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452A -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452A
KR20060034452A KR1020040083577A KR20040083577A KR20060034452A KR 20060034452 A KR20060034452 A KR 20060034452A KR 1020040083577 A KR1020040083577 A KR 1020040083577A KR 20040083577 A KR20040083577 A KR 20040083577A KR 20060034452 A KR20060034452 A KR 20060034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mage
signal
shutter
digit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324B1 (ko
Inventor
이승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32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2207/005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volving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24Interrup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지문 인식만으로 카메라의 반셔터 또는 완전셔터 모드를 판단하여 이미지 캡쳐 시에 손떨림 현상을 방지하고, 인식한 지문을 워터마킹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보호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지문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지문 인식 장치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한 라인의 지문 또는 전체 지문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지문 인식수단, 상기 지문 인식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지문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자동 초점 수행 및 플래시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반셔터 모드인지, 촬영 및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완전셔터 모드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인식만으로 카메라의 반셔터 모드 및 완전셔터 모드를 판단하여 이미지 캡쳐 시에 손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촬영된 작품 사진에 촬영자의 지문이 워터마킹됨으로써 촬영자(소유권자)의 동의 없이 불법 복제를 방지하여 소유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in digital camera}
도 1은 지문 인식 셔터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지문 인식부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6은 반 셔터 모드 시의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완전 셔터 모드 시의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8은 촬영된 이미지에 전체 이미지를 워터마킹 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워터마킹된 전체 지문 이미지가 추출된 도면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지문 인식만으로 카메라의 반셔터 또는 완전셔터 모드를 판단하여 이미지 캡쳐 시에 손떨림 현상을 방지하고, 인식한 지문을 워터마킹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보호할 수 있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지를 캡쳐 하기 위해 셔터를 이용하는데, 셔터가 반 누름 상태가 되면 자동 초점을 수행하며 플래시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셔터가 완전 누름 상태가 되면 피사체의 촬영을 행하고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미도시)에 저장한다.
최근 컴퓨터 및 네트워크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이미지 등 디지털 컨텐트의 불법적인 복제나 유통으로 인한 지적 재산권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컨텐트의 불법 복제와 유통은 저작자의 창작 의욕을 상실시키며,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게 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부팅 시에 지문을 통한 본인 확인으로 카메라를 소유한 개인의 이미지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개인의 디지털 카메라로 타인이 영상을 촬영한 경우, 타인이 촬영한 이미지는 보호받을 수 없다. 또한 셔터 반누름, 셔터 완전 누름을 통해 사진을 찍을 때 셔터와 카메라의 몸체가 함께 눌려져 손떨림이 발생한다. 그리고 촬영된 작품 사진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지문 인식만으로 카메라의 반셔터 또는 완전셔터 모드를 판단하여 이미지 캡쳐 시에 손떨림 현상을 방지하고, 인식한 지문을 워터마킹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보호할 수 있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한 라인의 지문 또는 전체 지문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지문 이미지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자동 초점 수행 및 플래시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반셔터 모드를 나타내는 제1 인터럽트 신호 또는 촬영 및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완전셔터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지문 인식수단; 및 상기 제1 인터럽트 신호 또는 상기 제2 인터럽트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각각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수단은 광원; 지문이 접촉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입사되어 상기 접촉된 지문에서 반사 또는 산란하여 출력하는 셔터; 상기 셔터로부터 반사된 빛을 집속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통해 집속된 빛으로부터 한 라인의 지문 이미지 또는 전체 지문 이미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1 인터럽트 신호 또는 상기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지문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수평으로 배열된 불투명한 재질의 제1 및 제2면 사이에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제3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지문 인식수단으로부터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고 플래시 충전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지문 인식수단으로부터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피사체 촬영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버튼(13), 기능-선택 버튼(15), 촬영-정보 표시부(16), 뷰파인더(17a), 기능-블록 버튼(18),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기능-선택 버튼(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촬영-정보 표시부(16)는 촬영과 관련된 각 기능의 정보가 표시 된다. 기능-블록 버튼(18)은 촬영-정보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된 각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스피커(SP), 전원 버튼(31),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 패널(LCD)(35), 노출보정/삭제 버튼(36), 엔터/재생 버튼(37), 메뉴/OK 버튼(38),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 재생모드(Playback) 버튼(42)이 있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되며, 세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자동 포커싱 동작이 완료된 때에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노출보정/삭제 버튼(36)은 디지털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삭제 버튼으로 사용된다.
엔터/재생 버튼(37)은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재생 모드에서 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메뉴/OK 버튼(38)은 모드 다이얼(14)에서 선택된 모드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도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재생모드 버튼(42)은 마지막 촬영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확인하고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지문 인식부가 구비된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 및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및 이미지 불법 복제 방지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20)와 필터부(41)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20)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2의 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도 2의 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ZL)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2의 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는 광학계(OPS)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줌 렌즈(ZL)의 위치에 대한 화각(θ)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ZL)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θ)은 포커스 렌즈(FL)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보상 렌즈(CL)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광학계(OPS)의 필터부(41)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 통과 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 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도 2의 33) 및 플래시 대기 램프(도 2의 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도 1의 13), 기능-선택 버튼(도 1의 15), 기능-블록 버튼(도 1의 18), 모니터 버튼(도 2의 32), 확인/삭제 버튼(도 2의 36), 엔터/재생 버튼(도 2의 37), 메뉴 버튼(도 2의 38), 광각-줌 버튼(도 2의 39w), 망원-줌 버튼(도 2의 39t), 상향-이동 버튼(도 2의 40up), 우향-이동 버튼(도 2의 40ri), 하향-이동 버튼(도 2의 40lo), 및 좌향-이동 버튼(도 2의 40le)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 즉 표시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플래시(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와 플래시 제어기(511)를 통하여 구동된다.
사용자로부터 음성 안내 기능 설정 신호가 선택되면,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OSD가 OFF 되거나 LCD 패널(35) 즉 표시부가 OFF 되면 자동으로 음성 안내 기능이 설정되어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지문 인식부(515)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한 라인의 지문 또는 전체 지문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한 라인의 지문 이미지가 검출된 경우 DSP(507)로 셔터 인터럽트1 신호를 출력하고, 전체 지문 이미지가 검출된 경우 DSP(507)로 셔터 인터럽트2 신호를 출력한다. 셔터 인터럽트1 신호는 디지털 카메라가 자동 초점 수행 및 플래시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반셔터 모드임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셔터 인터럽트2는 촬영 및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완전셔터 모드임을 나타낸다.
DSP(507)가 지문 인식부(515)로부터 셔터 인터럽트1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 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어 LCD(35)로 출력하고, 플래시(12)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플래시-광량 센서(19)를 통하여 출력한다. 종래에는 반셔터 모드라 하더라도, 카메라와 셔터(13)를 함께 눌러야 하기 때문에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나, 본원발명에서는 셔터를 누르지 않고 지문인식을 이용하여 반셔터 모드를 판단하기 때문에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DSP(507)가 지문 인식부(515)로부터 셔터 인터럽트1 신호를 수신하면, 피사체 촬영을 제어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완전셔터 모드에서 DSP(507)는 지문 인식부(515)로부터 출력되는 지문 이미지를 피사체 촬영 후 생성된 이미지에 워터마킹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거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로부터 워터마킹된 지문 이미지를 추출한다. 종래에는 완전셔터 모드라 하더라도, 카메라와 셔터(13)를 함께 눌러야 하기 때문에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나, 본원발명에서는 셔터를 누르지 않고 지문인식을 이용하여 완전셔터 모드를 판단하기 때문에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에는 카메라 소유자 본인만이 촬영한 이미지를 보호받을 수 있었는데, 피사체 촬영 시에 촬영된 이미지에 촬영자의 지문이 워터마킹 되기 때문에 촬영자가 촬영한 이미지의 저작권을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5∼도 8을 참조하여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및 이미지 불법 복제 방지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서 지문 인식부(515)는 셔터(13), 광원(515-1), 렌즈(515-2) 및 지문 검출부(515-3)로 구성된다.
광원(515-1)은 지문 검출을 위해 빛을 발광하며, DSP(507)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셔터(13)는 손가락 지문이 접속되는 부분이며, 광원(515-1)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입사되어 접촉된 지문에서 반사 또는 산란하여 출력된다. 셔터(13)는 수평으로 배열된 불투명한 재질의 제1 및 제2면 사이에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제3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515-2)는 셔터(13)의 지문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집속시킨다.
지문 검출부(515-3)는 렌즈(515-2)를 통해 집속된 빛으로부터 한 라인의 지문 이미지 또는 전체 지문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지문에 따라 다른 셔터 인터럽트 신호를 DSP(507)로 출력한다. 지문 검출부(515-3)가 한 라인의 지문 이미지를 검출한 경우 디지털 카메라가 반셔터 모드임을 나타내는 셔터 인터럽트1 신호를 DSP(507)로 출력하고, 전체 지문 이미지를 검출한 경우 디지털 카메라가 완전셔터 모드임을 나타내는 셔터 인터럽트2 신호를 DSP(507)로 출력한다.
DSP(507)는 지문 검출부(515-3)에서 출력되는 셔터 인터럽트1 또는 셔터 인터럽트2 신호를 수신하고,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셔터 인터럽트2 신호를 수신하면, DSP(507)는 전체 지문을 촬영한 영상에 워터마킹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거나, 메모리 카드의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워터마킹된 전체 지문을 추출한다.
LCD(35)는 DSP(507)의 제어 하에 검출된 지문을 디스플레이하고, 촬영한 영상에 워터마킹 삽입 및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워터마킹된 지문 이미지의 추출을 디 스플레이 한다.
도 6은 반 셔터 모드 시의 디지털 카메라의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6과 같이 손가락이 셔터(13)의 제1∼제3면에 접촉되면, 광원(515-1)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셔터(13)의 제3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렌즈(515-2)로 집속된다. 지문 검출부(515-3)는 집속된 빛으로부터 한 라인의 지문 이미지를 검출하고, 반셔터 모드임을 판단한다. 이후 지문 검출부(515-3)는 DSP(507)로 셔터 인터럽트1 신호를 출력한다.
DSP(507)는 셔터 인터럽트1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어 LCD(35)로 출력하고, 플래시(12)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플래시-광량 센서(19)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 7은 완전 셔터 모드 시의 디지털 카메라의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7과 같이 손가락이 셔터(13)의 제1∼제3면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면, 광원(515-1)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셔터(13)의 제3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렌즈(515-2)로 집속된다. 지문 검출부(515-3)는 집속된 빛으로부터 전체 지문 이미지를 검출하고, 완전셔터 모드임을 판단한다. 이후 지문 검출부(515-3)는 DSP(507)로 셔터 인터럽트2 신호와 함께 검출한 전체 지문 이미지를 전송한다.
DSP(507)는 셔터 인터럽트2 신호를 수신하면, 피사체 촬영을 제어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셔터 인터럽트2 신호가 수신되면, DSP(507)는 지문 인식부(515)로부터 출력되는 지문 이미지를 피사체 촬영 후 생성된 이미지에 워터마킹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거나, 메모리 카드에 저장 된 촬영 이미지로부터 워터마킹된 지문 이미지를 추출한다. 도 8a는 촬영된 이미지에 전체 지문 이미지를 워터마킹 하여 메모리에 삽입하는 도면을, 도 8b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전체 지문을 추출하는 도면을 보여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인식만으로 카메라의 반셔터 모드 및 완전셔터 모드를 판단하여 이미지 캡쳐 시에 손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촬영된 작품 사진에 촬영자의 지문이 워터마킹됨으로써 촬영자(소유권자)의 동의 없이 불법 복제를 방지하여 소유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Claims (5)

  1. 디지털 카메라로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한 라인의 지문 또는 전체 지문의 이미 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지문 이미지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자동 초점 수행 및 플래시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반셔터 모드를 나타내는 제1 인터럽트 신호 또는 촬영 및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완전셔터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지문 인식수단; 및
    상기 제1 인터럽트 신호 또는 상기 제2 인터럽트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각각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수단은
    광원;
    지문이 접촉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입사되어 상기 접촉된 지문에서 반사 또는 산란하여 출력하는 셔터;
    상기 셔터로부터 반사된 빛을 집속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통해 집속된 빛으로부터 한 라인의 지문 이미지 또는 전체 지문 이미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1 인터럽트 신호 또는 상기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지문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수평으로 배열된 불투명한 재질의 제1 및 제2면 사이에 빛을 통과시키는 투 명한 재질의 제3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지문 인식수단으로부터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고 플래시 충전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지문 인식수단으로부터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피사체 촬영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KR1020040083577A 2004-10-19 2004-10-19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KR10060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577A KR100604324B1 (ko) 2004-10-19 2004-10-19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577A KR100604324B1 (ko) 2004-10-19 2004-10-19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452A true KR20060034452A (ko) 2006-04-24
KR100604324B1 KR100604324B1 (ko) 2006-07-24

Family

ID=3714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577A KR100604324B1 (ko) 2004-10-19 2004-10-19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768A (ko) * 2013-01-03 2014-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52625B2 (en) 2014-01-22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function using fingerprint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921A (ja) * 1994-12-06 1996-06-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指紋撮像装置
JP2000115624A (ja) 1998-10-05 2000-04-21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349832B1 (ko) * 2000-08-08 2002-08-24 (주)니트 젠 라인스캔형 지문입력장치
JP2002057928A (ja) 2000-08-09 2002-02-22 Seiko Epson Corp 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768A (ko) * 2013-01-03 2014-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52625B2 (en) 2014-01-22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function using fingerprint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324B1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138740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503039B1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20060026228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
US20060092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hot pixels in a digital camera
KR20060055645A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59429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10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149317B2 (en) Display devic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4359743B2 (ja) 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カメラ
KR100604324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KR20080063996A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673952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0562405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수정 방법
KR101080405B1 (ko) 인증 이미지를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방법
KR20060062314A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 영상에 객체를 합성하는 장치 및방법
KR10141190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0431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20060060129A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KR10143683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208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5206A (ko)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 방법
KR10128891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KR10138740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