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775A -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775A
KR20060037775A KR1020040086827A KR20040086827A KR20060037775A KR 20060037775 A KR20060037775 A KR 20060037775A KR 1020040086827 A KR1020040086827 A KR 1020040086827A KR 20040086827 A KR20040086827 A KR 20040086827A KR 20060037775 A KR20060037775 A KR 2006003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sound
vibration
fla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064B1 (ko
Inventor
이경주
체르니약발레리
김정선
김양성
안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064B1/ko
Priority to US11/260,291 priority patent/US7769191B2/en
Publication of KR2006003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음향 출력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전방에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평판 패널이 복수의 채널별로 구분하여 음향을 출력하여 복수 채널 스피커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채널 간 간섭으로 인한 음질 저하를 제거하여, 향상된 음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PLAT PANEL SOUND OUTPUT APPARATUS AND IMAGE/SOUND OUTPUT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평판 음향 출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향 출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향 출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향 출력장치의 평판 패널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음향 출력장치 2 :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3 : 평판 음향 출력장치
31a,31b,31c,31c,51a,51b,51c : 평판 패널
33a,33b,33c,33c,53a-R,53b-R,53c-R,53a-L,53b-L,53c-L : 여진기
40, 60 : 음향신호 출력부
41, 61 : 음향 재생부 42, 62 : 제1 채널 앰프
43, 63 : 제2 채널 앰프 64-R : 제1 네트워크 회로부
64-L : 제2 네트워크 회로부
본 발명은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채널 또는 주파수 대역별 음향 출력이 가능한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는 콘형(Cone-Type) 스피커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콘형 스피커는 종이,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재료로 제작되는 콘과, 콘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유연성을 갖는 서라운드(Surround)와, 콘의 꼭지 부근에서 콘을 두르는 원주 방향으로 골이 진 스파이더(Spider)를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
근래에는 평판 패널(Plat panel)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가 개발되었다. 여기서, 평판 음향 출력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여진기(Exciter)에 의해 진동(또는 여진, 이하 동일)되는 평판 패널의 진동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평판 음향 출력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평판 패널과, 평판 패널의 설치되어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여진기를 포함한다.
또한, 평판 음향 출력장치는 2 채널의 음향, 스테레오(Stereo)를 구현하기 위해 각 채널에 해당하는 2개의 여진기를 하나의 평판 패널에 설치한다. 따라서, 각 여진기는 해당 채널의 전기적 음향신호에 따라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고, 평판 패널은 각 채널의 여진기에 의해 진동하여 해당 채널의 음향을 출력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평판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평판 패널에 각 채널의 여진기가 설치되고, 각 채널의 여진기가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각 채널의 여진기에 의한 진동 간의 상호 간섭(Interference)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판 음향 출력장치(100)에서 발생하는 2 채널에 의한 진동 간의 상호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평판 패널(110) 상의 'Δ'는 좌측 여진기(120a)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는 우측 여진기(120b)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각 여진기에 의한 평판 패널(110)의 진동에 의해 평판 패널(110) 상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위치는 평판 패널(110) 상에 분산(Distribution)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여진기(120a,120b)에 의해 발향하는 진동 간에는 상호 간섭되는 영역(DA)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채널 간의 간섭은 평판 음향 출력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음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바, 채널 간의 간섭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동일 채널의 음향에 대하여도 저음, 중음 및 고음 즉, 음향의 주파수 대역별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구현이 가능한 경 우, 보다 향상된 음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대역별로 음향의 출력이 가능하면서도 주파수 대역간의 간섭이 없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채널의 음향 출력시 각 채널 간의 간섭으로 인한 음질 저하를 감소시킨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전방에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전방에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채널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평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음향 영역과, 상기 각 음향 영역에서의 진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각 음향 영역 간을 구획하는 구획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각 음향 영역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하나의 상기 평판 패널의 상기 각 음향 영역에 설치된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동일 채널의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평판 패널은 상호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가지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각 진동 계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평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음향 영역과, 상기 각 음향 영역에서의 진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각 음향 영역 간을 구획하는 구획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각 음향 영역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하나의 상기 평판 패널의 상기 각 음향 영역에 설치된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동일 주파수 대역의 상호 상이한 채널의 음향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 영역에는 상기 구획 영역이 상기 음향 영역과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갖게 하는 경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 영역에 마련되는 투명 전도체와; 상기 구획영역이 상기 음향 영역과 상기한 진동 계수를 갖도록 상기 투명 전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음향 영역에서의 진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구획 영역에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평판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게 이격된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평판 패널은 상호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가지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각 진동 계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평판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게 이격된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채널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음향 출력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음향 출력장치(1)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2)과 평판 음향 출력장치(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음향 출력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 '평판'은 상대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완전한 평면이 아닐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2)은 영상 처리 프로세스를 거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PDP(Plasma Display Panel) 모듈,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 음향 출력장치(3)는 복수의 평판 패널(31a,31b,31c,31d)과 여진기(33a,33b,33c,33d)를 포함한다. 여기서, 평판 패널(31a,31b,31c,31d)은 여진기(33a,33b,33c,33d)에 의해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는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 패널(31a,31b,31c,31d)과, 각 평판 패널(31a,31b,31c,31d)에 설치되어 각 평판 패널(31a,31b,31c,31d)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각 평판 패널(31a,31b,31c,31d)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여진기(33a,33b,33c,33d)와, 각 여진기(33a,33b,33c,33d)에 상호 상이한 채널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신호 출력부(40)가 2 채널의 음향신호, 즉 스테레오(Stereo)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 외에도, 3 채널 이상의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네 장의 평판 패널(31a,31b,31c,31d)과, 각 평판 패널(31a,31b,31c,31d)에 설치된 네 개의 여진기(33a,33b,33c,33d)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외에도, 평판 음향출력장치는 두 장, 세 장 또는 다섯 장 이상의 평판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평판 패널(31a,31b,31c,31d 중 하나)에 동일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2 이상의 여진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2)에 인접한 평판 패널(31a,31b,31c,31d)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평판 패널(31a), 제2 평판 패널(31b), 제3 평판 패널(31c) 및 제4 평판 패널(31d)로 임의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각 평판 패널(31a,31b,31c,31d)에 설치된 여진기(33a,33b,33c,33d)를 제1 여진기(33a), 제2 여진기(33b), 제3 여진기(33c) 및 제4 여진기(33d)로 임의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음향신호 출력부(40)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 는 음향 재생부(41)와, 음향 재생부(41)로부터 출력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채널 앰프(42) 및 제2 채널 앰프(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채널 앰프(42) 및 제2 채널 앰프(43)에서 각각 증폭된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음향신호는 여진기(33a,33b,33c,33d)에 인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부(41)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가 휴대용 컴퓨터에 적용되는 경우, 음향 재생부(41)는 CD 또는 DVD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음악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여 디지털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재생부와, 음향 재생부(41)에서 생성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제1 채널 앰프(42) 및 제2 채널 앰프(43)로 출력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재생부(41)는 CD, DVD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CD 드라이브나 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음향 재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에 있어서, 제1 채널 앰프(42)로부터 출력되는 제1 채널의 음향신호는 제1 여진기(33a) 및 제3 여진기(33c)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2 채널 앰프(43)로부터 출력되는 제2 채널의 음향신호는 제2 여진기(33b) 및 제4 여진기(33d)에 인가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는 제1 평판 패널(31a)과 제3 평판 패널(31c)이 제1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3 평판 패널(31c)과 제4 평판 패널(31d)이 제2 채널의 음향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의 음향을 각각 출력하기 위한 평판 패널(31a,31b,31c,31d)의 배치는 바뀔 수 있다. 또한,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는 평판 패널(31a,31b,31c,31d)의 개수 또한 상호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4 장의 평판 패널(31a,31b,31c,31d) 중, 제1 평판 패널(31a) 및 제2 평판 패널(31b)이 제1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3 평판 패널(31c) 및 제4 평판 패널(31d)이 제2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의 각 평판 패널(31a,31b,31c,31d)은 상호 독립적으로 하나의 채널의 음향만을 출력할 수 있어, 하나의 평판 패널(31a,31b,31c,31d)에서 둘 이상의 채널의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발생하는 채널 간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2 이상의 채널의 음향을 출력할 때 보다 향상된 음질의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는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 패널(51a,51b,51c)과, 각 평판 패널(51a,51b,51c)에 설치되어 각 평판 패널(51a,51b,51c)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각 평판 패널(51a,51b,51c) 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여진기(53a-R,53b-R,53c-R,53a-L,53b-L,53c-L)와, 각 여진기(53a-R,53b-R,53c-R,53a-L,53b-L,53c-L)에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6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가 세 장의 평판 패널(51a,51b,51c)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2)이 인접한 평판 패널(51a,51b,51c)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평판 패널(31a), 제2 평판 패널(31b) 및 제3 평판 패널(31c)로 임의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평판 패널(31a), 제2 평판 패널(31b) 및 제3 평판 패널(31c)은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평판 패널(31a)이 저음을, 제2 평판 패널(31b)이 중음을, 제3 평판 패널(31c)이 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구현이 가능하고, 각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상호 간섭되지 않게 독립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평판 패널(31a), 제2 평판 패널(31b) 및 제3 평판 패널(31c)은 상호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저음을 출력하는 제1 평판 패널(31a)의 진동 계수는 고음은 출력하는 제3 평판 패널(31c)의 진동 계수보다 낮다. 그리고, 중음을 출력하는 제2 평판 패널(31b)의 진동 계수는 제1 평판 패널(31a)과 제3 평판 패널(31c)의 진동 계수 사이의 진동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에 있어서, 평판 패널(51a,51b,51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1 평판 패널(31a), 제2 평판 패널(31b) 및 제3 평판 패널(31c) 각각은 2 채널의 음향, 즉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신호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제1 채널의 음향신호와 제2 채널의 음향신호를 포함한다.
즉, 제1 채널의 음향신호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제1 채널의 저음 음향신호, 제1 채널의 중음 음향신호 및 제1 채널의 고음 음향신호를 포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채널의 음향신호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제2 채널의 저음 음향신호, 제2 채널의 중음 음향신호 및 제2 채널의 고음 음향신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평판 패널(31a), 제2 평판 패널(31b) 및 제3 평판 패널(31c)에는 각각 2개씩의 여진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평판 패널(31a)에 설치된 제1 채널 저음 여진기(53a-R) 및 제2 채널 저음 여진기(53a-L)에는 각각 제1 채널의 저음 음향신호 및 제2 채널의 저음 음향신호가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제2 평판 패널(31b)에 설치된 제1 채널 중음 여진기(53b-R) 및 제2 채널 중음 여진기(53b-L)에는 각각 제1 채널의 중음 음향신호 및 제2 채널의 중음 음향신호가 인가된다. 그리고, 제3 평판 패널(31c)에 설치된 제1 채널 고음 여진기(53c-R) 및 제2 채널 고음 여진기(53c-L)에는 각각 제1 채널의 고음 음향신호 및 제2 채널의 고음 음향신호가 인가된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2 채널 3 웨이(Way) 방식의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부(6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신호 출력부(60)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재 생부(61)를 포함한다.
음향 재생부(61)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 및 제2 채널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각각 제1 채널 앰프(62) 및 제2 채널 앰프(63)에서 증폭되어 제1 네트워크 회로부(64-R) 및 제2 네트워크 회로부(64-L)에 인가된다.
제1 네트워크 회로부(64-R)는 제1 채널 앰프(62)를 통해 증폭된 제1 채널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제1 채널의 저음 음향신호, 중음 음향신호 및 고음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회로부(64-R)는 제1 채널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로부터 제1 채널의 저음 음향신호를 추출하는 제1 채널 저대역 통과 필터(64a-R)와, 제1 채널의 중음 음향신호를 추출하는 제1 채널 중대역 통과 필터(64b-R)와, 제1 채널의 고음 음향신호를 추출하는 제1 채널 고대역 통과 필터(64c-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회로부(64-L)는, 제1 네트워크 회로부(64-R)의 구성에 대응하여, 제2 채널 저음 통과 필터(64a-L), 제2 채널 중음 통과 필터(64b-L) 및 제2 채널 고음 통과 필터(64c-L)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네트워크 회로부(64-L)는 제2 채널 앰프(63)를 통해 증폭된 제2 채널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제2 채널의 저음 음향신호, 중음 음향신호 및 고음 음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출력장치의 평판 패널(51a,51b,51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영역(AR)과, 제2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 향 영역(AL)과, 제1 음향 영역(AR) 및 제2 음향 영역(AL)을 구획하는 구획 영역(A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제1 평판 패널(51a)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구획 영역(AD)은 제1 음향 영역(AR)과 제2 음향 영역(AL)을 구획하여, 제1 구획 영역(AD)과 제2 구획 영역(AD)에서의 진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음향 영역(AR)과 제2 음향 영역(AL)에서의 진동이 상호 간섭받지 않음으로써, 제1 채널의 음향과 제2 채널의 음향이 하나의 평판 패널(51a,51b,51c) 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향상된 음질의 다채널의 음향,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의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획 영역(AD)은 제1 음향 영역(AR)과 제2 음향 영역(AL)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제1 음향 영역(AR)과 제2 음향 영역(AL)에서의 진동 간의 간섭이 차단되는 공간적인 개념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획 영역(AD)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구획 영역(AD)은 제1 음향 영역(AR) 및 제2 음향 영역(AL)과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가짐으로서, 제1 음향 영역(AR) 및 제2 음향 영역(AL)에서의 진동이 양 영역간에 전달되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구획 영역(AD)에 경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제1 음향 영역(AR)과 제2 음향 영역(AL)과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 패널 (51a,51b,51c)이 투명 아크릴로 제작되는 경우, 경화제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에폭시 수지로는 아민류나 폴리아미드를 경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경화제는 광 투과성이 평판 패널(51a,51b,51c)의 광 투과 특성과 동일한 것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구획 영역(AD)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AD)에 마련되는 투명 전도체(60)와, 투명 전도체(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전도체(60)에 전원공급부(61)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투명 전도체(60)의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동시에 투명 전도체(60)의 진동 계수가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투명 전도체(60)가 마련된 구획 영역(AD)의 진동 계수가 제1 음향 영역(AR) 및 제2 음향 영역(AL)의 진동 계수와 달라지게 된다.
한편, 구획 영역(AD)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AD)에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발생부(7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평판 패널(51a,51b,51c)의 구획 영역(AD)으로 초음파가 출력되는 경우, 초음파에 의해 구획 영역(AD)에서 진동이 발생한다. 제1 음향 영역(AR) 및 제2 음향 영역(AL)에서의 진동은 초음파에 의한 구획 영역(AD)에서의 진동에 의해 상쇄되어 상호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음향 영역(AR)과 제2 음향 영역(AL)에서는 상호 독립적으로 각각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음질의 다채널의 음향이 출력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평판 패널(31a,31b,31c,31d)이 상호 상이한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는 평판 패널을 복수의 음향 영역과 음향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 영역(AD)을 형성하고, 각 음향 영역마다 여진기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평판 패널에서의 각 음향 영역이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음향 출력장치(3)에서도 복수 채널의 라우드 스피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칭인 영상/음향 출력장치(1)는 영상과 전술한 바와 같은 평판 음향 출력장치(3)에 의한 음향을 출력하는 기기라면 그 명칭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음향 출력장치(1)는 영상과 음향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모니터, TV,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PDA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평판 패널에 형성되는 구획 영역(AD)은 전술한 실시예들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실시예에 조합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평판 패널(31,31',31")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로 여진기가 사용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 외에, 음향신호 출력부(50)로부터의 음향신호에 평판 패널(31,31',31")을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 발생부라면 그 명칭을 불문하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PZT(Piezoelectric) 방식의 액츄에이터(Actuator)와 같이 평판 패널 (31,31',31")에 진동을 발생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복수의 평판 패널이 복수의 채널 및/또는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여 음향을 출력하여 복수 채널 및/또는 라우드 스피커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채널 간 및/또는 주파수 대역 간의 간섭으로 인한 음질 저하를 제거하여, 향상된 음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출력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2)

  1. 영상/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전방에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2. 영상/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전방에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채널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음향 영역과, 상기 각 음향 영역에서의 진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각 음향 영역 간을 구획하는 구획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각 음향 영역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하나의 상기 평판 패널의 상기 각 음향 영역에 설치된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동일 채널의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평판 패널은 상호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가지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각 진동 계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음향 영역과, 상기 각 음향 영역에서의 진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각 음향 영역 간을 구획하는 구획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각 음향 영역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하나의 상기 평판 패널의 상기 각 음향 영역에 설치된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동일 주파수 대역의 상호 상이한 채널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영역은 상기 음향 영역과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영역에는 상기 구획 영역이 상기 음향 영역과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갖게 하는 경화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영역에 마련되는 투명 전도체와;
    상기 구획영역이 상기 음향 영역과 상기한 진동 계수를 갖도록 상기 투명 전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음향 영역에서의 진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구획 영역에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 출력장치.
  10. 평판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게 이격된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평판 패널은 상호 상이한 진동 계수를 가지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각 진동 계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
  12. 평판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게 이격된 복수의 평판 패널과;
    상기 각 평판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평판 패널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평판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각 진동 발생부에 상호 상이한 채널의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음향 출력장치.
KR1020040086827A 2004-10-28 2004-10-28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 KR100633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27A KR100633064B1 (ko) 2004-10-28 2004-10-28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
US11/260,291 US7769191B2 (en) 2004-10-28 2005-10-28 Flat panel audio output apparatus and video/audio out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27A KR100633064B1 (ko) 2004-10-28 2004-10-28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75A true KR20060037775A (ko) 2006-05-03
KR100633064B1 KR100633064B1 (ko) 2006-10-11

Family

ID=3714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827A KR100633064B1 (ko) 2004-10-28 2004-10-28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69191B2 (ko)
KR (1) KR100633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36B1 (ko) * 2007-10-18 201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734A1 (en) * 2006-10-03 2008-04-03 Forth Robert A Sports audio player and two-way voice/data communication device
TWI350116B (en) * 2007-12-18 2011-10-01 Princeton Technology Corp Audio playing module and method of the same
TWI399987B (zh) * 2009-02-13 2013-06-21 Ind Tech Res Inst 多面向平面式揚聲器裝置
US8340327B2 (en) * 2009-06-11 2012-12-25 Magna International Inc. Home theater
US8965022B2 (en) * 2012-03-30 2015-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sonalized display
US8976997B1 (en) * 2014-07-14 2015-03-10 Turtle Beach Corporation Transparent parametric emitter
US9351083B2 (en) * 2013-10-17 2016-05-24 Turtle Beach Corporation Transparent parametric emitter
US9769573B2 (en) * 2013-10-17 2017-09-19 Turtle Beach Corporation Transparent parametric transducer and related methods
US9660596B2 (en) * 2015-01-23 2017-05-23 Tectonic Audio Labs Audio transducer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CN106061151A (zh) * 2015-04-16 2016-10-26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及扬声器
US10142739B2 (en) 2016-03-28 2018-11-27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20170114471A (ko) 2016-04-05 2017-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KR102663406B1 (ko) 2016-04-04 202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양면 표시 장치
KR102373433B1 (ko) * 2017-04-29 2022-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00637A (ko) 2017-12-28 2020-08-26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신호 생성 장치
KR20200140973A (ko) * 2019-06-07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CN113225649B (zh) * 2021-04-26 2022-07-1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音频发声传播系统及具有其的音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2760B2 (en) * 1996-09-03 2003-02-18 New Transducers Limited Active acoustic devices
AU4955697A (en) 1996-12-20 1998-07-17 Noise Cancellation Technologies, Inc. Electroacoustic transducers comprising vibrating panels
JP2000092578A (ja) 1998-09-09 2000-03-31 Fujitsu Ltd スピーカ装置
JP3877031B2 (ja) 1999-02-12 2007-02-07 株式会社オーセンティック パネル型スピーカ
US20020021812A1 (en) * 2000-08-11 2002-02-21 Graham Bank Loudspeaker
KR20020095310A (ko) 2001-06-14 200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스피커가 부착된 멀티미디어 모니터
KR200295310Y1 (ko) 2002-07-23 2002-11-18 주식회사 제니시스 전선 받이용 파티션덕트
SE526674C2 (sv) 2003-03-24 2005-10-25 Seco Tools Ab Belagt hårdmetallskä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36B1 (ko) * 2007-10-18 201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69191B2 (en) 2010-08-03
US20070036388A1 (en) 2007-02-15
KR100633064B1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914B1 (ko)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KR100633064B1 (ko)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
JP4289343B2 (ja) スピーカ駆動装置
CN110036649B (zh) 音响装置
CN105848042B (zh) 一种组合式扬声器装置及其方法
JP2009159104A (ja) 表示装置設置用パネル
KR20070056074A (ko) 초음파를 구비한 오디오/비디오 장치
JP2018530209A (ja) モーダルクロスオーバ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てプレートラウドスピーカ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523610A5 (ko)
WO2022024763A1 (ja) オーディオデバイスおよび駆動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JP7205495B2 (ja) 表示装置および信号生成装置
US20100177921A1 (en) Response speaker system
JP7301726B2 (ja) ディスプレイスピーカ
WO2020144938A1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
JP2005333304A (ja) スピーカおよび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装置
WO2014077234A1 (ja) 音響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6670259B2 (ja) 音響再生装置
WO2022172641A1 (ja) 再生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再生装置
WO2021020158A1 (ja) 表示装置
WO2022209225A1 (ja) 表示装置、出力方法、および表示モジュール
JP6926859B2 (ja) 音響装置
JP4609715B2 (ja)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
JP2008227802A (ja) アレイ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21090140A (ja) 表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8199341A (ja) 静電型トランスデューサ、超音波スピーカ、スピーカ装置、静電型トランスデューサによる音声信号再生方法、指向性音響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