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232A -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232A
KR20060035232A KR1020040084632A KR20040084632A KR20060035232A KR 20060035232 A KR20060035232 A KR 20060035232A KR 1020040084632 A KR1020040084632 A KR 1020040084632A KR 20040084632 A KR20040084632 A KR 20040084632A KR 20060035232 A KR20060035232 A KR 2006003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rding
predetermined function
area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765B1 (ko
Inventor
황성희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765B1/ko
Priority to US11/201,300 priority patent/US8179759B2/en
Priority to TW094129052A priority patent/TWI332203B/zh
Priority to CNA2005800359761A priority patent/CN101044559A/zh
Priority to EP05856503.7A priority patent/EP1803118B1/en
Priority to CA2584650A priority patent/CA2584650C/en
Priority to PCT/KR2005/003357 priority patent/WO2006080736A1/en
Priority to RU2007115050/28A priority patent/RU2348988C2/ru
Priority to BRPI0518208-5A priority patent/BRPI0518208A/pt
Priority to JP2007537794A priority patent/JP2008518375A/ja
Priority to MYPI20054955A priority patent/MY140181A/en
Publication of KR2006003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765B1/ko
Priority to JP2012078420A priority patent/JP5346106B2/ja
Priority to US13/436,501 priority patent/US832557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매체는,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상기 매체에 마련되며,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개별 정보와,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소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그러한 소정 기능이 적용된 매체를 적절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의 디스크간의 호환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의 구조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DMA의 세부적인 구조도의 일 예,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세스 제어 영역의 세부적인 구조도의 일 예,
도 6a는 본 발명에 따라 기록 방지 설정으로 설정된 기록 방지 ACD의 일 예,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기록 방지 해제로 설정된 기록 방지 ACD의 일 예,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재생 방지 설정으로 설정된 재생 방지 ACD의 일 예,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재생 방지 해제로 설정된 재생 방지 ACD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를 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기능 A를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의 디스크 운용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기능 A를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의 디 스크 운용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디스크 분야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디스크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광 디스크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초기에 광 디스크 드라이브 시스템과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광 시스템을 위한 규격이 확정된 후 새로운 기능(New function)의 추가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초기에 확정된 규격은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기존 규격을 "old 규격"이라 하고, old 규격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어 업데이트된 규격을 "new 규격"이라 했을 때, old 규격 디스크(12)는 old 규격 드라이브 시스템(11)에서 동작되도록 만들어지고, new 규격 디스크(14)는 new 규격 드라이브 시스템(13)에서 동작되도록 만들어진다.
old 규격과 new 규격은 추가된 새로운 기능 때문에 기록/재생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두 개의 규격이 기록/재생 호환성을 이룬다는 것은, old 규격의 드라이브 시스템(11)에서 사용되는 old 규격 디스크(12)가 new 규격의 드라이브 시스템(13)에서도 기록/재생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또 한 new 규격의 드라이브 시스템(13)에서 사용되는 new 규격 디스크(14)가 old 규격의 드라이브 시스템(11)에서도 기록/재생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새로운 기능의 추가에 의해 old 규격과 new 규격, 두 규격간의 상호 기록/재생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old 규격의 드라이브 시스템(11)에 새로운 기능이 적용된 new 규격의 디스크(14)가 로딩되었을 때, old 규격 드라이브 시스템(11)이 그 새로운 기능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old 규격 제정 당시, 미래의 새로운 기능의 추가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적절한 대응 방안은 new 규격에서 적용 가능한 일반론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new 규격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더 새로운 규격으로 업데이트되었을 때도 적용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와 같이 새로운 기능의 추가에 따른 일련의 여러 가지 규격들이 상호 기록/재생 호환성을 갖기 위해서는 애초에 규격을 만들 시에 새로운 기능의 추가에 대비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의 규격이 알고 있는 기능에 대해 드라이브 시스템이 동작해야 하는 규칙과 현재의 규격이 모르는 미래에 추가될 기능에 대해 현재의 드라이브 시스템이 동작해야 하는 규칙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즉, 현재의 규격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어 미래의 규격이 탄생되었을 때, 미래의 규격을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은 현재의 규격을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이 새로운 기능에 대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을 디스크상에 저장하면, 이에 의해 현재의 규격의 드라이브 시스템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미래의 디스크가 로딩되더라도, 그 디스크상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그 새로운 기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 면, 미래 규격의 드라이브 시스템은, 현재 규격의 드라이브 시스템이 미래의 규격에 추가된 새로운 기능 자체는 알지 못하더라도, 그 새로운 기능이 적용된 디스크를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를 알려 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규격이 서로 다른 드라이브 시스템에서도 디스크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상기 매체에 마련되며,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개별 정보와,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소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 정보는 상위 개념의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공통 정보는 하위 개념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가지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ACD)를 기록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영역이 상기 매체에 마련되며,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개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기능은 기록 방지 기능이고, 상기 개별 정보는 기록 방지 상태 정보이고, 상기 공통 정보는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 정보의 기록 방지 상태 정보가 기록 방지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통 정보중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 불가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개별 정보의 기록 방지 상태 정보가 기록 방지 해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통 정보중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 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기능은 재생 방지 기능이고, 상기 개별 정보는 재생 방지 상태 정보이고, 상기 공통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 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 정보의 재생 방지 상태 정보가 재생 방지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통 정보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는 재생 불가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개별 정보의 재생 방지 상태 정보가 재생 방지 해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통 정보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는 재생 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정보 저장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마련되는 상기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독출부와,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개별 정보 및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소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상기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정보 저장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가지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ACD)를 기록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영역이 마련된 상기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독출부와, 상기 공통 정보를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상기 공통 정보를 상기 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기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정보 저장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마련되는 상기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개별 정보 및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소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상기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기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정보 저장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가지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ACD)를 기록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영역이 마련된 상기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 정보를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능 A를 인식하지 못하는 드라이브 시스템도 기능 A가 적용된 디스크(100)를 적절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이 착안한 것은, 기능 A를 인식하는 드라이브 시스템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기능 A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디스크(100)에 기록할 뿐만 아니라 기능 A를 인식하지 못하는 드라이브 시스템이 인식할 있는 공통 정보에 이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를 설정하여 디스크(100)에 기록해두자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매체 즉 디스크(100)는,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정보 필드와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위해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개별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ACD)를 기록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영역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통 정보 필드에는,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매체를 올바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위한 소정 기능에 국한된 정보 필드의 값에 의존되어 설정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위해 설정되는 개별 정보 필드에는 소정 기능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드라이브 제작자, 기록 및/또는 재생용 어플리케이션, 파일 시스템 드라이브, 커맨드 셋 또는 최종 사용자 등)의 의도에 따라 그 값이 달리 설정되고, 또한 상기 공통 정보 필드에는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위해 상기 개별 정보의 설정값에 따라 대응되도록 설정되며, 이러한 설정은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사용자가 매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 용도에 따라 상위 개념의 정보 값(개별 정보의 설정값)이 설정되면 그 상위 개념에 설정된 정보 값 즉, 사용자가 매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 용도에 따라 그 하위 개념의 정보 값(공통 정보의 설정값)이 결정됨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100)는 리드인 영역(110)과, 데이터 영역(120)과, 리드아웃 영역(130)이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리드인 영역(110)은 디스크 제조시에 소정의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재생 전용으로만 사용되는 미리 기록된 영역(111)과, 데이터의 기록 및 변경이 가능한 기록가능 영역(112)을 포함한다.
데이터 영역(120)은 스페어 영역 #1(121), 사용자 데이터 영역(122), 스페어 영역 #2(123)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122)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스페어 영역 #1(121), 스페어 영역 #2(123)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122)에 발생된 결함 블록을 대체하는 대체 블록을 기록하기 위해 마련된 영역이다. 이러한 스페어 영역은 디스크의 초기화시 또는 재초기화시에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다.
리드아웃 영역(130)은 결함 관리 영역(DM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기록된 영역(111)은 디스크 제조시에 디스크 자체의 정보가 미리 기록된다. 예를 들어, 디스크를 식별하는 디스크 제조 번호 등의 디스크 ID 등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가 기록되기 때문에 제어 데이터 영역(113)이라고도 불린다.
기록 가능 영역(112)은 결함 관리 영역(Defect Management Area)(114)과, 테 스트 영역(115)과, 드라이브/디스크 상태 정보 영역(116)과, 액세스 제어 영역(Access Control Area)(117)을 포함한다.
결함 관리 영역(114)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122)에 발생된 결함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테스트 영역(115)은 이 디스크(100)에 최적의 기록 조건으로 기록을 하기 위해 기록 파워 등을 테스트해 볼 수 있는 영역이다.
드라이브/디스크 상태 정보 영역(116)은 드라이브와 디스크의 상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액세스 제어 영역(117)은 향후 추가될 새로운 기능에 대해 드라이브 시스템의 동작을 규정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즉, 소정의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개별 정보와, 이러한 소정의 기능을 알지 못하는 드라이브 시스템이라도 이 디스크(100)로의 액세스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액세스 제어 영역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함 관리 영역의 세부적인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함 관리 영역(DMA)(114)은 DDS(410)과, DFL(420)을 포함한다.
DFL(420)은 결함 리스트(DeFect List)로서,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서 발생된 결함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결함 리스트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발생한 결함 블록의 주소 정보, 이 결함 블록을 대체하는 대체 블록의 주소 정보, 결함에 관한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다.
DDS(410)는 디스크 정의 구조(Disc Definition structure)로서 디스크 관리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즉, DDS(410)은 디스크의 초기화시 또는 재초기화시에 기록되는 정보로서, 스페어 영역의 크기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시작과 끝 주소 정보 등을 담고 있으며, 특히 ACD 상태 정보(411)를 담고 있다.
ACD 상태 정보(411)는 액세스 제어 영역에 기록되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 들의 기록 상태나 결함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액세스 제어 데이터(Access control data)(ACD) 블록의 상태 정보를 DDS에 기록하여 관리하면 액세스 제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ACD 블록의 재생 시 디스크가 드라이브에 로딩되면 드라이브는 DDS내에 있는 각각의 ACD 블록에 대한 상태 정보로부터 유효한 ACD 블록이 기록된 위치를 알고 유효한 ACD 블록들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세스 제어 영역의 세부적인 구조도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제어 영역(117)은 액세스 제어 데이터 #1, 액세스 제어 데이터 #2, 액세스 제어 데이터 #3,...을 포함한다.
각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기존의 규격에 의한 드라이브 시스템이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새로운 규격에 의한 드라이브 시스템이든 간에 이 디스크로의 액세스 제어를 위해 공통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공통 정보와, 그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기능을 인식하고 있는 드라이브 시스템만이 인식할 수 있는 개별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액세스 제어 데이터 #1은 "기능 1"에 개별 정보 및 공통 정보를 구성하고, 액세스 제어 데이터 #2는 "기능 2"에 관한 개별 정보 및 공통 정보를 구성하고, 액세스 제어 데이터 #3은 "기능 3"에 관한 개별 정보 및 공통 정보를 구성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기능 1은 드라이브 시스템이 인식가능한 기능일 수 있고, 기능 2와 기능 3은 드라이브 시스템이 인식불가능한 기능일 수 있다.
액세스 제어 데이터 #1(500)은 공통 정보(510)와, 개별 정보(520)를 포함한다.
공통 정보(510)는 이 액세스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ACD_ID(511), DDS를 제외한 DMA의 기록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DMA 기록 가능 여부 정보(512), 스페어 영역의 기록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513),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기록이 가능한지 재생만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재생 가능 여부 정보(514)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시스템은 ACD_ID(511)를 확인함으로써 이 액세스 제어 데이터가 인식가능한 기능에 관한 것인지, 인식불가능한 기능에 관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ACD_ID(511)가 드라이브 시스템이 알고 있는 식별자이면, 이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드라이브 시스템이 인식가능한 기능에 관한 것이고, 드라이브 시스템이 알지 못하는 식별자이면, 이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드라이브 시스템이 인식불가능한 기능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드라이브 시스템은 상기 ACD_ID(511)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공통 정보에 들어있는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드라이브 시스템이 인식불가능한 기능에 대해서도 최소한의 적절한 동작을 취할 수 있다.
개별 정보(520)는 이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기능에 따른 정보(521)를 포함한 다. 기능에 따른 정보(521)는 사용자나 파일 시스템 드라이브나 소정의 기록 또는 재생 어플리케이션 또는 드라이브 제작자, 또는 커맨드 셋(Command Set) 등에 의해 이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기능을 의도하는 방향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정되는 설정값 등의 설정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기능에 따른 정보(521)는 각 기능에 따라 그 정보의 형태나 양 또는 수 들이 그 기능에 맞게 설정되기 때문에 그 정보 필드가 공통 정보 필드와 달리 항상 동일한 크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소정의 기능을 인식하고 있는 기록/재생 장치는 이 기능에 관한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개별 정보에 의도하는 방향에 따라 이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를 설정하고, 또한 공통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에, 개별 정보에 설정된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내지는 그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설정해둔다. 그러면, 이러한 소정의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개별 정보를 인식하지는 못하더라도 이러한 개별 정보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공통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으므로 자기가 인식하지 못하는 기능이라도 그 기능에 준하여 매체를 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소정 기능에 관한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개별 정보와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데, 개별 정보는 이 소정 기능을 인식하고 있는 기록/재생 장치가 이 소정 기능에 관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는 정보이고, 공통 정보는 이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이 소정 기능에 준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는 정보이다.
각각의 기능에 따른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매체의 초기화, 재초기화 또는 그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기록/재생 장치가 인식하고 있는 기능들에 국한되어 매체상에 기록되어 사용되어질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소정 기능이 기록 방지 기능이라고 할 때 액세스 제어 데이터에 설정되는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록 방지 기능은 매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 또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의 기록을 금지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라 기록 방지 설정으로 설정된 기록 방지 ACD의 일 예이다.
기록 방지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는 매체 상에 기록 방지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기록 방지하고자 할 경우 이 기록 방지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 방지 ACD의 개별 정보(620)에 기록 방지 플래그(621)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방지 설정"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이 기록 방지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는 이러한 기록 방지 기능을 알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들을 위해 기록 방지 ACD의 공통 정보(610)에 DMA(DDS 제외) 기록 가능 여부 정보(612),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613),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재생 가능 여부 정보(614) 등과 같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기록과 관련된 정보 필드들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불가" 상태로 설정한다.
드라이브에 의한 결함 관리가 마련된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 터 영역의 기록 시 결함이 발생하면 대체할 영역으로 스페어 영역이 마련되고 또한 그 대체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 및 매체의 기록 및 매체의 정의 구조에 관계된 정보를 위한 결함 관리 영역이 마련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기록 방지는 결함 관리 영역 뿐만 아니라 스페어 영역의 기록 방지와도 관계되어 있다. 또한, 결함 관리 영역(DMA)에서 DDS를 제외한 이유는 ACD의 상태 정보가 DDS에 저장되기 때문에 DDS를 포함할 경우 ACD 영역의 업데이트로 인한 상태 정보의 변경을 DDS에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ACD가 기록되는 영역의 상태 정보가 DDS에 저장되지 않는다면, DDS를 제외한다는 제약없이 단지 DMA 기록 가능 여부 정보로 하여도 될 것이다. 또한,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경우 상기 DMA는 TDMA(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에 대응하고, DDS는 TDDS(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기록 방지 해제로 설정된 기록 방지 ACD의 일 예이다.
사용자가 매체에 설정된 기록 방지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이 기록 방지 기능을 아는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 방지 ACD의 개별 정보(620)의 기록 방지 플래그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방지 해제"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이 기록 방지 기능을 아는 기록/재생 장치는 이러한 기록 방지 기능을 알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위해 공통 정보(610)의 DMA(DDS 제외) 기록 가능 여부 정보(612),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613),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재생 가능 여부 정보(614) 등과 같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기록과 관련된 정보 필드들을 도 6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기록 가능" 상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향후 이 매체가 기록 방지 기능을 모르는 기록/재생 장치에 삽입되더라도 기록 방지 ACD의 공통 정보를 참조하여 실제 매체상에 설정된 기록 방지 상태와 동일한 의도로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기록 방지가 설정되어 있으면 DMA(DDS 제외), 스페어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기록 불가능 상태로, 기록 방지가 해제되어 있으면 DMA, 스페어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기록 가능 상태로 설정하여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록 방지 기능을 모르는 기록/재생 장치라 하더라도 기록 방지 ACD가 기록되어 사용된 매체를 실제 사용 의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매체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소정 기능이 재생 방지 기능이라고 할 때 액세스 제어 데이터에 설정되는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재생 방지 기능은 매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 또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데이터의 재생을 금지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재생 방지 설정으로 설정된 재생 방지 ACD의 일 예이다.
재생 방지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는 매체 상에 재생 방지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매체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재생 방지하고자 할 경우 이 재생 방지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는 재생 방지 ACD의 개별 정보(720)에 재생 방지 플래그(721)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방지 설정"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이 재생 방지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는 이러한 재생 방지 기능을 알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들을 위해 재생 방지 ACD의 공통 정보(710)에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재생 가능 여부 정보(712) 등과 같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 필드들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불가" 상태로 설정한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재생 방지 해제로 설정된 재생 방지 ACD의 일 예이다.
사용자가 매체에 설정된 재생 방지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이 재생 방지 기능을 아는 기록/재생 장치는 재생 방지 ACD의 개별 정보(720)의 재생 방지 플래그(721)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방지 해제"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이 재생 방지 기능을 아는 기록/재생 장치는 이러한 재생 방지 기능을 알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위해 공통 정보(710)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재생 가능 여부 정보(712) 등과 같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 필드들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가능" 상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향후 이 매체가 재생 방지 기능을 모르는 기록/재생 장치에 삽입되더라도 재생 방지 ACD의 공통 정보를 참조하여 실제 매체상에 설정된 재생 방지 상태와 동일한 의도로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재생 방지가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재생 불가능 상태로, 재생 방지가 해제되어 있으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재생 가능 상태로 설정하여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생 방지 기능을 모르는 기록/재생 장치라 하 더라도 재생 방지 ACD가 기록되어 사용된 매체를 실제 사용 의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매체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를 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독출부(2)와, 제어부(1)를 포함한다.
기록/독출부(2)는 픽업 등을 구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기록 정보저장매체인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디스크(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1)는 소정의 파일 시스템에 따라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독출하도록 기록/독출부(2)를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는 이 제어부(1)가 알고 있는 기능에 관해 액세스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변경하는 경우, 자신이 알고 있는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를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개별 정보에 설정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러한 기능을 알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위해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공통 정보에 이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설정한다.
제어부(1)는 시스템 제어기(10)와, 호스트 I/F(20)와, DSP(30)와, RF AMP(40)와, 서보(50)를 구비한다.
기록시, 호스트 I/F(20)는 호스트(3)로부터 소정의 기록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시스템 제어기(10)로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기(10)는 이러한 호스트 I/F(20)로부터 수신된 기록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DSP(30)와 서보(50)를 제어한다. DSP(30) 는 호스트 I/F(20)로부터 받은 기록할 데이터를 에러 정정을 위해 패리티 등 부가 데이터를 첨가하고 ECC 인코딩을 수행하여, 에러 정정 블록인 ECC 블록을 생성한 다음 이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변조한다. RF AMP(40)는 DSP(3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RF 신호로 바꾼다. 픽업을 구비한 기록/독출부(2)는 RF AMP(4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디스크(100)에 기록한다. 서보(50)는 시스템 제어기(10)로부터 서보 제어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받아 기록/독출부(2)의 픽업을 서보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 제어기는 자신이 알고 있는 기능에 관해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 이 기능을 알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도 이러한 기능에 준하여 디스크를 운용할 수 있도록 액세스 제어 데이터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이 시스템 제어기(10)가 기록 방지 기능을 매체에 사용하려는 경우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개별 정보에 기록 방지 플래그를 기록 방지 상태로 설정하였으면, 이에 대응하여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공통 정보에도 매체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하여 기록 불가 상태로 설정한다.
재생시, 호스트 I/F(20)는 호스트(3)로부터 재생 명령을 받는다. 시스템 제어기(10)는 재생에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기록/독출부(2)는 디스크(10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디스크(10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여 얻어진 광 신호를 출력한다. RF AMP(40)는 기록/독출부(2)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를 RF 신호로 바꾸고 RF 신호로부터 얻어진 변조된 데이터를 DSP(30)로 제공하는 한편, RF 신호로부터 얻어진 제어를 위한 서보 신호를 서보(50)로 제공한다. DSP(30)는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ECC 에러 정정을 거쳐 얻어진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서 보(50)는 RF AMP(40)로부터 받은 서보 신호와 시스템 제어기(10)로부터 받은 서보 제어에 필요한 명령을 받아 픽업에 대한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호스트 I/F(20)는 DSP(3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호스트로 보낸다. 시스템 제어기(10)는 자신이 알고 있는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디스크의 액세스 제어 영역에 기록된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개별 정보를 독출하도록 제어하고, 자신이 알지 못하는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디스크의 액세스 제어 영역에 기록된 액세스 제어 데이터의 공통 정보를 독출하도록 제어한다.
도 8에 도시된 기록/재생 장치는 개별적인 기록 장치, 재생 장치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기록 및 재생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기능 A를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의 디스크 운용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능 A를 인식하는 드라이브 시스템에 디스크가 로딩된다(910).
사용자가 이러한 기능 A를 로딩된 디스크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드라이브 시스템은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를 디스크의 액세스 제어 영역의 ACD의 개별 정보 필드에 기록한다(920). 예를 들어, 기능 A가 기록 방지 기능이라면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는 기록 방지 설정 상태 또는 기록 방지 해제 상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고, 기능 A가 재생 방지 기능이라면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는 재생 방지 설정 상태 또는 재생 방지 해제 상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드라이브 시스템은 기능 A를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들을 위해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를 디스크의 액세스 제어 영역의 ACD의 공통 정보 필드에 기록한다(930). 예를 들어,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가 기록 방지 설정 상태라면 공통 정보 필드에는 디스크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대한 기록 불가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가 재생 방지 설정 상태라면 공통 정보 필드에는 디스크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대한 재생 불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드라이브 시스템은 상기 개별 정보 필드에 기록된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에 따라 디스크를 사용한다(940). 예를 들어,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가 기록 방지 설정 상태라면 이 디스크에 기록을 방지할 것이고, 기능 A에 관한 설정 정보가 재생 방지 설정 상태라면 이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기능 A를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의 디스크 운용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능 A를 인식하지 못하는 드라이브 시스템에 디스크가 로딩된다(1010).
드라이브 시스템은 기능 A의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크의 액세스 제어 영역의 ACD의 공통 정보 필드로부터 독출한다(1020).
드라이브 시스템은 독출된 기능 A의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참조하여,기능 A에 준하는 형태로 디스크를 사용한다(103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 의한 내용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으로부터 유사하게 도출될 수 있는 개념을 포함한 다. 즉, 소정의 기능을 위한 정보 구조는 상위 개념의 정보와 하위 개념의 정보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소정의 기능을 운용할 능력이 있는 주체 즉 기록/재생 장치가 정보 저장 매체에 이 소정의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하기 위해 상위 개념에 따른 정보들을 운용하고 또한 이러한 소정의 기능을 운용할 능력이 없는 주체가 정보 저장 매체를 소정의 기능에 맞게 적절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위 개념의 정보들을 설정한다. 이 때 상위 개념에 준하는 내용을 하위 개념에 적용되도록 설정하고, 비록 상기 소정의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하위 개념의 정보들을 참조하여 그러한 소정의 기능이 적용된 정보 저장 매체를 올바른 사용 범위 안에서 최대한으로 운용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운용 방법 내지 기록/재생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용 방법 내지 기록/재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 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그러한 소정 기능이 적용된 매체를 적절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되어 서로 다른 규격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에서 디스크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7)

  1.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상기 매체에 마련되며,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개별 정보와,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소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는 상위 개념의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공통 정보는 하위 개념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4.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가지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ACD)를 기록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영역이 상기 매체에 마련되며,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개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기록 방지 기능이고,
    상기 개별 정보는 기록 방지 상태 정보이고,
    상기 공통 정보는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의 기록 방지 상태 정보가 기록 방지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통 정보중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 불가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개별 정보의 기록 방지 상태 정보가 기록 방지 해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통 정보중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 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재생 방지 기능이고,
    상기 개별 정보는 재생 방지 상태 정보이고,
    상기 공통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의 재생 방지 상태 정보가 재생 방지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통 정보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는 재생 불가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개별 정보의 재생 방지 상태 정보가 재생 방지 해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통 정보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는 재생 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10.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정보 저장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마련되는 상기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 /독출부와,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개별 정보 및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소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상기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는 상위 개념의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공통 정보는 하위 개념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3.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정보 저장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가지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ACD)를 기록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영역이 마련된 상기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독출부와,
    상기 공통 정보를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상기 공통 정보를 상기 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개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기록 방지 기능이고,
    상기 개별 정보는 기록 방지 상태 정보이고,
    상기 공통 정보는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정보의 기록 방지 상태 정보를 기록 방지로 설정하면, 상기 공통 정보중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 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개별 정보의 기록 방지 상태 정보를 기록 방지 해제로 설정하면, 상기 공통 정보중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 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재생 방지 기능이고,
    상기 개별 정보는 재생 방지 상태 정보이고,
    상기 공통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정보의 재생 방지 상태 정보를 재생 방지로 설정하면, 상기 공통 정보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는 재생 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개별 정보의 재생 방지 상태 정보를 재생 방지 해제로 설정하면, 상기 공통 정보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는 재생 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19. 기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정보 저장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마련되는 상기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개별 정보 및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소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상기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는 상위 개념의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공통 정보는 하위 개념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22. 기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정보 저장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록/재생 장치라도 상기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공통 정보를 가지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ACD)를 기록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영역이 마련된 상기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 정보를 상기 매체에 적용된 소정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에 의존하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데이터는,
    상기 소정 기능을 인식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개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기록 방지 기능이고,
    상기 개별 정보는 기록 방지 상태 정보이고,
    상기 공통 정보는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개별 정보의 기록 방지 상태 정보를 기록 방지로 설정하면, 상기 공통 정보중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정보의 기록 방지 상태 정보를 기록 방지 해제로 설정하면, 상기 공통 정보중 결함 관리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스페어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 기록 가능 여부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 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재생 방지 기능이고,
    상기 개별 정보는 재생 방지 상태 정보이고,
    상기 공통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개별 정보의 재생 방지 상태 정보를 재생 방지로 설정하면, 상기 공통 정보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는 재생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정보의 재생 방지 상태 정보를 재생 방지 해제로 설정하면, 상기 공통 정보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재생 가능 여부 정보는 재생 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KR1020040084632A 2004-10-22 2004-10-22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0667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632A KR100667765B1 (ko) 2004-10-22 2004-10-22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US11/201,300 US8179759B2 (en) 2004-10-22 2005-08-11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TW094129052A TWI332203B (en) 2004-10-22 2005-08-25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EP05856503.7A EP1803118B1 (en) 2004-10-22 2005-10-10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CA2584650A CA2584650C (en) 2004-10-22 2005-10-10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05/003357 WO2006080736A1 (en) 2004-10-22 2005-10-10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CNA2005800359761A CN101044559A (zh) 2004-10-22 2005-10-10 信息存储介质和使用该存储介质的记录/再现设备和方法
RU2007115050/28A RU2348988C2 (ru) 2004-10-22 2005-10-10 Носитель для хран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 их использующий
BRPI0518208-5A BRPI0518208A (pt) 2004-10-22 2005-10-10 mìdia de armazenamento de informações, aparelho de gravação/reprodução e método de gravação/reprodução
JP2007537794A JP2008518375A (ja) 2004-10-22 2005-10-10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MYPI20054955A MY140181A (en) 2004-10-22 2005-10-21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2078420A JP5346106B2 (ja) 2004-10-22 2012-03-29 情報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US13/436,501 US8325575B2 (en) 2004-10-22 2012-03-30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632A KR100667765B1 (ko) 2004-10-22 2004-10-22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232A true KR20060035232A (ko) 2006-04-26
KR100667765B1 KR100667765B1 (ko) 2007-01-11

Family

ID=3620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632A KR100667765B1 (ko) 2004-10-22 2004-10-22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8179759B2 (ko)
EP (1) EP1803118B1 (ko)
JP (2) JP2008518375A (ko)
KR (1) KR100667765B1 (ko)
CN (1) CN101044559A (ko)
BR (1) BRPI0518208A (ko)
CA (1) CA2584650C (ko)
MY (1) MY140181A (ko)
RU (1) RU2348988C2 (ko)
TW (1) TWI332203B (ko)
WO (1) WO2006080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416B2 (ja) * 2008-07-18 2011-09-2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書換え型光ディスク記録媒体における代替領域設定方法
CN102577408B (zh) * 2009-09-30 2015-04-15 夏普株式会社 使用了信息记录介质的再现方法、信息记录再现装置和三维化装置以及信息记录装置
JP6598083B2 (ja) * 2016-12-06 2019-10-30 Smc株式会社 ピストン組立体及び流体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0059C (en) * 1989-06-30 1995-05-23 Shigemi Maeda Modular ceramic igniter
JPH11306648A (ja) 1998-04-23 1999-11-05 Toshiba Corp コピープロテクト機能付き情報記録媒体、不正コピー検出装置、及び不正コピー検出方法
RU2212062C2 (ru) 1998-06-15 2003-09-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т записи
US6765853B1 (en) * 1998-06-15 2004-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write protection information and write protection method thereof
KR100601598B1 (ko) 1998-06-15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방지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와 기록 방지 방법
JP3382159B2 (ja) * 1998-08-05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媒体とその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JP3758886B2 (ja) * 1999-03-30 2006-03-22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アクセス制御方法
US6330210B1 (en) 1999-04-29 2001-12-11 Hewlett-Packard Company Data structure for control information on rewriteable data storage media
MXPA02003274A (es) 1999-09-30 2002-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dio para grabar informacion y controlador de sistema.
US6788642B2 (en) * 2001-04-06 2004-09-07 Hitachi,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unrecordable restricted block(s), and systems incorporating same
JP2003045036A (ja) * 2001-07-27 2003-02-14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KR100896145B1 (ko) * 2001-08-02 2009-05-12 파나소닉 주식회사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JP3389238B2 (ja) 2001-09-18 2003-03-24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と光ディスクと再生方法と再生装置
JP2003228909A (ja) 2002-01-30 2003-08-15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記録再生システム、ドライブ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
US7106676B2 (en) * 2002-02-21 2006-09-12 Matos Jose R Disc player system
KR100716965B1 (ko) 2002-08-1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정보 저장매체 및 그 기록 방법
US7385889B2 (en) * 2003-03-03 2008-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c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including drive and disc information disc with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BRPI0407517A (pt) 2003-03-13 2006-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co do tipo de instáncia única de gravação, método de gerenciamento de uma área de dados de um disco do tipo de instáncia única de gravação, aparelho de gravação/reprodução, método para reprodução de dados de um disco do tipo de instáncia única de gravação, aparelho para reprodução de dados de um disco do tipo de instáncia única de gravação, disco do tipo de instáncia única de gravação com pelo menos uma camada de gravação, e mìdia de gravação
JP4342375B2 (ja) 2003-05-20 2009-10-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試し記録方法及び試し記録装置
US7313065B2 (en) * 2003-08-05 2007-12-25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US8248901B2 (en) 2004-04-17 2012-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d/or from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d/or from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7916582B2 (en) * 2004-05-11 2011-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initialization method, and reinitialization method
US7663990B2 (en) 2004-05-21 2010-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access control area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0181A (en) 2009-11-30
EP1803118A4 (en) 2009-02-18
US20060087954A1 (en) 2006-04-27
US20120188860A1 (en) 2012-07-26
KR100667765B1 (ko) 2007-01-11
US8179759B2 (en) 2012-05-15
JP2012164415A (ja) 2012-08-30
CN101044559A (zh) 2007-09-26
WO2006080736A1 (en) 2006-08-03
TWI332203B (en) 2010-10-21
TW200614202A (en) 2006-05-01
CA2584650C (en) 2013-10-01
CA2584650A1 (en) 2006-08-03
EP1803118A1 (en) 2007-07-04
BRPI0518208A (pt) 2008-11-04
US8325575B2 (en) 2012-12-04
JP2008518375A (ja) 2008-05-29
RU2348988C2 (ru) 2009-03-10
JP5346106B2 (ja) 2013-11-20
RU2007115050A (ru) 2008-10-27
EP1803118B1 (en)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367B2 (ja) 光記録情報保存媒体、記録/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
KR100608028B1 (ko) 결함 관리 방법
JP5346106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KR100677120B1 (ko)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기록/재생방법, 초기화 방법 및 재초기화 방법
RU2292090C1 (ru)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центр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29493B1 (ko) 기록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 저장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0601728B1 (ko) 기록/재생 방법
KR20060057663A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0619030B1 (ko)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기록/재생 방법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070045047A (ko) 기록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 저장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20050121540A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20050006658A (ko) 호환성을 고려한 결함관리방법, 그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디스크
KR20060099709A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그 기록/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