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467A -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467A
KR20060031467A KR1020040080513A KR20040080513A KR20060031467A KR 20060031467 A KR20060031467 A KR 20060031467A KR 1020040080513 A KR1020040080513 A KR 1020040080513A KR 20040080513 A KR20040080513 A KR 20040080513A KR 20060031467 A KR20060031467 A KR 20060031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pipe
synthetic resin
yellow
displa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143B1 (ko
Inventor
조복현
Original Assignee
국제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14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이나 이중벽 또는 복층벽 하수관의 관로 내경을 촬영함에 있어서 관로의 내경에 있는 결함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합성수지관을 성형함에 있어서 관로의 내경에 노랑색의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관로의 내경에서 촬영장치를 이용하거나 외부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로의 결함 부분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로의 내경에 노랑색의 표시부재를 코팅시켜 관로의 내경을 평활하게 형성하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중공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과 그 사각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성형되는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가 중앙에 위치하며 그 양측으로 사각 프로파일이 위치하는 얇은 띠 형상의 표시부재가 내경에 노랑색으로 일체형이 되게 코팅되도록 하여 지상에서 전자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수관, 압출관, CCTV, 로봇

Description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Interior photographing is possible plastic pipe and the manufacture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압출관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압출관에 대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압출관에 대한 주요부분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을 이중벽 하수관에 적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복층벽 하수관에 대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하수관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출관 11 : 외경부재
12, 23 : 코어부재 13 : 내경부재
14 : 표시부재 15, 24 : 내경
20 : 이중벽 하수관 21 : 사각 프로파일
22 : 이음부재 30 : 복층벽 하수관
31, 41 : 프로파일 32, 42 : 보강대
본 발명은 수도관이나 이중벽 또는 복층벽 하수관의 관로 내경을 촬영함에 있어서 관로의 내경에 있는 결함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합성수지관을 성형함에 있어서 관로의 내경에 노랑색의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관로의 내경에서 촬영장치를 이용하거나 외부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로의 결함 부분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부 발표에 의하면, 하수관 1km당 평균 40개의 파손부위가 있으며, 하수관내에서 36%의 하수가 외부로 누출되고 있는 실정이고, 반대로 하수의 43%에 달하는 지하수가 하수관로 내부로 유입되고 있어 하수처리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수관로의 정확한 조사에 의한 계획정비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중대해 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일반적으로 공공 하수관로의 하수관 내부는 그 직경이 클 경우 통상 800mm 이상이 되므로 작업자가 직접 투입되어 관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지만, 하수관의 직경이 작을 경우 작업자의 투입이 불가능하여 관로를 주행하는 주행차량의 상부에 CCTV카메라를 탑재시켜 조사 및 촬영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CCTV카메라가 탑재된 주행차량은 본체의 내부에 모터 등의 동력발생수단이 내장되고, 이 동력발생수단과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4개 내지 8개의 주행바퀴가 설치된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 주행차량은 관로의 내부에서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전, 후진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의 원격조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주행차량은 하수관로의 내부가 비교적 청결한 상태에서는 주행차량의 이동상태가 안정되어 CCTV카메라에 의한 내부 촬영에 지장이 발생되지 않지만, 하수관로의 바닥에 퇴적물이 다량 침적(대체로 관의 직경에 대해 30%이상이 침적된 경우로 국내의 40%가 이와 같은 경우에 속함)되었거나, 관의 바닥면이 심하게 파된 경우 및 관의 이음부 단차가 과도하게 발생된 경우에는 주행차량이 쉽게 전복되거나 관로에서의 이동자체가 불가능한 결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결점애 의해 국내의 하수관 여건상 조사가 불가능한 지역이 40%에 육박하여 결국, 하수관 내의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들의 보수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써 과도한 인건비 지출의 요인이 되며, 작업시기가 연장되어 시민의 불편을 초래하는 등의 심각한 페단이 노출되었다.
또한 CCTV를 이용해 관로의 내부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관로의 내부가 검적색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확한 촬영이 어렵고, 퇴적물이 침적된 부분은 촬영이 불가능하여 파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도관 또는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의 내경에 압출 또는 나선형으로 노랑색의 표시부재를 공급하여 내경의 전체면을 이루도록 하여 CCTV를 이용하여 관로의 이상 유,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경이 노랑색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관로의 내부에 주행차량을 진입시키지 않고 지상에서 초음파와 같은 전자파를 이용하여 관로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로의 내경에 노랑색의 표시부재를 코팅시켜 관로의 내경을 평활하게 형성하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중공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과 그 사각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성형되는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가 중앙에 위치하며 그 양측으로 사각 프로파일이 위치하는 얇은 띠 형상의 표시부재가 내경에 노랑색으로 일체형이 되게 코팅되도록 하여 지상에서 전자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출하는 방식으로 성형되는 수도관과 같은 압출관(10)과 나선형으로 와인더에 공급되어 성형되는 이중벽 하수관(20) 이나 복층벽 하수관(30) 및 하수관(40)과 같은 다양한 합성수지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출관(10)은 주로 수도관이나 하수관에 사용되는 것으로, 용융된 수지를 압출하여 통자로 성형되거나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부재(11)와 코어부재(12) 및 내경부재(13)가 일체형으로 압출될 때 내경(15)이 위치하도록 내경부재(13)의 안쪽으로 표시부재(14)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표시부재(14)는 다양한 색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노랑색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 이유는 노랑색이 CCTV카메라를 이용하여 관로에서 촬영하거나 지상에서 전자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이상 유,무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색체이기 때문이다.
또한 내경부재(13)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부재(14)를 사용하여 내경부재(13)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벽 하수관(20)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21)을 압출하여 냉각시킨 후 통상적인 와인더장치에 공급할 때, 와인더장치에는 미리 얇은 판 형태의 표시부재(23)를 노랑색으로 압출하여 원통형이 형성되도록 나선형으로 감아 연결한다.
상기 표부시재(23)는 사각 프로파일(21)과 이음부재(22)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얇은 판 형태로 공급되어 성형된다.
상기 표시부재(23)가 와인더에 감겨질 때 사각 프로파일(21)과 그 사각 프로파일(21)의 사이에 공급되는 이음부재(22)는 표시부재(23) 하나의 상측으로 이음부재(22)가 중앙에 위치하며 그 양측으로 사각 프로파일(21)이 절반씩 올려지도록 성형된다.
표시부재(23)의 중앙으로 이음부재(22)가 위치하게 되고 사각 프로파일(21)이 양측으로 절반씩 결합되는 형태를 유지하므로 표시부재(23)가 이음부재(22)의 연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각 프로파일(21)과 이음부재(22)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하며 내경(24)의 전체면이 노랑색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재(23)는 노랑색의 수지로 공급되면서 얇은 판 형태로 와인더장치에 공급되므로 사각 프로파일(21)과 이음부재(22)의 내경에서 평활하도록 유지하여 이중벽 하수관(20)의 이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층벽 하수관(30)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중공을 갖도록 보강대(32)가 열십자 형태로 성형된 사각 프로파일(31)을 압출하여 냉각시킨 후 통상적인 와인더장치에 공급할 때, 와인더장치에는 미리 얇은 판 형태의 표시부재(23)를 노랑색으로 압출하여 원통형이 형성되도록 나선형으로 감아 연결한다.
상기 표부시재(23)는 사각 프로파일(31)과 이음부재(22)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얇은 판 형태로 공급되어 성형된다.
상기 표시부재(23)가 와인더에 감겨질 때 사각 프로파일(31)과 그 사각 프로파일(31)의 사이에 공급되는 이음부재(22)는 표시부재(23) 하나의 상측으로 이음부재(22)가 중앙에 위치하며 그 양측으로 사각 프로파일(31)이 절반씩 올려지도록 성형된다.
표시부재(23)의 중앙으로 이음부재(22)가 위치하게 되고 사각 프로파일(31)이 양측으로 절반씩 결합되는 형태를 유지하므로 표시부재(23)가 이음부재(22)의 연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각 프로파일(31)과 이음부재(22)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하며 내경(24)의 전체면이 노랑색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재(23)는 노랑색의 수지로 공급되면서 얇은 판 형태로 와인더장치에 공급되므로 사각 프로파일(31)과 이음부재(22)의 내경에서 평활하도록 유지하여 복층벽 하수관(30)의 이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관(40)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자 형태의 보강대(42)를 통하여 다수의 삼각형 중공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41)을 압출하여 냉각시킨 후 통상적인 와인더장치에 공급할 때, 와인더장치에는 미리 얇은 판 형태의 표시부재(23)를 노랑색으로 압출하여 원통형이 형성되도록 나선형으로 감아 연결한다.
상기 표부시재(23)는 사각 프로파일(41)과 이음부재(22)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얇은 판 형태로 공급되어 성형된다.
상기 표시부재(23)가 와인더에 감겨질 때 사각 프로파일(41)과 그 사각 프로파일(41)의 사이에 공급되는 이음부재(22)는 표시부재(23) 하나의 상측으로 이음부재(22)가 중앙에 위치하며 그 양측으로 사각 프로파일(41)이 절반씩 올려지도록 성형된다.
표시부재(23)의 중앙으로 이음부재(22)가 위치하게 되고 사각 프로파일(41)이 양측으로 절반씩 결합되는 형태를 유지하므로 표시부재(23)가 이음부재(22)의 연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각 프로파일(41)과 이음부재(22)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하며 내경(24)의 전체면이 노랑색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재(23)는 노랑색의 수지로 공급되면서 얇은 판 형태로 와인더장치에 공급되므로 사각 프로파일(41)과 이음부재(22)의 내경에서 평활하도록 유지하여 하수관(40)의 이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압출관(10)의 내경(15)에 표시부재(14)를 압출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사각 프로파일(21)의 내경(24)에 노랑색의 표시부재(23)를 공급하여 이중벽 하수관(20) 이나 복층벽 하수관(30) 및 하수관(40)을 성형시키게 되면, 내경(15, 24)으로 CCTV 카메라를 설치한 주행차량을 공급하는 경우에 내경(15, 24)에 설치된 표시부재(14, 23)의 노랑색에 의하여 관로의 이상 유,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로의 내경으로 주행차량을 공급하지 않고 지상에서 초음파와 같은 전자파를 공급하여 반사되어 나타나는 색채를 통하여 관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므로 관로에 직접 들어가거나 CCTV 카메라를 설치한 주행차량이 진입하지 않아도 지상에서도 편리하게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출관(10)이나 이중벽 하수관(20) 및 복층벽 하수관(30)과 하수관(40)의 내경에 표시부재(23)를 얇은 판 형태로 코팅하여 내경(24)의 노면이 평활하도록 하여 관로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걸리지 않고 이송되도록 하며,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출관(10)이나 이중벽 하수관(20) 및 복층벽 하수관(30)과 하수관(40)의 내경에 표시부재(23)를 얇은 판 형태로 코팅하여 내경(24)이 보강되도록 하여 토압과 윤압에 의한 강도를 향상시켜 관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 사각 프로파일 성형과정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21)을 압출하여 성형한 후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기를 통과시켜 냉각되도록 하여 사각 프로파일(21)을 성형한다.
(2) 표시부재 성형과정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하되 노랑색의 표시부재(23)을 얇은 판 형태로 압출하여 와인더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연속해서 내경(24)을 이루면서 성형되도 록 한다.
(3) 이중벽 하수관 성형과정
표시부재(23)가 와인더에 성형될 때 그 외측으로 사각 프로파일(21)을 공급하면서 그 사각 프로파일(21)의 사이에 표시부재(23)의 중앙으로 이음부재(22)가 위치하도록 공급하여 이중벽 하수관(20)을 성형한다.
[실시예2]
(1) 사각 프로파일 성형과정
내부에 다수의 중공을 갖도록 하는 보강대(32)가 열십자 형태로 형성된 사각 프로파일(31)을 압출하여 성형한 후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기를 통과시켜 냉각되도록 하여 사각 프로파일(31)을 성형한다.
(2) 표시부재 성형과정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하되 노랑색의 표시부재(23)을 얇은 판 형태로 압출하여 와인더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연속해서 내경(24)을 이루면서 성형되도록 한다.
(3) 이중벽 하수관 성형과정
표시부재(23)가 와인더에 성형될 때 그 외측으로 사각 프로파일(31)을 공급하면서 그 사각 프로파일(21)의 사이에 표시부재(23)의 중앙으로 이음부재(22)가 위치하도록 공급하여 복층벽 하수관(30)을 성형한다.
[실시예3]
(1) 사각 프로파일 성형과정
내부에 ×자 형태의 보강대(42)를 형성하여 다수의 삼각형 중공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41)을 압출하여 성형한 후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기를 통과시켜 냉각되도록 하여 사각 프로파일(41)을 성형한다.
(2) 표시부재 성형과정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하되 노랑색의 표시부재(23)을 얇은 판 형태로 압출하여 와인더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연속해서 내경(24)을 이루면서 성형되도록 한다.
(3) 이중벽 하수관 성형과정
표시부재(23)가 와인더에 성형될 때 그 외측으로 사각 프로파일(41)을 공급하면서 그 사각 프로파일(41)의 사이에 표시부재(23)의 중앙으로 이음부재(22)가 위치하도록 공급하여 하수관(40)을 성형한다.
본 발명은 수도관 또는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의 내경에 압출 또는 나선형으로 노랑색의 표시부재를 공급하여 내경의 전체면을 이루도록 하여 CCTV를 이용하여 관로의 이상 유,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관로의관리를 편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경이 노랑색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관로의 내부에 주행차량을 진 입시키지 않고 지상에서 초음파와 같은 전자파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색체를 통해 관로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로의 내경에 노랑색의 표시부재를 코팅시켜 관로의 내경을 평활하게 형성하고, 관로를 두껍게 성형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관로의 내경에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중공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21, 31)과 그 사각 프로파일(21, 31)의 사이에 이음부재(22)를 공급하여 성형되는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22)가 중앙에 위치하며 그 양측으로 사각 프로파일(21, 31)이 위치하는 얇은 띠 형상의 표시부재(23)가 내경(24)에 노랑색으로 일체형이 되게 코팅되도록 하여 지상에서 전자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2. 단일재질 또는 외경부재(11)와 코어부재(12) 및 내경부재(13)로 압출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내경부재(13)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과 동일한 재질을 갖는 노랑색의 표시부재(14)가 일체형으로 동시에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3.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중공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21, 31)을 성형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사각 프로파일(21, 31)의 사이에 이음부재(22)를 공급하여 하수관을 성형함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로파일(21, 31)을 성형하여 와인딩 장치에 공급할 때 내경에 얇은 기 형상의 표시부재(23)를 노랑색의 수지로 와인딩 장치에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재(23)의 양측으로 사각 프로파일(21, 31)이 공급되는 프로파일 공급과정과;
    상기 프로파일(21, 31)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그 프로파일(21, 31)의 사이에 이음부재(22)를 공급하여 이음부재(22)가 표시부재(2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재(23)는 사각 프로파일(21, 31)과 이음부재(22)의 폭과 같게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5.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재(23)는 노랑색이 아닌 사각 프로파일(21, 31)과 이음부재(22)의 색체와 다른 색채의 동일한 재질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KR1020040080513A 2004-10-08 2004-10-08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70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13A KR100702143B1 (ko) 2004-10-08 2004-10-08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13A KR100702143B1 (ko) 2004-10-08 2004-10-08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595U Division KR200377225Y1 (ko) 2004-10-08 2004-10-08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467A true KR20060031467A (ko) 2006-04-12
KR100702143B1 KR100702143B1 (ko) 2007-04-05

Family

ID=3714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13A KR100702143B1 (ko) 2004-10-08 2004-10-08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1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701B1 (ko) * 2019-03-25 2019-07-25 푸른나래(주)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충진관
CN110578838A (zh) * 2019-08-27 2019-12-17 安徽瑞通塑业有限公司 一种聚乙烯缠绕结构壁b型管及其生产工艺
CN111022781A (zh) * 2019-12-05 2020-04-17 杭州坦科机械科技有限公司 中空壁结构玻璃钢管道及其制作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07B1 (ko) * 2015-01-28 2015-09-02 (주)명성화학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
KR101652041B1 (ko) * 2015-02-06 2016-08-29 유옥수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KR101652044B1 (ko) * 2015-02-06 2016-09-09 유옥수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67B1 (ko) * 1999-04-07 2002-06-12 김종원 식별용 칼라를 부여한 합성수지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701B1 (ko) * 2019-03-25 2019-07-25 푸른나래(주)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충진관
CN110578838A (zh) * 2019-08-27 2019-12-17 安徽瑞通塑业有限公司 一种聚乙烯缠绕结构壁b型管及其生产工艺
CN111022781A (zh) * 2019-12-05 2020-04-17 杭州坦科机械科技有限公司 中空壁结构玻璃钢管道及其制作工艺
CN111022781B (zh) * 2019-12-05 2021-08-17 杭州坦科机械科技有限公司 中空壁结构玻璃钢管道及其制作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143B1 (ko)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143B1 (ko)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457327B1 (ko) 이중벽 및 복층벽 합성수지 하수관의 제조방법
CN112060538B (zh) 一种电缆保护管成型制作方法
CN108412017B (zh) 一种排水管道内壁砂浆喷涂机及其使用方法
KR200377225Y1 (ko)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JP5967878B2 (ja) スリーブ及びスリーブの製造方法
KR100639268B1 (ko) 상하수도 매설관 부분 보수장치 및 공법
KR20030093941A (ko) 고강성 보강구조를 갖는 복합 복층벽 하수관 제조장치 및제조방법과 이로써 제조된 복합 복층벽 하수관
CN110587938B (zh) 一种drpo双层共挤钢塑增强缠绕管制备方法及双层共挤模具
KR100922601B1 (ko) 차수벽을 이용한 강도 향상형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KR101979861B1 (ko)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KR20100096701A (ko) 내, 외경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0950065B1 (ko) 내, 외경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US20190375131A1 (en) Inflatable tub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and pipeline arrangement method applying the same
KR200382365Y1 (ko) 상하수도 매설관 부분 보수장치 및 공법
KR101085387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과 내경 코팅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0454159B1 (ko) 하수관로의 내부 촬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18867A (ko)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JP4832072B2 (ja) 鋼管鉄塔内部防錆方法
KR101206779B1 (ko) 이동식 수지벽관 제조장치
KR200438378Y1 (ko) 관로 내,외면의 이원화된 칼라수지코팅용 노즐팁
KR100687286B1 (ko) 상하수관 성형장치
KR100320780B1 (ko) 성형식 하수관로의 갱생공법
CN116969344B (zh) 一种轨道式集装箱门式起重机
KR101398324B1 (ko) 차수벽 다중관 제조방법 및 그 차수벽 다중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