
Priority to ES05256656.9T priority patent/ES2588684T3/es
Priority to EP05256656.9A priority patent/EP1655554B1/en
Priority to CNA2005101186511A priority patent/CN1769814A/zh
Publication of KR2006003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31Sensor arrangements
    • F25B2313/0316Temperature sensors near the refrigerant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9Pumping down refrigerant from one part of the cycle to another part of the cycle, e.g. when the cycle is changed from cooling to heating, or before a defrost cycle is sta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4Refriger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8Temperatures of a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 및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실내열교환기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탱크본체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기의 유출측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외기의 유입측에 연결되는 유출관을 구비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가 열교환되어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액냉매의 증발을 촉진시켜 냉방운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MULTI AIR CONDITIONER WITH EVAPORATION TANK}
도 1은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실내기 20 : 실외기
23 : 압축기 31 : 사방밸브
36 : 리시버 41 : 실외열교환기
60 : 증발탱크 61 : 탱크본체
62 : 유입관 64 : 유출관
65 : 증발촉진부 67 : 핫개스바이패스유로
68 : 핫개스바이패스유로개폐밸브 69 : 열교환부
71 : 제1연결배관 73 : 제2연결배관
75 : 체크밸브
본 발명은,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냉매의 증발을 촉진시켜 냉방운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그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단일의 케이스내에 실내기 및 실외기를 모두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압축기 및 응축기를 실외기로 하고 증발기를 실내기로 분리되도록 구성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공기조화기중 일부는 유로절환밸브를 구비하여 냉매의 유로를 절환함으로써 냉방 및 난방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가 있으며, 최근에는 실내의 각 공간별로 냉방 또는 난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실내기를 구비한 소위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이용이 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10)와, 각 실내기(10)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제공하는 실외기(2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실내기(10)는, 실내에 각각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1)와, 실내열교환기(11)의 열교환이 촉진되도록 배치되는 냉각팬(미도시)과, 냉매가 팽창될 수 있도록 실내열교환기(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실내팽창장치(13)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20)는,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23)와, 압축기(23)에 기체상태의 냉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압축기(23)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35)와, 압축기(23)와 연결되어 냉매가 열교환되는 복수의 실외열교환기(41)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23) 사이에는 내부의 오일이 서로 유동될 수 있도록 균유관(25)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 압축기(23)의 토출측에는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오일을 분리할 수 있도록 오일분리기(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오일분리기(27)에는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이 압축기(23)로 복귀되도록 오일복귀유로(28)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오일분리기(27)의 하류측에는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29)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체크밸브(29)의 하류측에는 냉매의 유로를 절환할 수 있도록 사방밸브(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방밸브(31)의 각 포트는 실외열교환기(41)와, 어큐뮬레이터(35) 및 실내기(10)측과 연결되는 연결배관(33)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냉방 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각 실외열교환기(41)의 하류측에는 체크밸브(43) 및 실외팽창장치(45)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의 하류측에는 리시버(36)가 마련되어 있다. 리시버(36)의 하류측과 실내기(10)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배관(33)에는 각각 서비스밸브(37)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실외기(20)는 통상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고 각 실내기(10)는 건물의 각 층별 및 룸별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실외기(20)로부터 멀리 이격된 실내기(10)는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고, 또 건물의 하층부에 설치되는 실내기(10)는 실외기(20)와의 고저차가 크게 발생되며, 특히, 고저차가 크게 발생되는 하층부의 실내기(10)중 일부만이 운전되는 경우, 액상냉매는 실외기(20)로 복귀되지 못하고 하층부에 설치되는 실내기(10) 및 냉매배관에 누적되어 고압측의 냉매 부족현상이 발생되는 등 냉방 운전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누적된 액상냉매가 압축기(23)로 유입되어 압축기(23)를 손상시킬 우려가 더 커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냉매의 증발을 촉진시켜 냉방운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압축기 및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실내열교환기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탱크본체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기의 유출측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외기의 유입측에 연결되는 유출관을 구비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가 열교환되어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의 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서로 고저차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증발탱크는 상기 유입관이 상기 실내기중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하는 증발촉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본체에는 전열면적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전열핀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증발촉진부는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가온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기로부터 유동되는 냉매가 상기 탱크본체를 우회하도록 일측은 유입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유출관에 연결되는 우회유로와, 상기 우회유로를 개폐하는 우회유로개폐밸브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매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냉매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우회유로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촉진부는, 일측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본체에 연결되는 핫개스바이패스유로와, 상기 핫개스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핫개스바이패스유로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액냉매의 수위를 감지하는 액냉매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액냉매수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핫개스바이패스유로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에 열교환 면적이 증가되도록 배치되는 열교환부와, 일측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핫개스바이패스관과, 상기 핫개스바이패스관을 개폐하는 핫개스바이패스관개폐밸브와, 일측은 상기 열교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유출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배관과, 상기 핫개스바이패스관이 개폐되도록 상기 핫개스바이패스관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액냉매의 수위를 감지하는 액냉매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액냉매수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핫개스바이패스관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유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결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배관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측의 냉매가 상기 탱크본체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배치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3) 및 실외열교환기(41)를 구비한 실외기(20)와, 실내열교환기(11)를 각각 구비하여 실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실내기(10)와, 실내기(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방운전 시 실내기(10)측으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증발탱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20)는,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23)와, 압축기(23)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사방밸브(31)와, 사방밸브(31)와 연결되고 냉매가 열교환되는 복수의 실외열교환기(41)와, 압축기(23)의 흡입측에 각각 연결되어 압축기(23)에 기체상태의 냉매가 흡입되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35)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23) 사이에는 균유관(25)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압축기(23)의 토출측에는 오일분리기(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오일분리기(27)의 일측에는 분리된 오일이 각 압축기(23)로 복귀될 수 있도록 오일복귀유로(28)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오일분리기(27)의 토출측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냉방운전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각 실외열교환기(41)의 유출측에는 체크밸브(43) 및 실외팽창장치(45)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의 하류측에는 리시버(36)가 마련되어 있다. 리시버(36)의 하류측 및 실내기(10)측 연결배관(33)에는 서비스밸브(3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10)는, 각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1)와, 각 실내열교환기(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실내팽창장치(13)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실외기(20)와 고저차가 크게 발생되는 건물의 하층부에 배치되는 실내기(10)의 일측에는 실내기(10)로부터 유동되는 액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증발탱크(60)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탱크(60)는, 내부에 냉매의 일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본체(61)와, 탱크본체(61)의 내부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실내기(10)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탱크본체(6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유입관(62)과, 탱크본체(61)의 내부의 냉매가 유출될 수 있도록 일측은 탱크본체(6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실외기(20)의 유입측에 연결되는 유출관(64)을 구비하고 있다.
탱크본체(61)의 내부에는 유입관(6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액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증발촉진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증발촉진부(65)는, 탱크본체(61)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부(69)와, 일측은 압축기(23)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탱크본체(61)의 내부의 열교환부(69)에 상 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핫개스바이패스유로(67)와, 일측은 열교환부(69)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리시버(36)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연결배관(71)을 구비하고 있다.
탱크본체(61)에는 증발된 냉매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실외열교환기(4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실외열교환기(41)의 유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제2연결배관(73)의 타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제2연결배관(73)에는 압축기(23)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탱크본체(61)의 내부에는 액냉매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액냉매수위감지센서(7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79)에는 탱크본체(61)의 내부의 액냉매의 수위를 검출하여 액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액냉매수위감지센서(77) 및 핫개스바이패스유로개폐밸브(68)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외기(20)와 고저차가 크게 발생되는 하층부의 실내기(10) 중 일부만 운전되는 경우, 제어부(79)는 액냉매수위감지센서(77)에 의해 탱크본체(61)의 내부의 액냉매의 수위가 검출되도록 하고, 액냉매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되면 핫개스바이패스유로개폐밸브(68)를 제어하여 압축기(23)의 토출측 냉매가 열교환부(69)로 유동되도록 한다.
고온의 냉매가 열교환부(69)로 유입되면 탱크본체(61)의 내부의 액냉매는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고, 탱크본체(61)의 내부의 기체 상태의 냉매 중 일부는 유출 관(64)을 통해 어큐뮬레이터(35)로 유동되고 일부는 제2연결배관(73)을 따라 유동되어 실외열교환기(41)의 유입측에서 압축기(23)에서 토출된 냉매와 합류하여 실외열교환기(41)로 유입된다. 열교환부(69)에서 방열되어 응축된 냉매는 제1연결배관(71)을 따라 리시버(36)로 유입되어 실외열교환기(41)에서 유출된 냉매와 합류되어 실내기(10)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79)는 액냉매의 수위가 낮아지면 핫개스바이패스유로개폐밸브(68)를 제어하여 핫개스바이패스유로(67)가 차단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3) 및 실외열교환기(41)를 구비한 실외기(20)와, 실내열교환기(11)를 각각 구비하여 실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실내기(10)와, 실내기(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방운전 시 실내기(10)측으로부터 유동되는 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증발탱크(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20)는,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23)와, 압축기(23)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사방밸브(31)와, 사방밸브(31)와 연결되고 냉매가 열교환되는 복수의 실외열교환기(41)와, 압축기(23)의 흡입측에 각각 연결되어 압축기(23)에 기체상태의 냉매가 흡입되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35)를 구비하고 있다.
각 압축기(23)의 토출측에는 오일분리기(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오일분리기 (27)의 일측에는 분리된 오일이 각 압축기(23)로 복귀될 수 있도록 오일복귀유로(28)가 구비되어 있다. 각 오일분리기(27)의 토출측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냉방운전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각 실외열교환기(41)의 유출측에는 체크밸브(43) 및 실외팽창장치(45)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의 하류측에는 리시버(36)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기(10)는, 각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1)와, 각 실내열교환기(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실내팽창장치(13)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실외기(20)와 고저차가 크게 발생되는 건물의 하층부에 배치되는 실내기(10)의 일측에는 실내기(10)로부터 유동되는 액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증발탱크(80)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탱크(80)는, 내부에 냉매의 일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본체(81)와, 탱크본체(81)의 내부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실내기(10)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탱크본체(8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유입관(82)과, 탱크본체(81)의 내부의 냉매가 유출될 수 있도록 일측은 탱크본체(8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실외기(20)의 유입측에 연결되는 유출관(83)을 구비하고 있다.
탱크본체(81)의 외면에는 탱크본체(81)의 내부의 액냉매가 주위의 증발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될 수 있게 전열면적이 확대되도록 돌출된 복수의 전열핀부(8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탱크본체(81)의 내부에는 내부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냉매온도감지센서(85)가 구비되어 있다. 탱크본체(81)의 내부에는 내부의 액냉 매의 증발이 촉진될 수 있게 내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전기히터(87)가 구비되어 있으며, 유입관(82) 및 유출관(83)에는 실내기(10)로부터 실외기(20)로 유동되는 냉매가 탱크본체(81)를 우회할 수 있도록 우회유로(88)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회유로(88)에는 우회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우회유로개폐밸브(8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는 마이컴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91)에는 탱크본체(81)의 내부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냉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냉매온도감지센서(85)와, 우회유로개폐밸브(89) 및 전기히터(87)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외기(20)와 고저차가 크게 발생되는 하층부의 실내기(10) 중 일부만 운전되는 경우, 제어부(91)는 냉매온도감지센서(85)에 의해 탱크본체(81)의 내부의 온도가 검출되도록 하고, 그 결과 압축기(23)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게 되는 경우에 대응되는 온도가 검출되면 우회유로개폐밸브(89)를 제어하여 실내기(10)의 냉매가 우회유로(88)를 따라 실내기(10)로 유동되도록 한다.
한편, 실외기(20)의 고압측의 냉매 부족현상이 발생되는 온도가 검출되면 제어부(91)는 우회유로개폐밸브(89)를 제어하여 냉매가 탱크본체(81)의 내부로 유입되어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도록 하고, 외기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탱크본체(81)의 내부의 액냉매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온도가 검출되면 제어부(91)는 전기히터(87)가 발열되도록 제어하여 액냉매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압축기의 내부에 열교환부를 형성하 고 열교환부와 압축기의 토출측이 연결되게 핫개스바이패스유로를 형성하여 핫개스에 의해 액냉매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가 가열되도록 별도의 전기 히터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탱크본체의 내부의 액냉매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탱크본체의 외면에 전열핀부를 형성하고, 내부의 냉매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를 동시에 구비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이들이 개별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 및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실내열교환기를 각각 구비하여 실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실내기와, 실내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방운전 시 실내기로부터 실외기로 유동되는 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증발탱크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액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어 냉방 운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Claims (15)

  1. 압축기 및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실내열교환기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탱크본체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기의 유출측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외기의 유입측에 연결되는 유출관을 구비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가 열교환되어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서로 고저차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증발탱크는 상기 유입관이 상기 실내기중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하는 증발촉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에는 전열면적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전열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촉진부는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가온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로부터 유동되는 냉매가 상기 탱크본체를 우회하도록 일측은 유입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유출관에 연결되는 우회유로와, 상기 우회유로를 개폐하는 우회유로개폐밸브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매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냉매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우회유로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촉진부는, 일측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본체에 연결되는 핫개스바이패스유로와, 상기 핫개스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핫개스바이패스유로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액냉매의 수위를 감지하는 액냉매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액냉매수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핫개스바이패스유로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에 열교환 면적이 증가되도록 배치되는 열교환부와, 일측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열교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핫개스바이패스관과, 상기 핫개스바이패스관을 개폐하는 핫개스바이패스관개폐밸브와, 일측은 상기 열교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유출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배관과, 상기 핫개스바이패스관이 개폐되도록 상기 핫개스바이패스관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액냉매의 수위를 감지하는 액냉매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액냉매수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핫개스바이패스관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냉방운전 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유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결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배관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측의 냉매가 상기 탱크본체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배치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 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냉매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20040088949A 2004-11-03 2004-11-03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63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49A KR100631545B1 (ko) 2004-11-03 2004-11-03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US11/254,664 US7624590B2 (en) 2004-11-03 2005-10-21 Multi-type air conditioner
ES05256656.9T ES2588684T3 (es) 2004-11-03 2005-10-27 Acondicionador de aire multi-tipo
EP05256656.9A EP1655554B1 (en) 2004-11-03 2005-10-27 Multi-type air conditioner
CNA2005101186511A CN1769814A (zh) 2004-11-03 2005-11-01 复式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49A KR100631545B1 (ko) 2004-11-03 2004-11-03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40A true KR20060039740A (ko) 2006-05-09
KR100631545B1 KR100631545B1 (ko) 2006-10-09

Family

ID=3584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949A KR100631545B1 (ko) 2004-11-03 2004-11-03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24590B2 (ko)
EP (1) EP1655554B1 (ko)
KR (1) KR100631545B1 (ko)
CN (1) CN1769814A (ko)
ES (1) ES258868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25B1 (ko) * 2007-01-26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디맨드 제어시스템
JP4258553B2 (ja) * 2007-01-31 2009-04-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源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KR101532781B1 (ko) * 2008-08-27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00062115A (ko) * 2008-12-01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TWI521140B (zh) * 2012-04-20 2016-02-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數據機房之無油離心式冷卻系統
FR3033631A1 (fr) * 2015-03-13 2016-09-16 Ste E U R L S P S Dispositif thermodynamique de transfert de chaleur par compression de vapeur (mono ou multi-etage) et changement de phase, reversible, a haut rendemen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2729A (en) * 1940-04-11 1949-06-07 Outboard Marine & Mfg Co Refrigeration system
US3065610A (en) * 1960-08-09 1962-11-27 Stewart Warner Corp Charge stabilizer for heat pump
US3783841A (en) * 1971-10-04 1974-01-08 Ethyl Corp Fuel system
AT325644B (de) * 1973-10-11 1975-10-27 Bosch Hausgeraete Gmbh Kühlmöbel, insbesondere zweitemperaturen-kühlschrank
US3955375A (en) * 1974-08-14 1976-05-11 Virginia Chemicals Inc. Combination liquid trapping suction accumulator and evaporator pressure regulator device including a capillary cartridge and heat exchanger
US4030315A (en) * 1975-09-02 1977-06-21 Borg-Warner Corporation Reverse cycle heat pump
US4217765A (en) * 1979-06-04 1980-08-19 Atlantic Richfield Company Heat exchanger-accumulator
US4488413A (en) * 1983-01-17 1984-12-18 Edward Bottum Suction accumulator structure
US4718250A (en) * 1986-07-07 1988-01-12 James Warren Compact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ion systems
JPH01174869A (ja) * 1987-12-28 1989-07-11 Daikin Ind Ltd 冷凍装置
US5878810A (en) * 1990-11-28 1999-03-09 Kabushiki Kaisha Toshiba Air-conditioning apparatus
US5245833A (en) * 1992-05-19 1993-09-21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Liquid over-feed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US5233842A (en) * 1992-07-01 1993-08-10 Thermo King Corporation Accumulator for refrigeration system
JPH07120092A (ja) 1993-10-20 1995-05-1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US5622055A (en) * 1995-03-22 1997-04-22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Liquid over-feeding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integrated accumulator-expander-heat exchanger
US6047557A (en) * 1995-06-07 2000-04-11 Copeland Corporation Adaptive control for a refrigeration system using pulse width modulated duty cycle scroll compressor
JP3538492B2 (ja) * 1995-12-15 2004-06-14 昭和電工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US6276158B1 (en) * 1998-07-23 2001-08-21 Eaton-Williams Group Limited Heat exchange equipment
US6220050B1 (en) * 1998-11-24 2001-04-24 Tecumseh Products Company Suction accumulator
JP2000179992A (ja) * 1998-12-16 2000-06-30 Sanyo Electric Co Ltd 空調装置
GB2370874B (en) * 2000-08-31 2004-11-24 Nbs Cryo Res Ltd Refrigeration systems
JP3815302B2 (ja) * 2001-11-12 2006-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6910341B2 (en) * 2003-09-26 2005-06-28 Thermo King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299649B2 (en) * 2003-12-09 2007-11-2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por injection system
JP2005265381A (ja) * 2004-03-22 2005-09-29 Sanyo Electric Co Ltd 冷媒サイクル装置
KR100569833B1 (ko) * 2005-01-07 2006-04-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냉온열제조시스템을 갖는 2단 압축 히트펌프 시스템의플래시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545B1 (ko) 2006-10-09
EP1655554A3 (en) 2011-08-24
ES2588684T3 (es) 2016-11-04
US7624590B2 (en) 2009-12-01
EP1655554A2 (en) 2006-05-10
EP1655554B1 (en) 2016-07-20
US20060090486A1 (en) 2006-05-04
CN1769814A (zh)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4154B2 (ja) 空気調和装置
US7272943B2 (en) Control method for multiple heat pump
EP2325578A2 (en) Heat pump
EP3738804A1 (en) Heat pump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19335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 및 그의 응축냉매 제어방법
US20100243202A1 (en)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heat pump
JP6880204B2 (ja) 空気調和装置
WO2006003860A1 (ja) マルチ形空気調和装置
KR100511287B1 (ko) 동시 제상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자체제상 사이클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US20200149785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US7624590B2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US6915658B2 (en) Accumul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20087384A (ko) 플래시탱크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CN114719353B (zh) 恒温恒湿空调机及其控制方法
KR100764707B1 (ko) 히트펌프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상모드 제어방법
CN110207417B (zh) 空调系统
KR101644703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127493B (zh) 空调装置
KR100539744B1 (ko) 빌딩용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
KR100588846B1 (ko) 히트펌프 공기조화기
KR100504881B1 (ko) 냉매가열유니트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에어컨
KR100575693B1 (ko) 보조압축회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7448848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2147878A (ja) ヒートポンプ装置
KR102261131B1 (ko) 제상과 바닥 및 공간의 냉,난방기능을 갖는 히트펌프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