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253A -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 Google Patents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253A
KR20060028253A KR1020040077344A KR20040077344A KR20060028253A KR 20060028253 A KR20060028253 A KR 20060028253A KR 1020040077344 A KR1020040077344 A KR 1020040077344A KR 20040077344 A KR20040077344 A KR 20040077344A KR 20060028253 A KR20060028253 A KR 20060028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gnal
fire detection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8253A/ko
Publication of KR2006002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화재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을 감지한 후 경보발송, 화재발생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는, 메시지 송신 기능을 가지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의 제어부로 화재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원격지로 화재경보를 통보하기 위한 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화재경보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재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의 호 제어 신호에 따른 호 연결을 수행하는 호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음성통화 및 화재경보의 송신을 위한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 화재감지부, 광트랜지스터, 발광다이오드, 화재경보

Description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A phone having a fire detector}
도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도1의 구성 중 화재감지부의 회로도이며,
도3은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전화기에서의 화재감지를 위한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제어부 2 : 화재감지부
3 : 저장부 4 : 경보발생부
5 : 호제어부 6 : 통신부
본원발명은 화재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을 감지한 후 경보발송, 화재발생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대형 건물들은 모두 소방을 위해 화재감지기 및 자체 소 화전을 구비하도록 규정되어 있어서, 화재에 대한 예방 및 조기 진화할 수 있도록 건축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집과 같은 소형 건축물에서는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일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된다. 또한, 화재의 발생 후에는 신속한 진화가 피해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이나, 화재 발생으로 발생되는 연기나 불꽃을 외부의 사람이 식별한 후 화재발생 신고에 의해 진화를 하게 되면 그 만큼 화재의 진압 시간을 놓치게 되어 대형 사고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휴대폰이나 집안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유선전화기에 화재감지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화재시 연기를 감지한 후 화재 경보를 출력하거나, 원격지로 화재발생을 통보하여 화재로 인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는, 메시지 송신 기능을 가지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의 제어부로 화재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원격지로 화재경보를 통보하기 위해 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화재경보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호 제어 신호에 따른 호 연결을 수행하는 호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한 음성통화 및 화 재경보의 송신을 위한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화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재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감지부는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출력 신호에 따라 턴온되는 광트랜지스터와 상기 광트랜지스터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 하이 신호를 입력하는 제1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1)와,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원격지로 화재경보를 통보하기 위한 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의 화재경보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3)와, 상기 제어부(2)에서 출력되는 화재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발생부(4)와, 상기 제어부의 호 제어 신호에 따른 호 연결을 수행하는 호제어부(5)와, 상기 호제어부(5)에 의해 호 연결된 후 상기 제어부(2)의 화재경보메시지를 PSTN,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100)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통신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재감지부(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로서의 광다이오드(11)와 광다이오드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광다이오드(11)의 광신호가 차단되는 경우 제어부(3)로 화재발생을 알리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오프되는 수광부로서의 광트랜지스터(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에서 도면부호 13으로 도시된 저항(R1)은 제어부(2)로 입력되는 전압값을 조절한다.
상술한 경보발생부(4)는 제어부(2)에 의한 화재감지가 있는 경우 led의 점등 또는 저장부(3)에 저장된 경보음의 출력을 수행한다.
상술한 호 제어부(5)는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의 호 연결을 수행하여 통화채널을 형성한다.
상술한 통신부(6)는 유선전화기인 경우에는 PSTN망을 통해 연결되며, 무선 망인 경우에는 RF신호처리부로 구성된다. 통신부가 RF신호처리부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는 음성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MS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의 설명에서 송수화기 및 스피커 등의 전화기의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자명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3은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전화기에서의 화재감지를 위한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전화기에서의 화재감지를 위한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의 내부에 구성되는 화재감지부(1)의 발광부로서의 광전다이오드(11)와 수광부로서의 광트랜지스터(12)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소자의 구동을 위한 기준전압(Vcc)이 인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광전다이오드(11)는 항상 광을 방출하게 되고, 광트랜지스터(12)는 광전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신호에 의해 항상 온 상태로 되어 제어부(2)의 화재감지신호 입력 포트(14)에는 항상 로우 값이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연기가 광전다이오드(11)와 광트랜지스터(12)의 사이에 차게 되어 광다이오드(11)로부터 광트랜지스터(12)로 입력되는 광의 세기가 감소하게 되며, 광의 세기가 임계세기 이하로 되는 경우 광트랜지스터(12)가 오프된다(S1). 광트랜지스터(12)가 오프되면, 저항(R1)에 의해 소정 전압이 제어부(2)의 화재감지포트(14)로 인가됨으로써 화재가 감지된다(S2).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2)는 화재경보발생부(4)를 구동하여 LED의 점등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화재경보를 출력한다(S3).
상술한 화재경보의 출력이 있은 후에, 제어부(2)는 호제어부(5)를 구동한 후 기 설정된 소방서, 또는 외부에 위치되는 사용자에게 유무선 전화기로 호 연결을 수행한 후(S4) 저장부에 저장된 화재경보를 알리는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화재를 통보하여 주는 것으로 화재감지를 위한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전화기 또는 휴대폰의 구동중에는 항상 화재 감시 기능을 수행하며, 화재 발생시에는 자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소방서, 또는 원격지의 사용자의 전화기로 화재발생을 통보함으로써 화재의 예방은 물론 화재발생시의 대형사고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메시지 송신 기능을 가지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의 제어부로 화재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원격지로 화재경보를 통보하기 위해 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화재경보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호 제어 신호에 따른 호 연결을 수행하는 호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한 음성통화 및 화재경보의 송신을 위한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재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는,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출력 신호에 따라 턴온되는 광트랜지스터와,
    상기 광트랜지스터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 하이 신호를 입력하는 제 1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는 포트를 구비한 엠에스엠으로 구성되며 상기 통신부는 RF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MS 또는 음성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KR1020040077344A 2004-09-24 2004-09-24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KR20060028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344A KR20060028253A (ko) 2004-09-24 2004-09-24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344A KR20060028253A (ko) 2004-09-24 2004-09-24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253A true KR20060028253A (ko) 2006-03-29

Family

ID=3713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344A KR20060028253A (ko) 2004-09-24 2004-09-24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82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3731B1 (en) 2014-05-15 2015-11-10 Umm Al-Qura University Emergency detection and alert device and system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1210927B2 (en) 2019-11-13 2021-12-28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 system for enabling user/s to trigger an alar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3731B1 (en) 2014-05-15 2015-11-10 Umm Al-Qura University Emergency detection and alert device and system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1210927B2 (en) 2019-11-13 2021-12-28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 system for enabling user/s to trigger an ala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796B1 (ko)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65524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멀티경보가 가능한 휴대용 소화기 거치대
US20050217872A1 (en) Fire-alarm system having self-test function
JP2005328541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100660155B1 (ko)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
JP2008204393A (ja) 照明システム
CN210324481U (zh) 一种物联网家用火灾自动报警装置
KR102315704B1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8253A (ko) 화재감지부를 구비한 전화기
KR102032333B1 (ko) 건설현장용 비상유도 경보장치
KR20170018635A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JP5008438B2 (ja) センサライト
KR101176608B1 (ko) 통합 화재 처리 장치
KR100267257B1 (ko) 음성 발신 및 백라이트 기능을 갖는 소화전 시스템
KR102074349B1 (ko) 통신 단말의 호 착신 알람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06223677A (ja) 電気機器及びガス機器制御システム
JP4518702B2 (ja) ドアホン
JP2005236855A (ja) インターホン増設スピーカ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7304700B2 (ja) 警報器
KR200484916Y1 (ko)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
KR20070076180A (ko) 화재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2006211231A (ja) 無給電中継システム及び着信表示機能付き携帯電話機ホルダ
KR20050029575A (ko) 휴대폰의 화재 경보 장치
JP6360403B2 (ja) 光警報装置及び光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