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154A -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154A
KR20060039154A KR1020040088230A KR20040088230A KR20060039154A KR 20060039154 A KR20060039154 A KR 20060039154A KR 1020040088230 A KR1020040088230 A KR 1020040088230A KR 20040088230 A KR20040088230 A KR 20040088230A KR 20060039154 A KR20060039154 A KR 2006003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154A/ko
Publication of KR2006003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광원부, 제1 및 제2 발광소자에 각각 소정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광원구동부, 제1 및 제2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결정하여 광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광원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균일화하여 출력하는 광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일반 LED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광에 의해 빛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프리트랜스램프, PTL, 파장합성, 광량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Pre-transfer lamp of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전사보조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보조장치의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보조장치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어부 200 : 전압공급부
300 : 광원부 310 : 제1 발광소자
320 : 제2 발광소자 330 : 광합성부
400 : 광가이드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장이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하는 한 쌍의 발광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화상의 프리트랜스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사보조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용지(P)를 회전시키는 감광드럼(Organic Photo Conductive Drum : 10), 감광드럼(10)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Charging Roller : 20),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30),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Develop Roller : 40), 공급롤러(50), 감광드럼(10)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용지(P)에 전사하는 전사롤러(Transfer Roller : 60), 및 전사보조장치(Pre-Transfer lamp : 70)를 포함한다.
이 중, 전사보조장치(70)는 토너가 감광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인쇄용지(P)에 전사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 현상롤러(40)와 전사롤러(60) 사이에 배치된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70)의 일 예를 살펴보면, 감광드럼(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배치되는 LED 어레이, 및 LED 어레이로부터 출사된 광을 모아주는 렌즈를 포함하는 구성을 보인다.
이와 같은 전사보조장치(70)에 적용되는 반원형상의 LED는 동일 사양에서도 광의 밝기 편차가 30% 정도로 심하게 나타난다. 이로 인하여, LED간의 출사광량 차이에 의해 인쇄 화상 농도가 불균일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다수의 LED를 사용한 전사보조장치(70)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균일한 강도의 전사 보조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70)가 안출되었다.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전사보조장치(70)는 하나의 LED(72)와, LED(72)로 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하면서 감광드럼(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광이 균일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광 가이드(74)를 포함한다.
이는, 감광드럼(10)의 표면에 균일한 강도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하나의 LED(72)를 적용하기 때문에, LED(72)를 감광드럼(10)에 근접시키거나, 빛의 강도가 매우 강한 LED(72)를 사용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가이드를 구비하는 전사보조장치에서, 파장이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하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두개의 광을 각각 조절하되, 두개의 광이 하나의 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광원부, 제1 및 제2 발광소자에 각각 소정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광원구동부, 제1 및 제2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결정하여 광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광원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균일화하여 출력하는 광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광원부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광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1 발광소자에만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광원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2 발광소자에만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광원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에 모두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광원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보조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보조장치는 제어부(100), 광원구동부(200), 광원부(300), 및 광가이드부(4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전사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전사저항률에 기초하여, 광원부(30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전압을 광원부(300)에 공급하도록 광원구동부(200)를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광원구동부(200)에 의해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 중 어느 하나에만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에서만 광을 방출함으로써, 적정한 세기의 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광원구동부(200)에 의해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의 모두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에서 방출되는 광의 중간 세기에 해당하는 광을 얻을 수 있다.
광원구동부(20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구동전압을 광원부(300)에 공급한다.
광원부(300)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즉,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소자(310)와 제2 발광소자(320), 및 광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광합성부(330)를 포함한다.
제1 발광소자(310)는 감광드럼(10)에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광원구동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소정 파장의 광을 방출한다. 이때, 제1 발광소자(310)는 빛의 세기가 큰 LED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소자(310)로는 적색 LED를 적용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320)는 제1 발광소자(310)와 마찬가지로, 감광드럼(10)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나, 제1 발광소자(310)의 파장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한다. 이때, 제2 발광소자(320)는 제1 발광소자(310)보다 빛의 세기가 작은 LED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발광소자(320)로는 녹색 LED를 적용할 수 있다.
광합성부(330)는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로부터 방출되는 두개의 광을 합성하여 하나의 광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발광소자(310)에서만 광이 방출될 경우, 광합성부(330)에서는 적색 광이 출력되고, 제2 발광소자(320)에서만 광이 방출될 경우, 광합성부(330)에서는 녹색 광이 출력된다. 또한,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 모두에서 광이 방출될 경우, 광합성부(330)에서는 적색광과 녹색광이 합성되어 황색 광이 출력된다.
광의 합성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합성부 (330)에 의해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광이 합성되어 출력되는 것을 보였으나,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별도의 광합성부(330)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로부터 광이 동시에 방출되고, 광원부(300)의 출구를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광이 합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400)는 광원부(30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가이드 및 균일화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광가이드부(4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보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10)의 표면에 조사되는 빛을 방출하는 광원부(300)은 감광드럼(10)의 길이방향으로 광을 가이드하는 광가이드부(400)의 일측에 형성된다.
광원부(300)은 접지 단자(GND), 제1 발광소자(310)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입력단자(Input 1), 및 제2 발광소자(320)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입력단자(Input 2)의 세 단자를 구비한다.
제1 발광소자(310)에서만 광이 방출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즉, 강한 세기의 광을 방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광원구동부(200)에 의해 제1 입력단자(Input 1)에 소정의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한다.
또한, 제2 발광소자(320)에서만 광이 방출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즉, 약 한 세기의 광을 방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광원구동부(200)에 의해 제2 입력단자(Input 2)에 소정의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 모두에서 광이 방출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즉, 중간 세기의 광을 방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광원구동부(200)에 의해 제1 입력단자(Input 1) 및 제2 입력단자(Input 2)에 소정의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한다.
광가이드부(400)는 광원부(300)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감광매체(1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미도시),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출력하는 산란수단(미도시), 및 가이드수단으로부터 광을 반사시켜 산란수단으로 인도하는 그루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광가이드부(400)를 적용하여 광원부(3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균일화하여 감광드럼(10)에 조사함으로써, 노광 전위와 대전 전위 차를 감소시키고, 토너가 인쇄되는 도트(Dot) 주변으로 비산되어 크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400)의 상세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 및 광원구동부(200)에 의해 제1 발광소자(310) 및 제2 발광소자(320)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되는 세가지 형태(적색, 녹색, 및 황색)의 광은 광가이드부(400)에 의해 가이드 및 균일화되어 감광드럼(10)의 표면에 일정하게 조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두개의 발광소자의 온/오프를 각각 제어하고, 이들을 합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용이하게 전사 보조용 광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광의 감도를 정확한 파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울트라급의 광의 강도가 매우 강한 발광소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LED에 의해 원하는 강도의 광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광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광원부;
    상기 제1 및 제2 발광소자에 각각 소정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광원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상기 구동전압을 결정하여 상기 광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균일화하여 출력하는 광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광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광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광소자에만 상기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상기 광원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발광소자에만 상기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상기 광원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소자에 모두 상기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상기 광원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KR1020040088230A 2004-11-02 2004-11-02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KR20060039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230A KR20060039154A (ko) 2004-11-02 2004-11-02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230A KR20060039154A (ko) 2004-11-02 2004-11-02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154A true KR20060039154A (ko) 2006-05-08

Family

ID=3714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230A KR20060039154A (ko) 2004-11-02 2004-11-02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1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2145B2 (en) Inkless printing apparatus
US5751748A (en) System for monitoring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surface emitting laser
US20090091805A1 (en) Light scanning apparatus, light scann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US95273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o form an image by scanning an image bearer with light modulated based on image information
US9104131B1 (en) Optical scanning hea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light intensity correction control program
CN103488068A (zh) 图像形成设备
EP1278367A3 (en) Image forming apparatus based on an array of light emitting elements with individual brightness correction for achieving even image quality
US20130106966A1 (en) Digital curing methods and systems for energy efficient package printing using radiaiton curable inks
CN108573982B (zh) 发光装置、图像形成装置及光照射装置
US7180919B2 (en) Light emitting device drive circuit
US9104132B2 (en) Apparatus to form latent image using dither matrices having minute and normal exposure areas controlling toner adhesion
KR20060039154A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보조장치
JP2005199476A (ja) 発光装置
US6829414B2 (en) Multi-beam scanning apparatus
WO2015151852A1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インク定着方法
JP2005254739A (ja) 画像形成装置
US20110292470A1 (en) Image scan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of image scanning device
JP2006245307A (ja) 光源装置
JP200922997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光の色設定方法
CN110632833A (zh) 一种打印设备及应用于该打印设备的成像方法
KR100429817B1 (ko)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
JP20021542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03021A (ja) 補正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006469A (ja) プリンタ、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6224410A (ja) 固体走査型光書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