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794A -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794A
KR20060032794A KR1020040081762A KR20040081762A KR20060032794A KR 20060032794 A KR20060032794 A KR 20060032794A KR 1020040081762 A KR1020040081762 A KR 1020040081762A KR 20040081762 A KR20040081762 A KR 20040081762A KR 20060032794 A KR20060032794 A KR 20060032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tenna
conductive
conductiv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호경
Original Assignee
유티스타콤코리아테크놀로지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스타콤코리아테크놀로지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유티스타콤코리아테크놀로지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2794A/ko
Publication of KR2006003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감겨진 도전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헬리컬 안테나, 및 상기 본체의 중공을 관통하며 도전체로 구성된 도전 봉과 상기 도전체 봉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된 손잡이 및 상기 도전 봉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봉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도전 봉이 상기 중공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휩 안테나를 구비한다. 따라서, 인테나는 외부 물체에 의해 손상을 받거나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Internal Antenna installed inside mobile phon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테나의 휩 안테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테나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테나의 도전 봉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이동통신 단말기, 211; 인테나
213; 도전 부재, 215; 절연 부재
217; 헬리컬 안테나, 219; 휩 안테나
231; 신호 처리부, 241; 유선
251; 고정 수단, 411; 나사부
421; 하부 중공 431; 도전 봉
441; 손잡이, 451; 스토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테나(Intenna; Internal Antenna)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안테나가 장착되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111)가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장착된 안테나(1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가방에 넣거나 사용자의 주머니에 넣고 다닐 때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주머니나 가방에 넣게 될 경우에는 외부로 튀어나온 안테나(111)로 인하여 다른 물체들이 손상을 받을 수도 있고, 반대로, 튀어나온 안테나(111) 자체가 다른 물체에 의해 손상을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줄이고, 인접한 물체와 안테나 자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 감겨진 도전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헬리컬 안테나; 및 상기 본체의 중공을 관통하며 도전체로 구성된 도전 봉과, 상기 도전체 봉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된 손잡이, 및 상기 도전 봉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봉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도전 봉이 상기 중공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휩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본체는 상기 도전선들이 외부에 감겨진 절연 부재, 및 상기 절연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도전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도전 부재의 외측 일부가 나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본체의 나사 부분과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스토퍼는 도전체이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휩 안테나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전 부재와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테나(211)는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내부에 장착된다.
인테나(211)는 본체(213,215)와 휩 안테나(Whip Antenna)(219)를 구비한다.
본체(213,215)는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고정 수단(251)에 체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1)에 고정된다.
본체(213,215)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도전 부재(213)와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 부재(215)로 구성되며, 도전 부재(213)와 절연 부재(215)는 접착 물질에 의해 상호간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절연 부재(215)의 외부에 도전선이 감겨져서 헬리컬 안테나(Helical Antenna)(217)를 구성하며, 헬리컬 안테나(217)는 도전 부재(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전 부재(213)는 유선(241)을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내부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31)에 연결된다.
휩 안테나(Whip Antenna)(219)가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는 휩 안테나(219)는 도전 부재(213)와 전기적으로 끊어진다. 이 경우에, 신호 처리부(231)로부터 전송된 전파는 헬리컬 안테나(217)를 통해서 공중으로 발사되며, 공중으로부터 수신된 전파는 헬리컬 안테나(217)를 통해서 신호 처리부(231)로 전달된다.
신호 처리부(231)는 인테나(211)로부터 입력되는 전파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타인의 음성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전파로 변환하여 인테나(211)를 통해서 공중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인테나(211)는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크기가 작아지며, 외형도 아름답게 디지인할 수가 있다. 또한, 인테나(211)는 본체(213,215)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물체와 접촉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다른 물체를 손상시키거나 반대로 다른 물체에 의해 전혀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테나(211)의 휩 안테나(219)가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휩 안테나(219)가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외부로 인출되면, 휩 안테나(219)는 도전 부재(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휩 안테나(219)를 통해서도 전파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 처리부(231)는 휩 안테나(219)와 헬리컬 안테나(217)를 통해서 전파를 송수신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전파 수신이 미약하여 통화가 잘 되지 않는 장소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휩 안테나(219)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송수신 전파량이 증가하여 사용자는 원활한 통화를 수행할 수가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테나(211)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전 부재(213)의 외측 일부는 나사(411)로 구성되어 있다. 도전 부재(213)를 고정 수단(도 2의 251)과 체결하기 위하여 고정 수단(도 2의 251)의 일부도 나사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전 부재(213)와 고정 수단(도 2의 251)이 원활하게 체결될 수가 있으며, 또한, 탈착도 용이하다.
따라서, 인테나(211)를 별도로 제작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1)에 조립할 때 매우 쉽게 조립할 수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전 부재(213)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 중에서 하부에 형성된 중공(421)은 상부에 형성된 중공(423)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휩 안테나(219)는 손잡이(441)와 도전 봉(431)과 스토퍼(451)로 구성된다.
손잡이(441)는 사용자가 도전 봉(431)을 외부로 인출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체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전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전 봉(431)의 내부는 도전체(433)로 구성되며, 도전봉(431)의 외부는 절연물질(435)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나(211)가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전 봉(431)이 도전 부재(213)와 접촉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전 봉(431)과 도전 부재(213)는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스토퍼(451)는 도전체로 구성되어 도전 봉(431)의 내부 도전체(433)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이며, 도전 봉(431)보다 굵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전 봉(431)이 외부로 인출될 때 스토퍼(451)가 도전 부재(213)의 하부에 형성된 중공(421)에 꽉 끼어서 서로 밀착됨에 따라 도전 봉(431)은 본체(213,215)를 벗어나지 않게 되며, 또한, 도전 봉(431)은 도전 부재(213)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테나(211)의 도전 봉(431)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봉(431)이 외부로 인출될 경우에는 스토퍼(451)가 도전 부재(213)의 하부에 형성된 중공(421)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휩 안테나(219)는 도전 부재(213)를 통해서 신호 처리부(도 2의 2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신호 처리부(도 2의 231)는 헬리컬 안테나(217)와 휩 안테나(219)를 통해서 전파를 공중으로 송신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전달되는 전파를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전파가 미약한 장소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201)을 통하여 원활한 통화를 수행할 수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인테나(211)를 이동통신 단말기(201)에 장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크기가 작아지고, 인테나(211)는 외부 물체를 손상하거나 외부 물체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 감겨진 도전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헬리컬 안테나; 및
    상기 본체의 중공을 관통하며 도전체로 구성된 도전 봉과, 상기 도전체 봉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된 손잡이, 및 상기 도전 봉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봉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도전 봉이 상기 중공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휩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도전선들이 외부에 감겨진 절연 부재; 및
    상기 절연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도전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외측 일부가 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나사와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도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휩 안테나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전 부재와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KR1020040081762A 2004-10-13 2004-10-13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KR20060032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762A KR20060032794A (ko) 2004-10-13 2004-10-13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762A KR20060032794A (ko) 2004-10-13 2004-10-13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794A true KR20060032794A (ko) 2006-04-18

Family

ID=3714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762A KR20060032794A (ko) 2004-10-13 2004-10-13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27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735B1 (ko) * 2006-08-03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내 · 외장 겸용 안테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310A (ja) * 1998-02-26 1999-09-07 Tokin Corp 伸縮式ホイップアンテナ
KR20030034826A (ko) * 2001-10-27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30039609A (ko) * 2001-11-13 200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50117749A (ko) * 2004-06-11 2005-12-15 주식회사 팬택 수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헬리컬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310A (ja) * 1998-02-26 1999-09-07 Tokin Corp 伸縮式ホイップアンテナ
KR20030034826A (ko) * 2001-10-27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30039609A (ko) * 2001-11-13 200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50117749A (ko) * 2004-06-11 2005-12-15 주식회사 팬택 수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헬리컬 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735B1 (ko) * 2006-08-03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내 · 외장 겸용 안테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4762B2 (ja) アンテナと無線機
ES2635417T3 (es) Conjunto de comunicación montable en casco con lengüeta alargada
US20120056789A1 (en) Antenna booster case for enhancing transmission/reception sensibility of mobile device
JP2003188757A (ja) アンテナの角度を調節できる携帯電話
US2011015182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KR2006003279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인테나
JP3826370B2 (ja) 携帯通信端末用のアンテナエレメント
JPH10233608A (ja) 携帯無線機およびアンテナ装置
JP2646505B2 (ja) アンテナ
JP2000332517A (ja) 接続アンテナを備えた電話
KR200461107Y1 (ko) 이어폰 보호캡
KR200311811Y1 (ko) 케이블 접속장치
KR10034256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3989453B2 (ja) 中間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592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장치
KR200326470Y1 (ko) 안테나겸용 스트랩
JP2501413B2 (ja) アンテナと無線機
KR200176271Y1 (ko) 휴대폰에서의 휴대용 손잡이끈 겸용 안테나
KR100678284B1 (ko) 휴대폰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안테나 장치
JPS60249403A (ja) 移動局用ダイバ−シチアンテナ装置
KR20010104073A (ko) 플레이너 인버터 에프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 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KR980009914U (ko) 안테나겸용 스트랩
KR100786459B1 (ko) 방송수신용 안테나의 길이 연장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JP4529497B2 (ja) アンテナ
KR20050066262A (ko)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