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964A -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964A
KR20080083964A KR1020070024898A KR20070024898A KR20080083964A KR 20080083964 A KR20080083964 A KR 20080083964A KR 1020070024898 A KR1020070024898 A KR 1020070024898A KR 20070024898 A KR20070024898 A KR 20070024898A KR 20080083964 A KR20080083964 A KR 2008008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female
discharge
induction par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456B1 (ko
Inventor
금희자
Original Assignee
금희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희자 filed Critical 금희자
Priority to KR102007002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4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0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2W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여성용 소변보조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10), 배출부(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배출부(10)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12), 유도부(12)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유도부(12)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1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변보조기구는 유도부(12)가 여성의 소음순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유도부(12)의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은 여성의 질 입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질, 소음순

Description

여성용 소변보조기구{URINE UTENSIL FOR WOMEN}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기립식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3의 여성용 소변보조기구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출부 11: 배출통로
12: 유도부 13: 볼록부
14: 분리부 15: 날개
16: 바닥부 17: 지지부
본 발명은 여성들이 앉은 자세에서 위생적으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신체구조는 요도가 음부의 소음순 속에 감추어져 있는 특성 때문에 소변을 볼 때에 소변이 요도 주위나 엉덩이 쪽으로 흘러내린다. 이로 인하여 질 입구뿐만 아니라 여성의 외음부 전체 및 항문 등의 전반적인 위생관리가 어렵고 여성에게는 불쾌감을 주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 여성들은 대부분 소변을 볼 때 휴지로 요도 주위에 묻은 소변을 닦아내어 청결을 유지하지만 그리 만족할 만한 해결책이 아니다.
또한, 비데의 보급이 급증함에 따라 소변을 보고 난 후에 바로 성기를 세척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지만, 비데를 사용할 경우에 여성의 몸에 유익한 균인 락토바실러스가 씻겨 나가게 되므로 질염에 걸릴 뿐만 아니라 방광염이나 요도염이 걸릴 확률도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미국특허 제6,434,757호(상표명 Magic Con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23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573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90802호 등에는 산이나 야외 등의 화장실이 없는 공공 장소에서 소변을 보아야 하는 경우, 또는 공중 화장실의 청결하지 못한 변기에의 접촉을 피해서 소변을 보아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사각뿔 내지 나팔 형상의 여성용 소변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90802호에 개시된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들이 선 자세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도에 밀착 지지되는 유입구(1)와 관통되도록 유출구(3)를 형성하고 유입구(1)의 외측에 커버체(2)를 형성하며, 좌우 길이가 긴 배출부(9)을 유출구(3)에 결합하여 구성된 소변보조기구에 있어서, 커버체(2)의 입구측이 볼록한 형상의 밀착면(8)을 형성하고 밀착면(8)의 중앙부에 유입구(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소변보조기구는 유입공(4)의 외주부에 있는 원형의 밀착돌기(5)를 직접 요도에 밀착함으로 인하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우선, 여성들 스스로 요도구(즉, 요도 입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변보조기구의 유입공을 정확하게 요도에 맞추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신체 구조상 여성의 요도는 질 입구에 비해 소음순 상단의 안쪽에 감추어져 있고 요도의 크기가 작으며 신경 분포가 적기 때문이다. 참고로 여성의 요도구는 음핵에서 약 2.5cm 아래 부분에 있으며, 요도구 하부에는 생식기관으로 통하는 질 입구가 위치해 있다.
따라서, 도 1의 소변보조기구는 기본적으로 소변이 다른 신체 부위로 샐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소변보조기구를 운 좋게 요도구에 맞추었다고 하더라도 소변의 압력으로 인하여 요도가 다소 팽창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소변이 밀착돌기(5) 밖으로 새어 질 입구뿐만 아니라 소음순 둘레에 묻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소변보조 기구와 요도가 이루는 각도가 최적화되지 않으면 새는 소변의 양이 많아진다.
그리고, 기구를 요도구에 직접 조준함으로써 압착한다는 것은 여성에게 심한 불쾌감과 방광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변보조기구를 여성의 질 입구에 맞춤으로써 소변이 새지 않고 이에 따라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한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상기 유도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는 여성의 소음순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도부의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은 여성의 질 입구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는 여성의 소음순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도부 내에는 여성의 질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유도부가 상기 질 입구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도부에는 소변으로부터 상기 질 입구를 보호하기 위한 분리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와 상기 배출부의 연결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부가 여성의 신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의 말단은 여성의 신체를 보호하도록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도부의 말단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 있어서 그 구조 내지는 실시예는 여성이 앉아서 소변을 보는 데 도움을 주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지만, 본 발명의 적용범위가 굳이 여성들이 앉아서 소변을 보는 데에 한정할 필요는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즉, 공공장소에서 소변기의 불청결함으로 인하여 여성들이 서서 소변을 봐야 하는 경우, 병원에서 여성 환자들이 소변을 봐야 하는 경우, 장거리 교통수단 이용시 소변을 봐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크기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10), 배출부(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배출부(10)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12) 및 유도부(12)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유도부(12)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분리부(14)를 기준으로 오른쪽은 요도구(19)에 대응하여 소변이 배출되는 공간이고 왼쪽은 질 입구(20)에 대응하여 소변으로부터 질 입구(20)를 보호하는 공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분리부(14)로 공간이 양분화된 유도부(12)의 말단이 소음순(18)을 둘러싸고 있으며, 두 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은 질 입구(20)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소음순은 좌우 대음순의 안쪽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털이 없는 얇은 피부주름으로서, 앞쪽은 음핵을 덮는 모양으로 시작되어 요도구와 질 입구를 감싸고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소변보조기구를 직접 요도에 삽입하는 방식과는 큰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여, 질 입구가 요도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훨씬 크고 신경 분포가 많은 관계로 여성은 자신의 질 입구를 인식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유도부의 일부 공간을 질 입구에 맞추면 나머지 공간은 자연스럽게 요도에 맞추어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 다.
한편, 분리부(14)는 유도부(12)의 공간을 양분하여 그 중 하나의 공간으로 소변의 직접적인 배출을 유도함과 아울러 소변이 질 입구(20)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설령 분리부(14)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질 입구(20) 쪽으로 새어 나왔다고 하더라도 유도부(12)의 양분된 공간의 한쪽 말단은 모두 배출부(1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유도부(12)와 배출부(10)의 교차지점 부근에는 날개(15)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상기 날개(15) 부위를 손으로 잡고 유도부(12)가 여성의 신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즉, 여성이 소변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소변을 볼 때에 날개를 잡은 상태에서 자신의 신체를 소변보조기구에 밀착시키게 된다.
유도부(12)와 분리부(14)의 말단은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도부(12)와 분리부(14)의 말단에 원형의 볼록부(13)를 부가할 수 있다.
이는 소변보조기구를 사용할 때 여성의 예민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소음순에 직접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두툼하고 둥글며 매끄럽게 처리하여 여성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유도부(12)가 여성의 신체에 확실히 밀착되게 함으로써 소변이 소음순(18) 밖으로 새나가거나 질 입구(20) 쪽으로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10), 배출부(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배출부(10)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12), 소변으로부터 질 입구(20)를 보호하기 위한 분리부(14), 질 입구(20)에 밀착되어 유도부(12)가 질 입구(20)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바닥부(16) 상에 설치되는 지지부(1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부(14)를 기준으로 오른쪽은 요도구(19)에 대응하여 소변이 배출되는 공간이고 왼쪽은 질 입구(20)에 대응하여 소변으로부터 질 입구(20)를 보호하는 공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분리부(14)로 공간이 양분화된 유도부(12)의 말단이 소음순(18)을 둘러싸고 있으며, 두 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 설치된 지지부(17)가 질 입구(20)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지지부(17)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을 좀 더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지지부(17)를 질 입구(20)에 조준하여 밀착시킴으로써 지지부가 없는 경우보다 더 용이하게 소변보조기구를 요도구에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17)가 질 입구(20)를 봉쇄하고 있기 때문에 소변이 질 입구(20)로 흘러가는 것을 2중 3중으로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 외에 제2 실시예에서 볼록부(13), 분리부(14) 및 날개(15)의 역할은 재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 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12)의 표면 상에 지지부(17)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3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 및 이로부터 도출되는 효과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다만, 제3 실시예의 경우 제2 실시예의 경우보다 신체 친화적이라는 장점은 있다.
도 5는 도 3의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여성용 소변보조기구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12)의 일측이 타측보다 경사가 완만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요도구(19)로부터 소변이 나오는 통로 쪽의 유도부(12)의 경사를 반대쪽보다 더 급하게 함으로써 여성의 신체 구조에 맞게 소변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분리부(14)의 길이는 바닥부(16)나 지지부(17)의 존재 여부나 바닥부(16)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는 질 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별도의 지지부(17)가 없기 때문에 분리부(14)는 배출부(10)의 방향으로 적절한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이에 반하여 제2 실시예의 경우는 질 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바닥부(16)와 지지부(17)가 있기 때문에 분리부(14)는 바닥부(16)에서 끝나는 것이 비용 절감 차원에서 바람직하다(도 3 참조). 한편, 제3 실시예에서는 분리부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된다(도 4 참조).
또한, 지지부(17)는 유도부(12)의 말단보다 더 돌출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부가 질 입구에 더 용이하게 조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지지부(17)의 재질은 압축휴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소변을 다 본 후에 요도구(19)에 묻어 있는 소변을 압축휴지로 눌러줌으로써 위생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휴지는 수분 흡수력과 부피 확장력이 탁월한 화장지의 일종이다.
본 소변보조기구의 재질은 일회용으로 사용될 경우에 비용 절감 차원에서 종이라든가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병원 등에서 장기적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견고한 재질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배출부(10)의 최하단부는 소변 수집통(미도시됨)이 탈착될 수 있도록 적절히 가공될 수 있다. 소변 수집통은 본 소변보조기구가 화장실 이외의 장소에서 사용될 때 필요하다.
또한, 신체접촉 부위인 볼록부(13)의 재질은 두툼하고 둥글며 매끄럽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록부(13)의 재질만 실리콘 처리를 함으로써 좀더 신체 친화적인 소변기구를 만들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변보조기구의 사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날개(15) 부위를 손으로 쥐고 지지부(17)를 질 입구(20)에 조준한 다음 가볍게 신체를 향해 밀어올림으로써 유도부(12)의 말단부 또는 볼록부(13)가 소음순(18)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소변을 보면 된다. 요도부(19)에서 배출된 소변은 유도부(12)를 경유하여 배출부(10)의 배출통로(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소변은 본 소변보조기구의 구조상 요도구(19) 부근 이외의 다른 신체 부위로 새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 배출이 용이하고 소변이 요도구 부근 이외의 다른 신체 부위로 새지 않기 때문에 여성의 위생과 건강 증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상기 유도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는 여성의 소음순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도부의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은 여성의 질 입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와 상기 배출부의 연결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부가 여성의 신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의 말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4.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는 여성의 소음순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도부 내에는 여성의 질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유도부가 상기 질 입구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에는 소변으로부터 상기 질 입구를 보호하기 위한 분리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와 상기 배출부의 연결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부가 여성의 신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의 말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 변보조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도부의 말단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압축휴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복수회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재질은 종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KR1020070024898A 2007-03-14 2007-03-14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KR10086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898A KR100860456B1 (ko) 2007-03-14 2007-03-14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898A KR100860456B1 (ko) 2007-03-14 2007-03-14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964A true KR20080083964A (ko) 2008-09-19
KR100860456B1 KR100860456B1 (ko) 2008-09-25

Family

ID=4002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898A KR100860456B1 (ko) 2007-03-14 2007-03-14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5043A (zh) * 2022-08-31 2022-12-16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适应会阴、阴囊水肿、改善失禁性皮炎的承托稳定装置
WO2023126005A1 (zh) * 2022-01-01 2023-07-06 罗小波 一种女用体外小便导引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21B1 (ko) 2019-05-27 2021-10-07 금희자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6901A (en) * 1978-05-30 1981-01-27 Nasa Urine collection device
US4531245A (en) 1984-03-07 1985-07-30 Lowd David L Personal urinal device
US4815151A (en) 1987-04-17 1989-03-28 Ball Dianne M Urinary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19851267C1 (de) 1998-11-06 2000-03-23 Hans Guido Mutke Femurinal
US6716181B2 (en) * 2002-05-24 2004-04-06 Denco, Inc. Female urinar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6005A1 (zh) * 2022-01-01 2023-07-06 罗小波 一种女用体外小便导引器
CN115475043A (zh) * 2022-08-31 2022-12-16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适应会阴、阴囊水肿、改善失禁性皮炎的承托稳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456B1 (ko)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5242B2 (en) Urination apparatus
NL1040294C2 (en) Non-invasive urinary aid for women in a supine position.
US3864759A (en) Article to be used by human females when urinating
AU2001246679A1 (en) Urination apparatus
EP2311414A1 (en) Disposable urine bag device
KR20160117410A (ko) 삽입형 변기용 기저귀
KR100860456B1 (ko)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RU197838U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отведения мочи у женщин
KR102287819B1 (ko) 팬티에 부착되는 환자용 소변기
CN206675626U (zh) 男士导尿器
US20060248635A1 (en) Hygienic commode for ladies with reverse sitting
US20010041882A1 (en) Female urinary device
CN212756804U (zh) 一种泌尿科导料管
KR200461172Y1 (ko) 남자 환자의 소변을 받아 내는 장치
KR200191065Y1 (ko) 휴대가 용이한 환자용 소변 배출장치
RU213978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отведения мочи у женщин с листовидной мочеотводящей воронкой
KR200177867Y1 (ko) 환자용 소변기
KR102422475B1 (ko) 여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WO2010043079A1 (zh) 排尿裤结构
RU207535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отведения мочи у женщин с углублённой мочеотводящей воронкой
CN106618793B (zh) 男性尿道内置型防漏尿装置
CN204521719U (zh) 便携式助尿器
JP3085370U (ja) 女性用排尿具
JPH08150166A (ja) 病人排尿器
FI111601B (fi) Henkilökohtainen virtsausla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