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398A -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398A
KR20060023398A KR20040072230A KR20040072230A KR20060023398A KR 20060023398 A KR20060023398 A KR 20060023398A KR 20040072230 A KR20040072230 A KR 20040072230A KR 20040072230 A KR20040072230 A KR 20040072230A KR 20060023398 A KR20060023398 A KR 2006002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ms
smsc
notification service
sms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973B1 (ko
Inventor
윤민근
조일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7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에서 전송한 단문 메시지의 미도착 상태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최종 처리 결과를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형태로 알려주기 위한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방법은,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MSC는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MSC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토대로 상기 SMS 메시지의 성공, 재전송 또는 실패에 따른 전송결과를 SMS 발신 가입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단문 메시지,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DPP(Short Message Delivery Point to Point)

Description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Service Method For Notifying SMS Failure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발신 가입자가 자사망의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 송신 시 이동통신 시스템 내 각부에서의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로서,
도 2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착신이 성공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후,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받아 즉시 실패 처리를 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후, 착신측 이동 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으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받아 즉시 실패 처리를 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후, 기준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착신이 성공하지 못하고 재전송을 시도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며,
도 6은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세지를 발신한 후, 착신 대상 단말이 파워-오프 되어 단문 메시지 착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발신 가입자가 타사망의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 송신 시 이동통신 시스템 내 각부에서의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로서,
도 7은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타사망 내 착신 대상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와 다른 타사의 서비스 망으로 번호 이동한 착신 대상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타사망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와 같은 서비스 망으로 번호 이동한 착신 대상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 20 :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
11, 16 : BS 12 : 발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1
)
13 : 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2
) 14 : HLR
15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17 : SMS 서버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에서 전송한 단문 메시지의 미도착 상태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최종 처리 결과를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형태로 알려주기 위한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란 이동 통신 단말의 액정화면을 통해 각종 유용한 서비스 및 생활 정보등을 문자로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 통시 시스템에서 기지국, 교환기, 홈위치등록기, 단문 메시지 센터 등과 연계하여 이동 통신 단말 가입자가 문자 형태의 단문 메시지를 착,발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문 메시지는 이동 통신 단말 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의 정보 서버와 개인 이동 통신 단말 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 통신 단말 또는 정보 제공 사업자는 전송할 단문 메시지와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의 번호를 발신한다. 발신된 단문 메시지와 착신번은 기지국, 교환국 등을 통해 단문메시지 센터의 메시지 큐에 저장된다. 이때, 단문 메시지가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발신측으로 전송된다.
단문 메시지 센터는 단문 메시지와 함께 수신된 착신번에 따라 해당 이동 통신 단말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전송한다. 단문 메시지 센터는 수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수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메시지 큐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고 단문 메시지 전송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단문 메시지 전송은 발신 과정과 착신 과정이 구분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발신측은 자신이 전송한 단문 메시지의 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의 미도착 상태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최종 처리 결과를 발신 가입자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를 SMS 발신 가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발신자가 SMS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자신이 전송한 단문 메시지가 상대방 무선 단말기에 제대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고, 타사망의 착신 대상 이동 단말에 대하여도 SMS 도착 및 재전송 여부를 발신 가입자가 특정한 절차없이 확인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은,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 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MSC는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MSC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특정 코드에 해당하는 번호를 포함한 착신 대상 단말의 번호를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토대로 상기 SMS 메시지의 성공, 재전송 또는 실패에 따른 전송결과를 SMS 발신 가입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장치는,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미도착 알림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이 위치등록을 하는 경우 해당 교환국(MSC)으로 미도착 알림 서비스 가입정보를 내려주는 HLR;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 메시지의 처리를 SMSC에 요청하기 위한 MSC; 및 상기 SMS 메시지 요청정보의 특정코드를 분석하여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토대로 상기 SMS 메시지의 성공, 재전송 또는 실패에 따른 전송결과를 SMS 발신 가입자에 통지하는 SMS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를 SMS 발신 가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발신자가 SMS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자신이 전송한 단문 메시지가 상대방 무선 단말기에 제대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 고, 타사망의 착신 대상 이동 단말에 대하여도 SMS 도착 및 재전송 여부를 발신 가입자가 특정한 절차없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요소 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한해서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 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SMS 이동통신 서비스 구현을 위해 발신측/착신측 이동통신 단말(MS:Mobile Station)(10, 20), 착신측/발신측 BS(Base Transceiver Station/Base Station Controller: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1, 16), 발신측/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3
/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4
: Mobile Switching Center)(12, 13), HLR(Home Location Register)(14),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1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BS(11, 16)은 상기 발신측/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 20)과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발신측/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5
/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6
: Mobile Switching Center)(12, 13)은 상기 발신측/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 20)로부터 발, 수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서로 망 연동을 수행하고,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14)로 가입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발신측/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7
/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8
: Mobile Switching Center)(12, 13)은 단문 메시지가 상기 발신측/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 20)로부터 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SMSC(15)로 전송하고, 상기 SMSC(15)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BS(11,16)로 보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서 단문 메시지가 상기 발신측/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 20)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14)은 단말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기본정보, 위치정보, 상태정보 등을 유지 및 관리한다. 또한,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14)은 이동통신 단말 가입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중형급 컴퓨터로서, 가입자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착신 호에 대한 경로 지정을 할 수 있다.
상기 SMSC(15)는 하나의 독립적인 노드로서, 상기 HLR(14) 및 상기 발신측/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09
/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0
: Mobile Switching Center)(12, 13)과 연결되어 수신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이동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SMSC(15)는 단문 메시지 송수신 시 임의의 순간에 수신할 수 없는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내장된 SMS DB에 저장(Store) 하였다가 다시 전달(Forward)한다.
상기 SMSC(15)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상기 BS(11) 및 상기 발신측/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1
/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2
: Mobile Switching Center)(12, 13)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SMS DB에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단문 메시지와 함께 수신되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20)의 번호를 분석하고 상기 HLR(14)과 연동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20)의 위치를 추적한 후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SMS D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되는 후술될 수신확인 필드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확인 필드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이 전송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의 정상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이를 체크하기 위한 필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동작원리를 도 2 내지 도 6의 호처리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발신 가입자가 자사망의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 송신 시 이동통신 시스템 내 각부에서의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로서, 도 2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착신이 성공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은 발신 가입자 입력에 따라 전송할 단문 메지시를 상기 BS(11)로 전송한다. 즉, 종래의 단문 메시지 발신과 동일한 방식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BS(11) 및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3
: Mobile Switching Center)(12, 13)을 통해 상기 SMSC(15)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4
)(12)는 상기 SMSC(15)로 SMS 전송 요청 메시지(SMDPP)를 전송하고(S201), 상기 SMSC(15)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에 따른 응답 메시지(smdpp)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S202). 이때,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5
)(12)은 SMS 전송 요청을 위해 SMDPP 오퍼레이션 내에 OSFI 파라미터 값 예컨대, "OSFI=SMS_Fail_Noti"를 상기 SMSC(15)로 전송하면, 상기 SMSC(15)는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을 체크하여 상기 SMS 메시지의 전송요청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OSFI 파라미터는 상기 HLR(14)이 가지고 있는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이동 교환국으로 전달된 것이다.
이후, 상기 SMSC(15)는 해당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대상 메시지인지를 체크하는데,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대상 메시지에 해당할 경우 내장된 타이머(이하,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6
으로 약칭함)를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구동한다(S203).
또한, 상기 기준시간은 전송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전송결과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 기준시간 동안 다음과 같은 동작이 수행 된다.
상기 체크 과정에서, 다음의 경우에는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1) 국제 SMS
2) 이벤트 SMS (이벤트 SMS 국번체계가 변경될 경우에도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함)
3) SMS 서버로 루팅 처리하도록 되어 있는 번호
4) XMS 메시지 (TID = DBM) 형태인 경우
5) Long SMS 이면서 Total Segment ≠Current Segment 인 경우 (즉, Long SMS 는 마지막 메시지에 대해서만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를 함)
이후, 상기 SMSC(15)는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SMS_Request)를 상기 HLR(14)로 전송하고(S204), 상기 HLR(14)로부터 상대방 단말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를 수신한다(S205).
이후, 상기 SMSC(15)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7
)(13)으로 상기 SMS 전송 요청 메시지(SMDPP)를 전송함으로써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게 발신을 요청하게 된다(S206).
이후,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8
)(13)이 상기 SMS 전송 요청 메시지(SMDPP)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BS(16)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 신 단말(20)로 전달되도록 한다(S207). 이에 따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20)은 상기 BS(16)를 통해 상기 SMS 발신 가입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응답확인 메시지를 상기 BS(16)를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19
)(13)으로 전송한다.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0
)(13)은 상기 응답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smdpp)를 상기 SMSC(15)로 전송한다(S208). 상기의 과정을 통해, SMS 발신 가입자는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를 즉시 알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예는 SMS 메시지의 착신이 최초 착신 시도 시에 성공하거나 재전송 절차 진행으로 상기 기준시간 이내에 성공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1
< 기준시간).
이하, 도 3 및 도 4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였지만, HLR 또는 착신측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받아 즉시 실패 처리를 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로서, 도 3은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후, HLR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받아 즉시 실패 처리를 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단계(S301~S303)의 동작은 도 2의 상기 단계(S201~S203)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먼저, 상기 SMSC(15)는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SMS_Request)를 상기 HLR(14)로 전송하고(S304), 상기 HLR(14)로부터 상대방 단말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를 수신한다(S305). 이때, 상기 상대방 단말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는, 착신 단말기가 미등록되어 있거나, 권한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며, 상기 HLR(14)은 상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에 "SMSADR=Denied" 등의 실패 이유를 수록하여 상기 SMSC(15)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SMSC(15)는 상기 HLR(14)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가 재전송 시도없이 즉시 실패 처리하도록 관리하는 메시지일 경우 상기 타이머(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2
)를 종료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S306).
이후, 상기 SMSC(15)는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착신 처리 중 즉시 최종 실패 처리함을 의미하는 메시지(Noti-SMS1)를 생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307). 이때, 상기 메시지(Noti-SMS1)는 본 발명에 따른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에 대하여 미전송 또는 최종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망에서 생성하여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이며, "현재 고객의 사정으로 다음 메시지 전송에 실패했습니다.(XXX 착신번)(XX/XX/XX:XX 시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4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후, 착신측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받아 즉시 실패 처리를 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단계(S401~S403)의 동작은 도 2의 상기 단계(S201~S203)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먼저, 상기 SMSC(15)는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SMS_Request)를 상기 HLR(14)로 전송하고(S404), 상기 HLR(14)로부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를 수신한다(S405).
이후, 상기 SMSC(15)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3
)(13)으로 상기 SMS 전송 요청 메시지(SMDPP)를 전송하고(S406),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4
)(13)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는 이유를 수록한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smdpp)를 다시 수신한다(S407). 이때,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5
)(13)이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smdpp)에 수록하는 파라미터 값은 "SMS_CauseCode" 이다.
이후, 상기 SMSC(15)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smdpp)가 재전송 시도없이 즉시 실패 처리하도록 관리하는 메시지일 경우 상기 타이머(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6
)를 종료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S408).
이후, 상기 SMSC(15)는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착신 처리 중 즉시 최종 실패 처리함을 의미하는 메시지(Noti-SMS1)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409). 이때, 상기 메시지(Noti-SMS1)는 본 발명에 따른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에 대하여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착신처리 중 최종 실패한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망에서 생성하여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 하는 메시지이다.
도 5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후, 기준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착신이 성공하지 못하고 재전송을 시도하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단계(S501~S503)의 동작은 도 2의 상기 단계(S201~S203)와, 단계(S504~S507)의 동작은 도 4의 상기 단계(S404~S407)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먼저, 상기 SMSC(15)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해당 메시지에 대한 재전송을 시도하는데, 이는 상기 기준시간 동안 착신이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SMSC(15)는 상기 타이머(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7
)가 상기 기준시간이 되는 시점까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착신이 성공하지 못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Noti-SMS2)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508). 이때, 상기 메시지(Noti-SMS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에 대하여,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며 착신처리 중 발신 후 기준시간까지 착신이 성공하지 못한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망에서 생성하여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이며, "현재 고객의 사정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습니다. (XXX착신번)(XX/XX XX:XX 시간)" 로 표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SMSC(15)는 상기 단계(S508)의 메시지 재전송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509).
이후, 상기 SMSC(15)는 최종적으로 해당 메시지가 삭제되는 시점에 착신 대 상 단말로의 착신 성공여부에 따라 소정 메시지(Noti-SMS3, Noti-SMS4)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510). 여기서, 상기 소정 메시지(Noti-SMS3)는 재전송 진행 도중에 착신 대상 단말로의 착신이 성공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이고. "다음 메시지 전송에 성공했습니다. (XXX착신번)(XX/XX XX:XX 시간)"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메시지(Noti-SMS4)는 재전송 진행 만료로 해당 메시지를 삭제할 경우를 의미하는 메시지이고, "고객의 사정으로 다음 메시지 전송에 실패했습니다.(XXX 착신번)(XX/XX/XX:XX 시간)" 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사망 내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세지를 발신한 후, 착신 대상 단말이 파워-오프 되어 단문 메시지 착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단계(S601~S603)의 동작은 도 2의 상기 단계(S201~S203)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먼저, 상기 SMSC(15)는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SMS_Request)를 상기 HLR(14)로 전송하는데(S604), 착신 대상 단말이 파워-오프인 경우 상기 HLR(14)로부터 그 상태를 나타내는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를 수신한다(S605). 이때, 상기 HLR(14)은 상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에 "SMSADR=Postponed"를 수록하여 상기 SMSC(15)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SMSC(15)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해당 메시지에 대한 재전송을 시도하는 데, 상기 타이머(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8
)가 상기 기준시간이 되는 시점까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착신이 성공하지 못했을 경우, 이를 의미하는 상기 메시지(Noti-SMS2)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606).
이후, 착신 대상 단말이 파워-온 상태(위치등록)가 되면(S607), 일반적인 파워-온에 의한 진행 메시지 착신절차가 수행된다(S608~S610).
이후, 상기 SMSC(15)는 해당 메시지의 착신 성공 후에 그 메시지를 삭제한 후(S611), 최종적으로 해당 메시지가 삭제되는 시점에서 착신 대상 단말로의 착신 성공여부에 따라 상기 메시지(Noti-SMS3)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612).
만약, 상기 단계(S606~S607)에서 재전송 설정 기준시간 내에 착신 대상 단말이 파워-온 상태가 되지 않아 상기 SMSC(15)에서 해당 메시지가 삭제 처리될 경우에는 삭제되는 시점에서 상기 메시지(Noti-SMS4)가 생성되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단계(S608~S612)에서, 착신 절차가 실패하여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게 될 경우 도 5의 상기 단계(S510)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발신 가입자가 타사망의 착신 대상 이동 단말로 단문 메시지 송신 시 이동통신 시스템 내 각부에서의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로서, 도 7은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타사망 내 착신 대상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단계(S701~S702)의 동작은 도 2의 상기 단계(S201~S202)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SMSC(15)는 해당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대상 메시지인지를 체크한다(S703). 이 경우 착신 번호가 타망 착신 대상 단말번호이기 때문에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를 위한 타이머의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에는, SMS서버에서 미도착 알림에 필요한 처리 및 타이머 관리를 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SMSC(15)는 SMS 서버(17)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SMPP 프로토콜 deliver_sm 내에 esm_class 파라미터를 수록하여 준다(S704).
이후에, 상기 SMS 서버(17)는 상기 SMSC(15)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한 타망 착신처리와 발신 가입자에 대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S705).
이후, 상기 SMS 서버(17)는 메시지 미도착 및 최종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소정 메시지(Noti-SMS)를 생성하여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데(S706), 이 과정은 일반 메시지의 전송 절차와 동일하다.
도 8은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와 다른 타사의 서비스 망으로 번호 이동한 착신 대상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단계(S801~S802)의 동작은 도 2의 상기 단계(S201~S202)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SMSC(15)는 해당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대상 메시지인지를 체크하는데,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대상 메시지에 해당할 경우 내장된 타이머(이하,
Figure 112004040973641-PAT00029
으로 약칭함)를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구동한다(S803).
이후에, 상기 SMSC(15)는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SMS_Request)를 상기 HLR(14)로 전송하는데(S804), 착신 대상 단말이 타사의 서비스 망으로 번호 이동한 경우 상기 HLR(14)로부터 그 상태를 나타내는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를 수신한다(S805). 이때, 상기 HLR(14)은 상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sms_request)에 "SMSADR=Ported_Out"를 수록하여 상기 SMSC(15)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SMSC(15)는 상기 단계(S803)에서 구동되었던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종료 시킨다(S806).
이후, 상기 SMSC(15)는 상기 SMS 서버(17)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번호 이동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임과 동시에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SMPP 프로토콜 deliver_sm 내에 esm_class 파라미터를 수록하여 준다(S807).
이후에, 상기 SMS 서버(17)는 상기 SMSC(15)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한 타망 착신처리와 발신 가입자에 대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처리를 수행한다 (S808).
이후, 상기 SMS 서버(17)는 메시지 미도착 및 최종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소정 메시지(Noti-SMS)를 생성하여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데(S809), 이 과정은 일반 메시지의 전송 절차와 동일하다.
도 9는 SMS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타사망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와 같은 서비스 망으로 번호 이동한 착신 대상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경우의 호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단계(S901~S904)의 동작은 도 7의 상기 단계(S701~S704)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에, 상기 SMS 서버(17)는 상기 SMSC(15)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한 타망 착신처리와 발신 가입자에 대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S905). 이 경우에 타사 서비스 망에서 착신 대상 가입자가 SMS 발신 가입자와 같은 서비스 망(자사 서비스 망)으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로 판명되어 호를 반송하면 번호이동성 솔루션(NPDB)에 질의하여 자사 서비스 망으로 다시 착신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SMS 서버(17)는 해당 메시지를 상기 SMSC(15)로 전달한다(S906). 이때, 상기 SMS 서버(17)는 착신 대상 단말이 타사의 서비스 망으로부터 자사망으로 번호 이동한 번호이동성 가입자에 따른 착신호 임과 동시에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짐 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SMPP 프로토콜 submit_sm 내에 esm_class 파라미터를 수록하여 준다(S807).
이후에, 상기 SMS 서버(17)는 상기 SMSC(15)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해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자사망 내 착신처리와 발신 가입자에 대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처리를 수행한다(S908).
본 발명에 따른 HLR은 가입자 별 부가 서비스 필드에 따라 SMS_Fail_Noti를 추가하고 가입자가 특정 코드(Feature Code)를 사용하여 활성/비활성(Act/Deact)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된다.
전술된 착신 성공 및 실패를 의미하는 상기 소정 메시지 들(Noti-SMS1 ~ Noti-SMS4)의 표현방식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발신 단말이 SMSC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가 수신될 때까지 종료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대기하다가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결과가 수신되면 SMS 발신 가입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SMSC가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를 알려주지 않아 SMS 발신 가입가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를 알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물론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를 SMS 발신 가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발신자가 SMS 단문 메시지 서 비스를 통해 자신이 전송한 단문 메시지가 상대방 무선 단말기에 제대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고, 타사망의 착신 대상 이동 단말에 대하여도 SMS 도착 및 재전송 여부를 발신 가입자가 특정한 절차없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2)

  1.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MSC는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MSC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토대로 상기 SMS 메시지의 성공, 재전송 또는 실패에 따른 전송결과를 SMS 발신 가입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SC는 SMDPP 오퍼레이션 내에 OSFI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여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를 상기 SMSC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 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상기 SMS 메시지가 XMS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가 XMS 메시지인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상기 SMS 메시지가 국제 SMS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가 국제 SMS 메시지인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상기 SMS 메시지가 이벤트 SMS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가 이벤트 SMS 메시지인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상기 SMS 메시지가 Long SMS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가 Long SMS 이면서 총 세그먼트(Segment)가 현재 세그먼트(Segment)와 같지 않을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3.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은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HLR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기 SMS 전송 요청 메시지를 착신측 이동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착신측 이동교환국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따른 단문 메지지 전송결과 메시지를 상기 SMSC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은,
    "SMS_Fail_Noti"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7.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은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HLR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HRL로부터 수신된 상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가 재전송 시도없이 즉시 실패 처리하도록 관리하는 메시지일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SMSC가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착신 처리중 즉시 최종 실패 처리함을 의미하는 소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은,
    "SMS_Fail_Not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HRL에 의해 "SMSADR=Denied"를 수록되어 상기 SMSC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메시지는,
    Noti-SMS1로 표시되며,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에 대하여 미전송 또는 최종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생성되어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이며, "현재 고객의 사정으로 다음 메시지 전송에 실패했습니다.(XXX 착신번)(XX/XX/XX:XX 시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3.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은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상기 HLR로부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착신측 이동 교환국으로 상기 SMS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는 이유를 수록한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가 재전송 시도없이 즉시 실패 처리하도록 관리하는 메시지일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SMSC가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착신 처리 중 즉시 최종 실패 처리함을 의미하는 소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은,
    "SMS_Fail_Not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에 의해 파라미터 값 "SMS_CauseCode"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메시지는,
    "Noti-SMS1"로 표시되며,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에 대하여 미전송 또는 최종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생성되어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이며, "현재 고객의 사정으로 다음 메시지 전송에 실패했습니다.(XXX 착 신번)(XX/XX/XX:XX 시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29.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은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상기 HLR로부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착신측 이동 교환국으로 상기 SMS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는 이유를 수록한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기 타이머가 상기 기준시간이 되는 시점까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착신이 성공하지 못했음을 의미하는 제 1 소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기 해당 메시지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SMSC가 최종적으로 해당 메시지가 삭제되는 시점에 착신 대상 단말로의 착신 성공여부에 따라 제 2 및 제 3 소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은,
    "SMS_Fail_Not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결과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국에 의해 파라미터 값 "SMS_CauseCode"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 메시지는,
    "Noti-SMS2"로 표시되며,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에 대하여,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며 착신처리 중 발신 후 기준시간이 경과한 때까지 착신이 성공하지 못한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망에서 생성하여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이며, "현재 고객의 사정으로 사정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습니다. (XXX착신번)(XX/XX XX:XX 시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소정 메시지는,
    "Noti-SMS3", "Noti-SMS4"로 각각 표시되며, 상기 제 2 소정 메시지는 재전송 진행 도중에 착신 대상 단말로의 착신이 성공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이고, "다음 메시지 전송에 성공했습니다. (XXX착신번)(XX/XX XX:XX 시간)"로 표현되며, 상기 제 3 소정 메시지는 재전송 진행 만료로 해당 메시지를 삭제할 경우를 의미하는 메시지이고, "고객의 사정으로 다음 메시지 전송에 실패했습니다.(XXX 착신번)(XX/XX/XX:XX 시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 비스 방법.
  36.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은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착신 대상 단말이 파워-오프 상태일 경우 상기 HLR로부터 그에 따른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기 타이머가 상기 기준시간이 되는 시점까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착신이 성공하지 못했음을 의미하는 제 1 소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파워-온 상태가 될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해당 메시지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SMSC가 최종적으로 해당 메시지의 착신 성공 후에 그 메시지를 삭제한 후 제 2 소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HRL에 의해 "SMSADR=Postponed"가 수록되어 상기 SMSC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39. 제 3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은,
    "SMS_Fail_Not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1.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 메시지는,
    "Noti-SMS2"로 표시되며,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에 대하여, 재전송 절차를 진행하며 착신처리 중 발신 후 기준시간이 경과한 때까지 착신이 성공하지 못한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망에서 생성하여 SMS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이며, "현재 고객의 사정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습니다. (XXX착신번)(XX/XX XX:XX 시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2.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 메시지는,
    "Noti-SMS3"로 표시되며, 재전송 진행 도중에 착신 대상 단말로의 착신이 성공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이고, "다음 메시지 전송에 성공했습니다. (XXX착신번)(XX/XX XX:XX 시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3.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은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 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가 SMS 서버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SMS 서버가 상기 SMSC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한 타망 착신처리와 발신 가입자에 대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은,
    "SMS_Fail_Noti"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 법.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SMSC가 상기 SMS 서버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SMSC가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SMPP 프로토콜 deliver_sm 내에 esm_class 파라미터를 수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8.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은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대방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가입자 정보 요구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착신 대상 단말이 타사의 서비스 망으로 번호 이동한 경 우 상기 HLR로부터 그 상태를 나타내는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MSC가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종료 시키는 단계;
    상기 SMSC가 SMS 서버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SMS 서버가 상기 SMSC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한 타망 착신처리와 발신 가입자에 대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HRL에 의해 "SMSADR=Ported_Out"가 수록되어 상기 SMSC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1. 제 48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2.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은,
    "SMS_Fail_Not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3.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SMSC가 상기 SMS 서버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SMSC가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SMPP 프로토콜 deliver_sm 내에 esm_class 파라미터를 수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4.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은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SMSC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으로부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 요청을 상기 SMSC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지를 상기 SMS 메시지 및 SMS 전송 요청하는 망 오퍼레이션 내 특정 코드를 보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인 경우, 상기 SMSC가 SMS 서버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SMS 서버가 상기 SMSC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한 타망 착신처리와 발신 가입자에 대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SMS 서버가 상기 SMSC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SMS 서버가 상기 SMSC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해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자사망 내 착신처리와 발신 가입자에 대한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서버가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타사 서비스 망에서 착신 대상 가입자가 SMS 발신 가입자와 같은 서비스 망으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로 판명되어 호를 반송하면 번호이동성 솔루션(NPDB)에 질의하여 자사 서비스 망으로 다시 착신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코드는,
    OSFI 파라미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7. 제 54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MSC에서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8.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OSFI 파라미터 값은,
    "SMS_Fail_Not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59.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SMSC가 상기 SMS 서버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SMSC가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 처리 대상 메시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SMPP 프로토콜 deliver_sm 내에 esm_class 파라미터를 수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60. 이동 통신 망에 있어서,
    미도착알림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이 위치등록을 하는 경우 해당 교환국(MSC)으로 미도착알림서비스 가입정보를 내려주는 HLR;
    SMS 미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부터 SMS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SMS 메시지의 처리를 SMSC에 요청하기 위한 MSC; 및
    상기 SMS메시지 요청 정보의 특정 코드를 분석하여 미도착알림 처리 대상인 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토대로 상기 SMS 메시지의 성공, 재전송 또는 실패에 따른 전송결과를 SMS 발신 가입자에 통지하는 SMS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MSC는,
    SMDPP 오퍼레이션 내에 OSFI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여 상기 SMS 메시지의 미도착 알림 처리를 상기 SMSC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장치.
  62. 제 60 항 또는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SMSC는,
    상기 SMS 메시지가 미도착 알림 처리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장치.
KR20040072230A 2004-09-09 2004-09-09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123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2230A KR101123973B1 (ko) 2004-09-09 2004-09-09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2230A KR101123973B1 (ko) 2004-09-09 2004-09-09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398A true KR20060023398A (ko) 2006-03-14
KR101123973B1 KR101123973B1 (ko) 2012-03-26

Family

ID=3712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2230A KR101123973B1 (ko) 2004-09-09 2004-09-09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6604A1 (zh) * 2010-03-23 2011-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短信状态报告发送方法、装置和系统
CN103024691A (zh) * 2012-11-22 2013-04-0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CN104580708A (zh) * 2014-12-24 2015-04-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4601831A (zh) * 2014-12-24 2015-05-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服务器
CN104601830A (zh) * 2014-12-24 2015-05-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话状态切换方法
CN106851031A (zh) * 2017-02-21 2017-06-13 苏州亮磊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通信过程中的对象通信状态检测方法及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208B1 (ko) * 2017-08-31 2019-05-02 주식회사 메인정보시스템 해병대 현역병 또는 전역병 간 온라인 커뮤니티 제공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537A (ko) * 2001-12-29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42571A (ko) * 2002-11-15 2004-05-20 (주) 엘지텔레콤 에스엠에스메시지 수신확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6604A1 (zh) * 2010-03-23 2011-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短信状态报告发送方法、装置和系统
CN103024691A (zh) * 2012-11-22 2013-04-0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CN103024691B (zh) * 2012-11-22 2017-04-19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CN104580708A (zh) * 2014-12-24 2015-04-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4601831A (zh) * 2014-12-24 2015-05-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服务器
CN104601830A (zh) * 2014-12-24 2015-05-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话状态切换方法
CN106851031A (zh) * 2017-02-21 2017-06-13 苏州亮磊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通信过程中的对象通信状态检测方法及其系统
CN106851031B (zh) * 2017-02-21 2019-05-07 中蔷(上海)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通信过程中的对象通信状态检测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973B1 (ko) 201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8155B1 (en) Network-assisted automatic confirmation of short message service delivery
KR101133603B1 (ko) 메시지의 전달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S2337016T3 (es) Tratamiento de mensajes instantaneos en caso de no disposnibilidad del receptor.
KR100677497B1 (ko) 단말기의 중복 통보 메시지 처리 방법
US8364122B2 (en) Delayed delivery messaging
US20190116140A1 (en) Method of notification of the unavailability of a terminal
US73338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the attainability status of a mobile terminal device
KR101123973B1 (ko) 단문 메시지 미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P4368885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再送システム、ショートメッセージ再送方法
US78268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vailability of a wireless device
WO2003023978A2 (en) Controlling charging for wireless message services
RU2323543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особенности с мультимедийным содержанием, в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06225A (ko) 즉시 전송 프리미엄 sms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04723B1 (ko)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확인 및 읽기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5953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37535B1 (ko) 불완료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US11706590B1 (en)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media-content delivery
KR101219734B1 (ko) 긴급전송 프리미엄 sms 서비스 방법
KR100954284B1 (ko) 외부 연동 장비별로 독립된 재전송 규칙을 적용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509155B1 (ko) Gsm/umts에서의 착신불가호에 대한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54085B1 (ko) 메시지 읽음 확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KR100837652B1 (ko) 착신 대기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3420B1 (ko) 구내 무선망에서 가입자의 인터넷을 통한 단문 발신 또는수신내역확인방법 및 시스템
JP3820108B2 (ja) メッセージ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サービ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