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231A -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 - Google Patents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231A
KR20060027231A KR1020040076094A KR20040076094A KR20060027231A KR 20060027231 A KR20060027231 A KR 20060027231A KR 1020040076094 A KR1020040076094 A KR 1020040076094A KR 20040076094 A KR20040076094 A KR 20040076094A KR 20060027231 A KR20060027231 A KR 20060027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ment
cutting
needle
cu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탁
Original Assignee
오순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순탁 filed Critical 오순탁
Priority to KR102004007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7231A/ko
Publication of KR2006002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7Double-armed sutures, i.e. sutures having a needle attached to each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08J-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힘줄 및 인대의 절단된 부위를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하고, 연결된 후에 재접합부위의 파열이 방지되며, 동시에 힘줄 및 인대의 외부면으로 인대고정사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힘줄 또는 인대가 끊어져 형성되는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된 인대고정사의 선단에 부착된 제1바늘을 상기 제1절단부의 절단면에서 축방향으로 삽입한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의 선단이 상기 제1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바늘을 뽑아내는 단계와;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된 상기 인대고정사의 후단에 부착된 제2바늘을 상기 제2절단부의 절단면에서 축방향으로 삽입한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의 후단이 상기 제2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절단면이 상호 맞닿도록 상기 제2바늘을 뽑아내는 단계와; 상기 인대고정사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된 상기 인대고정사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힘줄, 인대, 절단, 연결, 절단수지, 접합, 수술

Description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Method and instrument for connecting a severed tendon or ligament}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하는 방법을 보인 측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하는 도구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종래의 일예를 보인 측방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종래의 다른 예를 보인 측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대고정사
11 : 제1경사돌기 12 : 제2경사돌기 13 : 중앙표시부
20 : 제1바늘 30 : 제2바늘
본 발명은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힘줄 및 인대의 절단된 부위를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면서 견고하 게 연결하고, 연결된 후에 재접합부위의 파열이 방지되며, 동시에 힘줄 및 인대의 외부면으로 인대고정사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힘줄은 건(腱 : tendon)이라고 하며 근육을 뼈에 들러붙어 있게 하는 끈 모양의 흰 섬유질 조직을 말하는 것이고, 인대(靭帶 : ligament)는 뼈를 잇는 끈 모양의 결합 조직을 말하는 것으로, 상호 호환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힘줄 또는 인대가 끊어졌을 경우에 이를 연결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힘줄이나 인대의 끊어진 절단부를 상호 접근 시킨후에 한쪽의 절단부를 다른 쪽의 절단부에 봉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을 보인 일예를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하여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힘줄 또는 인대의 연결방법은 힘줄 또는 인대가 끊어져 형성되는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에서 상기 제1절단부(2a)의 외주면에 바늘(200)로 한 땀을 뜬 후에 상기 바늘(200)이 부착된 루프형태의 인대고정사(100)의 끝단에 상기 바늘(200)을 통과시켜 끝을 고정하고, 상기 바늘(200)을 상기 제1절단부(2a)의 외주면에서 그 절단면의 중앙으로 삽입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단부(2a)의 절단면 중앙을 통과한 바늘(200)은 제2절단부(2b)의 절단면 중앙으로 삽입된 후에 상기 제2절단부(2b)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뽑아내고, 상기 바늘(200)과 함께 상기 제2절단부(2b)의 외주면으로 노출된 인대고정사(100)의 한 가닥을 가위로 절단하게 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인대고정사(100) 이외의 다른 가닥의 인대고정사(100)에 부착된 바늘(200)로 제2절단부(2b)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한 땀을 뜬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100)를 동시에 잡아 당겨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절단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가 밀착된 후에 바늘(200)이 부착된 인대고정사(100)를 절단하고 미리 절단된 인대고정사(100)와 매듭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맞닿은 절단면을 봉합사(300)로 꿰매어 봉합을 함으로써 연결을 한다.
또한, 종래의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을 보인 다른 예를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하여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은 힘줄 또는 인대가 끊어져 형성되는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에서 상기 제2절단부(2b)의 절단면 상부에 인대고정사(100)의 끝단에 부착된 바늘(200)을 삽입하여 그 대응되는 외주면으로 한 땀을 뜨고, 상기 바늘(200)을 상기 제2절단부(2b)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그 대응되는 하부 외주면에 다시 한 땀을 뜨며, 그 다음에 상기 제2절단부(2b)의 절단면의 하부측으로 상기 바늘(200)을 뽑아낸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단부(2b)의 절단면으로 뽑아낸 바늘(200)은 제1절단부(2a)의 절단면 하부로 삽입된 후에 그에 대응되는 하부 외주면을 관통하여 한 땀을 뜨고, 상기 바늘(200)을 상기 제1절단부(2a)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그 대응되는 상부 외주면에 다시 한 땀을 뜨며, 그 다음에 상기 제1절단부(2a)의 절단 면 상부로 상기 바늘(200)을 뽑아낸다.
그리고, 상기 바늘(200)을 뽑아낸 후에 상기 바늘(200)이 부착된 인대고정사(100)를 절단하고, 절단된 인대고정사(100)와 상기 인대고정사(100)의 끝단에 매듭을 형성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이 형성된 인대고정사(100)를 잡아당겨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절단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한 다음에 상기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맞닿는 절단면 둘레로 봉합사(300)로 꿰매어 봉합을 함으로써 연결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인대고정사를 통해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데는 복잡한 시술이 필요하여 그 연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절단된 수지(손가락) 등의 접합 수술의 경우에는 절단된 다수의 힘줄을 한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해야 함으로 수술 시간의 단축 즉 연결하는 시간의 단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대고정사가 힘줄 또는 인대의 절단부에 한 땀으로 꿰매어져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연결이 완료된 후에 접합된 힘줄 또는 인대에 인장력이 발생되면 인대고정사 자체가 꿰매어진 힘줄 또는 인대의 부위를 찢어지게 하여 상기 인대고정사에 의한 고정력이 완화되면서 재접합된 부위가 쉽게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대고정사가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으로 한 땀으로 꿰매어져 노출되고 그 절단면의 둘레로 봉합사가 노출됨으로써, 그 노출된 부위가 근 섬유와 유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유착은 힘줄 또는 인대의 고유한 작용 즉 뼈의 굴절운동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고, 그에 따라 힘줄 또는 인대의 유착부위를 절리하는 수술이 별도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힘줄 및 인대의 절단된 부위를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하고, 연결된 후에 재접합부위의 파열이 방지되며, 동시에 힘줄 및 인대의 외부면으로 인대고정사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된 힘줄 및 인대의 결합성 및 견고성이 보다 증대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대고정사의 중앙이 보다 손쉽게 구별되어 보다 정밀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대고정사가 인체에 흡수되어 힘줄 및 인대의 접합이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은 힘줄 또는 인대가 끊어져 형성되는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된 인대고정사의 선단에 부착된 제1바늘을 상기 제1절단부의 절단면에서 축방향으로 삽입한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의 선 단이 상기 제1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바늘을 뽑아내는 단계와;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된 상기 인대고정사의 후단에 부착된 제2바늘을 상기 제2절단부의 절단면에서 축방향으로 삽입한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의 후단이 상기 제2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절단면이 상호 맞닿도록 상기 제2바늘을 뽑아내는 단계와; 상기 인대고정사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된 상기 인대고정사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늘을 뽑아낸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의 후단을 잡아당겨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절단면이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대고정사를 절단한 후에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상호 맞닿는 절단면의 둘레를 봉합사로 꿰매어 봉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바늘과 제2바늘은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절단면의 중앙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방향과 직교되게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반경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도구는 선단에서 중앙부위까지 외주면 둘레에 선단을 따라 경사진 다수의 제1경사돌기가 형성되고, 중앙부위에서 후단까지 외주면 둘레에 후단을 따라 경사진 다수의 제2경사돌기가 형성되어 선단과 후단에서 그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 되는 세사 형태의 인대고정사와; 상기 인대고정사의 선단과 후단에 부착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굽혀진 제1바늘 및 제2바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대고정사의 중앙부위를 식별하도록 상기 인대고정사의 중앙부위에 중앙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대고정사는 소정의 시간 후에 인체에 흡수되는 인체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하는 방법을 보인 측방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은 힘줄 또는 인대가 끊어져 형성되는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에서 상기 제1절단부(2a)의 중앙으로 인대고정사(10)의 선단에 부착된 제1바늘(20)을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진행시킨 후에 상기 제1절단부(2a)의 반경방향으로 진행시켜 상기 제1바늘(20)을 상기 제1절단부(2a)의 외부면으로 뽑아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바늘(20)은 인대고정사(10)의 외부면에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제1경사돌기(11)가 제1절단부(2a)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뽑아내어지고, 상기 인대고정사(10)의 후단으로 상기 제1경사돌기(1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경사돌기(12)와 상기 인대고정사(10)의 후단에 부착된 제2바늘(30)은 남게 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늘(20)이 제1절단부(2a)를 관통하여 인대고정사(10)의 일측이 상기 제1절단부(2a)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대고정사(10)의 후단에 부착된 제2바늘(30)을 제2절단부(2b)의 절단면 중앙으로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진행시킨 후에 상기 제2절단부(2b)의 반경방향으로 진행시켜 상기 제2바늘(30)을 상기 제2절단부(2b)의 외부면을 뽑아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바늘(30)은 인대고정사(10)의 외부면에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제2경사돌기(12)가 제2절단부(2b)에 완전히 삽입되면서 상기 제2절단부(2b)의 절단면에 제1절단부(2a)의 절단면이 맞닿도록 뽑아내어진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늘(30)이 제2절단부(2b)를 관통하여 인대고정사(10)의 타측이 상기 제2절단부(2b)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바늘(30)이 부착된 상기 인대고정사(10)를 집게로 잡아당겨 상기 제2절단부(2b)의 절단면과 제1절단부(2a)의 절단면이 밀착된 상태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절단부(2a)에 삽입된 인대고정사(10)는 제1경사돌기(11)에 의해 역방향으로 진행이 방지된 상태로 제2절단부(2b)에 삽입된 인대고정사(10)의 당김에 의해 상기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절단면이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가압하는 과정은 별도로 시행되어야 하는 과정은 아니고 제2바늘(30)을 제2절단부(2b)의 외부면으로 뽑아내면서 동시에 행해져도 무방하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대고정사(10)에 의한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가압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외부면으로 노출된 인대고정사(10)를 가위로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절단에 의해 상기 인대고정사(10)가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노출된 인대고정사(10)에 의한 근섬유와 인대 또는 힘줄의 외부면과의 유착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대고정사(10)를 절단한 후에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상호 맞닿는 절단면의 둘레를 봉합사(40)로 꿰매어 봉합을 하게 된다.
상기 봉합사(40)로 봉합하는 과정은 반드시 시술되어야 하는 과정은 아니고 그 생략이 가능하며, 유착증이 비교적 적게 발생되는 힘줄 또는 인대에서 그 접합되는 부위의 견고성을 향상하기 위해 시술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결 방법은 제1바늘(20)과 제2바늘(30)이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절단면의 중앙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방향과 직교되게 상기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의 반경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상기 제1바늘(20)과 제2바늘(30)의 진행방향에 의해 인대고정사(10)가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에 직교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인장력이 현저히 증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결 방법은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빠른 시간내에 손쉬우면서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동시에 시술후에 유착증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하는 도구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도구는 세사 형태의 인대고정사(10)와,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양단에 부착된 제1바늘(20) 및 제2바늘(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대고정사(10)는 그 선단에서 중앙부위까지 제1바늘(20)의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진 다수의 제1경사돌기(11)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위에서 후단까지 제2바늘(30)의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진 제2경사돌기(1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인대고정사(10)는 힘줄 또는 인대가 끊어져 형성되는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1경사돌기(11)는 제1바늘(20)의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인대고정사(10)의 선단이 제1절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역방향으로 진행될 때 상기 제1경사돌기(11)가 상기 제1절단부의 내부면에 걸리면서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선단이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돌기(12)는 제2바늘(30)의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인대고정사(10)의 후단이 제2절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역방향으로 진행될 때 상기 제2경사돌기(12)가 상기 제2절단부의 내부면에 걸리면서 상기 인대고정사(10)의 후단이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바늘(20)과 제2바늘(30)은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의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에 인대고정사(10)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바늘(20)과 제2바늘(30)은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에 인대고 정사를 원활히 삽입시키도록 소정의 곡률로 굽혀진 공지의 봉합바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인대고정사(10)는 소정의 시간후에 인체에 흡수되는 인체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상기 인대고정사(10)에 의해 힘줄 또는 인대의 절단부가 고정되어 소정의 시간이 지나서 재접합된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10)가 생분해됨으로써, 상기 인대고정사(10)에 의해 힘줄 또는 인대의 자체 부피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자연스러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도구는 제1바늘(20)을 이용하여 제1절단부(2a)에 인대고정사(10)의 선단에서 중앙부위까지 삽입하고, 상기 인대고정사(10)의 후단에 부착된 제2바늘(30)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절단부(2b)에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중앙부에서 후단까지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절단부(2a)에 인대고정사(10)의 선단이 삽입되면 그 외부면에 형성된 제1경사돌기(11)에 의해 상기 인대고정사(10)가 역방향으로 진행이 방지되어 상기 제1절단부(2a)에 삽입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절단부(2b)에 인대고정사(10)의 후단이 삽입되면 그 외부면에 형성된 제2경사돌기(12)에 의해 상기 인대고정사(10)가 역방향으로 진행이 방지되어 상기 제2절단부(2b)에 삽입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대고정사(10)는 그 선단과 후단이 제1절단부(2a)와 제2절 단부(2b)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되어 상기 제1절단부(2a)와 제2절단부(2b)를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의 접합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도구는 세사 형태의 인대고정사(10)와,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양단에 부착된 제1바늘(20) 및 제2바늘(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대고정사(10)는 그 선단에서 중앙부위까지 제1바늘(20)의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진 다수의 제1경사돌기(11)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위에서 후단까지 제2바늘(30)의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진 제2경사돌기(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돌기(11)와 제2경사돌기(12)가 구별되도록 그 중앙에 중앙표시부(1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앙표시부(13)는 인대고정사(10)의 외부면으로 제1경사돌기(11)와 제2경사돌기(12)가 형성된 부위를 사용자가 손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중앙표시부(13)에 의해 상기 제1경사돌기(11)가 형성된 상기 인대고정사(10)를 제1절단부에 보다 손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중앙표시부(13)는 제1경사돌기(11)가 형성된 인대고정사(10)가 제1절단부에 삽입되는 위치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중앙표시부(13)는 인대고정사(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시에 상기 인대고정사(10)와 다른 색깔을 가져 그 판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힘줄 및 인대의 절단된 부위를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하고, 연결된 후에 재접합부위의 파열이 방지되며, 동시에 힘줄 및 인대의 외부면으로 인대고정사의 노출이 방지되며, 그에 따라 절단수지의 접합수술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지고 노출된 인대고정사로 인한 힘줄 및 인대의 유착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부가 밀착되도록 가압한 후에 봉합함으로써 절단된 힘줄 및 인대의 결합성 및 견고성이 보다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대고정사의 중앙이 보다 손쉽게 구별되어 보다 정밀한 시술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대고정사가 인체에 흡수되어 힘줄 및 인대의 접합이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인대고정사로 인해 발생되는 유착 등 후발적인 증상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힘줄 또는 인대가 끊어져 형성되는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된 인대고정사의 선단에 부착된 제1바늘을 상기 제1절단부의 절단면에서 축방향으로 삽입한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의 선단이 상기 제1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바늘을 뽑아내는 단계와;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된 상기 인대고정사의 후단에 부착된 제2바늘을 상기 제2절단부의 절단면에서 축방향으로 삽입한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의 후단이 상기 제2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절단면이 상호 맞닿도록 상기 제2바늘을 뽑아내는 단계와;
    상기 인대고정사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외부면으로 노출된 상기 인대고정사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늘을 뽑아낸 후에 상기 인대고정사의 후단을 잡아당겨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절단면이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대고정사를 절단한 후에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상호 맞닿는 절단면의 둘레를 봉합사로 꿰매어 봉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늘과 제2바늘은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절단면의 중앙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방향과 직교되게 상기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반경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5. 선단에서 중앙부위까지 외주면 둘레에 선단을 따라 경사진 다수의 제1경사돌기(11)가 형성되고, 중앙부위에서 후단까지 외주면 둘레에 후단을 따라 경사진 다수의 제2경사돌기(12)가 형성되어 선단과 후단에서 그 역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되는 세사 형태의 인대고정사(10)와;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선단과 후단에 부착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굽혀진 제1바늘(20) 및 제2바늘(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중앙부위를 식별하도록 상기 인대고정사(10)의 중앙 부위에 중앙표시부(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도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대고정사(10)는 소정의 시간 후에 인체에 흡수되는 인체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도구.
KR1020040076094A 2004-09-22 2004-09-22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 KR20060027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094A KR20060027231A (ko) 2004-09-22 2004-09-22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094A KR20060027231A (ko) 2004-09-22 2004-09-22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231A true KR20060027231A (ko) 2006-03-27

Family

ID=3713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094A KR20060027231A (ko) 2004-09-22 2004-09-22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72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453A1 (en) * 2008-06-12 2009-12-17 Core Essense Orthopaedics, Llc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tendon or ligament
US8795333B2 (en) 2008-06-12 2014-08-05 Leonard Gord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tendon or liga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453A1 (en) * 2008-06-12 2009-12-17 Core Essense Orthopaedics, Llc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tendon or ligament
US8795333B2 (en) 2008-06-12 2014-08-05 Leonard Gord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tendon or liga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32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roximating and closing the walls of a hole or puncture in a physiological shell structure
CA2435864C (en) Suture anchor system and method of use
JP4891517B2 (ja) 結び目無しの縫合糸繋留法を用いて結合組織を骨に取り付ける方法及び器械
US20160166375A1 (en) Continuous loop assembly
EP2098172A1 (en) System for meniscal repair using suture implant cinch construct
US20060241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ture placement
JP2008536626A (ja) 外科的修復用の縫合糸固定デバイスおよび方法
RU2471443C2 (ru) Сш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врата и фиксирования височно-нижнечелюстного суставного диска
JP2014529412A (ja) 結合組織の治療
US20230277288A1 (en) Graft preparation system
JPWO2020067380A1 (ja) 癒合促進デバイスおよび医療デバイス
US11426157B2 (en) Method of preparing suture anchor using suture and prepared suture anchor
JP6161861B1 (ja) 縫合部材
KR101155651B1 (ko) 무매듭 앵커 조립체
KR20060027231A (ko) 끊어진 힘줄 또는 인대를 연결하는 방법 및 도구
JP4670037B2 (ja) 手術用縫合糸
US20150289868A1 (en) Multiple loop surgical snare assembly and suturing methods thereof
CN213129668U (zh) 一种吻合器加固垫片组件
CN110279445B (zh) 一种外科手术用肌腱辅助缝合器
US10383616B2 (en) Methods for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JP7037702B2 (ja) 二重ループ縫合の方法及び装置
JP4903784B2 (ja) 外科的修復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397801B2 (ja) 靱帯結合材
JPS6340559A (ja) トゲ付き腱縫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8154B2 (ja) 縫合糸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