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458A -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 Google Patents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458A
KR20060027458A KR1020040076205A KR20040076205A KR20060027458A KR 20060027458 A KR20060027458 A KR 20060027458A KR 1020040076205 A KR1020040076205 A KR 1020040076205A KR 20040076205 A KR20040076205 A KR 20040076205A KR 20060027458 A KR20060027458 A KR 2006002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case
core
main cas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승
Original Assignee
최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승 filed Critical 최효승
Priority to KR1020040076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7458A/ko
Publication of KR2006002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2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with a deformabl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필기구심을 보호하는 형태의 주케이스와; 상기 주케이스와 같이 필기구심을 보호하는 형태로서 상기 주케이스의 내부에 대부분의 길이가 삽입되거나 대부분의 길이가 인출되는 형태의 전후진케이스와; 전후진케이스가 주케이스의 필기구심 돌출구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후진 인출될 경우 상기 돌출구로 그 일단이 돌출되는 필기구심과; 상기 주케이스에 항상 삽입되어 있는 전후진케이스의 일단에 연결이 되고 상기 필기구심을 지지하되 상기 필기구심의 스프링 걸림부와 같은 형상의 걸림부에 걸리는 형태로서 상기 전후진케이스가 전후진시 상기 필기구심이 스프링에 의해 반대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견인구와; 상기 견인구의 동작에 따라 필기구심이 반대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유도핀과; 필기구심을 감싸는 형태로서 주케이스에 있어서 필기구심 돌출부에 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망원경형 필기구로서 내부에 들어가 있는 전후진케이스를 후퇴시키면 길이가 두배로 늘어 나고 동시에 견인구 기구에 의해 자동적으로 필기구심이 돌출되어 곧바로 필기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게 되어 부피나 길이 측면에서의 장점과 사용상의 간편성과 필기구심이 자연스럽게 전후진함으로 해서 필기구심을 보호하는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것이다.
필기구, 케이스, 견인구

Description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projecton lead writing materials which is exten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축시 심후퇴하는 필기구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견인구의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축시 심후퇴하는 필기구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필기구의 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을 나타낸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조방지구가 부착된 심돌출 필기구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02 : 주케이스
03 : 필기구심 04 : 전후진케이스
05 : 스프링 06 : 견인구
63 : 건조방지구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길이가 절반 정도로 짧아진 상태에서 보관하고 필기할 경우에 내부에 들어간 케이스를 인출하여 길게 하는 망원경형 내지는 지시봉형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의 대부분이 주케이스 내부에 들어가 있는 전후진케이스가 바깥으로 신장될 때 주케이스 내부에 있는 필기구심이 주케이스 심구멍을 통하여 돌출하여 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신장시 돌출심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는 망원경형 내지는 지시봉형 케이스를 가지는 필기구가 있고 절반 크기의 필기구로서 케이스 내의 보조케이스를 잡아 댕기면 보조케이스 안에 있는 또다른 보조케이스가 망원경 케이스와 같이 신장되어 전장을 길게 하는 필기구가 있다. 전자의 경우 필기구 심을 보호하는 뚜껑부를 별도로 가져야 하는 단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 필기구가 완전히 분리가 되어 사용에 있어서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유사한 필기구의 경우 글씨가 써지는 필기구심이 위치하는 케이스의 직경이 그렇지 않은 케이스의 직경보다 가늘어 쥐는 불편함이 있다.
또다른 종레기술로서는 본 발명자의 발명으로서 건조 방지구가 있는 필기구가 있다. 상기 건조방지구가 있는 필기구의 경우 기존의 길이가 긴 필기구에 적용된 형태로서 건조방지구가 있는 캡을 손가락으로 움직여 열고 닫어야 하기 때문에 비록 건조방지의 역활에 있어서는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할 수는 있으나 불편한 점을 개량했다고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와 필기구심으로 이루어진 필기구에 있어서, 길이를 늘일 경우에 글씨등이 써지는 필기구심의 첨단이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고 전장을 줄일 경우 글씨등이 써지는 필기구심의 첨단이 케이스 안으로 들어가는 기구수단을 구비한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필기구는 망원경형 내지는 지시봉형 필기구로서, 필기구심을 보호하는 형태의 주케이스와; 상기 주케이스와 같이 필기구심을 보호하는 형태로서 상기 주케이스의 내부에 대부분의 길이가 삽입되거나 대부분의 길이가 인출되는 형태의 전후진케이스와; 전후진케이스가 주케이스의 필기구심 돌출구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후진 인출될 경우 상기 돌출구로 그 일단이 돌출되는 필기구심과; 상기 기구수단으로서 상기 주케이스에 항상 삽입되어 있는 전후진케이스의 일단에 연결이 되고 상기 필기구심을 지지하되 상기 필기구심의 스프링 걸림부와 같은 형상의 걸림부에 걸리는 형태로서 상기 전후진케이스가 전후진시 상기 필기구심이 스프링에 의해 반대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견인구와; 상기 견인구의 동작에 따라 필기구심이 반대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유도핀과; 필기구심을 감싸는 형태로서 주케이스에 있어서 필기구심 돌출부에 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후진케이스의 인출 삽입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것으로서, 주케이스 내면에 1개 이상 전후진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전후진케이스의 주케이스 삽입단부에 설치된 가이드핀과; 전후진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되었을 시 옆방향으로 돌려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홈을 이탈하고 다른 가이드홈으로서 전후진케이스가 삽입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가이드홈이 있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서, 상기 견인구는 탄성 또는 비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서, 상기 주케이스는 필기구심 돌출구 부위가 캡 형태로서 나사 분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주케이스의 글씨등이 써지는 필기구심 돌출구에 잉크등의 건조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서, 상기 건조방지수단이 필기구심이 후퇴되어 있을 경우 필기구심 첨단의 경사면에 밀착된 밀착부와 상기 주케이스의 필기구심의 돌출구에 역테이퍼 형상으로 끼워지는 역테이퍼골부와 필기구심의 첨단부로서 잉크등이 나오는 부위와 비접촉을 이루게 하는 공간부와 필기를 하기 위하여 필기구심을 돌출할 시 열리고 필기구심이 들어가 원상태가 되었을 시 닫혀 있는 형태가 되는 개폐구로 이루어진 탄성체 건조방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01)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필기구심(03)을 보호하는 형태의 주케이스(02)와; 상기 주케이스와 같이 필기구심을 내부(09)에 보호하는 형태로서 상기 주케이스의 내부(14)에 대부분의 길이가 삽입되거나 대부분의 길이가 인출되는 형태의 전후진케이스(04)와; 전후진케이스가 주케이스의 필기구심 돌출구(11)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후진 인출될 경우 상기 돌출구로 그 일단(10)이 돌출되는 필기구심과; 상기 주케이스에 항상 삽입되어 있는 전후진케이스의 일단에 연결이 되고 상기 필기구심을 지지하되 상기 필기구심의 스프링(05) 걸림부(16)와 같은 형상의 걸림부에 걸리는 형태로서 상기 전후진케이스가 전후진시 상기 필기구심이 스프링(05)에 의해 반대 동작을 하도록 하 는 견인구(06)와; 상기 견인구의 동작에 따라 필기구심이 반대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유도핀(15)과; 필기구심을 감싸는 형태로서 주케이스에 있어서 필기구심 돌출부에 조합되는 스프링(5)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가이드홈(07)과 가이드핀(08)은 다음에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상기 필기구는 고리를 걸 수 있는 고리구멍(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의 필기구의 형태는 전후진케이스가 후진한 형태로서 필기구심을 지지하는 견인구가 유도핀으로 90도 내외 방향으로 유도되어 전후진케이스의 일단에 지지되어 있고 필기구심을 감싸고 있는 스프링의 압축력과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어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전후진케이스가 후진을 하면 필기구심이 반대로 전진을 하는 기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전체 필기구의 길이를 절반인 상태로 소지하면서 필기를 요할 시 두배 정도의 길이로 신장시켜 필기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 것이 장점임과 아울러 통상적으로 필요한 필기구심 보호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필기구가 2쪽 이상으로 분리되지 않는 것도 장점으로서 분실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대부분의 필기구의 경우 필기구심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동일 방향으로 눌러야 하지만 본 발명의 필기구는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오히려 글씨가 써지는 필기구심이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절반 크기의 필기구를 소지하다가 필기시에만 적정 길이로 바꾸어 필기할 경우 최소한의 구성 요소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길이가 짧은 필기구가 필요로 하는 분야는 휴대폰의 악세서리로서 필기구를 사용코자 하는 경우도 있고 코카콜라 마켓팅을 위하여 필기구를 용기에 걸어 놓을 경우 작은 사이즈의 필기구가 필요하며 그 이외 핸드백등과 같이 소지품이 많이 들어가 작은 크기의 필기구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필요하다. 아울러 수십개의 필기구를 소지하는 학생들에게도 작은 사이즈의 필기구가 폭발적으로 요구될 소지가 큰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축시 심후퇴하는 필기구(01)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주케이스(02) 내부에 전후진케이스(04)가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서 가이드핀(08)이 가이드홈(07)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견인구(6)가 축소되고 필기구심(03)이 스프링(05)에 의해 후진하여 필기구심의 일단(10)이 주케이스의 필기구심 돌출구(11)에서 후퇴한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소지한 상태에서의 필기구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견인구는 비탄성 재질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탄성 재질로 대체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21)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주케이스(02)와 전후진케이스(04) 및 필기구심(03) 그리고 견인구로서 외줄형 견인구(22)을 장착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견인구(06)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중앙의 필기구심의 지지부(31) 및 지지공(32)과 양줄부(33) 및 양줄부의 끝단부(35)를 나타내며 상기 끝단부는 상기 전후진케이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견인구는 탄성체 또는 비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41)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주케이스(02)와 전후진케이스(04)와 필기수심(42)과 스프링 걸림부(43)와 견인구(45) 걸림부(44)를 나타내며 상기 필기구심의 지지부(46)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견인구의 재질은 고무등 탄성 재질을 사용하여 신축성있는 동작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기구를 형성하게 한다. 이러한 형태는 전후진케이스가 전진한 상태에서도 견인구가 늘어 지지 않게 되어 보다 안정된 구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축시 심이 후퇴하는 필기구(41)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주케이스(02)에 전후진케이스(04)가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서 스프링에 의해 필기구심(42)이 완전히 주케이스 및 전후진케이스 내부로 들어 가고 ,견인구는 인장된 상태에서 수축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는 휴대성 내지는 소지성을 간편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어 휴대폰줄용 악세서리등에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필기구의 가이드홈(07)과 가이드핀(08)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진(51)하는 전후진케이스가 후퇴를 하면 가이드홈 말단부에서 가이드핀이 정지하게 되고 옆으로 돌리면 가이드핀을 구속하는 가이드홈을 만나게 되어 전후진케이스가 후진된 상태에서 안정되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주케이스는 상기 필기구의 원활한 조립등을 위하여 필기구심 돌출구 부위가 캡 형태로서 나사 분리 조합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두배 정도 늘어나고 줄어 드는 필기구를 설명하였지만 3단의 케이스가 적용되면 3배 내외의 길이로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형태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인출 및 삽입 고정할 수 있으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억지끼움 방식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외 필기구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 하는 방식은 일체형으로서 자라바 형식을 취할 수 있으며 'ㄱ'자로 꺽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형식을 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조방지구(63)가 부착된 심돌출 필기구(61)의 부분 단면도로서 필기구심이 후진 또는 전진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건조방지수단은 필기구심(64)이 후퇴되어 있을 경우 필기구심 첨단의 경사면(68)에 밀착된 밀착부(67)와 상기 주케이스(62)의 필기구심의 돌출구(70)에 역테이퍼 형상으로 끼워지는 역테이퍼골부(69)와 필기구심의 첨단부(69)로서 잉크등이 나오는 부위와 비접촉을 이루게 하는 공간부(65)와 필기를 하기 위하여 필기구심을 돌출할 시 열리고 필기구심이 들어가 원상태가 되었을 시 닫혀 있는 형태로 되는 개폐구(71)로 이루어진 탄성체 건조방지구인 것이다. 즉, 필기구심이 전진할 경우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필기구심의 경사면이 아닌 원통면에 탄성 확대 밀착되고 필기구심의 테이퍼부는 상기 개폐구를 뚫고 나와 필기구심의 첨단부가 드러나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와 같이 찬성 변형되는 필기구는 잦은 사용에 있어 서도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원래의 형상을 기업하는 기억소재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건조방지구는 기구적으로 이탈할 우려가 있으므로 접착제등으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건조방지구를 부착한 필기구는 잉크를 사용한 볼펜 이외에 요즘 많이 사용하는 젤펜이나 수성펜 같은 경우 유용하며 유성팬 매직펜등에도 유용하다. 아울러 화이트라고 불려 지는 수정펜에도 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건조방지 기능은 필기구의 수명을 늘려 주는 효과가 있어 소비자의 호응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만년필, 색연필, 일반연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작권으로서 사용자 설명서(저작자:최효승)에 포함되는 내용을 언급하고자 한다.
1. 전후진케이스를 뒤로 빼면 글씨등이 써지는 필기구심의 첨단이 돌출된다.
2. 전후진케이스를 뒤로 빼고 옆으로 조금 돌리면 필기가 가능한 길이로 고정된다.
3. 전후진케이스를 원위치하면 길이가 1/2로 줄어 들어 휴대하기가 간편하다.
4. 휴대폰 악세서리로 활용시 휴대폰을 손으로 잡은뒤 손가락으로 필기구를 잡고 필기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망원경형 필기구로서 내부에 들어가 있는 전후진케이스를 후퇴시키면 길이가 두배로 늘어 나고 동시에 견인구 기구에 의해 자동적으로 필기구심이 돌출되어 곧바로 필기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게 되어 부피나 길이 측면에서의 장점과 사용상의 간편성과 필기구심이 자연스럽게 전후진함으로 해서 필기구심을 보호하는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유사한 필기구의 경우 글씨가 써지는 필기구심이 위치하는 케이스의 직경이 그렇지 않은 케이스의 직경보다 가늘어 쥐는 불편함이 있으나 본 발명의 필기구는 쥐는 부분이 더 굵어 사용상 더 편리하다.
또한, 건조방지구를 부착한 필기구는 잉크를 사용한 볼펜 이외에 요즘 많이 사용하는 젤펜이나 수성펜 같은 경우 유용하며 유성팬 매직펜등에도 유용하다. 아울러 화이트라고 불려 지는 수정펜에도 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건조방지 기능은 필기구의 수명을 늘려 주는 효과가 있어 소비자의 호응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케이스와 필기구심으로 이루어진 필기구에 있어서,
    길이를 늘일 경우에 글씨등이 써지는 필기구심의 첨단이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고 전장을 줄일 경우 글씨등이 써지는 필기구심의 첨단이 케이스 안으로 들어가는 기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망원경형 내지는 지시봉형 필기구로서,
    필기구심을 보호하는 형태의 주케이스와;
    상기 주케이스와 같이 필기구심을 보호하는 형태로서 상기 주케이스의 내부에 대부분의 길이가 삽입되거나 대부분의 길이가 인출되는 형태의 전후진케이스와;
    전후진케이스가 주케이스의 필기구심 돌출구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후진 인출될 경우 상기 돌출구로 그 일단이 돌출되는 필기구심과;
    상기 기구수단으로서 상기 주케이스에 항상 삽입되어 있는 전후진케이스의 일단에 연결이 되고 상기 필기구심을 지지하되 상기 필기구심의 스프링 걸림부와 같은 형상의 걸림부에 걸리는 형태로서 상기 전후진케이스가 전후진시 상기 필기구심이 스프링에 의해 반대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견인구와;
    상기 견인구의 동작에 따라 필기구심이 반대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유도핀과;
    필기구심을 감싸는 형태로서 주케이스에 있어서 필기구심 돌출부에 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전후진케이스의 인출 삽입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것으로서,
    주케이스 내면에 1개 이상 전후진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전후진케이스의 주케이스 삽입단부에 설치된 가이드핀과;
    전후진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되었을 시 옆방향으로 돌려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홈을 이탈하고 다른 가이드홈으로서 전후진케이스가 삽입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가이드홈이 있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견인구는 탄성 또는 비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5. 제 2항에 있어서,
    주케이스는 필기구심 돌출구 부위가 캡 형태로서 나사 분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주케이스의 글씨등이 써지는 필기구심 돌출구에 잉크등의 건조 방지 기능을 수행하 는 건조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건조방지수단은 필기구심이 후퇴되어 있을 경우 필기구심 첨단의 경사면에 밀착된 밀착부와 상기 주케이스의 필기구심의 돌출구에 역테이퍼 형상으로 끼워지는 역테이퍼골부와 필기구심의 첨단부로서 잉크등이 나오는 부위와 비접촉을 이루게 하는 공간부와 필기를 하기 위하여 필기구심을 돌출할 시 열리고 필기구심이 들어가 원상태가 되었을 시 닫혀 있는 형태가 되는 개폐구로 이루어진 탄성체 건조방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8.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는 유성 볼펜, 수성 볼펜, 만년필, 수성펜, 유성펜, 젤펜, 매직펜, 화이트수정펜, 샤프펜, 색연필, 일반연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KR1020040076205A 2004-09-23 2004-09-23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KR20060027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205A KR20060027458A (ko) 2004-09-23 2004-09-23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205A KR20060027458A (ko) 2004-09-23 2004-09-23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458A true KR20060027458A (ko) 2006-03-28

Family

ID=3713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205A KR20060027458A (ko) 2004-09-23 2004-09-23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74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702B1 (ko) 2014-09-16 2015-12-16 주식회사 티케이씨 홀이 형성된 기판용 도금장치
CN109491521A (zh) * 2017-09-11 2019-03-19 宏碁股份有限公司 触控笔
KR101985135B1 (ko) * 2018-02-27 2019-05-31 강성황 골프공의 라인 마킹 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702B1 (ko) 2014-09-16 2015-12-16 주식회사 티케이씨 홀이 형성된 기판용 도금장치
CN109491521A (zh) * 2017-09-11 2019-03-19 宏碁股份有限公司 触控笔
CN109491521B (zh) * 2017-09-11 2021-09-14 宏碁股份有限公司 触控笔
KR101985135B1 (ko) * 2018-02-27 2019-05-31 강성황 골프공의 라인 마킹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9191B2 (ja) 筆記用具用アダプタ
KR100415331B1 (ko) 신축가능 필기구
KR20060027458A (ko) 신장시 심돌출 필기구
KR200424431Y1 (ko) 뚜껑이 구비된 필기구
JP3130036U (ja) 筆記具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US2057792A (en) Combination pencil and eraser
US3833307A (en) Disposable ball point pen with eraser
WO2003018328A1 (fr) Article pour l&#39;ecriture
KR100517486B1 (ko) 휘발성 잉크가 충진된 필기구
KR200172652Y1 (ko) 안전볼펜
KR880000274Y1 (ko) 볼펜에 내장된 부채
JP4242860B2 (ja) 芯先隠蔽式ボールペン
KR20200050447A (ko) 피스톤식 연필 끼우개
CN201002430Y (zh) 防折粉笔护套
KR200244634Y1 (ko) 수정액이 구비된 펜
KR200391848Y1 (ko) 노크식 볼펜
JPS6325187Y2 (ko)
KR200284033Y1 (ko) 부착식 보드 마커
KR200168106Y1 (ko) 녹크식 중성펜의 장치 기구
KR20090002151U (ko) 미니 볼펜
KR200322517Y1 (ko) 연필용 기능성 뚜껑
KR20100132880A (ko) 미니 볼펜
JPS585299A (ja) 筆記具
KR880001959Y1 (ko) 2중 녹크식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