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282A -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282A
KR20060030282A KR1020040079100A KR20040079100A KR20060030282A KR 20060030282 A KR20060030282 A KR 20060030282A KR 1020040079100 A KR1020040079100 A KR 1020040079100A KR 20040079100 A KR20040079100 A KR 20040079100A KR 20060030282 A KR20060030282 A KR 20060030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server
computer
student
video
studen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연
Original Assignee
민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연 filed Critical 민병연
Priority to KR102004007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282A/ko
Publication of KR2006003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학습종류에 관한 선택신호 수신단계;(b)반복학습선택신호를 수신하였는지의 판단단계;(c)상기(b)단계의 판단결과, 반복학습선택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미학습동영상목록의 전송단계;(d)학습할 동영상목록의 선택신호의 수신단계;(e)최종학습한 동영상과 선택된 동영상사이에 필수동영상이 존재하는지의 판단단계;(f)상기(e)단계의 판단결과, 필수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택된 동영상의 전송단계;(g)상기 (e)단계의 판단결과, 필수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필수동영상의 요약파일 전송단계;(h)필수동영상의 학습희망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필수동영상의 학습희망신호를 수신한 경우, 필수동영상 전송단계;(i)이해도측정을 위한 문제풀이 및 채점과정 수행단계;(j)이해도측정을 위한 채점점수가 소정점수미만인 경우, 희망하는 단계로의 리턴신호를 수신한후, 희망단계로의 리턴단계;(k)상기(b)단계의 판단결과, 반복학습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 학생이 기학습한 동영상 목록의 전송단계;(l)학습희망 동영상목록의 선택신호의 수신단계;및(m)선택된 동영상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이해도 측정, 의문 가이드, 질의, 응답, 다자(N:N), 모의질문 리스트

Description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online education service by measuring a learner's understandability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도 1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예시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풀이 및 채점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질의 및 응답 단계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본 발명은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 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생 및 기타 학습자(이하, "학생"이라 한다.)가 학습한 내용을 운영자 서버에서 제공되는 가이드(guide)에 의하거나 또는 운영자 서버에 직접 질의를 하여 학습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 후, 이해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의 이해도를 자가 진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37191호 "온라인 교습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외에 다수 특허출원된 상태이다.
상기 발명은 각 항목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저장한 다수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다수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다수의 단말기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결시켜 주는 메인 시스템과;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재택 학습을 할 경우에 재택 학습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습 시스템과; 상기 교습 시스템과 단말기간에 이루어지는 실시간 교육 내용을 수록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면 데이터를 제공하는 재택 학습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습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자가 교육자와 연결되어 온라인으로 교습되는 재택 교육을 선택하면 교습내용을 실시간 제공 또는 저장한 내용을 검색 호출하여 교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영역을 선택하여 교습되는 데이터베이스 교습 방법을 선택하면, 해당 데 이터베이스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여 있으면 그 내용을 표시해 주며 인쇄를 원하면 그 내용을 인쇄하여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교과 과정과는 무관하게 학생(사용자)이 선택하는 학습 자료를 조건 없이 제공하는 바, 학생은 자신의 진도를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발명은 학생이 학습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를 제공할 수 없었고 또한 학생 개개인의 질의 및 응답이 충분히 이루어 질 수 없는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발명은 한명의 강사가 다수의 학생을 상대로 강의하는 방식인 바, 동일한 학습 자료를 선택한 학생(사용자)들에게는 모두 동일한 진도로 학습 자료를 제공하게 되어, 학습 자료를 충분히 이해한 학생은 이해를 하지 못하는 학생들로 인하여 시간을 허비하게 되고, 학습 자료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학생은 이해가 불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교과과정을 학습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발명은 학생이 자신의 학습 이해도를 자가 진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이 학습 내용을 선택하더라도 최종 학습 내용과 선택된 학습 내용 사이에 미학습 자료가 존재하거나 또는 필수 학습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학습 자료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학생에게 주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해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학생이 직접 질의 및 응답, 특히 다수의 보조강사 및 다수의 학생이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는 다자간 질의 및 응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생이 학습한 내용을 학생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 자료를 충분히 이해한 학생은 이해를 하지 못하는 학생들로 인하여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자신의 학습 진도를 진행하고, 학습 자료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학생은 이해하지 못한 학습 자료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를 한 후, 이후의 교과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생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자가 진단함으로써 학습 진도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종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미학습 동영상 목록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습할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운영자 서버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학생 컴퓨터 로 전송한 동영상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학생이 최종 학습한 동영상과 선택된 동영상 사이에 학생이 학습하여야 할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e) 단계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필수 동영상의 요약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필수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와 학생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풀이 및 채점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j) 상기 운영자 서버가 이해도 측정을 위한 채점 점수가 소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희망하는 단계로의 리턴 신호를 수신한 후, 희망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k)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학생이 기학습한 동영상 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l)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습 희망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m)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i) 단계는, (i-1)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i-3)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응답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i-4) 상기 운영자 서버가 기저장된 정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리스트에 관한 채점을 하는 단계; 및 (i-5)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채점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i) 단계 이전에, (i'-1)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의문 가이드 또는 직접 질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2) 상기 (i'-1)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가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3) 상기 (i'-2) 단계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의문 가이드 중 선택된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i'-4) 상기 (i'-2) 단계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i'-4) 단계는, (i''-1)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질의 및 응답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i''-2) 단계는, (i'''-1) 상기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와 응답이 가능한 보조 교사 컴퓨터를 연결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가상적인 공간인 사이버 상담실을 개설하는 단계;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강사의 강의 내용과 관련된 '모의질문 리스트'를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i'''-3) 상기 운영자 서버가 학생의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i'''-4)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i'''-5)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상기 학생의 질의 내용에 대한 타이틀을 수신하는 단계; (i'''-6) 상기 운영자 서버가 수신한 상기 타이틀이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상에 존재하는 타이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7) 상기 (i'''-6) 단계의 판단 결과, 존재하지 않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i'''-8) 상기 (i'''-6) 단계의 판단 결과, 존재하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질의 내용 타이틀에 대응되는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i''-2) 단계 이후에,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다른 질의에 대하여 응답이 가능한 다른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i'''-2)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i'''-8) 단계 이후에, 상기 운영자 서버가 다 른 학생 컴퓨터로부터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상기 다른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A)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종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B)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C) 상기 (B) 기능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미학습 동영상 목록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D)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습할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E) 상기 운영자 서버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동영상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학생이 최종 학습한 동영상과 선택된 동영상 사이에 학생이 학습하여야 할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F) 상기 (E) 기능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G) 상기 (E) 기능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필수 동영상의 요약 파일을 전송하는 기능; (H)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필수 동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I)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와 학생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풀이 및 채점 과정을 수행하는 기능; (J) 상기 운영자 서버가 이해도 측정을 위한 채점 점수가 소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희망하는 기능으로의 리턴 신호를 수신한 후, 희망하는 기능으로 리턴하는 기능; (K) 상기 (B) 기능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학생이 기학습한 동영상 목록을 전송하는 기능; (L)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습 희망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및 (M)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I) 기능은, (I-1)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리스트를 전송하는 기능; (I-3)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응답 리스트를 수신하는 기능; (I-4) 상기 운영자 서버가 기저장된 정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리스트에 관한 채점을 하는 기능; 및 (I-5)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채점 결과를 전송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I) 기능 이전에, (I'-1)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의문 가이드 또는 직접 질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 부를 판단하는 기능; (I'-2) 상기 (I'-1) 기능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가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I'-3) 상기 (I'-2) 기능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의문 가이드 중 선택된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및 (I'-4) 상기 (I'-2) 기능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는 기능; 을 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I'-4) 기능은, (I''-1)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질의 및 응답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및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는 기능; 을 포함하되, 상기 (I''-2) 기능은, (I'''-1) 상기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 컴퓨터를 연결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가상적인 공간인 사이버 상담실을 개설하는 기능;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강사의 강의 내용과 관련된 '모의질문 리스트'를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I'''-3) 상기 운영자 서버가 학생의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기능; (I'''-4)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I'''-5)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상기 학생의 질의 내용에 대한 타이틀을 수신하는 기능; (I'''-6) 상기 운영자 서버가 수신한 상기 타이틀이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상에 존재하는 타이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I'''-7) 상기 (I'''-6) 기능의 판단 결과, 존재하지 않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및 (I'''-8) 상기 (I'''-6) 기능의 판단 결과, 존재하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질의 내용 타이틀에 대응되는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I''-2) 기능 이후에,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다른 질의에 대하여 응답이 가능한 다른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I'''-2) 기능으로 절차를 이행하는 기능; 을 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I'''-8) 기능 이후에, 상기 운영자 서버가 다른 학생 컴퓨터로부터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상기 다른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을 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인터넷망(100), 학생 컴퓨터(200), 운영자 서버(300) 및 보조교사 컴퓨터(40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망(10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교육 서비스가 인터넷 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을 사용한 인터넷망을 포함한다.
상기 학생 컴퓨터(200)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자료를 Flesh 등으로 제작한 멀티미디어 자료 및 강의 자료(이하, "동영상"이라 한다.)를 운영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운영자 서버와 의문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운영자 서버를 통해 보조강사 컴퓨터 또는 다른 학생 컴퓨터와 다자간 질의 및 응답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며, 운영자 서버와 학습 내용의 이해도를 자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Windows 98 이상의 운영체제를 포함한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IMT2000 등을 포함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학생 컴퓨터(200)는 미도시된 씨피유, 램, 하드디스크, 마우스와 키보드와 디지털 카메라와 마이크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기, 및 모니터와 프린터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400)는 운영자 서버로부터 학생의 질의와 관련된 동영상 및 모의질문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질의 내용의 타이틀 및 질의에 따른 보조교사의 응답과 관련된 동영상을 운영자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Windows 98 이상의 운영체제를 포함한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IMT2000 등을 포함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400)는 학생 컴퓨터의 사양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운영자 서버(3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 중 영상 정보와 질의 및 응답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송수신하고 중계하는 비디오 모듈(3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 중 음성 정보와 질의 및 응답과 관련된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고 중계하는 오디오 모듈(320), 상기 학생 컴퓨터와 학습 동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고, 학생 컴퓨터로부터 의문 가이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 컴퓨터와 보조교사 컴퓨터 사이에서 다자간 질의 및 응답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며, 학생 컴 퓨터로부터 이해도 측정 신청이 있는 경우 이해도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컨트롤 모듈(330) 및 학습 내용에 따라 단계별 또는 주제별로 분류되어 학생들이 희망할 때 자기의 학습 이해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학습 동영상 DB와 의문 가이드의 설문 및 그에 따른 가이드와 관련된 의문 가이드 DB와 모의질문 리스트 DB와 질의에 따른 응답 동영상 DB와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및 정답과 관련된 이해도 측정 DB와 학생의 학습 이력을 기록하는 학습 이력 DB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 모듈(340)을 포함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운영자 서버(300)는 미도시된 대용량의 업무를 처리하고 상호 정보교환시 수많은 수학적 계산을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하고 별도의 운영체제에 의하여 작동되는 중앙처리장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장치,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DB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마우스와 키보드와 디지털 카메라와 마이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및 모니터와 프린터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 2a 및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자 서버의 컨트롤 모듈(330) 은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학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종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2).
본 실시예에서 학습 종류를 반복 학습 및 학습하지 아니한 교과 과정의 학습 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학습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상기 제 S4 단계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미학습 동영상 목록을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6).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학습 동영상에는 100% 미학습 뿐만 아니라, 일부 미학습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학습할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8).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전송한 동영상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학생이 최종 학습한 동영상과 선택된 동영상 사이에 학생이 학습하여야 할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제 S10 단계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필수 동영상의 요약 파일을 전송한다(S12).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상기 제 S14 단계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필수 동영상을 전송한다(S16).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의문 가이드 또는 직접 질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
상기 제 S18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가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의문 가이드는, 예를 들어 프린터를 사용하는 중에 프린터가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는 '프린터 문제 해결 마법사'를 이용하여 프린터의 기능 장애를 스스로 해결하는 소프트웨어와 같이, 학생이 학습 동영상을 통해 학습을 하는 도중에 학습 내용에 대하여 간단한 의문 사항이 있는 경우 단계별 또는 주제별로 분류된 예상 의문 사항 및 그에 대한 약간의 힌트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이용하여 의문 사항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는 단순히 동영상 또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교과 과정이 어학 학습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대화 중 한쪽의 소리만 출력시키고 나머지 쪽의 대화 내용은 출력되지 않도록 하여 연습을 하도록 하거나 또는 힌트 단어 등을 이용하여 대화 내용을 유추하도록 하는 것도 포함된다.
상기 제 S20 단계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의문 가이드 중 선택된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S22).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이해도 측정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상기 제 S24 단계의 판단 결과, 이해도 측정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학생 컴퓨터(200)와 학생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풀이 및 채점 과정을 수행한다(S26).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채점 점수가 소정 점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8).
상기 제 S28 단계의 판단 결과, 소정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소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컨트롤 장치(330)는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과 관련된 프로세스의 종료를 희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상기 제 S30 단계의 판단 결과, 종료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종료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희망하는 단계로의 리턴 신호를 수신(S32) 한 후, 희망하는 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제 S20 단계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200)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한다(S34).
상기 제 S14 단계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제 S26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상기 제 S10 단계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S36)한 후, 상기 제 S18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상기 제 S4 단계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학생이 기학습한 동영상 목록을 전송한다(S38).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학습 희망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40).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S42)한 후, 상기 제 S18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상기 제 S26 단계인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풀이 및 채점 단계에 대하여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풀이 및 채점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운영자 서버의 컨트롤 모듈(330)은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44).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리스트를 전송한다(S46).
본 실시예에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는 전체 문항이 리스트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정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한 문제를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답을 수신하면, 다른 문제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응답 리스트를 수신한다(S48).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기저장된 정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리스트에 관한 채점을 한다(S50).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채점 결과를 전송한다(S52).
상기 제 S34 단계인 다자간 질의 및 응답 단계는 본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4-0077751호 '다자간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재된 관련 내용과 대동소이한 바, 그 주된 내용을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질의 및 응답 단계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운영자 서버의 컨트롤 모듈(330)은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질의 및 응답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한다(S54).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보조교사 컴퓨터(4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전송함으로써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한다(S56).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8).
상기 제 S58 단계의 판단결과,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질의 및 응답 단계에 대한 시스템을 종료하고,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다른 질의에 대하여 응답이 가능한 다른 보조교사의 컴퓨터(400')와 상기 학생 컴퓨터(200)를 연결시킨 후 후술하는 제 S74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6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술한 제 S58 단계 및 그에 따른 제 S60 단계에 의하여 한 명의 학생이 다수의 보조교사와의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이들 과정을 통해 N(보조교사):1(학생)의 질의 및 응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S56 단계인 질의 및 응답 단계에 대하여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자 서버의 컨트롤 모듈(330)은 학생 컴퓨터(200)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 컴퓨터(400)를 연결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가상적인 공간인 사이버 상담실을 개설한다(S72).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강사의 강의 내용과 관련된 '모의질문 리스트'를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74).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학생의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수신한다(S76).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78).
보조교사는 자신의 컴퓨터(4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학생의 질의 내용을 정리한 후, 그 타이틀을 제작하여 자신의 컴퓨터(400)에 입력한다.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400)로부터 상기 학생의 질의 내용에 대한 타이틀을 수신하여 저장한다(S80).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수신한 상기 타이틀이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상에 존재하는 타이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2).
상기 제 S82 단계의 판단 결과, 존재하지 않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400)로부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수 신하여 상기 타이틀과 함께 저장하면서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84).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다른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6).
상기 제 S86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과 관련된 시스템을 종료하고,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상기 다른 학생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88).
상기 제 S82 단계의 판단 결과, 존재하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컨트롤 모듈(330)은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질의 내용 타이틀에 대응되는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 전송한(S90) 후, 상기 제 S86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술한 제 S86 단계 및 그에 따른 제 S88 단계에 의하여 다수의 학생이 한 명의 보조교사와의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이들 과정을 통해 1(보조교사):N(학생)의 질의 및 응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술한 제 S58 단계 및 그에 따른 제 S60 단계, 그리고 상술한 제 S86 단계 및 그에 따른 제 S88 단계에 의하여 다자간(N(보조교사):N(학생)) 질의 및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학생이 학습 내용을 선택하더라도 최종 학습 내용과 선택된 학습 내용 사이에 미학습 자료가 존재하거나 또는 필수 학습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학습 자료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학생에게 주지시켜 학생으로 하여금 수강하게 함으로써 교과 과정이 충실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해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학생이 직접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학생이 학습한 내용을 학생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 자료를 충분히 이해한 학생은 이해를 하지 못하는 학생들로 인하여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자신의 학습 진도를 진행하고, 학습 자료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학생은 이해하지 못한 학습 자료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를 한 후, 이후의 교과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학생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자가 진단 함으로써 학습 진도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자신이 원하는 다른 학습 자료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다수의 학생 컴퓨터와 보조교사 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운영자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운영자 서버는 학습 내용에 따라 단계별 또는 주제별로 분류되어 학생들이 희망할 때 자기의 학습 이해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학습 동영상 DB와 의문 가이드의 설문 및 그에 따른 가이드와 관련된 의문 가이드 DB와 모의질문 리스트 DB와 질의에 따른 응답 동영상 DB와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및 정답과 관련된 이해도 측정 DB와 학생의 학습 이력을 기록하는 학습 이력 DB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종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미학습 동영상 목록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습할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운영자 서버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동영상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학생이 최종 학습한 동영상과 선택된 동영상 사이에 학생이 학습하여야 할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e) 단계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필수 동영상의 요약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필수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와 학생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풀이 및 채점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j) 상기 운영자 서버가 이해도 측정을 위한 채점 점수가 소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희망하는 단계로의 리턴 신호를 수신한 후, 희망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k)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학생이 기학습한 동영상 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l)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습 희망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m)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i-1)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i-3)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응답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i-4) 상기 운영자 서버가 기저장된 정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리스트에 관한 채점을 하는 단계; 및
    (i-5)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채점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 이전에,
    (i'-1)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의문 가이드 또는 직접 질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2) 상기 (i'-1)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가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3) 상기 (i'-2) 단계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의문 가이드 중 선택된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i'-4) 상기 (i'-2) 단계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4) 단계는,
    (i''-1)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질의 및 응답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i''-2) 단계는,
    (i'''-1) 상기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 컴퓨터를 연결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가상적인 공간인 사이버 상담실을 개설하는 단계;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강사의 강의 내용과 관련된 '모의질문 리스트'를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i'''-3) 상기 운영자 서버가 학생의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2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i'''-4)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i'''-5)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상기 학생의 질의 내용에 대한 타이틀을 수신하는 단계;
    (i'''-6) 상기 운영자 서버가 수신한 상기 타이틀이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상에 존재하는 타이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7) 상기 (i'''-6) 단계의 판단 결과, 존재하지 않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i'''-8) 상기 (i'''-6) 단계의 판단 결과, 존재하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질의 내용 타이틀에 대응되는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2) 단계 이후에,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다른 질의에 대하여 응답이 가능한 다른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i'''-2)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8) 단계 이후에,
    상기 운영자 서버가 다른 학생 컴퓨터로부터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상기 다른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7.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A)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종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B)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C) 상기 (B) 기능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미학습 동영상 목록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D)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습할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E) 상기 운영자 서버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동영상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학생이 최종 학습한 동영상과 선택된 동영상 사이에 학생이 학습하여야 할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F) 상기 (E) 기능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G) 상기 (E) 기능의 판단 결과, 필수 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필수 동영상의 요약 파일을 전송하는 기능;
    (H)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수 동영상의 학습 희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필수 동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I)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와 학생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풀이 및 채점 과정을 수행하는 기능;
    (J) 상기 운영자 서버가 이해도 측정을 위한 채점 점수가 소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희망하는 기능으로의 리턴 신호를 수신한 후, 희망하는 기능으로 리턴하는 기능;
    (K) 상기 (B) 기능의 판단결과, 반복 학습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학생이 기학습한 동영상 목록을 전송하는 기능;
    (L)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학습 희망 동영상 목록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및
    (M)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선택된 동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 기능은,
    (I-1)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이해도 측정을 위한 문제 리스트를 전송하는 기능;
    (I-3)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응답 리스트를 수신하는 기능;
    (I-4) 상기 운영자 서버가 기저장된 정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리스트에 관한 채점을 하는 기능; 및
    (I-5)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채점 결과를 전송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 기능 이전에,
    (I'-1)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의문 가이드 또는 직접 질의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I'-2) 상기 (I'-1) 기능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가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I'-3) 상기 (I'-2) 기능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의문 가이드 중 선택된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및
    (I'-4) 상기 (I'-2) 기능의 판단 결과, 의문 가이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와 다자간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하는 기능; 을 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I'-4) 기능은,
    (I''-1)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로부터 질의 및 응답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및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질의 및 응답 과정을 수행 하는 기능; 을 포함하되,
    상기 (I''-2) 기능은,
    (I'''-1) 상기 운영자 서버가 학생 컴퓨터와 응답이 가능한 보조교사 컴퓨터를 연결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가상적인 공간인 사이버 상담실을 개설하는 기능;
    (I'''-2) 상기 운영자 서버가 강사의 강의 내용과 관련된 '모의질문 리스트'를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I'''-3) 상기 운영자 서버가 학생의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기능;
    (I'''-4)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질의 내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I'''-5)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상기 학생의 질의 내용에 대한 타이틀을 수신하는 기능;
    (I'''-6) 상기 운영자 서버가 수신한 상기 타이틀이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상에 존재하는 타이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I'''-7) 상기 (I'''-6) 기능의 판단 결과, 존재하지 않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보조교사 컴퓨터로부터 보조교사에 의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및
    (I'''-8) 상기 (I'''-6) 기능의 판단 결과, 존재하는 타이틀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모의질문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질의 내용 타이틀에 대응되는 동영상을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I''-2) 기능 이후에,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부터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질의에 대한 신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다른 질의에 대하여 응답이 가능한 다른 보조교사의 컴퓨터와 상기 학생 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상기 (I'''-2) 기능으로 절차를 이행하는 기능; 을 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I'''-8) 기능 이후에,
    상기 운영자 서버가 다른 학생 컴퓨터로부터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수신 신청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학생 컴퓨터로 전송한 응답 동영상을 상기 다른 학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 을 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79100A 2004-10-05 2004-10-05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20060030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100A KR20060030282A (ko) 2004-10-05 2004-10-05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100A KR20060030282A (ko) 2004-10-05 2004-10-05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282A true KR20060030282A (ko) 2006-04-10

Family

ID=3714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100A KR20060030282A (ko) 2004-10-05 2004-10-05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0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5403A2 (en) * 2011-03-11 2012-09-20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A computer method and system determining what learning elements are most effecti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5403A2 (en) * 2011-03-11 2012-09-20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A computer method and system determining what learning elements are most effective
WO2012125403A3 (en) * 2011-03-11 2013-01-03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A computer method and system determining what learning elements are most effe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dwin Assimilation in online course design
Swanson A radical step: Implementing a critical information literacy model
Hartman et al. Preparing the academy of today for the learner of tomorrow
KR20030070884A (ko) 학생과 지도교사를 연결해주는 대화식 온라인 학습
US200502771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other information exchanges, such as for use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RU2272324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учения
KR1024270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에듀테크 학습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67877B1 (ko) 인공지능강사를 이용한 교육기관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4117626B2 (ja) 電子教育用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0404432B1 (ko) 일대일 개인학습지도가 가능한 사이버교육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392147B1 (ko) 영어교육 및 시험을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 원격영어교육 및 시험 시스템
Shoffne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nd technology: A consideration of weblogs for the English classroom
JP2007200210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Rajkoomar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blended learning in the delive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at South African universities
KR20000054844A (ko) 인터넷 상에서 3차원 사이버캐릭터, 3차원 가상학습공간및 실시간 음성지원에 의한 교육방법
TW202347275A (zh) 直播教學系統
KR20020011050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원격교육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60030282A (ko) 이해도 측정을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JP2002215014A (ja) 教育システム及び方法
TW202107422A (zh) 線上評量考試系統及其運作方法
JP2016045474A (ja) 学習支援方法、それを実行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学習支援システム
KR100484238B1 (ko) 온라인 교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60028871A (ko) 다자간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elfer et al. " Our Voices Matter": The Learner Profile of UTech, Jamaica Students and Implications for a Virtual Self-Access Learning Centre.
JP2001350400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教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