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889A -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889A
KR20060034889A KR1020040083908A KR20040083908A KR20060034889A KR 20060034889 A KR20060034889 A KR 20060034889A KR 1020040083908 A KR1020040083908 A KR 1020040083908A KR 20040083908 A KR20040083908 A KR 20040083908A KR 20060034889 A KR20060034889 A KR 20060034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ear jack
protective cover
communication terminal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4889A/ko
Publication of KR2006003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되는 PCB와 연결되어 핸즈프리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이어잭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의 전면 둘레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발 지지되는 다수의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어폰의 삽입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개방되고, 이어폰의 분리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폐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이어폰, 이어잭, 보호커버

Description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arjack co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커버에 대한 설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 - 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커버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이동통신 단말기 10 - 본체
11,11' - 삽입홈 20 - 이어잭
30 - 스프링 40,40' - 보호커버
41,41' - 경사단부 50 - 이어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구비된 이어잭으로 이어폰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이어잭 보호커버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의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며,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이어폰이 연결되기 위한 이어잭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어잭의 표면에는 이어잭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이어잭 보호커버는, 통상 이어잭의 삽입구 측으로 탈착 되도록 구성하여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호커버를 이어잭의 삽입구에 삽입 고정하여 마감하고,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호커버를 이어잭으로부터 분리한뒤 이어잭을 끼워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탈착형 이어잭 보호커버의 경우,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하 여 이어폰 플러그를 삽입할 때 보호커버를 이어잭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별도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호커버의 일단을 단말기 본체에 고정시켜, 이어폰의 사용시 보호커버를 이어잭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이어폰의 미사용 시에는 다시 이어잭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 역시 이어폰의 사용시 마다 보호커버를 이어잭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는 불편함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분리된 커버는 한쪽 손으로 잡고, 다른 한쪽 손으로는 이어폰을 끼우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보호커버가 고무나 합성수지의 재질을 갖고 형성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손때가 묻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장시간 사용시에는 보호커버의 결합부위가 헐거워지게 되어 단말기 본체로부터 쉽게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이어잭 보호커버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의 삽입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개방되어 결합되고, 이와 반대로 이어폰을 이어잭으로부터 분리하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어잭이 폐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어폰의 탈착을 간편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되는 PCB와 연결되어 핸즈프리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이어잭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의 전면 둘레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발 지지되는 다수의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어폰의 삽입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개방되고, 이어폰의 분리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커버에 대한 설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 - I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는 크게 내부에 장착된 PCB와 연결되며, 일측단 임의 위치에 노출 가능하게 이어잭(20)이 구비된 단말기 본체(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구비된 이어잭(20)의 선단에 장착되는 보호커버(4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는 바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는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전자소자(PCB)등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함체형을 이루며, 전면에는 각종기호나 문자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미도시)와, 음향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송,수화부(미도시) 및, 각종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미도시)을 구비하고, 후면에는 단말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단에는 본체(10) 내부에 장착된 PCB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어 이어폰(50)과 접속되기 위한 이어잭(20)을 구비하여 핸즈프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어잭(20)의 선단 둘레면 내부에는 후술될 다수의 보호커버(40)들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삽입홈(11)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11) 내부에는 일정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30)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는 본체(10)에 구비된 이어잭(20)의 사용유무에 따라 이어잭(20)의 삽입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다수의 보호커버(40)가 설치된다.
상기 보호커버(40)는 이어잭(20)으로 삽입되는 이어폰(50)의 삽입력에 의해 개방되고, 또한 이어폰(50)이 이어잭(20)으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폐쇄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금속이나 합성수지의 재질을 갖 는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보호커버(40)들을 상기 삽입홈(11)에 삽입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호커버(40)들의 조합에 의해 평상시에는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이어잭(50)의 삽입부측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이어폰(50)이 삽입되면, 그 삽입력에 의해 보호커버(40)들이 개방되면서 이어잭(20)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이어잭(20)의 선단 둘레에 구비된 삽입홈(11)은 상기 이어잭(20)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십자형으로 배열되도록 4개의 삽입홈(1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11)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며, 선단에는 4개의 보호커버(40)가 조합되었을때 이어잭(20)의 개방면이 폐쇄되도록 중앙이 90°의 경사각을 갖고 형성된 4개의 보호커버(40)를 각각의 삽입홈(11)에 삽입 설치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이어잭(20)의 삽입구 측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보호커버(40)들의 교차점으로 삽입되는 이어폰(50)이 삽입력에 의해 보호커버(40)들이 벌어지면서 개방되도록 하여 이어폰(50)을 간편하게 탈착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40)들의 중앙부에는 일정부분이 내측으로 일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단부(41)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이어폰(50)의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커버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보호커버는 3개 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즉, 상기 보호커버(40')가 3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본체(10')의 삽입홈(11')을 이어잭(20)을 기준으로 120°의 간격을 갖고 배열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1')으로 삽입 설치되는 보호커버(40')는 3개의 보호커버(40')가 조합되었을때, 이어잭(20)의 개방면이 폐쇄될 수 있도록 중앙이 120°의 각도를 갖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3개의 보호커버(40')의 조합에 따라 이어잭(20)의 개방면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이어폰의 삽입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개방되어 이어폰이 결합되고, 또한 이어폰을 분리한 경우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어잭의 개방면이 폐쇄되므로, 종래와 같이 손으로 잡고 끼웠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하여 단말기에서 보호커버가 분리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단말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되는 PCB와 연결되어 핸즈프리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이어잭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의 전면 둘레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발 지지되는 다수의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어폰의 삽입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개방되고, 이어폰의 분리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단말기 하우징에 구비된 이어잭의 전면 둘레면 상하좌우의 4개소에 십자형태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며, 일측은 삽입홈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탄지되고, 타측은 중앙이 90°의 경사각을 갖는 4개의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단말기 하우징에 구비된 이어잭의 전면 둘레면에 120°의 간 격을 갖는 3개소에 배열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며, 일측은 삽입홈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탄지되고, 타측은 중앙이 120°의 경사각을 갖는 3개의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들의 중앙부에는 일정부분이 내측으로 일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단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83908A 2004-10-20 2004-10-20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4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08A KR20060034889A (ko) 2004-10-20 2004-10-20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08A KR20060034889A (ko) 2004-10-20 2004-10-20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889A true KR20060034889A (ko) 2006-04-26

Family

ID=3714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08A KR20060034889A (ko) 2004-10-20 2004-10-20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48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7511A (zh) * 2016-12-20 2017-05-1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按键的应急处理方法及应急处理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7511A (zh) * 2016-12-20 2017-05-1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按键的应急处理方法及应急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715B1 (ko)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US8155713B2 (en) Mobile phone having communication system and entertainment system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00392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JP2007096467A (ja) 携帯端末装置
US938963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for inserting card type external device
US922513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CN101615821B (zh)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CN101741932A (zh) 滑动型便携式终端
US8478357B1 (en) Removable adapter with speaker and microphon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03401091A (zh) 卡座组件及具有该卡座组件的电子装置
KR20060034889A (ko)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190163236A1 (en) Laptop computer accessory
JP2008219948A (ja) 携帯端末
JP2020512792A (ja) モバイル端末外部アセンブリおよびモバイル端末保護スリーブ
KR20040074817A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351676Y1 (ko)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US899514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jack
JP2010040386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729489B1 (ko) 이어폰의 결합부위가 돌출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
JP3170870U (ja) 切換スイッチ兼用スライドシャッター構造
KR20060004224A (ko)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24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93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