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824A -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824A
KR20060032824A KR1020040081806A KR20040081806A KR20060032824A KR 20060032824 A KR20060032824 A KR 20060032824A KR 1020040081806 A KR1020040081806 A KR 1020040081806A KR 20040081806 A KR20040081806 A KR 20040081806A KR 20060032824 A KR20060032824 A KR 20060032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matics
information
service
vehicl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0547B1 (ko
Inventor
송귀현
Original Assignee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5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02N11/0807Remot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고유번호 정보를 토대로 텔레매틱스(Telematic) 서비스 수행을 위한 서비스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차량의 차량의 시동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터미널;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에 따른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며, 텔레매틱스 서비스 수행에 따른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모바일로부터 요청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정보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텔레매틱스 터미널에 대한 고유번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모바일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로 부터 제공되는 승인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센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는 차량 키 분실시에도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해당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여 텔레매틱스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차량, 모바일, 통신, 텔레매틱스, 엔진제어, 이모빌라이져

Description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REMOTE SYSTEM FOR STARTING ENGINE OF CAR USING TELEMATICS}
도 1은 종래 텔레매틱스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네트워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텔레매틱스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이동통신 네트워크 203 : 텔레매틱스 터미널
205 : 모바일 213 : 컨텐츠 프로바이더
215 : 텔레매틱스 서버 217 : 관리서버
219 : 인증서버 301 : 텔레매틱스 이씨유
303 : 에탁스(ETACS) 305 : 전자엔진 제어장치(EMS ECU)
본 발명은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건장치 해제를 포함한 차량의 시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원격통신(Telecommunications)과 정보과학(Inmatics)의 합성어다. 무선통신을 이용해 차량과 센터를 연결, 센터에서 차량 운행 중 요구하는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텔레매틱스는 차량의 위치파악기술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이용해 차량 내 정보단말기를 통해 차량과 운전자에게 유용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보서비스를 의미한다.
현재 구현되고 있는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음성, 데이터통신과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정보시스템(GPS)을 기반으로 자동차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위치측정시스템과 무선통신망을 이용해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교통정보,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원격차량진단, 인터넷 이용 등 각종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와 운영체계를 모두 포함한다.
최근 텔레매틱스는 단순한 응급서비스에서 탈피, 무선인터넷의 개념을 도입한 이동통신 부가가치 서비스로 나아가고 있는 실정이며, 텔레매틱스의 대표적인 서비스 분야는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교통정보서비스, 응급 서비스, 원격차량진단, 인터넷 이용 등 각종 이동통신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텔레매틱스는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자동차를 `움직이는 사무실'로 구현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이점과, 제품차별화의 주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 및 자동차를 중심으로 다양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에 따라 다른 애플리케이션들과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국내에서 출시되는 차량 텔레매틱스 서비스(예컨대, 모젠(Mozen))는 차량내의 무선인터넷 단말기를 통해 SOS콜, 긴급출동, 도난차량 추적, 에어백 전개 자동통보 등과 같은 안전서비스,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한 다이내믹 내비게이션, 교통정보, 여행, 맛 집, 증권, 날씨 등의 무선인터넷 생활정보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상기한 텔레매틱스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중 상기한 안전서비스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대표적인 기능 중 하나인데, 특히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키 분실에 따른 SOS콜 기능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경계경보 및 시건장치를 해제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텔레매틱스 센터로 현재 상황을 통지하고, 텔레매틱스 센터에서 요구하는 소정 절차에 따라 인증을 수행한다. 텔레매틱스 센터는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의 경계경보 장치 및 시건 장치를 해제한다. 이는 차량의 내부로 장착되는 오토 PC 형태의 차량 장착형 단말기에서 텔레매틱스 센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경계경보 해제 및 시건 장치를 해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통해 차량 키 분실에 따른 도어락 해제, 경계경보 해제 등의 시건장치를 해제할 수 있으나, 차량의 시동은 가능하지 못하여 시건장치 해제만으로 사용자의 필요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가의 장비가 차량으로 장착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키 분실에 따른 사용자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과 사용자의 인증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경계 경보 및 시건장치 해제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차량 키 분실시에도 차량의 운행이 가능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텔레매틱스(Telematics)의 원격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에 장착되어 소정의 고유번호 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고유번호 정보를 토대로 텔레매틱스(Telematic) 서비스 수행을 위한 서비스 제어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차량의 경계경보 및 시건장치 해제 기능과 차량의 시동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터미널;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요청하고,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에 따른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수행에 따른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로부터 요청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승인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에 대한 고유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의 단말기 번 호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 및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승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처리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고유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의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로 전송하고, 상기 승인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 생성에 따른 상기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말기 번호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모바일로 전송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센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상기 모바일의 가입자 정보 및 등록 차량의 번호정보, 등록차량 정보, 텔레매틱스 서비스 비밀번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해독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시건장치 및 경계경보 해제를 포함하여 시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이씨유(Telematics ECU);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의 시건장치 및 경계경보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경보해제 및 시건장치 해제를 수행하는 에탁스(ETACS/BCM :Electronic Time & Alarm Control System ; Body Control Module);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의 시동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시동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엔진 제어장치(EMS ECU); 및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의 시동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이그니션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이그니션 릴레이 및 크랭킹 릴레이로 구성된 릴레이 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의 호 접속을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201)와, 차량내에 장착되어 소정의 고유번호 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고유번호 정보를 토대로 텔레매틱스(Telematic) 서비스 수행을 위한 서비스 제어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201)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차량의 경계경보 및 시건장치 해제 기능과 차량의 시동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터미널(203)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요청하고,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에 따른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수행에 따른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205)과, 상기 네트워크(201)를 통해 상기 모바일(205)로부터 요청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승인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에 대한 고유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205)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213)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승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처리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고유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의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203)로 전송하고, 상기 승인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 생성에 따른 상기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말기 번호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모바일(205)로 전송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센터(211)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201)는 상기 모바일(205)과 컨텐츠 프로바이더(213)간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BTS) 및 상기 기지국(BTS)을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를 통해 상기 모바일(205)로부터 제공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와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기(MSC)와, 상기 모바일(205)의 가입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모바일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홈위치 등록기(HLR 또는 VL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201)를 통해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는 상기 모바일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접수함에 있어,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201)의 홈위치 등록기(HLR) 또는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를 통해 상기 모바일(205)의 발신번호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이 장착된 차량을 보유하며,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등록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매틱스 센터(211)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에 대한 고유번호 정보가 저장되 어 있다. 상기 개인정보는 사용자 명을 포함하여 차종명, 차량번호 등의 차량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키를 분실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205)을 이용하여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는 상기 모바일(205)을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의 관리서버(217)에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201)는 모바일(205)로부터 요청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신호를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교환기로 제공받으며, 상기 교환기는 모바일(205)과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의 관리서버(217)와의 호 접속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홈위치 등록기(VLR/HLR)는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접속 중인 모바일(205)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추출한다.
이 후, 상기 모바일(205)로부터 전송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정보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의 관리서버(217)로 제공되며, 상기 관리서버(217)는 기 설정된 회원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인증절차는 상기 관리서버(217)와 연동되는 인증서버(219)에 의해 이루어지며, 모바일(205)의 가입자 정보 및 등록 차량의 번호정보, 등록차량 정보, 텔레매틱스 서비스 비밀번호 정보 등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205)은 차량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한다.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의 관리서버(217)는 상기 인증서버(219)의 결과정보를 토대로 텔레매틱스 회원 가입시 부여된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의 고유번호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패치한다.
상기 관리서버(217)는 상기 인증서버(219)의 결과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승 인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205)의 단말기 번호정보, 서비스 정보, 텔레매틱스 터미널의 고유번호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센터(211)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와 텔레매틱스 센터(211)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유선망을 통해 접속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와 텔레매틱스 센터(211)는 동일 관리주체 하에 연동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15)는 상기 인증정보, 모바일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서비스 정보를 접수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시건장치 해제, 경계경보 해제 및 시동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15)는 상기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15)는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의 고유번호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17)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201)를 통해 텔레매틱스 터미널(203)로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15)는 이동통신 네트워크(201)로 적용 가능한 단문 메시지를 활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위성 DMB 또는 지상 DMB를 활용하거나 소정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15)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출할 경우,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15)는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및 교환기를 경유하여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단문 메시지 형태의 제어신호를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203)로 제공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은 이동통신 네트워크(201)를 통해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어신호를 해독한다.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의 제어신호 해독 결과에 따라, 해당 차량의 시건장치 및 경계경보를 해제하며, 또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제어를 수행하여 소정의 목적지까지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터미널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201)에서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해독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시건장치 및 경계경보 해제를 포함하여 시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이씨유(Telematics ECU:301)와,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의 시건장치 및 경계경보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경보해제 및 시건장치 해제를 수행하는 에탁스(ETACS/BCM :Electronic Time & Alarm Control System ; Body Control Module:301)와,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의 시동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시동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엔진 제어장치(EMS ECU:305)와,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의 시동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이그니션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이그니션 릴레이(307) 및 크랭킹 릴레이(309)로 구성된 릴레이 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탁스(ETACS)는 와셔 연동 와이퍼 기능, 간헐 와이퍼 기능, 서리제거 기능, 안전띠 경보기능, 도어 키 및 키홈 조명기능, 감광식 실내등 기능, 파워핸들 락 제어기능, 파워 윈도우 타이머, 키 회수 기능, 중앙 집중식 도어락 기능, 도어 경고음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에탁스(ETACS)의 락 제어기능에 포함되는 시건장치를 해제하고, 다수의 경보신호의 출력을 차단 제어한다.
상기 전자엔진 제어장치(305)는 차량의 운행을 위한 시스템 관리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상기 전자엔진 제어장치(305)로 시동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함에 따라, 차량 운행에 대한 시스템의 전원 공급을 통한 차량의 시동상태 절환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201)를 통해 발신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차량의 내부로 장착된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에서 수신한다. 이는 텔레매틱스 터미널(203)에서 보유하는 고유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이동통신 네트워크(201)의 발신 주파수 코드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제어신호 즉, 시건장치 해제를 위한 서비스와, 경계경보 해제를 위한 서비스 및 시동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인증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상기 인증된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차량에 대한 시건장치 해제 및 경계경보 해제를 위한 에탁스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에탁스 제어신호를 에탁스(ETACS:303)로 전송한다. 상기 에탁스(303)는 에탁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와셔 연동 와이퍼 기능을 수행하거나, 간헐 와이퍼 기능, 서리 제거 기능, 안전띠 경보 기능, 도어 키 및 키홈 조명기능, 감광식 실내등 기능, 파워 윈도우 타이머 기능, 중앙 집중식 도어록 기능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도어 키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의 도어 록을 해제하고, 이에 따른 경계경보를 해제하기 위한 각각의 보안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실시예로 할 것이다.
이로인해, 상기 에탁스(303)는 차량의 잠금장치 해제와 더불어, 각 기능별 록 상태를 해제하여, 사용자가 차량 탑승시 보안 및 경계경보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전자엔진 제어장치(305)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위한 시동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시동 제어신호는 차량의 시동상태 절환을 위한 명령으로, 상기 전자엔진 제어장치(305)는 상기 시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동시에,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차량의 시동 점화를 위한 이그니션 릴레이(307) 및 크랭킹 릴레이(309)를 접점 절환하여 차량의 점화 및 엔진 구동을 위한 크랭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자엔진 제어장치(305)는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차량의 시동제어를 위해 전자엔진 제어장치(305)의 암호화된 보안 코드를 보유하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는 상기 시동제어와 더불어 보안 코드 정보를 상기 이모빌라이져로 제공하여 차량의 시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모빌라이져의 존재는 텔레매틱스 이씨유(301)의 무선 통신장치를 요구하는데, 이모빌라이져는 엔진점화 부대에 위치하고 있는 안테나와 함께 귀납적인 연결에 의해 작동함에 따른 것이다. 상기 이모빌라이져는 텔레매틱스 이씨유(301)와 이모빌라이져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보안 코드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점화 허가를 수행한다. 상기 이모빌라이져는 다수 종류의 보안 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안 코드는 고정 전자코드, 회전코드, 암호화 코드 등의 방식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의 보안 코딩 방식에 따라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301)의 시동제어가 달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엔진 제어장치(305)의 시동 프로그램이 기동되고, 상기 릴레이 그룹이 시동상태로 접점 절환되어 사용자는 해당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차량의 무선 시동절차에 따른 일련의 과정이 종료되기 위한 소정 시간은 상기 텔레매틱스 센터(211)에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경과는 텔레매틱스 센터(211)로부터 상기 모바일(205)로 서비스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차량의 시동상태 절환을 인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은 차량 키를 분실한 텔레매틱스 등록 회원의 모바일을 통해 해당 차량에 대한 시건장치 및 경계경보 해제를 수행하고, 차량의 운행을 위한 시동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 키 분실시에도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해당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여 텔레매틱스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텔레매틱스(Telematics)의 원격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에 장착되어 소정의 고유번호 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고유번호 정보를 토대로 텔레매틱스(Telematic) 서비스 수행을 위한 서비스 제어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차량의 경계경보 및 시건장치 해제 기능과 차량의 시동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터미널;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요청하고,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에 따른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수행에 따른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로부터 요청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승인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에 대한 고유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 및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승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처리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고유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의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상기 텔 레매틱스 터미널로 전송하고, 상기 승인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 생성에 따른 상기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말기 번호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모바일로 전송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센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모바일과 컨텐츠 프로바이더간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BTS) 및 상기 기지국(BTS)을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를 통해 상기 모바일로부터 제공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와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기(MSC)와, 상기 모바일의 가입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모바일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홈위치 등록기(HLR 또는 VL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213)는 상기 모바일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접수함에 있어,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201)의 홈위치 등록기(HLR) 또는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를 통해 상기 모바일(205)의 발신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상기 모바일의 가입자 정보 및 등록 차량의 번호정보, 등록차량 정보, 텔레매틱스 서비스 비밀번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와 텔레매틱스 센터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유선망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와 텔레매틱스 센터는 동일 관리주체 하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터미널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해독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시건장치 및 경계경보 해제를 포함하여 시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이씨유(Telematics ECU);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의 시건장치 및 경계경보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경보해제 및 시건장치 해제를 수행하는 에탁스(ETACS/BCM :Electronic Time & Alarm Control System ; Body Control Module);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의 시동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시동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엔진 제어장치(EMS ECU); 및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의 시동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이그니션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이그니션 릴레이 및 크랭킹 릴레이로 구성된 릴레이 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엔진 제어장치는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텔레매틱스 이씨유는 차량의 시동제어를 위해 전자엔진 제어장치의 암호화된 보안 코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KR1020040081806A 2004-10-13 2004-10-13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KR10064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806A KR100640547B1 (ko) 2004-10-13 2004-10-13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806A KR100640547B1 (ko) 2004-10-13 2004-10-13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824A true KR20060032824A (ko) 2006-04-18
KR100640547B1 KR100640547B1 (ko) 2006-11-02

Family

ID=3714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806A KR100640547B1 (ko) 2004-10-13 2004-10-13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5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33B1 (ko) * 2007-05-15 2008-02-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 고유 번호를 이용한 차량 시동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879888B1 (ko) * 2006-06-21 2009-0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씨유를 이용한 차량 아이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014915B2 (en) 2006-06-21 2011-09-06 Sungkyunkwan University Foundation For Corporate Collaboration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CU
WO2016053839A1 (en) * 2014-09-29 2016-04-07 Laird Technologies, Inc. Starter overrides for telematics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841B1 (ko) 2004-12-20 201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림프홈 동작 유지 시스템 및 그 유지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88B1 (ko) * 2006-06-21 2009-0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씨유를 이용한 차량 아이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014915B2 (en) 2006-06-21 2011-09-06 Sungkyunkwan University Foundation For Corporate Collaboration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CU
KR100808233B1 (ko) * 2007-05-15 2008-02-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 고유 번호를 이용한 차량 시동 감시 시스템 및 방법
WO2016053839A1 (en) * 2014-09-29 2016-04-07 Laird Technologies, Inc. Starter overrides for telematics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07107867A (zh) * 2014-09-29 2017-08-29 莱尔德无线技术(上海)有限公司 针对远程信息处理装置的起动器超驰和对应的方法
US9880186B2 (en) 2014-09-29 2018-01-30 Laird Technologies, Inc. Telematic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 speeding detection
US9934622B2 (en) 2014-09-29 2018-04-03 Laird Technologies, Inc. Telematic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 ignition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547B1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107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mote control of vehicle devices and vehicle lock-out notification
US10569739B2 (en) Virtual keyfob for vehicle sharing
US10654447B2 (en) Vehicle sharing accessory module and system
US7146129B2 (en) Remote control of functions via wireless transmission of text-based messages
US9561779B2 (en) Star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30147616A1 (en) Entryway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8351917B2 (en) Method of activating a device
CA2456649C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ular device using a cellular telephone unit
US8731741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service using a vehicle keyfob
CN104890623A (zh) 车载智能终端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20160012728A1 (en) Wireless Locating and Monitoring System
CN106686022A (zh) 用于车辆的控制方法及装置
US200901907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telematics services
US20180334138A1 (en) Anticipatory vehicle state management
US20120028580A1 (en) Aftermarket telematics unit for use with a vehicle
ES2279121T3 (es) Control remoto de una funcion de un vehiculo a traves de una red de radio movil.
CN110027507B (zh) 一种共享汽车的多维度车锁状态切换方法及系统
EP3140825A1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vehicular number plate recognition
KR100640547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
CN112005537B (zh) 为移动无线电设备授权的方法,通讯模块,车辆及系统
CN109495894B (zh) 一种伪基站的防范方法及系统
KR101518853B1 (ko) M2m 기반의 자동차 제어장치 및 방법
CN108248547B (zh) 车辆防盗方法、平台及系统
JP4205873B2 (ja) 通信モジュール
KR102076072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무선 시동 시스템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