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949A -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949A
KR20060031949A KR1020040080939A KR20040080939A KR20060031949A KR 20060031949 A KR20060031949 A KR 20060031949A KR 1020040080939 A KR1020040080939 A KR 1020040080939A KR 20040080939 A KR20040080939 A KR 20040080939A KR 20060031949 A KR20060031949 A KR 2006003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information
client
softwar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동
Original Assignee
(주)유림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림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유림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4008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949A/ko
Publication of KR2006003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 G06F21/568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eliminating virus, restoring damaged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Abstract

본 발명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장애가 발생되면 이를 클라이언트가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접속하여 신고하거나, 관리서버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접근하여 진단, 치료하는 등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인터페이스 모듈; 하드웨어 관리모듈; 소프트웨어 관리모듈; 파일 관리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장애 사항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접수, 검색되며,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또는 작업이 즉시로 제시되어 동작됨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 해결을 위해 과다한 인력을 보유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신속한 장애 해결로 인해 클라이언트 단말기 사용자의 업무 가용성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사용하기 어려워 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원격으로 적한한 설정, 자료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 대상을 확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Remote Cli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개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장애 내역을 입력받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장애조치 현황을 나타내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장애 내역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세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필요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바이러스 등을 검색하고 치료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 : 네트워크
100 : 관리서버 110 : 인터페이스 모듈
120 : 개인 관리모듈 130 : 장애 접수모듈
140 : 하드웨어 관리모듈 150 : 소프트웨어 관리모듈
160 : 파일 관리모듈 170 : 제어부
200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장애가 발생되면 이를 클라이언트가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접속하여 신고하거나, 관리서버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접근하여 진단, 치료하는 등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각 개인이 갖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 등에 이상이 생기면 구입 업체, 대리점, AS 센터 등에 수리를 의뢰하여, 상호 방문에 의하여 수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각 개인은 장애 발생시에 이를 수리하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신속한 업무 진행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단말기에 대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발전이 급속화 됨에 따라, 이에 대해 실시간으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어, 잦은 장애가 발생하며, 이 역시 업무 진행을 더디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었다.
특히 보험설계사들의 견적 업무 등에 사용되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클라이 언트 단말기가 업무에 직접 사용되고, 이를 통해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소한 단말기의 장애에 의해서도 큰 업무상의 손실을 보게 되므로, 단말기의 장애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장애를 원격으로 검색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장애를 접수 받고, 이를 오프라인 상의 방문 AS와 연결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하드웨어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관리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 제거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관리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파일 정보를 수신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소정의 파일을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모듈; 및 상기 관리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정보, 상기 하드웨어 정보,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 상기 파일 정보를 클라이언트 별로 관리하기 위한 개인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일 관리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내의 바이러스 프로그램 또는 악성코드 프로그램을 검색하거나, 삭제하거나, 손상된 파일 또는 데이터를 복원하는 백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 관리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위해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검색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은 상기 하드웨어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공급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장애 사항을 수신할 수 있는 장애 접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원격 관리시스템의 관리서버 (1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 통신망(2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개인용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POS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망(20)은 유선,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관리서버(100)는 인터페이스 모듈(110), 개인 관리모듈(120), 장애 접수모듈(130), 하드웨어 관리모듈(140),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50), 파일 관리모듈(160), 제어부(170)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00)와도 연결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무선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데이터 통신은 물론, 데이터 압축 및 데이터 암, 복호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개인 관리모듈(12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각각 구별되어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서버(100)가 각 클라이언트 별로 구분하여 이에 적합한 파일 등을 전송하거나, 그 내역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개인 관리모듈(120)은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고유 내역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정보 등록부(122)와 그 후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고유 내역에 재차 접근할 수 있도록 개인을 확인하는 개인정보 인증부(124)를 포함한다. 개인정보 등록부(1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면 이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고, 개인정보 인증부(124)는 각 사용자에 대해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의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한다.
개인 관리모듈(12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모든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 말기(10)의 사용자 별로 관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의 또는 장애복구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10)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신속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인 관리모듈(120)은 사용자별 관리는 물론,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따른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속한 그룹 또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파일 관리모듈(160) 또는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40)에서 전송하는 파일 또는 소프트웨어를 차등적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장애 접수모듈(130)은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사용자로부터 직접 관리서버(100)로 소정의 정보와 장애 내역을 입력받는 모듈이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에 발생한 장애 현상, 원인 및 소정의 개인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장애 접수모듈(130)에서 수신된 정보는 관리자에게 보내지게 되며, 관리자는 이 정보를 전국 각지의 AS센터에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하드웨어 관리모듈(14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하드웨어 정보 및 설정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드웨어 관리모듈(140)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운영체계, 파일 또는 디렉토리 구조, 디스플레이 설정, 시스템 파일 구조, 배터리 용량, 프로세서 타입, 하드웨어 모델명, 관리시스템 접속 방법, 메모리 사용량 및 메모리 잔여량 정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5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원격으로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설치, 제거, 또는 업그레이드하는 등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상의 소프트 웨어를 유지,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50)은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배포하여 원격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소프트웨어를 설치, 제거 또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한다.
파일 관리모듈(16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다양한 형태의 파일들을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저장된 해당 파일을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일 관리모듈(16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별 또는 그룹별로 파일을 분류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자동으로 전송할 뿐 아니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파일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파일로 갱신하도록 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백신모듈(162)을 포함하고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0) 내에 포함된 바이러스 프로그램이나 악성 코드를 검색하고, 삭제, 치료하는 관리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관리서버(10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다. 관리서버(100)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접속되기 이전에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구별하여, 인증하는 과정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사용자의 요청 또는 관리시스템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관리서버(100)는 접속되고(S1),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대한 개인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관리서버(100)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구분, 인식하여(S2) 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
판단결과 정당한 클라이언트로 인정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사용자로부터 장애사항과 그에 따른 요청 내역을 입력받아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관리서버(100)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접근하여 장애 사항을 검색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애 사항에 대해 원격으로 치유, 관리가 가능한 경우(S4)에는 일정한 파일, 소프트웨어를 설치, 제거, 또는 업데이트 하는 등의 방법으로 장애사항을 원격 해결(S5)하게 된다. 만약에 직접 AS를 위한 기술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접근하여 물리적인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그 정보를 관리자에게 보내거나, 해당 AS센터로 전송하게 된다(S8). 장애사항이 해결되면, 그 내역을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10) 별로 관리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도록 한다(S7).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관리서버(10)가 어떤 기능을 하며, 어떤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관리하고, 그 내역을 저장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개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 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다.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인증이 확인되면, 관리서버(100)는 어떠한 고유 정보를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인지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장애 내역을 입력받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구분하기 위한 장비번호, 장애분류, 신청자 이름, 부서, 연락처, 장애 내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정보가 관리서버(100)를 통해 제어부(170)에서 판단되어, 관리서버(100)가 직접 원격으로 장애를 해결하는 동작을 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관리자 또는 해당 AS센터로 정보가 전달되어 오프라인으로 직접 장애가 해결되도록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장애조치 현황을 나타내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애 내역과 진행 상황이 정리되어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장애 내역을 화면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의 진행상황 및 필요한 안내 사항을 전달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장애 내역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장애 내역 등의 정보와 함께,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그 이전에 발생했던 장애 이력에 대해서 시간 순서 대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면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공개할 수도 있고, 관리서버(100)의 관리자 단말기(미도시)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장애 이력에 대한 화면에는 언제, 어떤 장애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해 어떠한 조치가 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에 이르렀는지를 표시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 별로 과거의 장애 이력과 조치 내역이 표시됨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보다 적합한 해결 방안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들을 관리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 별로 단말기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관리자가 선정하면, 관리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입력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정보를 상세하게 표시하게 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정보는, OS 종류, CPU 사양, RAM 사양, 모니터 사양, 프린터 사양 등 전반적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정보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상품명, 모델명 등을 표시한다. 몇몇 내역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상세내역을 제공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세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부품 예컨대, CPU의 사양, 제조회사, 레벨, 동작상황 등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하드디스크의 사양, 제조회사, 모델명, 사용상태, 속도 등을 표시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관리서버(100)의 제어부(170)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보다 적합한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게 되며, 보다 신속하게 장애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필요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00)는 인식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파일 상태 에 따라 적합한 해결 방법을 제시하여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현재 설치된 소프트웨어보다 더 하드웨어와 연동이 잘되고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제공하거나, 적합한 하드웨어를 설치하도록 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바이러스 등을 검색하고 치료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백신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전송된 백신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바이러스 파일 또는 악성 코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바이러스 파일 정보나 업데이트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전송하고, 업데이트된 백신 프로그램을 전송하기도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 내에서 발견된 바이러스 파일 등의 내역을 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장애 내역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서 발생되는 장애 내역을 분류하고, 장애 내역에 대한 통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차후 장애 내역에 대한 적당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장애 사항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접수, 검색되며,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또는 작업이 즉시로 제시되어 동작됨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 해결을 위해 과다한 인력을 보유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신속한 장애 해결로 인해 클라이언트 단말기 사용자의 업무 가용성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사용하기 어려워 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원격으로 적한한 설정, 자료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 대상을 확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장애를 원스톱으로 복구할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해결이 안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해당 지역의 AS 기술자에게 통보하도록 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이용한 확실한 장애 해결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하드웨어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관리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 제거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관리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소정의 파일을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모듈; 및
    상기 관리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정보, 상기 하드웨어 정보,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 상기 파일 정보를 클라이언트 별로 관리하기 위한 개인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내의 바이러스 프로그램 또는 악성코드 프로그램을 검색하거나, 삭제하거나, 손상된 파일 또는 데이터를 복원하는 백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관리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위해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검색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은 상기 하드웨어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장애 사항을 수신할 수 있는 장애 접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KR1020040080939A 2004-10-11 2004-10-11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KR20060031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939A KR20060031949A (ko) 2004-10-11 2004-10-11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939A KR20060031949A (ko) 2004-10-11 2004-10-11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949A true KR20060031949A (ko) 2006-04-14

Family

ID=3714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939A KR20060031949A (ko) 2004-10-11 2004-10-11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9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51B1 (ko) * 2006-12-04 2008-10-06 최백순 다중 피씨사용시설에서의 다중 피씨의 관리시스템
KR101486575B1 (ko) * 2007-12-07 2015-02-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능형 순번 발급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099553B1 (ko) * 2020-03-04 2020-04-09 최창열 자체 관리 기반의 무인포스단말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8987B1 (ko) * 2019-12-18 2020-12-09 (주)비앤에스컴 서버 관리 장치를 구비한 클라우드 서버 및 로컬 서버를 이용하는 제로클라이언트 단말기용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619312B1 (ko) * 2022-12-26 2023-12-29 ㈜제이티시스템 맞춤형 도급계약 기반의 토탈 it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51B1 (ko) * 2006-12-04 2008-10-06 최백순 다중 피씨사용시설에서의 다중 피씨의 관리시스템
KR101486575B1 (ko) * 2007-12-07 2015-02-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능형 순번 발급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88987B1 (ko) * 2019-12-18 2020-12-09 (주)비앤에스컴 서버 관리 장치를 구비한 클라우드 서버 및 로컬 서버를 이용하는 제로클라이언트 단말기용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99553B1 (ko) * 2020-03-04 2020-04-09 최창열 자체 관리 기반의 무인포스단말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9312B1 (ko) * 2022-12-26 2023-12-29 ㈜제이티시스템 맞춤형 도급계약 기반의 토탈 it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9775B2 (ja)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基づく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装置、ノード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607140B2 (en) Device management system
CN101410800B (zh) 用于软件发布服务的系统和方法
US7979515B2 (en)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a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a distribution management server
US7822851B2 (en) Remote user computer control and monitoring
US8548916B2 (en) Managing passwords used when detecting information on configuration items disposed on a network
US200701067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assign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973255A (zh) 管理和传递软件更新的系统和方法
US20120110058A1 (en)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computer system
US20230195868A1 (en) System for face authentication and method for face authentication
JP2017129935A (ja) サーバ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27276A1 (en) Devic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for device managemen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60335421A1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License Management Through NFC
US202102556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323909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6040196A (ja) ソフトウェア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JP5254755B2 (ja) 特権id管理システム
KR20060031949A (ko) 원격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시스템
JP5645891B2 (ja) ソフトウェア提供システム、ポータルサーバ、提供サーバ、認証方法、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88233A (ja) 顧客支援方法および顧客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記憶サブシステムおよび運用支援システム
WO2015167152A1 (ko) 패스워드 관리 장치
JP2004310166A (ja) 情報処理装置管理システム
KR20140043628A (ko) 보안 로그인 처리 방법
JP2002300736A (ja)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とこの装置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15589337B (zh) 网络连接方法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