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230A -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230A
KR20060039230A KR1020040088328A KR20040088328A KR20060039230A KR 20060039230 A KR20060039230 A KR 20060039230A KR 1020040088328 A KR1020040088328 A KR 1020040088328A KR 20040088328 A KR20040088328 A KR 20040088328A KR 20060039230 A KR20060039230 A KR 2006003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ooth
dental
oral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182B1 (ko
Inventor
이태훈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디지덴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덴트바이오 filed Critical (주)디지덴트바이오
Priority to KR102004008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1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표시화면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강내 상악 및 하악 치아 위치별로 해당 치아의 기본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을 일렬로 배치하고,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치아의 기본이미지에 대응되는 관련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을 배치하는 제1단계; 환자별 치아의 기본이미지 및 관련이미지를 각각 해당 치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단계; 각 치아 위치별로 치아 기본이미지를 각 치아 위치별 공간 상부 및 하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3단계; 상기 상부 또는 하부의 치아 기본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치아의 대응하는 관련이미지를 검색하여 중앙부 대응 치아공간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구강내 치아 위치에 따른 치아의 X-Ray 이미지 또는 구강영상을 일렬로 배열하여 진단시 화면구성을 이해하기 용이하다. 또한, 치아의 기본이미지를 X-Ray 이미지 또는 구강영상으로 지정하고, 각각 치아별 구강영상 또는 X-Ray 이미지를 관련이미지로 중앙부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어 관련이미지들의 대비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치과, X-Ray, 구강영상, 영상비교, 영상전환

Description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United management method for images of dental clinic and record medium for united management program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에 의한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X-Ray 이미지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도 2a를 영상전환한 상태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영상 이미지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도 3a를 영상전환한 상태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비교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련이미지를 보여주는 실행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영상을 전환하는 실행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메뉴창 110 : X-Ray버튼
120 : 영상전환버튼 130 : 영상비교버튼
140 : 구강영상버튼 200,200' : 기본이미지창
211-217 : 상부 치아공간 221-227 : 하부 치아공간
232,233,234,234',235,236 : 중앙부치아공간 300,300' : 비교영상창
310,410 : 파노라마창 320,320' : 디지털영상창
330 : 세팔로영상창 340 : 환자정보창
400 : 영상비교창 420 : X-Ray창
430 : 구강영상창 440 : 표식창
본 발명은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에 이용되는 다양한 영상을 동시에 비교할 수 있고, 환자에게 치료부위나 증상을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는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진단, 치료 및 치료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X-Ray 이미지, 구강영상, 얼굴사진 등 다양한 사진이 필요하다. 특히, 치아교정, 턱관절치료 및 임플란 트 시술 등의 경우에는 치료 대상인 치아뿐만 아니라 주위의 치아 및 턱관절 등과의 조화를 파악하기 위해 치아 전체의 X-Ray 이미지(이하, 파노라마이미지), 두부방사선사진(이하,세팔로영상) 등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런 다양한 사진들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촬영하여 다수개의 사진을 환자 챠트에 부착하여 이용하였으나, 환자가 X-Ray 사진을 찍기 위해 별도의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고, 촬영된 영상을 보기 위해 현상 등 별도의 절차를 필요로 하며 다수개의 필름을 관리하는 데도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용 센서, 디지털카메라 장치 및 전용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방사선 피폭을 90%까지 감소시키면서도 실시간 판독이 가능하고 필름이 필요 없고 관리가 용이한 디지털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디지털방식의 종래 기술에 의한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에 따른 화면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은 크게 종방향으로 나뉘어져 X-Ray 사진이 배치되는 좌측창(20), 구강영상이 배치되는 우측창(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창(20) 및 우측창(30)에는 작은 사각형들을 배치하고 구강내 각각의 치아 위치에 대응하는 치아 사진을 디스플레이하여 여러 치아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창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반부는 상악의 치아 사진을, 하반부에는 하악의 치아 사진을 배치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화면 구성은 상반부 또는 하반부의 중앙에 앞니 사진 3개(좌측창 1,2,3 또는 4,5,6)를 배치하고, 그 주위 공간에 나머지 치아 사진(7~14)을 배치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화면 구성에 익숙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아 사진이 어떤 위치의 치아를 나타내는지 명확하게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면구성에서는 치아 각각의 X-Ray 이미지와 구강영상 이미지가 다른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X-Ray 이미지를 보여주는 좌측창(20)과 구강영상을 보여주는 우측창(30)의 화면 구성이 상이하여 각각의 치아에 대하여 X-Ray 이미지와 이에 대응되는 구강영상을 명확하게 대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치아교정, 턱관절치료 및 임플란트 시술 등의 경우에는 치료 대상인 치아뿐만 아니라 주위의 치아 및 턱관절 등과의 조화를 검토하기 위해, 치아 전체의 파노라마이미지, 세팔로영상 등을 함께 대비해 볼 필요성이 많이 있다. 그러나, 상기 화면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창(40,50)을 열어 각각의 영상을 보아야 하므로, 한 화면에서 이와 같은 다양한 영상의 대비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화면구성에 의하면 환자의 치아 이미지를 저장할 때 우측의 칸에 환자의 좌측 치아 이미지를 저장하고, 좌측 칸에 환자의 우측 치아 이미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것은 치과의사나 치위생사가 교육받은 형태를 고려하여 치과의사 등을 위주로 화면이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면구성으로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부위나 증상을 설명하는 경우, 환자는 치아 위치가 혼동되어 의사의 설명을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은 구강내 치아 위치에 따른 치아의 X-Ray 이미지 또는 구강영상을 이해하기 용이하고, 각각의 치아별 X-Ray 이미지에 대응되는 구강영상을 바로 대비할 수 있는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교정, 턱관절치료 및 임플란트 시술 등의 경우에 파노라마이미지, 세팔로 영상 등을 함께 대비해 볼 수 있는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부위나 증상을 설명하는 경우, 환자가 이해하기 용이한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은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표시화면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강내 상악 및 하악 치아 위치별로 해당 치아의 기본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을 일렬로 배치하고,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치아의 기본이미지에 대응되는 관련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을 배치하는 제1단계; 환자별 치아의 기본이미지 및 관련이미지를 각각 해당 치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단계; 각 치아 위치별로 치아 기본이미지를 각 치 아 위치별 공간 상부 및 하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3단계; 상기 상부 또는 하부의 치아 기본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치아의 대응하는 관련이미지를 검색하여 중앙부 대응 치아공간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구강내 치아 위치에 따른 치아의 X-Ray 이미지 또는 구강영상을 일렬로 배열하여 진단시 화면구성을 이해하기 용이하다. 또한, 치아의 기본이미지를 X-Ray 이미지 또는 구강영상으로 지정하고, 각각 치아별 구강영상 또는 X-Ray 이미지를 관련이미지로 중앙부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어 관련이미지들의 대비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치아의 기본이미지가 좌우측으로 반전되는 영상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부위나 증상을 설명하는 경우, 환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 또는 하부의 치아사진을 선택하면 해당 치아의 파노라마이미지, X-Ray 이미지 및 구강영상을 동시에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치아교정, 턱관절치료 및 임플란트 시술 등의 경우에 파노라마이미지, X-Ray 이미지 및 구강영상을 동시에 대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X-Ray 이미지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은 크게 다수개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배열된 메뉴창(100), 구강내 치아 위치별로 저장된 환자의 X-Ray 이미지들 및 구강영상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기본이미지창(200) 및 환자의 파노라마이미지 및 디지털영상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비교영상창(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본이미지창(200)은 크게 세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상부에는 상악의 치아 위치별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211~217)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하악의 치아 위치별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221~227)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악 및 하악의 치아 이미지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의사 뿐만 아니라 환자들도 사전 지식 없이 해당 화면을 통해 치아의 상태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본이미지창(2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치아 X-Ray 이미지에 대응되는 관련 구강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232,234,236)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214번의 치아공간을 클릭하면 214의 X-Ray 이미지에 대응되는 치아의 구강영상이 234의 치아공간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치아공간 232에는 상악의 211,212 및 하악의 221,222 치아공간에 해당되는 치아의 구강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치아공간 234에는 상악의 213,214,215 및 하악의 223, 224,225 치아공간에 해당되는 치아의 구강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관련이미지 치아공간이 전치부 1개(234) 및 좌우측 구치부 각각 1개(232,236)로 총 3개가 배치되어 있으나, 각각의 치아의 X-Ray 이미지별로 해당하는 구강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중앙부 치아공간을 7개로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직접 구강영상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한 화면에서 X-Ray 이미지와 이에 대응하는 구강영상의 컬러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대비해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나아가, 비교영상창(300)에는 파노라마창(310), 구강외부상태를 보여주는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된 디지털영상창(320) 및 세팔로창(330)이 디스플레이되는 공간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한 화면에서 치아별 X-Ray 이미지 및 구강영상, 파노라마이미지, 디지털영상 및 세팔로영상을 포함하여 5가지 종류의 관련영상을 함께 대비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치아교정, 턱관절치료 및 임플란트 시술 등의 경우에 종합적 진단이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고, 치료후 경과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a의 화면은 화면의 우측 치아공간에 환자의 좌측 치아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치아공간에 환자의 좌측 치아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치대 등의 교육관행을 고려하여 치과의사 등이 치아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면이다.
이 상태에서, 메뉴바(100)의 영상전환 버튼(120)을 클릭하게 되면, 도 2b와 같이 좌우측 영상이 반전되게 된다. 즉, 각 이미지들은 "미러(Mirror)효과"가 부여된 임시이미지로 전환되고, 화면의 좌측의 이미지가 우측으로 우측의 이미지는 좌측으로 바뀐다. 따라서, 환자는 마치 자신의 치아를 거울에 비추었을 때와 같은 화면구성을 보게 되어,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부위나 증상을 설명하는 경우, 환자가 이해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설명을 마친 후 상기 영상전환버튼(120)을 클릭하면, 다시 원래 화면구성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해당 치아공간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테두리를 빨강색으로 나타나도록 하여 이를 더블 클릭하면 경과창이 열리면서 치료경과를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치아 이미지가 일렬로 시간 순서대로 배열되는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영상 이미지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의 화면구성과 전체적 구성은 동일하나 다만, 해당 치아의 기본이미지가 구강영상이 되고, 중앙부의 치아공간에는 대응하는 치아의 X-Ray 이미지가 관련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또한, 도 2a와 달리 중앙부에 환자의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는 치아공간(234')을 배치하는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이에 의하면 환자의 치료시 해당 환자의 치아이미지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 2a 및 도 2b에서 영상전환은 도 3a 및 도 3b에서도 동일한 구 성에 의해 가능하여, 동일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비교 이미지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의 화면 상태에서 메뉴창(100)의 영상비교버튼(130)을 클릭하면 도 4와 같이 환자의 파노라마이미지와, 치료대상인 치아의 부분 X-Ray 이미지 및 이에 대응하는 구강영상이 동시에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치아교정, 턱관절치료 및 임플란트 시술 등의 경우에 종합적 진단이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고, 치료후 경과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미설명 440은 해당 이미지에 표식 등을 할 수 있는 버튼들이 포함된 표식창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치과용 통합관리 방법을 도 2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련이미지를 보여주는 실행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현재 어떤 진료창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510). 즉, 현재 기본이미지창(도 2a의 200 및 도 3a의 200')에 X-Ray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구강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본 설명에서는 도 2a와 같이 X-Ray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 어떤 위치의 치아공간이 클릭되었는지 확인한다(단계 S520). 이전에 보여주었던 대응 구강이미지를 진료창(기본이미지창)에서 삭제한다(단계 S530).
그런 다음, 클릭된 치아공간의 이미지와 대응되는 관련이미지가 존재하는가 를 검색한다(단계 S540). 이 때 대응되는 관련이미지가 존재한다면 가장 최근에 찍은 것을 선택하여 중앙부 대응 치아공간(232,234,236)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50).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520에서 도 2a와 같이 상악의 중앙부 치아공간(214)이 클릭되었다면, 해당 환자의 데이터파일을 검색하여 동일 위치의 치아의 구강영상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이를 234의 치아공간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의 설명은 도 3a의 구강영상 화면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직접 구강영상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한 화면에서 X-Ray 이미지와 이에 대응하는 구강영상의 컬러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대비해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나아가, 이와 같은 진행을 위해, 환자별로 데이터파일 만들고, 각 X-Ray 이미지, 구강영상, 파노라마이미지, 디지털영상 등 이미지 종류별 폴더를 만들고, 각각의 해당 정보를 저장해 둔다. 이때, 구강내 치아위치마다 고유의 번호를 부여하고 그 번호를 이미지 종류별 폴더에서 각각 동일 위치의 치아의 이미지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상호 연동하여 이미지 대비시 검색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한 종류의 이미지 폴더에서 동일 치아 위치에 저장되는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 시간 순서대로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렇게 하면 해당 치아의 이미지 중 가장 최근의 것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시간 순서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영상을 전환하는 실행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현재 어떤 진료창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610). 즉, 현재 기본이미지창(도 2a의 200 및 도 3a의 200')에 X-Ray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구강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본 설명에서는 도 2a와 같이 X-Ray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 지금 상태가 영상전환 중인가를 판단한다(단계 S620). 만약, 영상전환 중이 아니면, 메모리에 각 이미지마다 "미러"효과를 준 임시이미지를 저장한다(단계 S630). 한편, 영상전환 중이라면, 이전에 "미러"효과를 준 임시이미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원래의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S640).
현재 영상전환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이에 맞게 각각의 치아공간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진료창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650). 즉, 도 2b와 같이, 좌측에 있던 이미지는 우측으로, 우측에 있던 이미지는 좌측으로 위치가 변경된다.
이상의 설명은 도 3a 및 도 3b의 구강영상 화면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는 마치 자신의 치아를 거울에 비추었을 때와 같은 화면구성을 보게 되어,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부위나 증상을 설명하는 경우, 환자가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시 구강내 치아 위치에 따른 치아의 X-Ray 이미지 또는 구강영상을 이해하기 용이하고, 각각의 치아별 X-Ray 이미지에 대응되는 구강영상을 한 화면에서 바로 대비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치아교정, 턱관절치료 및 임플란트 시술 등의 경우에 치아 전체의 파노라마이미지, 디지털영상 및 세팔로 영상 등을 함께 대비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의하면 영상전환이 가능하여,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부위나 증상을 설명하는 경우, 환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표시화면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강내 상악 및 하악 치아 위치별로 해당 치아의 기본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을 일렬로 배치하고,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치아의 기본이미지에 대응되는 관련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치아공간을 배치하는 제1단계;
    환자별 치아의 기본이미지 및 관련이미지를 각각 해당 치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단계;
    각 치아 위치별로 치아 기본이미지를 각 치아 위치별 공간 상부 및 하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3단계;
    상기 상부 또는 하부의 치아 기본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치아의 대응하는 관련이미지를 검색하여 중앙부 대응 치아공간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의 기본이미지가 좌우측으로 반전되는 영상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전환단계는,
    가)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기본이미지창이 어떤 창인가를 확인하는 단 계;
    나) 상기 상태가 영상전환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다) 상기 현재 영상전환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이에 맞게 이미지 위치를 변경하여 기본이미지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나)에서
    나-2) 영상전환중이 아닌 경우, 메모리에 각 이미지마다 '미러'효과를 준 것을 저장하는 단계;
    나-2) 영상전환중인 경우 이전에 '미러'효과를 준 임시이미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원래의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표시화면 일측에 파노라마이미지, 디지털영상, 세팔로영상을 포함하는 비교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공간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의 치아사진을 선택하면 해당 치아의 파노라마이미지, X-Ray 이미지 및 구강영상을 동시에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88328A 2004-11-02 2004-11-02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KR10060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28A KR100604182B1 (ko) 2004-11-02 2004-11-02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28A KR100604182B1 (ko) 2004-11-02 2004-11-02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230A true KR20060039230A (ko) 2006-05-08
KR100604182B1 KR100604182B1 (ko) 2006-07-25

Family

ID=3714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328A KR100604182B1 (ko) 2004-11-02 2004-11-02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06A1 (ko) * 2017-03-06 2018-09-13 주식회사 디오 피시술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200010857A (ko) * 2018-07-23 2020-01-31 박현민 엑스선(x-선) 조사부와 디스플레이장치 및 운영체제를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가 일체로 형성된 포터블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882A (ko) 2022-04-15 2023-10-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환자 상담 화면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06A1 (ko) * 2017-03-06 2018-09-13 주식회사 디오 피시술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200010857A (ko) * 2018-07-23 2020-01-31 박현민 엑스선(x-선) 조사부와 디스플레이장치 및 운영체제를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가 일체로 형성된 포터블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182B1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399B2 (ja) 三次元画像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Casaglia et al. Dental photography today. Part 1: basic concepts
CN106572831B (zh) 口内扫描期间关注区域的识别
JP5784381B2 (ja) 歯科診療システム
WO2012096312A1 (ja) 口腔内撮影表示システム
KR101687821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치과 수술 방법
KR101163808B1 (ko) 인체정보 추출장치, 인체촬영정보의 기준면 변환방법 및단면정보 검출장치
JP4043695B2 (ja) 歯顎顔面領域のx線画像の表示方法、表示装置、この表示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10036387A (ko) 파노라마 치식도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2012143528A (ja) 口腔内撮影表示システム
JP3553712B2 (ja) 歯科関連情報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8447378B2 (en) System and method of capturing images
Mladenović et al. Importance of digital dental photography in the practice of dentistry
KR100604182B1 (ko)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JP2005040223A (ja) 医療用画像表示装置
JP3241091B2 (ja) 歯科総合画像システム
Ahmed et al. Digital dentistry-new era in dentistry
JP4603195B2 (ja) 医用三次元画像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用プログラム
TWI524873B (zh) Intraocular photography display system
US8265729B2 (en) Third party acquisition of images at the direction of an independent imaging application
JP2009080545A (ja) 医療情報処理装置
JP2015126820A (ja) 口腔内表示システム
US2023019651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and method
KR100628729B1 (ko) 치과용 이미지 통합관리 방법 및 그 통합관리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NL1007059C2 (nl) Gebitstechnisch beeldverwerkingssyste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