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651B1 - 무매듭 앵커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매듭 앵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651B1
KR101155651B1 KR1020090116273A KR20090116273A KR101155651B1 KR 101155651 B1 KR101155651 B1 KR 101155651B1 KR 1020090116273 A KR1020090116273 A KR 1020090116273A KR 20090116273 A KR20090116273 A KR 20090116273A KR 101155651 B1 KR101155651 B1 KR 101155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suture
cap
anchor assembly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674A (ko
Inventor
박형배
Original Assignee
박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배 filed Critical 박형배
Priority to KR102009011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6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매듭 앵커 조립체는 단부에 첨예한 팁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결합을 위한 나선 또는 환형의 돌기들이 형성되며,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원추꼴 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홀에 삽입된 봉합사의 양단부가 인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매듭 앵커조립체의 몸체와 캡을 결합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봉합사기 지지되어 매듭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관절경 수술, 앵커, 캡

Description

무매듭 앵커 조립체 {knotless ankor assembly}
본 발명은 무매듭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관절 주변손상에서 관절을 보호하고 안정성을 제공하는 주요 구성 성분인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을 부착 고정하기 위하여 무매듭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경에 사용되거나 일반 수술에 사용되는 앵커의 대부분은 국내에서는 개발되지 않고 있으며 모두 수입 제품으로 앵커의 목적은 상기 요약 부분 설명과 같이 관절 부위 연부조직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술이 관절경을 사용하여 시행하므로 직경 10mm 이내의 도관 내에서 매듭을 만들기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며 한번 잘못된 매듭은 찢겨진 관절막을 견고히 고정시키지도 못할 뿐 아니라 이물질로 작용하고 골다공증 환자에서는 앵커가 관절 내로 빠져버리기도 하여 관절 통증을 유발하므로 점진적인 흡수를 하는 생체 흡수형 나사못 봉합사를 이용한 앵커가 개발되었지만 반면 고정력이 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앵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에 박히는 첨부인 팁(1)을 가지는 몸체(body;2)와, 몸체(2)의 상부에 형성된 머리부(3)을 구비하며, 봉합사(5)가 관통하는 홀(holes;4)을 구비한다. 상기 몸체(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돌기(6)가 형성된다.
이러한 앵커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티타늄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가의 제품으로 점진적인 생체 흡수가 되는 폴리 랙틱 애시드 (Poly lactic acid; PLA) 제품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봉합사도 인체 흡수되는 봉합사까지 다양하게 공급되고 있다.
앵커의 최신 경향은 인대나 관절막을 고정하는 마지막의 매듭을 만들기 어려워 앵커를 나사를 돌리지 않고 뼈에 못처럼 박으면서 고정하게 만들어진 소위 무매듭 앵커 제품이 출시되면서 매듭이 필요 없는 앵커 또는 간략하게 무매듭 (knotless ankor)라고 하는 앵커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앵커의 사용 결과는 회전나사 앵커(screw ankor)의 고정력을 따라오지 못하며, 또한 매듭을 견고하게 할 시 약한 뼈에서는 오히려 앵커가 뼈에서 밖으로 튀어나오는 단점이 점차 도출되고 있어서 어떠한 앵커를 선택하여야 실패 없는 수술이 될지 하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무매듭 앵커(knotless)는 봉합사의 매듭을 외부에서 만들어 고정하지 않고 평행 나사산과 뼈 사이에 틈새로 봉합사가 끼어서 저절로 고정되게 하여 연부조직을 고정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매듭 앵커도 사용함에 따라서 단점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회전 나사가 아닌 못처럼 망치로 박아서 고정하므로 고정력이 떨어지고 실이 뼈 사이에서 끊어지거나 골다공증 뼈에서 앵커가 빠지는 단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스포츠 손상 등에 의한 파손된 관절막이나 인대를 뼈에 고정하는 종래의 앵커는 나사 형태나 핀이나 못처럼 뼈 내부에 고정하도록 되어있으며, 앵커를 손상부위 뼈에 삽입 후 이곳에서 찢어진 인대나 관절막을 바늘로 꿰맨 뒤 봉합을 하는데, 이 때 수술실의 봉합을 하기 위해 매듭을 만드는 것이 실제 많은 시간이 들고 매듭을 하는 동안 인대 등이 풀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부조직이나 인대 관절막의 파열 등 스포츠 손상에서 사용되는 앵커조립체의 고정력 약화와 매듭형성의 어려움과 앵커가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불확실 감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삽입하면서 매듭을 만들 수 있는 무매듭 앵커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매듭 앵커 조립체는 단부에 첨예한 팁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결합을 위한 환형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원추꼴 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홀에 삽입된 봉합사의 양단부가 인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결합구가 형성된 캡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매듭 앵커 조립체는 봉합사의 매듭의 불안감으로 여러 번의 매듭을 만들어서 고정하는 불편감이나 불안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수술이 편리하고 수술 시간 단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매듭 앵커조립체는 조립체로부터 잡아당겨 고정하는 방식이 아닌 캡을 씌우므로 캡의 고정 시 뼛속에 앵커조립체의 몸체가 박는 효과도 있다. 또한 앵커조립체의 고정력에 장해를 주지 않고 수술 봉합사의 손상 즉, 찢어지거나 절단됨이 없이 견고한 고정을 할 수가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매듭 앵커 조립체는 연부조직이나 인대 관절막의 파열 등 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3 내지 6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매듭 앵커 조립체(10)는 단부에 첨예한 팁부(11)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결합을 위한 환형의 돌기(13)들이 형성되며, 봉합사(30)가 끼워지는 홀(14)이 형성된 몸체(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5)의 상단부에는 원추꼴 형상의 헤드부(16)이 형성되고, 이 헤드부(16)는 상기 홀(14)에 삽입된 봉합사(20)가 인출되는 출구(21)를 가지는 캡(20)을 구비한다. 상기 캡(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6)의 동일한 형상의 입구(22)를 가지는 결합구(23)가 형성된다.
한편, 도 5에는 헤드부와 결합되는 조립형 캡(8)을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립형외부캡(82)에 봉합사(30)가 삽입되는 홀(83)이 형성되어 외부캡(82)과 결합되는 인입부재(81)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매듭 앵커 조립체(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조립체의 몸체(15)가 뼈에 박힌 상태에서 홀(14)에 끼우진 봉합사의 양단부를 캡(20)의 입구(22)로부터 출구(21)로 인출시킨 후 봉합사(30)에 의해 가이드되어 헤드부(16)과 캡(20)을 결합함으로써 헤드부(16)의 외주면과 캡(20)의 결합구(23)의 사이에 끼이도록 하여 봉합사(30)를 고정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봉합사(30)를 타고 캡(20)이 내려가면서 원추꼴 헤드부(16)에 씌우면 봉합사(20)가 고정되어 매듭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것은 일반 앵커에서도 수술의사가 매듭을 만들지 않아도 되며, 헤드부(16)과 캡(20)이 결합됨으로써 매듭을 다시 할 필요가 없어 다음의 수술을 하기 위한 시간 확보가 용이하다.
특히, 헤드부(16)와 캡(20)이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봉합사가 한 곳으로 통과하면서 저절로 조임 역할을 하지만, 과연 견고한 매듭이 될까 하는 불안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캡(20)은 일단 찢어진 인대를 한곳으로 모아 놓고 매듭을 다시 만들기 위한 시간을 주는 장점이 있으며, 헤드부(16)과 캡(20)의 결합시 봉합사(30)이 이들의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수술실이 이미 한 곳으로 모아져서 재차 매듭을 만들어도 연부조직은 도망가지 않고 뼈에 묶여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형 캡은 견고한 고정이 되도록 슬라이딩 형태로 고정하여 매듭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형성 캡으로 자체적으로 견고한 매듭이 되지만 약간 부피가 큰 단점이 있을 수 있으나 견고한 고정을 좋아하는 의사는 조립형 캡을 선택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조립체는 앵커가 뼈에 박힌 상태에서 앵커조립체의 몸체를 건드리지 않고 외부에서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캡을 결합하면 되므로 몸체의 고정력에도 장애를 주지 않고 매듭을 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 것이다.
도 1 종래 앵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앵커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4는 앵커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5는 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어깨(shoulder)의 회전근 개(rotator cuff)가 파열되어 앵커조립체를 삽입하고 캡을 씌어주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1;팁
12; 돌기
15: 앵커조립체의 몸체(body)
16;헤드부
20; 캡(cap) 21; 출구
22;입구
30;봉합사(suture)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3)

  1. 단부에 첨예한 팁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결합을 위한 환형의 돌기들이 형성되며,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원추꼴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홀에 삽입된 봉합사의 양단부가 인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결합구가 형성된 캡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090116273A 2009-11-28 2009-11-28 무매듭 앵커 조립체 KR10115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73A KR101155651B1 (ko) 2009-11-28 2009-11-28 무매듭 앵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73A KR101155651B1 (ko) 2009-11-28 2009-11-28 무매듭 앵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674A KR20110059674A (ko) 2011-06-03
KR101155651B1 true KR101155651B1 (ko) 2012-07-10

Family

ID=4439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273A KR101155651B1 (ko) 2009-11-28 2009-11-28 무매듭 앵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40B1 (ko) * 2012-12-17 2014-03-14 ㈜ 이트리온 강도와 분해속도가 서로 다른 부위를 갖는 뼈 및 인대고정용 고정체
KR102105921B1 (ko) * 2019-09-03 2020-05-29 손정완 봉합사의 장력 유지가 용이한 앵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15B1 (ko) * 2011-08-26 2013-08-05 박형배 스마트앵커
KR101378547B1 (ko) * 2011-12-13 2014-03-28 박지수 수술용 앵커
KR101419116B1 (ko) * 2012-06-26 2014-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연속 봉합기구를 위한 매듭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6950A1 (en) 2002-09-12 2004-06-03 Grafton R. Donald Fully threaded suture anchor with insert-molded suture
US20050080455A1 (en) 2003-10-10 2005-04-14 Reinhold Schmieding Knotless anchor for tissue repair
JP2008132325A (ja) 2006-10-31 2008-06-12 Depuy Mitek Inc 縫合糸管理システム
JP2008132327A (ja) 2006-11-01 2008-06-12 Depuy Mitek Inc 管状縫合糸アンカ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6950A1 (en) 2002-09-12 2004-06-03 Grafton R. Donald Fully threaded suture anchor with insert-molded suture
US20050080455A1 (en) 2003-10-10 2005-04-14 Reinhold Schmieding Knotless anchor for tissue repair
JP2008132325A (ja) 2006-10-31 2008-06-12 Depuy Mitek Inc 縫合糸管理システム
JP2008132327A (ja) 2006-11-01 2008-06-12 Depuy Mitek Inc 管状縫合糸アンカ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40B1 (ko) * 2012-12-17 2014-03-14 ㈜ 이트리온 강도와 분해속도가 서로 다른 부위를 갖는 뼈 및 인대고정용 고정체
KR102105921B1 (ko) * 2019-09-03 2020-05-29 손정완 봉합사의 장력 유지가 용이한 앵커
WO2021045378A1 (ko) * 2019-09-03 2021-03-11 손정완 봉합사의 장력 유지가 용이한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674A (ko)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423B2 (en) Adjustable knotless loops
US6887259B2 (en) Suture anchor system and method of use
EP1199036B1 (en) Knotless suture anchor system
US7217279B2 (en) Suture loop anchor
US8109966B2 (en) Methods for attaching connective tissues to bone using a multi-component anchor
US8137381B2 (en) Knotless suture anchor having discrete polymer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JP6293522B2 (ja) 調節可能なフィラメント輪を有するインプラント
US65209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connective tissues to bone using a self-locking knotless suture anchoring device
US20150018881A1 (en) Knotless interface for threaded anchor
MX2013004662A (es) Sistema de sutura quirurgica.
KR101155651B1 (ko) 무매듭 앵커 조립체
US8114094B2 (en) Device for introducing an anchor element into a bone
US10548589B2 (en) Suture anchor assembly with slip fit tip
US9999417B2 (en) Suture anchor cartridge
US10383616B2 (en) Methods for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