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349A - 신체 분비물 회수용 중공저압생리용기 - Google Patents
신체 분비물 회수용 중공저압생리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8349A KR20060028349A KR1020040077660A KR20040077660A KR20060028349A KR 20060028349 A KR20060028349 A KR 20060028349A KR 1020040077660 A KR1020040077660 A KR 1020040077660A KR 20040077660 A KR20040077660 A KR 20040077660A KR 20060028349 A KR20060028349 A KR 200600283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sanitary
- vagina
- physiological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45—Source of blood for blood from vagina, placenta, colon or mou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061—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 A61B5/150099—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by negative pressure, other than vacuum extraction into a syringe by pulling on the piston rod or into pre-evacuated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2001/1418—Depression, aspiration
- G01N2001/1436—Ej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목적은 여성들의 생리혈이나 자궁 및 질 내 분비물(이하 '분비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중공저압생리용기(이하 '생리용기')로서, 예시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생리용기 내부 압력을 대기압 이하의 저압 또는 진공압력(이하 '저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예시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비물을 흡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 편의성을 진작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분비물을 흡입하는 저압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정밸브나 압력조절장치, 생리용기가 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생리용기 내의 분비물을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분비물 유출제어밸브 등의 응용기술의 적용으로 여성들의 생리 처리에 안락함을 제공하여 기존의 생리대나 탐폰 등과는 위생성, 기능성, 편리성, 경제성 등에 있어 차별성을 갖춘 여성의 생리 분비물을 처리하기 위한 생리용기로서, 여성의 질에 직접 삽입되어 용기 내에 형성된 저압에 의해 분비물을 용기 내로 흡입하여 이를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생리용기이며 사용목적에 따라 의학적 진찰의 필요에 따른 여성의 질 내 분비물 시료채취장치로도 활용 가능한 장치이다.
생리용기, 질, 생리, 분비물, 생리혈, 생리대, 탐폰, 템포, 월경, 멘스, 저압, 중공, 진공
Description
도1:종래 기술인 생리대,
도2:종래 기술인 탐폰,
도3:종래 기술인 음순간 패드,
도4:종래 기술인 생리컵,
도5:종래 기술인 여성용 생리기구이다.
도6:본 발명의 제1기본형인 가변형 격벽 생리용기의 단면도
도7:본 발명의 자력을 이용한 이탈기구가 설치된 사례의 단면도
도8:본 발명의 제2기본형인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의 단면도
도9:본 발명의 제3기본형인 이중격막 흡입구를 가진 전면 가변형 생리용기
도10:본 발명의 제4기본형인 횡단 이중격막 흡입구를 가진 다단형 생리용기
도11:본 발명의 제4기본형을 응용한 종단 이중격막 흡입구를 가진 다단형 생리용기
도12:횡단 이중격막 흡입구의 동작원리
도13:종단 이중격막 흡입구의 동작원리
도14:본 발명의 제5기본형인 스프링 압착형 압력조정밸브 부착 중간 대개구형 생리용기
도15:본 발명의 제6기본형인 밴드 압착형 압력조정밸브 부착 중간 대개구형 생리용기
도16:본 발명의 제7기본형인 밴드 압착형 역류방지밸브 부착 중간격벽 흡입형 생리용기
도17:압력조정밸브와 유출제어밸브가 부착된 본 발명의 제8기본형인 고정형상형 생리용기
도18:본 발명의 제1기본형을 응용한 진공 제작형 생리용기
도19:스프링형 압력조정밸브 부착 진공형 생리용기
도20:자력형 압력조정밸브 부착 진공형 생리용기
도21:이중격막 흡입구가 부착된 압력조정장치 설치형 생리용기
도22:유출제어밸브를 부착한 생리용기
도23:분비물 제거용 보조 기구
도24:분비물 제거용 보조 기구 사용 도시도
도25:압력조정밸브와 유출제어밸브가 부착된 가변형 격벽 재활용 생리용기
도26:압력조정밸브와 유출제어밸브가 부착된 실린더 격벽형 재활용 생리용기
도27:각도보정자 부착형 생리용기
도28:위치보정자 부착형 생리용기
도29:삽입기구
도30:진공 발생 삽입기구
도31:생리용기 외부이탈기구의 사용 도시도
도32:다단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상부격벽 2:하부격벽 3:중간 가변형 격벽 4:대개구부 5:중간격벽 6:소개구부
7:스프링 8:삽입 기구부 고정홈 9:고리 10:줄
11:영구자석 또는 자성체 12:유도구조물
13:상단 실린더 격벽 14:하단 실린더 격벽 15:시일링재 16:멈춤 턱 17:공간
18,19:삽입 기구부 고정홈
21:밀봉뚜껑 22:줄 23:마개
24:밸브바디 25:내부소개구부 26:밀봉뚜껑 27:밸브 28:밸브스프링 29:줄
30:구동자 31:밸브 32:공간
33:분비물 유출로 34:외부 유출로 35:밸브 36:스프링 37:유출제어밸브격벽
38:하부격벽 39:압력조정밸브 바디 40:유출제어밸브 바디
41,42,43:격벽 장탈착 나사부 44,45,46:접합부 47:대개구부 격벽 48:중간격벽
49:상부격벽 50:유출제어밸브 격벽
51:유출제어밸브 바디 52:압력조정밸브 바디 53,54,55:격벽 장탈착 나사부
56:접착부 57:하단실린더 격벽 58:대개구부 격벽 59:중간격벽 60:상단실린더 격벽
61:고정형상형 격벽
62:상부압력조절편 63:고신축성 가변형 격벽 64:하부압력조절편 65:상부격막
66:하부격막
67:위치보정자 68:체결구 69,70:흡입로 71:안착면 72:각도보정자 73:흡입로
74:멈춤돌기 75:실린더 76:피스톤 돌기 77:피스톤 78:돌기 홀더 79:실린더 돌기
81:홀더 82:실린더 83:실린더 손잡이 84:유출로 85:피스톤 밸브 86:피스톤
87:피스톤 손잡이 88,89:여유공간 90:이탈방지턱 91:제거기
94:흡입기 95:제거기 96:유도관 97:배출펌프
101,102,103,104:신축격막
110:상부격벽 111:하부격벽 112:상부스프링 113:상부 상단 신축격벽
114:상부 하단 신축격벽 115:상부 체결링 116:하부 상단 신축격벽 117:하부스프링
118:하부 하단 신축격벽 119:중간체결격벽 120:하부 체결링 121:이중격막흡입구
124:상부격벽 125:하부격벽 126:개구부 격벽 127:하부체결링 128:상부체결링
129:상부가변격벽 130:하부가변격벽 131:우측밸브 132:밸브스프링 133:상부커버
134:하부커버 135:좌측밸브 136:대개구부 137:소개구부 138:상부스프링
139:하부스프링
141,142,143,144 : 신축격벽
150:밸브 151:밴드
152:중간격벽 153:소개구부 154:역류방지밴드밸브
170:스틱 171:영구자석 또는 자성체 172:부착판
175:중간 실린더 격벽
생리혈, 냉, 대하 등과 같은 신체 분비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안된 발명품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중 몇 가지는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발명품을 분류하여 보면 크게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여성의 외음부 주위에 외부적으로 착용하여 질 밖으로 유출된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안된 도1의 패드 형태의 생리대이다. 마찬가지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두 번째 방법은 여성의 질 내에 삽입 착용되게 하여 질 내에서 생리 분비물의 질 외 유출을 막으며 흡수할 수 있도록 고안된 도2의 탐폰으로 1983년 11월 1일자에 바이그너(Weigner)등에게 "탐폰 설치기(Tampon Applicator)"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미국 특허 제 4,412,833호가 허여되었으며, 동년 11월 8일자로 제이콥스(Jacobs)에게 "무균 삽입용 수단을 갖는 탐폰 조립체(Tampon Assembly With Means For Sterile Insertion)"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미국 특허 제 4,413,986호가 허여되었다. 3번째는 1976년 10월 5일자 및 1979년 11월 27일자로 허쉬맨(Hirsch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83,873호 및 제 4,175,561호 특허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으나 상용화는 이루어진 크기가 작고 음순 사이에 삽입하여 분비물을 차폐하는 도3의 음순간 패드가 있다. 넷째로 2003년 10월 17일자로 대한민국 특허로 공개된 특2003-0081219호와 같이 질 내에 삽입하여 생리혈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컵형 기구물인 도4의 생리컵이 제안되었다. 다섯째 1988년 12월 21일 대한민국 특허로 공개된 특1988-0013537호와 같이 생리혈을 모아 이동하여 주는 질 내 삽입기구와 생리혈을 저장하는 외부 저장용기가 일체로 되어 있는 도5의 여성용 생리기구가 제안되었다. 지금까지 제안된 5가지 방식은 각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음이 또한 사실이다. 먼저 생리대는 피부가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 이물감이 심하고, 착용 후 밀착되는 바지 등을 착용할 경우 생리대 착용의 표시가 남으로 인하여 여성에게 수치심을 유발하거나 잘못 착용하거나 교체시간을 넘길 경우 생리혈이 흘러 넘쳐 의복이나 침구 등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으며, 탐폰의 경우 그 사용 재질로 인하여 질 내 삽입 및 제거 시에 이물감이 심할 수 있고 특히 질 내 삽입 후 일부 이물이 잔류할 경우 염증의 원인이 될 수 있거나 심각하게는 자칫 생명까지 앗아가는 독성 쇼크 증후군(Toxic Shock Syndrome)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음순간 패드는 활발한 운동이나 쪼그리고 앉는 자세, 또는 배뇨 시의 이탈 문제 등의 신뢰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제품화 후에도 전술한 생리대나 탐폰과 같은 성공을 거둘 수 없었다. 생리컵의 경우에는 삽입 및 제거가 불편하며 특히 제거시 대구경의 상단 개구부를 질 구에서 이탈시키는 것은 불편할 것이며 순간적으로 빠질 경우 손 또는 주변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화장실과 같은 특정 장소가 아니면 제거에 불편함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 5번째의 종래 기술은 질 내외에 걸쳐 기구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패드형의 단점을 안고 있음과 동시에 여성의 성기 중에 가장 예민한 부분중 한 부분인 질 입구에까지 장치가 설치되어야함에 따른 이물감등은 상당한 단점이 될 것이다. 또한 분비물이 완벽하게 기구 내로 모여들 수 있는 방법도 미약하다. 이러한 모든 문제점들을 본 고안에서 해소하고자 하며 첨부도면과 관련 설명을 확인하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질 내 삽입 시 마찰에 따른 이물감 및 거부감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이 매끄럽게 이루어진 생리용기로, 다양한 방법으로 용기내의 중공부를 질 내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저압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질 내 압력과 용기 내의 압력 차에 의하여 질 내의 분비물을 용기 안으로 자연스럽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용기 중공부의 저압 형성이 필수적이며 이 저압 형성은 다음에 열거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어질 수 있다. 첫째 생리용기 자체를 밀폐구조로 하고 용기의 중공부를 진공상태로 하여 질 내에 삽입한 후 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개방시켜주는 방법이 있고, 둘째 생리용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신축이 가능하게 하고 질 내에 삽입할 때 생리용기를 압축된 상태로 삽입한 다음, 삽입이 완료된 후 생리용기의 신축부가 팽창되게 함으로서 생리용기의 중공부 체적을 팽창시켜 저압을 유도할 수 있으며, 셋째 생리용기를 질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비물 제거용 보조기구나 진공 발생 삽입기구로 생리용기 내의 공기를 제거하여 저압을 유도할 수 있다. 신축성 생리용기를 팽창시키는 방법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는 방법, 생리용기의 신축부위를 복원력이 있는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주름형상을 형성시키고 주름형상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팽창되면서 생리용기를 팽창시키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생리용기의 팽창에 스프링등의 탄성물을 이용할 경우 스프링의 압축정도에 따라 생리용기를 팽창시키는 복원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생리용기 팽창정도에 따라 생리용기 내에 발생되는 저압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력의 가까울수록 인력이 강하고 멀수록 인력이 약해지는 성질을 이용 하여 스프링 팽창력의 편차를 최소화시켜 생리용기 내에 발생되는 저압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줄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다양한 방법의 저압 형성에 의한 생리용기와 질 내 압력 차이에 의하여 질 내의 분비물이 생리용기 쪽으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저압에 의하여 분비물이 생리용기로 유입되기 때문에 개구부와 질 벽이 유착되어 분비물 유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가능성이 발생된다. 이러한 질 벽과 개구부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리용기의 최외각 대개구부의 크기는 최대한 크게하여 질 벽과의 유착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생리용기에 유도된 분비물은 용기내부에서 용기 외부인 질 내부로 재유출이 되지 않아야 처리가 용이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비물이 유도되는 대개구부 아래에 질 부와 생리용기 부를 분리하여 주는 격막을 설치하고 이 격막에 소개구부를 형성하여 분비물이 외부로 쉽게 누출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더욱더 안전하게 대개구부에 이중격막 흡입구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격막에 형성된 소개구부의 생리용기 내측 아래에 분비물이 외측으로 유출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기 내로 분비물을 흡입하는 흡입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정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압력조정밸브는 용기의 저압에 의하여 개방이 되어 분비물을 용기 내측으로 유입은 허용하나 생리용기 내측과 질 부의 압력이 평형상태 또는 설정압력에 이르게 되면 밀폐되어 용기 외부로의 유출은 허용되지 않게 된다. 압력조정밸브의 밸브를 밀폐시키는 힘은 밸브의 하단 부와 밸브를 내장한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나, 소개구부가 형성된 격막 주위에 매설된 자성체와 자성체로 제작한 다음 주위를 시일링이 가능한 소재로 코팅 내지는 도포 처리한 밸브간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 하여 발생되며, 이들 스프링 복원력이나 자력의 세기를 조정함에 의하여 질 내에 작용하는 저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흡입구에 시일링 기능을 할 수 있으면서 신축이 가능한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된 격막을 2중으로 겹쳐 밸브역할이 가능하게 장치하여 흡입 시에는 분비물의 용기 내 진입이 가능하나 용기 내에서 분비물이 나갈려고 할 때에는 겹쳐진 두 장의 격막이 차단밸브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 하거나 도15, 도16에서와 같이 중공용기 내측의 소개구부에 탄성이 있는 신축성 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된 밴드를 밀착시켜 분비물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또한 격막이나 밴드의 장력을 조정하여 질 내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생리용기에 흡입되어 격리된 분비물의 용기 외부로의 배출방법은 본 고안물인 생리용기의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생리용기의 내부에 분비물이 충만되었을 때 다른 생리용기로 교체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비물이 충만된 생리용기를 질 외부로 이탈시킨 후 중공용기의 분리 부를 분리하여 생리용기 내부에 충만된 분비물을 제거시킬 수 있다. 분비물을 제거한 생리용기는 적절한 세척 및 소독을 거친 후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생리용기에 분비물이 충만되었을 경우에도 생리용기를 질 외부로 제거하지 않고 질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생리용기내의 분비물만을 제거하고 그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질 내 분비물을 흡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생리용기 내의 분비물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분비물의 유출로가 필요하다. 분비물 유출로는 항상 밀폐상태를 유지하나 필요시에만 외부적 조작에 의하여 개방되어 분비물을 유출하여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유출로의 생리용기 부 외측에 상시 폐쇄상태이나 외력에 의하여 개방될 수 있는 밸브를 내장한 구조물인 유출제어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본 구조물은 용기격벽의 적당한 위치에 유출로를 형성하고 유출로의 생리용기 외측에 분비물을 흡입하는 소개구부에 설치된 것과 같은 방식의 밸브 구조물을 장치한다. 본 밸브의 작동방식은 압력조정밸브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이 되나, 용기 외측에 밸브가 위치함으로 인하여 구조물하단과 밸브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또는 생리용기 격벽에 매설된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와 밸브의 자력에 의한 인력은 밸브의 폐쇄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밸브의 폐쇄 압력을 극복하기 전까지의 압력에서 생리용기는 항상 밀폐가 유지되며 생리용기 내부의 저압과 유출제어밸브의 밸브에 작용하는 힘의 합력인 폐쇄압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저압의 압력이 밸브 외측에 발생되는 경우에만 밸브는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유출로의 개구부는 외력의 작용 없이는 항상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생리용기 내부의 분비물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유출로의 밸브 하단 부에 분비물 유출 유도 기구물을 부착시키고 이 유도 기구물 다른 한 끝에 주사기 또는 펌프와 같이 저압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하여 유출제어밸브의 밸브폐쇄압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저압을 형성시켜 주면 된다. 적정량의 분비물 유출이 이루어지면 분비물 유출 유도 기구물을 생리용기에서 제거하게 되면 생리용기의 유출제어밸브가 밀폐가 되며 생리용기 내부는 분비물이 비어있는 저압상태가 되어 생리용기의 제거 없이 필요기간까지 생리용기를 질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용기 격벽에 압력조정밸브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리용기 내측에 유출제어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유출제어밸브가 이렇게 설치될 경우 생리용기 내의 분비물은 자연상태에서는 결코 생리용기 외부로 유출이 되지 않고, 외부에서 유출제어밸브의 밸브를 밀착시키는 스프링 힘이나 자력을 상쇄시켜줄 수 있는 외적 압력이 유출제어밸브의 밸브부에 가해져 밸브가 개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유출 유도 기구물의 저압 발생부가 생리용기의 내부 압력보다 낮은 저압을 발생시킬 경우 생리용기 내의 분비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유출 유도 기구물에는 유출제어밸브의 밸브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구물이 설치되어야 한다. 생리용기의 사용기간이 종료되어 생리용기를 질에서 제거하였을 경우 생리용기를 해체한 다음 적절한 세척 및 필요시 소독 후 보관하여 차후에 재사용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 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기본형인 가변형 격벽 생리용기의 단면도이다. 도6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격벽(1)과 하부격벽(2)으로 생리용기의 골격을 구성하고, 상부 및 하부격벽 사이에 신축이 가능한 중간 가변형 격벽(3) 또는 도21의 고신축성 가변형 격벽(63)이 설치된다. 또한 상부격벽에는 신체 분비물을 유도하고 질 벽과 용기의 유착을 방지할 수 있게 대개구부(4)가 설치되고, 대개구부로 유입된 분비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격벽(5)을 설치하고, 실질적인 분비물 저장용기가 되는 내부공간으로 분비물이 유입될 수 있게 소개구부(6)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외벽에 본 용기를 압축시켜 여성의 질에 삽입이 가능하게 보조하여 주는 삽입기구부 고정 홈(8)이 설치되게 된다.
또한 도6을 포함하여 도8, 9, 10, 11, 14, 15, 16, 17등 생리용기 전 방식에 있어서, 하부격벽에는 생리용기가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되어 목적이 충족된 후 질 외로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기구가 설치된다. 본 이탈기구는 하부격벽 아래에 고리(9)를 설치하고 본 고리에 줄(10)을 설치한 다음, 생리용기의 질 내 삽입 시 줄은 질 외부에 위치되게 한 후 사용 목적이 충족되었을 때 줄을 당겨 본 발명품을 질 외로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줄은 고리를 설치하지 않고 바로 격벽에 매입하여 설치하는 방법, 유출제어밸브의 밸브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 유출제어밸브의 밸브격벽 또는 밸브바디에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하부격벽에 도7과 같이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11)를 매설하고 외부에서 자성체나 영구자석으로 된 외부이탈기구(도31)를 삽입하여 자력에 의하여 외부이탈기구에 부착된 생리용기를 외부로 이탈시키는 방법으로 도6과 같은 줄의 설치 없이도 본 발명품의 질 외 이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이탈기구와 생리용기의 자력에 의한 부착을 용이하게 도와주기 위하여 생리용기에 도7의 유도구조물(12)과 같은 돌출물 또는 그 반대인 요면의 유도 구조물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유출제어밸브 부착형 생리용기의 경우 유출제어밸브의 격벽 또는 밸브바디에 영구자석이나 자성체를 매설하는 방법이나 밸브내에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를 매설하는 방법등이 있을 수 있다. 도31은 외부이탈기구가 생리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도시도이다. 외부이탈기구는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171)가 매설된 부착판(172)과 외부이탈기구를 손으로 쥐고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인 스틱(1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기본형인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의 단면도로 도6의 구 성과는 달리 상단 실린더 격벽(13)과 하단 실린더 격벽(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 하단 실린더 격벽의 재질에 따라 밀폐도 증가의 목적으로 시일링재(15)를 하단격벽의 말단에 설치하거나 상단격벽 말단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단 격벽 및 하단격벽 끝에는 격벽 상호간의 손쉬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턱(16)이 설치되며 상, 하단 격벽의 원활한 상하작동을 위하여 상, 하단 격벽 사이에 적절한 공간(17)을 형성하여 준다. 도32는 중간 실린더 격벽(175)을 사용한 3단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의 도시도이고 중간 실린더 격벽을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 다단형으로 할 수도 있다. 도6과 도7의 방식과 같이 도8의 방식에도 삽입 기구부 고정홈(18, 19)이 설치되고 도6에서 설명된 고리(9), 줄(10) 또는 도7에서 설명된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11), 유도 구조물(1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가변형 격벽 생리용기와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에 있어서 상, 하부 격벽 또는 상단 실린더 격벽과 하단 실린더 격벽을 상, 하로 밀어 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7)등과 같은 복원력을 가진 탄성물을 장치한다. 여기서 도6의 가변형 격벽 생리용기의 경우에는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중간 가변형 격벽(3)을 복원력이 있는 탄성재질로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기본형인 이중격막 흡입구를 가진 전면 가변형 생리용기의 단면도로 용기의 외벽 전체를 고신축성 재질로 구성하고 내부공간은 용기 내부에 삽입한 스프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생리용기에 대한 실시도로 본 생리용기의 흡입구는 상단 및 측면 등에 도12 또는 도13과 같이 탄력성 재질의 외벽을 이중으로 겹쳐 자연적인 상태에서 분비물의 용기 내부 유입은 허용하나 외부 유출은 어렵 게 하여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도의 흡입구 방식을 이하 '이중격막 흡입구'라하며 본 이중격막 흡입구는 도10, 11, 21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생리용기에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품의 경우 내부에 장치하는 스프링등의 탄성물의 구조 및 장치방법에 따라 체적 팽창을 종방향 내지는 축방향 및 입체적 체적팽창이 가능하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기본형인 횡단 이중격막 흡입구를 가진 다단형 생리용기의 실시 예시도이다. 본 생리용기는 강성체로 구성된 상부격벽(110)과 상부 체결링(115) 사이에 이중 격막 흡입구가 설치된 신축격벽(113,114)이 설치된 상부용기 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 하부용기 부 및 강성체로 구성된 중간체결격벽(1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체결격벽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 하부 용기 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도10과 같이 중간체결격벽과 상, 하부 용기 부 사이에 신축격벽을 팽창시킬 수 있는 복원력을 가진 스프링(112,117) 등과 같은 탄성 기구물을 삽입하여 조립이 되게 된다. 도10은 원주방향 즉 도면상의 가로방향으로 이중 격막 흡입구가 설치된 예이며 도11은 축 방향 즉 도면상의 세로 방향으로 이중 격막 흡입구가 설치된 신축격벽(122,123,124,125)을 가진 생리용기 실시 예시도가 되겠다. 그리고 도12는 도10 원주방향 이중격막 생리용기의 이중격막 흡입구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도시도가 되겠으며 도13은 도11 축 방향 이중격막 흡입구 생리용기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시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생리용기가 저압일 때 내부격막은 수축을 하게 되지만 외부격막은 생리용기의 팽창에 따른 장력을 받아 수축이 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분비물을 흡입할 수 있는 유출로를 제공하게 되며 생 리용기 내부가 대기압일 경우는 두 격막 공히 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로 격막과 격막이 밀착되어 분비물의 유출이 불가능하며 내부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이 발생될 경우 내, 외부 격막 공히 생리용기 외측으로 팽창이 되면서 두 격막이 강하게 밀착되어 분비물의 유출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5기본형인 스프링 압착형 압력조정밸브 부착 중간 대개구형 생리용기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제6기본형인 밴드 압착형 압력조정밸브 부착 중간 대개구형 생리용기로 대개구부가 생리용기의 중간에 설치된 사례가 되겠으며, 도16은 본 발명의 제7기본형인 밴드 압착형 역류방지밸브 부착 중간격벽 흡입형 생리용기로 중간격벽에 분비물을 흡입하는 소개구부 다수가 설치된 사례가 되겠다. 도14는 스프링 압착형 압력조정밸브가 장착된 경우이고 도15, 16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고탄성 신축성 재질을 활용한 압력 조정 방식이 되겠다. 간략하게 구조를 설명하면 강성체 재질인 상부 격벽(124), 하부격벽(125), 대개구부(136)와 소개구부(137)를 구성하고 있는 개구부 격벽(126), 상부 체결링(128), 하부 체결링(127), 상부커버(133), 하부커버(134), 고신축성인 상부 가변격벽(129)과 하부 가변격벽(130), 가변격벽을 팽창시키기 위한 상부스프링(138) 및 하부스프링(139)이 기본적 구성이며 도14의 경우 압력조정 및 분비물 유출 방지를 위한 밸브로 좌측밸브(135)와 우측밸브(131) 및 밸브스프링(132)이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15의 경우 고신축성 고무로 이루어진 밴드(151)와 분비물의 역류 방지 및 질 내에 걸리는 압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밸브(150)가 추가되며, 도16의 경우 대개구부 격벽이 단순원통형인 중간격벽(152)으로 대치되고 이 격벽의 둘레로 많은 소개구부 (153)가 뚫려져 분비물 유입구로 이용이 되고 유입된 분비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신축 탄성물질인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진 역류방지밴드밸브(154)가 갖추어진다.
도17은 압력조정밸브와 유출제어밸브가 부착된 본 발명의 제8기본형인 고정형상형 생리용기로 신축형 용기가 아닌 고정형상형 용기를 활용한 실시도이다. 본 실시품은 생리용기의 체적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강성체로만 외벽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형상형 격벽(61)을 가진 생리용기이다. 특히 도17과 같이 유출제어밸브가 적용된 경우에는 중공용기의 질 내 삽입 상태에서 유출로의 유출제어밸브를 통하여 생리용기 내의 공기, 분비물 등의 내용물을 제거하여 생리용기 내를 저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18은 제작 시 애초에 생리용기 내를 진공으로 제작하고 이를 여성의 질 내에 삽입한 후 중간격벽의 소개구부(6)에 설치된 밀봉뚜껑(21)을 줄(22)로 제거하여 사용하고자 목적하는 도6의 응용 실시도이다. 본 응용품은 도6에서 생리용기를 질 외부로 이탈시키기 위한 장치로 각 고안물에 설치되는 고리, 줄,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 유도 구조물 설치가 배제되고, 밀봉 뚜껑(21)을 제거하기 위한 줄(22)의 작동에도 생리용기내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격벽 또는 하단격벽에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마개(23)를 설치한다. 우수한 탄력성에 의하여 줄(22)로 밀봉뚜껑(21)을 제거하는 작동 행위에도 용기 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줄(22)은 본 생리용기를 여성의 질 밖으로 이탈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진공 제작형 생리용기의 응용방법은 도8의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 및 도17의 고정형상형 생리용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19는 생리용기내의 압력과 자궁 및 질 부의 압력 차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압력조정밸브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생리용기와 자궁 및 질 부의 압력차이를 적절하게 조정하기 위한 압력조정밸브는 소개구부(6)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밸브(27)을 설치하고, 생리용기와 자궁 및 질 부의 압력 차이가 설정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를 개방하고 설정 압력 이하가 되면 밸브를 폐쇄시켜 주는 밸브스프링(28), 그리고 이들을 수용하고 있는 밸브바디(24)로 구성되고 밸브 바디에는 생리용기 내로 분비물을 흡입할 수 있는 내부소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도18에서 설명된 내부 진공형 제작품의 경우 내부소개구부에는 제작 시 용기 내에 형성시킨 진공을 유지시키기 위한 밀봉뚜껑(26)과 이 밀봉뚜껑을 제거할 수 있는 줄(29) 및 기밀을 유지해 주는 마개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조정용 밸브는 용기 내의 압력이 질 내 압력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을 경우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용기 내부에 유입된 분비물이 질 안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도 20은 밸브를 개폐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을 영구자석 및 자성체로 그 역할을 대신하게 한 방식이다. 그 구성은 중간격벽의 소개구부 주위에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구동자(30)를 매설하고 밸브(31)를 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으로 하여 장치하고 이 밸브를 수용하는 바디에는 밸브가 동작할 수 있는 공간(32)을 확보하여 준다. 여기에서 밸브나 격벽에 매설되는 구동자중 적어도 1가지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게 설치된 밸브는 밸브 및 구동자간에 작용하는 자력이 스프링의 역할을 대체하게 된다.
도21은 체적 가변형 생리용기에 있어 체적을 팽창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스프링을 사용함에 있어서, 스프링의 힘은 스프링상수*거리에 비례하기때문에 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가장 강한 복원력을 가지게 되고 압축된 정도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복원력이 약해져 최대 압축상태에서와 최소압축상태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의 차이가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을 최소화시켜 생리용기가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나 최소로 압축되었을 때나 생리용기에 작용하는 복원력 차이를 최소화시켜 주어 생리용기 내의 저압이 항상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생리용기 내 압력조정장치가 설치된 사례이다. 본 장치는 생리용기의 상부에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된 상부압력조절편(62)과 생리용기 하부에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된 하부압력조절편(64)을 설치하여, 자력의 특성인 두 자성체간의 거리가 멀면 상호간 작용하는 인력이 약해지고 가까우면 상호간 작용하는 인력이 강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스프링이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인 팽창력이 가장 강할 때 상, 하부 압력조절편 간의 거리는 가장 가까워져서 압력조절편 상호간에 작용하는 인력이 가장 강해지기 때문에 탄성복원력이 상당부분 감쇄되고, 스프링이 팽창되면 팽창될수록 상, 하부 압력조절편 간의 거리는 멀어져 상, 하부 압력조절편 간에 작용하는 인력이 작아져 스프링의 탄성복원력 감쇄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자력의 특성을 이용한 감쇄력으로 스프링의 압축장 차이에 따른 탄성복원력의 차이를 최소화시켜 생리용기의 체적 팽창정도에 따른 생리용기 내에 발생되는 저압의 편차를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본 도시도에 도시된 고신축성 가변형 격벽(63)은 도6에서 기술 된 중간 가변형 격벽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도시도에서는 이중 격막 흡입구의 또 다른 사용 사례를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상부격막(65)과 하부격막(6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도시도에서는 중간격벽 및 소개구부 없이 이중격막흡입구가 대개구부에 단일로 사용되는 실시 사례도이며 중간격벽 및 소개구부를 가진 생리용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대개구부에 장착하여 대개구부 내의 유입 분비물의 질 내 재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22는 생리용기의 질 외 이탈없이 생리용기 내에 모여진 인체 분비물을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고안인 유출제어밸브가 추가된 방식의 사례이다. 이는 생리용기의 격벽에 분비물 유출로(33)를 설치하고 이 유출로의 생리용기 외부격벽 측에 도19에서 기술한 생리용기의 압력 조정용 밸브를 설치한다. 설치된 밸브는 용기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또는 그 이하일 때는, 스프링 또는 자력에 의하여 항시 분비물 유출로가 폐쇄되게 됨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흡입된 분비물은 외부로 배출이 되지 않는다. 또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이 밸브를 생리용기 내부격벽 측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유출제어밸브가 부착된 생리용기를 질 외부로 이탈시키지 않고 용기내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도23에 도시된 기구 또는 도30에 도시되어 기술되는 기구를 활용하게 된다. 도23에 도시된 기구는 분비물 제거용 보조기구로 말단부가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흡입기(94)와 생리용기를 질 부에 그대로 위치시키면서 흡입기를 생리용기에서 떼어내기 위한 제거기(95)로 구성되어 있다. 본 기구의 사용방법은 생리용기의 사용자가 생리용기 내에 모여진 분비물 제거의 필요성을 느낄 때 본 분비물 제 거용 보조기구를 질 안으로 삽입한다. 이때 자력에 의하여 분비물 제거용 보조기구와 생리용기 유출제어밸브가 자연스럽게 결합이 되며 이 후 흡입기에 부착된 저압에도 유착으로 인한 폐쇄가 발생하지 않는 유연한 튜브인 유도관(96)의 다른 한편에 진공용 배출펌프(97)를 연결하고 이를 활용하여 흡입기의 공동부분을 저압 또는 진공으로 만들어 준다. 흡입기 공동부의 저압이 생리용기의 저압과 유출제어밸브의 밸브 폐쇄 압력의 합력을 극복하게 되면 생리용기의 분비물은 흡입기를 통하여 질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분비물 배출이 완료되면 제거기를 잡고 생리용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흡입기를 당기게 되면 흡입기가 생리용기의 유출제어밸브에서 이탈하게 되고, 흡입기가 충분히 이탈된 후 흡입기 및 제거기를 질 외부로 이탈시키면 생리용기의 질 외부 이탈 없이 생리용기 내에 흡입되어 있는 분비물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생리용기 내부는 다시 저압을 가짐에 따라 질 내의 분비물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생리용기를 질 외 이탈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필요성이 종료될 때 생리용기를 질 외로 제거하면 된다. 도24는 분비물 제거용 보조기구가 생리용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25는 전술된 여러 방식의 고안물을 세척 및 소독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사례이다. 도24에서 대개구부격벽(47)과 중간격벽(48)을 일체화하고 중간격벽(48)에 수나사(41)를 형성하고, 또한 상부격벽(49)과 중간 신축격벽(3) 및 하부격벽(38)을 일체화하여 중간격벽과 조립 및 해체를 할 수 있는 암나사(41)를 형성한다. 중간격벽의 소개구부에 장치된 압력조정밸브는 중간격벽에 바디를 조립할 수 있는 수나사(42)를 가진 압력조정밸브 격벽을 형성하고 압력조정밸브 바디(39)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조립 및 해체할 수 있게 한다. 하부격벽의 유출로에 유출제어밸브 바디(40)를 조립할 수 있는 수나사(43)를 가진 유출제어밸브 격벽(50)을 형성하고, 유출제어 밸브 바디에는 암나사(43)를 형성하여 조립 및 해체를 할 수 있게 한다. 도26은 동일한 방식으로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의 조립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 예시도이다.
도27과 도28은 자궁경부의 질 내 위치가 특이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개구부를 변형하여 적용한 실시도이다. 도면상의 반원부인 안착면(71)에 자궁경부가 위치하게 되고 흡입로(69,70,73)를 통하여 분비물이 생리용기로 흡입이 되게 된다. 위치보정자(67) 및 각도보정자(72)는 여러 가지 형상 또는 각도로 대응할 수 있게 변경 교체가 가능한 나사식 조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29, 도30은 지금까지 기술한 여러 가지 실시기술 및 실시도와 이것들을 조합하여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본 발명품을 질 내에 삽입하기 위한 생리용기 삽입기구이다. 도29는 단순 삽입기구로 생리용기를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눌러 삽입기구에 삽입하면 생리용기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기구 고정홈(8)이 삽입기구의 돌기 홀더(78)에 고정된다. 생리용기가 삽입기구에 고정된 상태로 생리용기와 삽입기구를 질 내에 삽입하여 생리용기가 질 내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삽입기구의 실린더(75)로 생리용기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에서 삽입기구의 피스톤(77)을 눌러주면 피스톤에 형성된 피스톤 돌기(76)에 의하여 실린더에 형성된 실린더 돌기(79)가 팽창되면서 삽입기구의 돌기 홀더(78)가 생리용기의 돌기고정홈(8)을 이탈하면서 생리용기는 질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도30은 진공발생 삽입기구로 유출제어밸브를 가지고 있는 생리용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진공발생 삽입기구는 생리용기의 유출제어밸브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홀더(81)부 생리용기 내의 에어나 분비물을 흡입하는 유출로(84), 실린더(82) 및 피스톤(86) 부와 홀더를 생리용기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제거기(91)로 구성되어 있고 제거기에는 홀더 및 실린더의 전진 위치를 제어하는 이탈방지턱(90)이 형성되어 있다. 진공발생 삽입기구의 사용방법을 기술하면, 먼저 생리용기의 유출제어밸브를 진공발생 삽입기구의 유출제어밸브 고정부인 홀더(81)에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생리용기를 질 내에 삽입한다. 생리용기를 질 내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한 후 진공발생 삽입기구의 실린더(82)를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스톤 손잡이(87)를 잡아 피스톤(86)을 빼내면 생리용기 내의 공기가 제거되어 생리용기 내의 중공부에 저압이 발생된다. 저압이 발생되고 나면 제거기(91)를 잡아 생리용기를 고정시키고 실린더(82)를 잡아 질 외부 쪽으로 당겨 생리용기와 홀더를 이탈시킨 다음 제거기(91)를 질 외부로 이탈시킨다. 진공발생 삽입기구는 경우에 따라서는 도22, 23에서 기술되어진 것과 같이 생리용기를 질 외로 이탈시키지 않고 분비물을 질 외부로 배출하여 내는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방법은 분비물 제거용 보조 기구와 동일하나 생리용기에서 제거되는 것이 공기에서 분비물로 바꾸어질 뿐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품은 상기에 기술된 내용들을 재조합하는 것만으로도 여러 가지 방식의 생리용기를 구성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품은 생리 분비물 처리를 위한 방법의 일대 혁명이라 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막대하다 하겠으나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사항들만을 적시하도록 하겠다.
첫째 가장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인 생리 분비물 처리 방식이라 할 수 있겠다.
2002년 5월 한국여성민우회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0%정도가 생리대 사용으로 인하여 피부질환, 가려움증 등의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하며 탐폰의 경우 체내에서 높은 흡수성으로 인하여 자궁내의 건조 및 궤양을 유발할 수 있고, 질 내에 잔류물이 남거나 장기간 제거를 못하였을 시 부패 등의 위생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으며, 특히 치명적인 독성 쇼크 증후군인 TSS의 위험성도 보고되고 있는 실태이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품은 자궁 및 질 내부를 건조시키지 않는 방식이고 또한 분비물이 질 외부로 유출이 되지 않고 질 내에서 처리되게 함으로 인하여 기존 생리대 사용 시에 생리대에 흡수된 분비물과 피부의 접촉, 또는 생리대에 의한 마찰 등으로 발생되는 피부 질환의 염려가 없으며, 질 내 삽입방식인 탐폰은 펄프로 이루어져 질 내에 잔류물이 남거나 장기간 제거를 못하였을 시 부패 등의 위생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극소수이기는 하나 치명적인 독성 쇼크 증후군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품은 인체 내에 잔재물을 남길 여지가 없고 채택되는 재질에 따라 장기 미제거시에도 고안물의 부패 우려가 전혀 없으며 특히 수거된 분비물은 질 부와 완벽하게 차단됨으로 인하여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할 여지가 전혀 없다. 또한 사용된 생리대나 탐폰 처리 시에 미관상의 문제 등이 해결되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재활용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할 시에는 쓰레기 발생을 극소화 할 수 있고 펄프의 사용을 저감함으로 인하여 환경 및 생태계 보호에도 일조 할 수 있다 하겠다. 둘째 사용의 편리성 및 신뢰성이다. 질 내 삽입형으로 탐폰, 생리컵 및 여성용 생리기구 등이 있으나 탐폰은 그 구성 재질이 펄프임으로 인하여 매끄럽지 못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삽입 및 제거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할 수 있고 분비물 흡수 후 체적 팽창으로 인하여 제거 시에 고통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제거 시점의 인지가 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교환 시기를 알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고, 생리컵은 손으로 직접 삽입하여 위치를 잡아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설치가 잘못될 시 분비물의 유출이 있을 수 있고 질 내에 설치한 후에는 큰 외경으로 인하여 제거의 어려움 및 제거 시에 분비물이 흩뿌려지는 현상도 발생 될 수 있다. 여성용 생리기구는 그 구성상 정상적인 생리 처리가 의심되며, 또한 내부 설치물 뿐만 아니라 외부 분비물 저장공간이 별도로 있음으로 인하여 이를 생리팬티 등으로 외음부에 고정시킬 시 불쾌감, 꼭 끼이는 의복 착용 시에 외부로 드러나는 표시등으로 여성들이 실제 사용에 상당한 거부감이 발생 할 것이다. 또한 생리컵 및 여성용 생리기구는 분비물의 처리를 자연적인 현상에만 의존함으로 인하여 실제 그 기능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품은 표면이 매끄럽고 방식에 따라 분비물을 처리한 후에도 외경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길이 변화만 발생됨으로 인하여 삽입 및 제거에 대한 거부감 및 불편함이 감소하고, 적정 길이 도달 시에 여성이 감각적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어 교체시기를 파악할 수 있고, 저압이라는 분비물 처리를 강제하는 수단을 가짐으로 인하여 신뢰성이 아주 높다 하겠다. 또한 자력식 외부 이탈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질 내에만 본 발명품이 존재하고 줄 등과 같은 부가물이 외부로 노출됨이 전혀 없어 의복착용 등에 전형 신경 쓸 필요 없이 평시와 동일한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제품인 생리대 및 탐폰은 항상 예비품을 넉넉하게 준비하고 다녀야 하지만, 본 발명품의 경우 예비품이 필요 없음으로 인하여 예비품 준비로 인한 스트레스나 번거로움에서 해방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경제성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리대와 탐폰의 경우 여성 1인당 년간 7만원에서 10만원정도의 비용부담이 있으나, 본 발명품을 상용화할 경우 재활용 빈도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제품수명을 수 개월이라 고려할 경우라도 상당한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이므로 가계경제에 작으나마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용화에 따른 국내업체의 영향을 평가하여 보면 국내 시장의 규모가 줄어들기는 하겠으나, 세계시장을 고려하면 국내 업체들의 매출은 오히려 대폭 증가할 수 있는 파급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며, 기존제품과의 원가경쟁력 측면에서 볼 때 업체의 수익률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하겠다. 넷째 자가진단 및 의료 지원성이다. 본 발명품을 사용할 시 인체 분비물을 원상태 그대로인 원액 상태로 샘플링하여 볼 수 있음으로 인하여 분비물의 상태에 따른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비물을 의료 검진용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을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일반 사출로 제조가 될 수 있는 제조의 용이성, 작은 사이즈에 따른 보관의 편리성 등의 여러 장점이 있다.
Claims (23)
- 자궁이나 질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비물을 질내에서 수거하기 위하여 질 내에 삽입되는 장치로, 장치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고 분비물이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있으며,질 내외부에서, 확보된 생리용기 내부 공간에 질 내 압력보다 낮은 저압을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형성된 저압에 의하여 분비물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생리용기 내 중공부의 저압 형성 및 생리용기의 질 내 삽입시 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체적 가변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신축성 격벽과, 생리용기 내에 형성된 저압과 질벽 압력의 합력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재질과 구조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강성격벽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체적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U자형인 상단 실린더 격벽과 U자형인 하단 실린더 격벽 및 원통형 중간 실린더 격벽이 조합되어, U자형인 상단 실린더 격벽과 U자형인 하단 실린더 격벽으로 조합된 2단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 내지는 여기에 원통형 중 간 실린더 격벽이 추가 조합된 다단 실린더 격벽형 생리용기로 구성되어, 안테나를 접듯이 상단 혹은 하단 실린더 격벽 내에 나머지가 삽입되어 신축이 가능함에 의하여 체적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외벽이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신축성 자재로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 등의 강성을 가진 탄성물의 팽창에 의하여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며 또한 형성된 중공부의 체적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생리용기의 격벽이 용기내부의 저압과 질벽 압력의 합력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강성체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3항, 4항, 5항, 6항에 있어서, 생리용기를 완전 밀폐 상태로 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제작하고, 도면6의 소개구부 또는 도19의 내부소개구부등과 같이 생리용기의 최종 흡입구를 일반적으로 알려진 절취가 용이한 밀폐구조로 하고 이 구조물의 절취를 위하여 이 구조물의 한쪽에 줄을 장착하며, 생리용기의 다른 한 격벽에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이 시일링이 가능한 구조인 마개를 설치하고 이 마개의 중앙으로 절취 가능한 개구부의 밀폐구조물에 연결된 줄을 관통시켜 본 장치를 질에 삽입할 때까지 진공이 유지가 되게 하여 질에 안착시킨 후, 줄을 당겨 밀폐구조물을 제거함에 의하여 자궁 및 질 내의 압력과 용기 내의 압력에 차이를 발생시켜 자궁 분비물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체적팽창을 이용하여 저압을 발생시키는 생리용기에 있어서 생리용기의 체적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복원력을 가진 기구물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3항, 4항, 5항, 6항에 있어서, 생리용기를 질 밖으로 이탈시키기 위한 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3항, 4항, 5항, 6항에 있어서, 생리용기를 질 외부에서 삽입한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에 부착시켜 질 외로 이탈시키기 위하여 생리용기의 격벽이나 유출제어밸브의 밸브바디 또는 밸브에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를 매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생리용기를 질 밖으로 이탈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생리용기 내의 분비물을 질 밖으로 배출 가능하게 생리용기의 격벽에 유출로를 설치하고 설치된 유출로에 자연적인 상태 또는 설정된 생리용기의 대기압 이상의 내압 상태에서는 폐쇄상태이나 외력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에만 개방이 가능한 유출제어밸브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용기내부의 강한 저압이 질 내에 직접 작용하여 질 내에 강한 저압이 걸리는 것을 조정하기 위하여, 질 내에 걸리는 압력이 용기내의 압력보다 높은 상태에서 질과 용기의 공간을 차폐하여 질 내에 작용하는 저압을 적절한 압력으로 조정해 줄 수 있는 압력조정밸브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체적팽창으로 저압을 발생시키는 생리용기에 있어서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력을 가진 기구물을 사용하는 경우 생리용기 내에 형성되는 저압의 차이를 최소화시켜 주기 위하여, 생리용기 신축용 스프링의 양 끝단 또는 스프링 양 끝단에 접촉이 발생되는 생리용기 부위의 적정위치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거나 한 끝단에 영구자석 또 다른 한 끝단에는 자성체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정장치가 설치된 생리용기
- 2장의 고신축성 소재가 2겹으로 겹쳐진 상태로 생리용기에 부착되어 겹쳐진 부분중 일정부분은 분비물의 유입을 위하여 접착을 하지 않고 나머지 부분은 두 겹의 소재를 접착시켜, 생리용기내의 압력이 저압일 경우 생리용기 내부로 분비물의 유입을 허용하고 생리용기 내부가 대기압 또는 질내 압력 이상의 고압이 될 경우에는 분비물의 생리용기 외 유출이 차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격막 흡입구가 설치된 생리용기
- 유입된 분비물의 질 내 재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3항, 4항, 6항에 있어서 생리용기를 세척 및 소독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생리용기의 밸브바디가 분리될 수 있고 또한 생리용기의 내부 중공부를 구획 지어 분리하는 격벽을 중심으로 아래, 위를 각각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어 해체 및 재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강성격벽에 형성된 소개구부가 직접 자궁경부 또는 질에 접촉이 발생되지 않고 자궁경부 또는 질 부가 저압에 의하여 협착되지 않게 도6, 도8, 도18, 도24, 도25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개구부의 상단에 소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2차 대개구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3항, 4항, 6항에 있어서 중간격벽 및 대개구부가, 흡입구 상부의 요면이 자궁경부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질과 자궁경부 도출 부위가 이루는 각도만큼 비스듬히 형성되어져 있는 대개구부를 가지는 각도보정자로 대체되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제 3항, 4항, 6항에 있어서 중간격벽 및 대개구부가, 흡입구 상부가 자궁경부를 수용할 수 있는 요면으로 형성되고 요면의 안쪽에 용기의 흡입구와 연결된 통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위치보정자로 대체되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 생리용기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한 실린더와, 실린더에 고정된 생리용기를 밀어 낼 수 있는 피스톤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삽입기구
- 생리용기를 질 내에 삽입하거나, 생리용기의 질 내 삽입상태에서 생리용기 내의 분비물을 체외로 제거해 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로, 생리용기의 유출제어밸브를 수용하는 홀더를 가진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진공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피스톤과, 생리용기의 유출제어밸브에 부착된 실린더를 떼어낼 수 있는 실린더 형상의 제거기로 구성된 2단 실린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진공발생 삽입기구.
- 생리용기의 질 내 삽입상태를 유지하면서 생리용기 내의 분비물을 체외로 제거해 내기 위한 기구로, 생리용기의 유출제어밸브를 수용하는 흡입기와 생리용기의 유출제어밸브에 부착된 흡입기를 생리용기에서 떼어내기 위한 제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비물 제거용 보조기구.
- 생리용기의 질 외 이탈을 목적으로 격벽 내 측에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를 매설한 생리용기를 질 외부로 이탈시키기 위하여,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가 매설된 부착판과 손잡이인 스틱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기 이탈기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7660A KR20060028349A (ko) | 2004-09-25 | 2004-09-25 | 신체 분비물 회수용 중공저압생리용기 |
PCT/KR2005/003079 WO2006033539A1 (en) | 2004-09-25 | 2005-09-16 | The vessel of menstru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7660A KR20060028349A (ko) | 2004-09-25 | 2004-09-25 | 신체 분비물 회수용 중공저압생리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8349A true KR20060028349A (ko) | 2006-03-29 |
Family
ID=3609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7660A KR20060028349A (ko) | 2004-09-25 | 2004-09-25 | 신체 분비물 회수용 중공저압생리용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28349A (ko) |
WO (1) | WO2006033539A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875A (ko) * | 2016-10-13 | 2018-04-23 | 정유진 | 내부용기가 구비된 캡슐형 생리용품 |
KR101961471B1 (ko) * | 2018-05-09 | 2019-03-25 | 주식회사 룬랩 | 생리컵용 역류방지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컵 |
KR20190105743A (ko) * | 2018-03-06 | 2019-09-18 | 박미려 | 생리혈 수집장치 |
KR20190105742A (ko) * | 2018-03-06 | 2019-09-18 | 이희준 | 생리컵 |
KR102079814B1 (ko) * | 2018-10-29 | 2020-02-20 | 신진 | 생리컵 및 생리컵 세트 |
KR20230136240A (ko) * | 2022-03-18 | 2023-09-26 | 박정휘 | 생리컵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2112155B4 (de) | 2012-12-12 | 2014-12-24 | Werner Kasper | Vorrichtung zum Aufnehmen und kontrollierten Abführen von flüssigen Ausscheidungen |
US9993371B2 (en) | 2015-06-11 | 2018-06-12 | Werner Kasper | Device for absorption and controlled discharge of liquid excretions |
KR101848206B1 (ko) * | 2017-06-29 | 2018-05-24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위생적인 착용과 혈처리가 가능한 생리컵 세트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55875A (en) * | 1987-09-11 | 1990-09-11 | Knowles Charlene G | Catamenial appliance |
DK170323B1 (da) * | 1993-03-24 | 1995-08-07 | Tonni Judith Geertsen | Indføringsrør for et vaginalbæger |
US5827248A (en) * | 1993-11-18 | 1998-10-27 | The Keeper Co., Inc. | Menstrual cup |
US6540728B2 (en) * | 1995-02-21 | 2003-04-01 | Filiberto P. Zadini | Inflatable menstrual cup for blood leakage prevention |
US6332878B1 (en) * | 1999-09-02 | 2001-12-25 | Moonstruck, Llc |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containing menstrual flow |
KR20030081219A (ko) * | 2003-08-29 | 2003-10-17 | 홍순호 | 여성 질 내 삽입 형 생리 컵 |
-
2004
- 2004-09-25 KR KR1020040077660A patent/KR2006002834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
- 2005-09-16 WO PCT/KR2005/003079 patent/WO200603353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875A (ko) * | 2016-10-13 | 2018-04-23 | 정유진 | 내부용기가 구비된 캡슐형 생리용품 |
KR20190105743A (ko) * | 2018-03-06 | 2019-09-18 | 박미려 | 생리혈 수집장치 |
KR20190105742A (ko) * | 2018-03-06 | 2019-09-18 | 이희준 | 생리컵 |
KR101961471B1 (ko) * | 2018-05-09 | 2019-03-25 | 주식회사 룬랩 | 생리컵용 역류방지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컵 |
WO2019216483A1 (ko) * | 2018-05-09 | 2019-11-14 | 주식회사 룬랩 | 생리컵용 역류방지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컵 |
KR102079814B1 (ko) * | 2018-10-29 | 2020-02-20 | 신진 | 생리컵 및 생리컵 세트 |
KR20230136240A (ko) * | 2022-03-18 | 2023-09-26 | 박정휘 | 생리컵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6033539A1 (en) | 2006-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89533A (en) | Female urinary collection devices having hollow-walled filled urine receptacles | |
JP2024113143A (ja) | 体液収集装置 | |
US6183454B1 (en) | Externally supported female urinary collector | |
US4957487A (en) | External male urinary catheter and collection system | |
RU2362522C2 (ru) | Изделие для поглощения выделений тела | |
US6592560B2 (en) | Urine retention and collection devices for incontinent women | |
US4270539A (en) | Urine collection apparatus | |
US20170196726A1 (en) | Unisex external urine collection apparatus | |
US20080091153A1 (en) | Automatic self cleaning bladder relief with diaper pad system | |
WO1990000379A1 (en) | Ladies external catheter assembly | |
US20120029452A1 (en) | Urine collection system | |
US9867732B2 (en) | Body fluid management system | |
EA006587B1 (ru) |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опорожнения мочевого пузыря | |
WO2011132043A1 (en) | Liquid handling system designed to extract liquids from capillary structures using a vacuum source or a vacuum generator to be used on diapers and the like | |
WO2006033539A1 (en) | The vessel of menstruation | |
US20080243097A1 (en) | Male incontinency device | |
JPS63501268A (ja) | 人間の排出物の収集装置 | |
US20210338474A1 (en) | Catamenial fluid removal | |
US6716181B2 (en) | Female urinary device | |
RU197838U1 (ru) | Универсальное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отведения мочи у женщин | |
WO2002080827A1 (en) | Menstrual fluid collection device | |
JPH04500471A (ja) | 尿排泄装置 | |
KR200486827Y1 (ko) | 소변 흡수용 팩 | |
KR20080083964A (ko) |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 |
KR102422475B1 (ko) | 여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