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512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512A
KR20060031512A KR1020040080569A KR20040080569A KR20060031512A KR 20060031512 A KR20060031512 A KR 20060031512A KR 1020040080569 A KR1020040080569 A KR 1020040080569A KR 20040080569 A KR20040080569 A KR 20040080569A KR 20060031512 A KR20060031512 A KR 2006003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sign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512A/ko
Publication of KR2006003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와 같은 단말기 전원부와 단말기 모뎀 사이에 부팅블록과 전원분배블록 만을 위치시켜 부팅 후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배터리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접점의 순간적인 유격이나 전기적 충격 발생등에 의해 전원이 오프된 경우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어 필요한 전화나 메세지등을 받을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단말기에 배터리를 자주 착탈하는 경우나, 사용 기간이 긴 경우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 사이의 연결부가 마모되어 접점부 유격이 자주 발생하기 쉬우므로 단말기 전원이 예고치 않게 오프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해 순간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부팅을 재 실시할 수 있도록 단말기 전원 관리 장치에 스위치소자 및 스위치소자 제어부를 더 부가하고 적정한 제어 신호를 단말기 모뎀이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예고치 않은 전원 오프가 발생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재부팅이 실시되도록 하여 전화 혹은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POWER MANAG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 단말기 모뎀 20: 부팅블록
30: 전원분배블록 40: 단말기 전원부
50: 전원 버튼 60: 스위치소자
70: 스위치소자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예상치 못하게 오프되는 경우 전원의 잔량이 충분하다면 자동적으로 재부팅을 실시하여 항상 이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속한 확산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늘어나 고 있으며, 이러한 여러 사용자들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선이 지속되어 왔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관련 기능, 여러 종류의 통신 기능, 다양한 생활 편의 기능들이 부가되어 있어, 단순한 음성 통화만을 위한 고전적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 더 많은 회로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로인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시간을 연장하고자 배터리 기술 역시 많은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배터리의 용량이나 충전 방식등의 개선과는 별도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 사이의 연결 부분에 대한 보강이나 배터리 외부에 노출된 충전 단자들의 보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여 예상치 못한 전원 변동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배터리를 자주 착탈하거나, 배터리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전원 연결 단자들의 노출이 잦아지면서 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연결 단자가 순간적으로 유격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연결부 마모등에 의해 배터리와 이동통신 단말기 연결이 헐거워지는 경우나, 단자들의 표면이 오염되어 접촉 저항이 커지는 경우등이 발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순간적으로 차단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고치 않은 전원 차단으로 인해 사용자는 중요한 전화나 메세지 등을 제때에 수신하지 못할 수 있어 단말기의 신뢰성이 낮아지며 불편함도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모뎀(제어부)(3)과 단말기 전원부(배터리)(4) 사이에 위치하여 부팅 신호를 제공하고 부팅 이후 홀드 신호에 의해 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부팅블록(1)과, 상기 부팅블록(1)의 동작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블록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분배 블록(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 전원부(4)는 전원을 전원분배블록(2)에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각 블록에 제공할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분배블록(2)은 부팅블록(1)의 상태와 단말기 모뎀(3)에서 제공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루는 각 기능 블록들에 전원을 제공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4)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면, 해당 전원이 전원버튼에 의해 차단되어 부팅블록(1)에 전달되지 않아 단말기 모뎀(3)은 부팅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전원버튼을 소정 시간 이상 누르면 부팅블록(1)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전원분배블록(30)을 통해 전원이 단말기 모뎀(3)에 제공되고, 부팅블록(1)에서 단말기 모뎀(3)에 부팅을 요구하는 신호를 제공하며, 이때야 비로서 상기 단말기 모뎀(3)은 부팅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 모뎀(3)의 부팅이 시작되면, 단말기 모뎀(3)은 상기 부팅블록(1)에 홀드 신호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계속 유지시켜 정상적인 동작 중임을 알려주게 된다. 이후, 단말기 모뎀(3)이 전원분배블록(2)에 제공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단말기의 각종 기능 블록들에 전원이 인가된된다.
이 경우, 배터리와 단말기 단자간의 순간적인 유격, 배터리 외부 충전 단자들 간의 쇼트나 전기적 충격등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순간적으로 리셋되는 경우가 발생되면 홀드 신호 역시 리셋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중단되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오프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순간적인 전원 충격에 의해 홀드 신호가 유지되는 경우라면 자동적으로 재부팅이 실시될 수 있으나, 재부팅 여부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항상 동작할 것이라는 확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 두었는데 충격등에 의해 전원이 오프된 상태가 되어 필요한 전화나 메세지를 제때 확인할 수 없게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와 같은 단말기 전원부와 단말기 모뎀 사이에 부팅블록과 전원분배블록 만을 위치시켜 부팅 후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배터리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접점의 순간적인 유격이나 전기적 충격 발생등에 의해 전원이 오프된 경우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어 필요한 전화나 메세지등을 받을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단말기에 배터리를 자주 착탈하는 경우나, 사용 기간이 긴 경우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 사이의 연결부가 마모되어 접점부 유격이 자주 발생하기 쉬우므로 단말기 전원이 예고치 않게 오프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해 순간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부팅을 재 실시할 수 있도록 단말기 전원 관리 장치에 스위치소자 및 스위치소자 제어부를 더 부가하여 예고치 않은 전원 오프를 방지하는 것으로 전화 혹은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전원부와 전원버튼을 통해 연결되는 부팅블록 및 단말기 전원부와 직접 연결되는 전원 분배블록을 구비한 전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단말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부팅 블록에 동작 신호로서 제공하는 스위치소자와; 복수의 외부 신호로 부터 정상적인 전원 종료와 비정상적인 전원 종료를 구별하여 비정상적인 전원 종료인 경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소자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소자 제어부와; 정상적인 부팅시 상기 부팅블록에 홀드 신호를 제공 및 유지하고, 상기 스위치소자 제어부에 정상적인 전원 종료를 알리기위한 신호와 비정상적인 전원 종료를 구별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전원부(40)와 단말기 모뎀(10) 사이에 부팅블록(20)과 전원분배블록(30)이 위치하고, 전원 버튼(50)을 통해 상기 부팅블록(2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 록 하여 정상적인 전원종료 동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전원 관리 장치에 단말기 모뎀(1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신호들(S1, S2)에 의해 비정상적인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스위치소자 제어부(70)와 상기 스위치소자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의해 단말기 전원부(40)의 전원을 상기 부팅블록(20)에 제공하여 전원 버튼(50)이 눌러진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스위치소자(60)가 더 부가되어 구성된다.
도시된 신호선(S4, S5)들은 스위치소자 제어부(70)와 스위치소자(60)에 단말기 전원부(40)가 제공하는 전원을 항시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스위치소자(60)와 부팅블록(20)을 연결하는 선로(S3)는 비정상적인 전원 오프시 이를 감지하여 재부팅을 실시하기 위해 전원 버튼(50)이 눌러진것 처럼 부팅블록(20)에 전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로이다.
초기 상태에서 단말기 전원부(40)가 단말기에 장착되면, 단말기 전원부(40)와 직접 연결된 전원분배블록(3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모뎀(10)에 전원이 인가된다. 하지만, 이 경우 부팅블록(20)에서 부팅요구 신호(S7)가 제공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 모뎀(10)은 부팅을 실시하지 않고, 그에 따라 인에이블 신호가 전원분배블록(30)에 제공되지 않으므로 단말기 기능 블록들에는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다.
만일, 사용자가 전원 버튼(50)을 누를 경우, 단말기 전원부(40)의 전압이 부팅블록(20)에 제공되고, 이를 통해 상기 부팅블록(20)은 단말기 모뎀(10)에 부팅요구 신호(S7)를 제공하여 단말기 모뎀(10)이 부팅되도록 한다. 상기 단말기 모뎀(10)은 부팅되면서 부팅블록(20)에 홀드신호를 제공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며, 전원 분배블록(30)에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여 단말기의 기능 블록들에도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단말기 모뎀(10)은 정상적인 단말기 전원 오프임을 상기 스위치소자 제어부(70)에 알려주기 위한 신호선로(S1)를 통해 정상동작중(전원 온 상태)임을 의미하는 논리0을 제공하고, 비정상적인 전원 오프임을 알려주기위한 신호선로(S2)를 통해 정상동작중임을 의미하는 논리1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전원 버튼(50) 누름으나 배터리 잔량 부족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전원 오프가 요구되는 상황이 되면, 단말기 모뎀(10)은 정상적인 단말기 전원 오프임을 상기 스위치소자 제어부(70)에 알려주기 위한 신호선로(S1)에 논리 1을 제공한다. 이 경우, 스위소자 제어부(70)는 비정상적인 전원 오프임을 알려주기위한 신호선로(S2)의 값에 상관 없이 스위치 소자(6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비록 단말기 모뎀(10)이 전원 오프에 의해 슬립모드나 서스팬드모드로 진입한다 할지라도 특정 포트를 원하는 값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 플립플롭과 같은 수단을 더 부가하는 경우 정상적인 전원 오프시 S1의 값을 항상 논리 1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소자 제어부(70)가 정상적인 전원 오프시에도 동작하지는 않는다.
만일,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전원 오프가 지시되지 않았는데도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라면, 전원 오프에 의해 단말기 모뎀(10)이 리셋되면서 홀드 신호와 인에이블 신호가 제공되지 않아 전원이 오프되는 상황이 되는데, 이때 스위치소자 제어부(70)에 제공되는 신호들은 S1 선로와 S2 선로 모두 논리 0이 된다. 필요시 상기 선호들은 풀다운 저항을 통해 접지와 연결되어 단말기 모뎀(10)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에 접지 전위를 유지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소자 제어부(70)는 제공되는 신호들이 모두 0이 되면 비정상적인 전원오프로 간주하여 스위치소자(60)를 동작시켜 부팅블록(20)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전원 버튼(50)이 눌려진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제공되어 순간적인 리셋이 발생하더라도 스위치소자 제어부(70)의 판단에 의해 재 부팅이 실시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원 오프상태가 되어 중요한 전화나 메세지를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해 순간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부팅을 재 실시할 수 있도록 단말기 전원 관리 장치에 스위치소자 및 스위치소자 제어부를 더 부가하고 적정한 제어 신호를 단말기 모뎀이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예고치 않은 전원 오프가 발생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재부팅이 실시되도록 하여 전화 혹은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말기 전원부와 전원버튼을 통해 연결되는 부팅블록 및 단말기 전원부와 직접 연결되는 전원 분배블록을 구비한 전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단말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부팅 블록에 동작 신호로서 제공하는 스위치소자와;
    복수의 외부 신호로 부터 정상적인 전원 종료와 비정상적인 전원 종료를 구별하여 비정상적인 전원 종료인 경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소자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소자 제어부와;
    정상적인 부팅시 상기 부팅블록에 홀드 신호를 제공 및 유지하고, 상기 스위치소자 제어부에 정상적인 전원 종료를 알리기위한 신호와 비정상적인 전원 종료를 구별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뎀이 상기 스위치소자 제어부에 제공하는 신호들은 정상적인 전원 종료시 논리 1을 제공하는 제 1신호와, 정상적인 동작시 논리 1을 제공하는 제 2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소자는 제 1신호가 논리 1인 경우 동작 정지되고, 비정상적인 전원 오프에 의해 제 1신호와 제 2신호가 모두 논리 0이 되는 경우 동작하여 부팅블록에 전원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KR1020040080569A 2004-10-08 2004-10-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KR20060031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69A KR20060031512A (ko) 2004-10-08 2004-10-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69A KR20060031512A (ko) 2004-10-08 2004-10-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12A true KR20060031512A (ko) 2006-04-12

Family

ID=3714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69A KR20060031512A (ko) 2004-10-08 2004-10-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5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4366A (zh) * 2018-06-29 2018-12-1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终端的监控处理方法、装置及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4366A (zh) * 2018-06-29 2018-12-1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终端的监控处理方法、装置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0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US200301092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failure recover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30069618A1 (en) Momentarily enabled electronic device
EP2378621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in a bidet
EP288461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battery thereof
JP2003101624A (ja) 携帯端末
US20170045926A1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hibernate mode
KR2006003151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CN110928392A (zh) 供电控制装置和电子设备
KR100377201B1 (ko) 백-업밧데리를내장한이동통신단말기및그의전원제어방법
CN112600283B (zh) 一种开关机电路
US6144569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from a power supply interruption
US5842121A (en) Power supply unit with switch-on/off facility for powering radio equipment
CN110764398B (zh) 一种智能手表及其模式切换方法
KR20060082912A (ko) 절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078503B1 (ko) 무선 모뎀
JPH05115128A (ja) 携帯用電子機器の電源回路
JP7263186B2 (ja) 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制御方法
KR100591825B1 (ko) 전원 오프 처리시 충전에 따른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JPH10145527A (ja) 携帯電話機のバックアップ電源回路
KR100379616B1 (ko) 무선 전화기의 백업 배터리 전원 회로
EP1406324B1 (en) Portable electronic system equipped with a spare battery device
KR100687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오프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091222B1 (ko) 백업 배터리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
JP2754106B2 (ja) 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