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879A -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879A
KR20060022879A KR20040071666A KR20040071666A KR20060022879A KR 20060022879 A KR20060022879 A KR 20060022879A KR 20040071666 A KR20040071666 A KR 20040071666A KR 20040071666 A KR20040071666 A KR 20040071666A KR 20060022879 A KR20060022879 A KR 20060022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terminal
message
content information
standb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013B1 (ko
Inventor
최병철
임상현
허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7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013B1/ko
Priority to US11/568,613 priority patent/US8078228B2/en
Priority to EP05764728.1A priority patent/EP1745662B1/en
Priority to CN2005800225339A priority patent/CN1981544B/zh
Priority to PCT/KR2005/001245 priority patent/WO2005112491A1/en
Priority to JP2007511274A priority patent/JP4624407B2/ja
Publication of KR2006002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01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기 모드, 컨텐츠

Description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to a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단말기의 모바일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모듈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 가입 절차 및 서비스 환경 설정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 모드용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시용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 실행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이동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이동 단말기 205 : 서비스 관리 서버
207 : 데이터베이스 209 : 컨텐츠 제공 서버
본 발명은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티커(Ticker)라 지칭되는 서비스(예로 주가 정보, 뉴스 속보 등)는 특정 컨텐츠를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에 주기적으로 또는 영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티커 서비스는 유선 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무선 상에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셀 방송 서비스(CBS)의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종래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 상에서 제공되는 티커 서비스는 메시지 용량에 한계가 있으며, 컨텐츠 미디어가 텍스트로 한정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티커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무선 통신의 발전과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티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의 등장이 예상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티커 서비스 환경을 설정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고 이를 실행하는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좀더 발전된 형태로 대기 모드 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으며 다수의 발명이 출원되어 있는 상태이다. 2003년 3월 1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종래 발명으로 칭함)인 출원 번호 제10-2003-0014687호가 2003년 11월 14일자로 공개되었다. 상기 종래 발명을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시스템이 초기화되거나 사용자가 단말기 조작을 한동안 하지 않으면, 대기 모드 상태로 진입한다(단계 101). 이어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구동한 후(단계 103), 대기 화면 동영상 컨텐츠로서 설정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105). 이후, 외부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지정된 화면을 계속 표시하는데, 대기 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므로 외부 이벤트가 발생하면(단계 107), 상기 이벤트가 '다음화면 업데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9).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벤트가 '다음화면 업데이트'인 경우 다음 프레임으로 업데이트하여 단계 105를 계속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이벤트가 '다음화면 업데이트'가 아닌 경우에는 현재 대기화면 동영상으로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중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설정된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1). 상기 판단 결과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입력인 경우에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입력된 키에 대응하여 수행하도록 정의되어 있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고 다음의 이벤트를 대기한다(단계 113). 한편, 발생한 외부 이벤트가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대기 화면 키 입력에 따른 처리 과정이 수행된다(단계 115). 상기 대기 화면 키 입력은 숫자 키 입력, 전화 수신 및 SMS 수신을 위한 입력을 포함한다.
상기 종래 발명은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손쉽게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은 컨텐츠를 대기 모드 상태에서 재생할 뿐 티커 형태로 사용되지 아니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발명은 사용자가 대기 화면에 집중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도 컨텐츠를 계속 재생하므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은 소모적이며 의미 없는 것일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상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시간,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티커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인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제공함으로써 광고, 교육, 암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 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GVM, SK-VM, KVM, MAP, BREW 및 WIPI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 메시지 게시 내용 및 메시지 세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헤더는 텔레시브 아이디, 저장 시간 및 컨텐츠 아이디, 콜백용 URL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헤더에 텔레시브 아이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는 게시용 메시로 판단되어 상 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게시 내용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수단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 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수단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는 수단,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수단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는 수단,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수단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 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기 모드용 컨텐츠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기(201), 이동 통신망(203), 서비스 관리 서버(205), 데이터베이스(207) 및 컨텐츠 제공 서버(209)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201)는 모바일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1)는 이동 통신망(203)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205)와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서비스 관리 서버(205)로부터 컨텐츠(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를 대기 모드 상태에서 게시판의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1)는 휴대폰, PDA 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205)는 이동 단말기(201)로 본 발명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205)는 상기 이동 단말기(201)에서 설정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209)로부터 컨텐츠를 제공 받아 게시용 메시지 및 대기 화면 이미지로 가공하여 이동 통신망(203)을 통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 또는 셀 방송 서비스의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20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207)는 상기 이동 단말기(201)에 대한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컨 텐츠 제공 서버(209)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지고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207)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205)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컨텐츠 제공 서버(209)는 기존의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그대로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205)로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209)는 서비스 관리 서버(205)와 연동하여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205)로 제공한다.
상기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201)의 사용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205)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한 후,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이동 단말기(201)에 설치한다. 이동 단말기(201)는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신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에 출력할 이미지를 서비스 관리 서버(205)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209)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205)는 상기 이동 단말기(201)에서 설정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209)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아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여 이동 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201)는 수신한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저장된 메시지를 게시판의 형태로 출력하고, 또한 상기 이미지 를 대기 화면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1)는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의하여 폴더를 오픈하거나 키 입력에 따른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를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1)는 상기 이벤트에 의하여 서비스 관리 서버(205)로 이미지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이미지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 변경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의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CPU)(301), 제어부(301)의 제어를 받고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 및 동작의 입력을 담당하는 키(Key) 입력부(303), 표시부(305), 메모리(307), 음성처리부(309) 및 송수신부(311)를 포함한다.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11)에서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고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에 따라 게시판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부(305) 및 음성 처리부(309)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1)는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부(305)는 액정 표시 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서, 제어부(301)의 제어를 받아 이동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305)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 다. 또한 상기 표시부(305)는 사용자 설정 환경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메시지를 대기 상태에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메모리(307)에는 제어부(301)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폼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307)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307)는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음성 처리부(309)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송수신부(311)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메모리(307)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부(311)는 제어부(301)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3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 환경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송수신부(311)를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개인용 컴퓨터와 케이블로 연결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모리(307)내에 저장하여 설치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키 입력부(303)중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을 함으로써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컨텐츠를 재생할 종류, 시기, 방법 등의 사용자 환경을 설정한다.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아니하고 인터넷, ARS 등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이후 컨텐츠를 재생할 시기에 해당하는 내부 이벤트 또는 외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컨텐츠를 수신하고 제어부(301)의 제어를 받아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부(305) 및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단말기의 모바일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발일 플랫폼은 이동 통신 단말기 하드웨어(401),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403), HAL(Handset Application Layer, 405), 런 타임 엔진(Run Time Engine, 407), 기본 API(409), API 관리자(411),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413), 확장 API(415) 및 응용 프로그램(417)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GVM, SK-VM, KVM, MAP, BREW 및 WIPI를 포함하여 기존의 모바일 플랫폼의 기능을 그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화면을 점유하거나 대기 화면 점유 상태에서 빠 져나오는 경우, 대기 화면 점유 상태를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 하드웨어(401)는 핸드폰, PDA, PDA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모든 이동 통신 단말 또는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403)는 단말기 기본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LCD 드라이버, KPD 드라이버 및 Serial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HAL(405)은 플랫폼의 하드웨어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추상화 계층으로 상위 계층들이 HAL(405) 위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하드웨어(401)와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403)와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는 독립성을 지원한다.
기본 API(409)는 응용프로그램 개발자가 사용하는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기본 API 모음이다. 상기 기본 API(409)는 C API 및 자바 API를 포함하고 있어 프로그램 개발자들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PI 관리자(411)는 플랫폼의 기본 API(409)와 확장 API(415)를 갱신,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PI 관리자(41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413)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413)는 응용 프로그램(417)의 정보 보기, 다운로드, 설치, 실행, 삭제, 보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확장 API(415)는 모발일 플랫폼의 표준화가 가능한 후보가 되는 API의 모음으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API 모음을 제공한다.
응용 프로그램(417)은 모발일 플랫폼이 탑재된 단말기에 설치되어 단말기 환경이나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와는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말한 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모발일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조작을 함으로써 상기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413)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이동 통신 사업자 또는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다.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은 C 언어 또는 자바 언어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환경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취소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원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413)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는 메모리 시스템(520), 여기에 결합되어 고속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510), 입력 장치(530) 및 통신장치(5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510)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512),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514) 및 서비스 관리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516)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 장치(51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I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 AMD 및 넥스젠(Nexgen)을 포함하는 회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520)은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522)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CD-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장기(long-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524)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메모리(522)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53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마우스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 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물리적 변환기(Physical transduc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540)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등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등과의 유무선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송수신 처리 모듈(632),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기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634), 이동 단말기에서 설정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636) 및 컨텐츠를 추출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로 가공하는 메시지 생성 모듈(6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모듈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관리 서버는 다양한 OS(Operating System)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600)에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6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는 API(600)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대응하는 각 응용 모듈(630)을 식별하고, 하이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곳으로 제공하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610)를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620)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610)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6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610)는 API(600)를 통하여 제공된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는 응용 모듈(630)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대응되는 응용 모듈(63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응용 모듈(630)에서 인 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매핑부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여기서, 응용 모듈(630)은 송수신 처리 모듈(632),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634), 컨텐츠 관리 모듈(636) 및 매시지 생성 모듈(638)을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620)는 각 응용 모듈에 대한 매핑부(621, 623, 625, 627))와 인터페이스부(622, 624, 626, 628)를 각각 포함한다.
송수신 처리 모듈 매핑부(62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610)로부터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 등과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송수신 처리 모듈(632)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송수신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622)를 통하여 송수신 처리 모듈(632)로 제공한다. 또한 송수신 처리 모듈(632)은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물리적 전송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리적 전송 인터페이스는 SS7 음성망 연동 인터페이스나 TCP/IP 망 연동 인터페이스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634)은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기를 관리하고 각 이동 단말기에 따른 서비스 설정 내용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 매핑부(623)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610)로부터 이동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634)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624)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634)로 제공한다.
컨텐츠 관리 모듈(636)은 이동 단말기로 적절한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 컨 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부분이다. 즉 컨텐츠 관리 모듈 매핑부(625)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610)로부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컨텐츠 관리 모듈(636)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컨텐츠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626)를 통하여 컨텐츠 관리 모듈(636)로 제공한다.
메시지 생성 모듈(638)은 해당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즉 메시지 생성 모듈 매핑부(627)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610)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메시지 생성 모듈(638)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메시지 생성 모듈 인터페이스부(628)를 통하여 메시지 생성 모듈(638)로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라 함은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에 가입을 원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에 가입하고(단계 70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이동 단말기에 설치하고 서비스 환경을 설정한다(단계 703, 단 계 705). 단계 701 및 단계 705에서 서비스 가입 및 설정 절차는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후 이동 단말기는 단계 705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컨테츠를 수신한다(단계 707).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절차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후 이동 단말기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단계 709), 이동 단말기는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대기 모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711).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 가입 절차 및 서비스 환경 설정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가입 요청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801).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단계 803), 인증에 성공하면 이동 단말기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단계 805).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은 OTA-SD(Over The Air Software Download)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은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받은 뒤 개인용 컴퓨터와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로 업로드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통신 사업자에 직접 방문하여 이동 단말기에 설치 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807).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으로 출력할 이미지 및 대기 모드 상태에서 게시판의 형식으로 출력할 메시지를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컨텐츠는 다마고찌 등의 엔터테인먼트 형 서비스, 메신저 등의 커뮤니티 형 서비스 및 뉴스, 날씨 등의 정보형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게시판용 메시지 컨텐츠는 증권, 뉴스, 날씨, 부동산 등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단계 809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해 서비스 환경을 등록, 갱신함으로써 서비스 설정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아니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서비스 환경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807 및 단계 809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은 도 19a 내지 도 19c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할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901). 컨텐츠 제공 서버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 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903). 서비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를 업데이트한다(단계 905). 이후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단계 907),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909). 이때 상기 컨텐츠 정보는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재생가능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되는 경우(단계 1001), 컨텐츠 제공 서버는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1003). 서비스 관리 서버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를 업데이트한다(단계 1005).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른 내부 이벤트 등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 관리 서버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007). 서비스 관리 서버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기로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1009). 이때 상기 컨텐츠 정보는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재생가능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할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101). 컨텐츠 제공 서버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1103). 서비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를 업데이트한다(단계 1105).
이후 서비스 관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한다(단계 1107). 이때 컨텐츠 업데이트 시간이 고객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 시간보다 최신인 경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1109). 이때 상기 컨텐츠 정보는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재생가능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되는 경우(단계 1201), 컨텐츠 제공 서버는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1203). 서비스 관리 서버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에 저장된 컨텐츠를 업데이트한다(단계 1205).
이후 서비스 관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한다(단계 1207). 이때 컨텐츠 업데이트 시간이 고객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 시간보다 최신인 경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1209). 이때 상기 컨텐츠 정보는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재생가능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 모드용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키 입력부의 종료 버튼 입력되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는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단계 1301).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단계 1303).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대기 화면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게시판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한다(단계 1305). 단계 1305에서 메시지를 게시판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은 도 14를 참조하여,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대기 모드 상태에서 에이전트-키(Agent-Key)가 입력되면(단계 1307), 이동 단말기는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인터랙티브 모드로 진입한다(단계 1309). 상기 에이전트-키는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자동 생성되며,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에이전트-키를 제외한 다른 키의 기능은 일반 대기 모드 상태의 키와 동일하다. 단계 1309의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과정은 도 1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에이전트-키가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는 다시 대기 모드 상태로 되돌아가서 단계 1305를 수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시용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키 입력부의 종료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는 경우에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단계 1401).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게시용 메시지를 추출한다(단계 1403). 여기서 상기 게시용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 메시지 게시 내용 및 메시지 세부 내용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표시부의 일정 부분인 게시판 영역에 상기 게시용 메시지에서 메시지 게시 내용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1405). 이후 이동 단말기의 키 입력부에서 에이전트-키가 입력되어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어 세부 내용 보기 이벤트가 발생하면(단계 1407),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세부 내용을 표시부에 출력한다(단계 1409).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키 입력부의 종료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는 경우에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단계 1501).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대기 화면 이미지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503). 대기 화면 이미지가 설정되어 있지 아니하면 단계 1505가 수행되며, 대기 화면 이미지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1507이 수행된다. 단계 1505에서, 이동 단말기는 기본 대기 화면으로 설정된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단계 1507에서, 이동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로 설정되어 저장된 것이다. 단계 1509 및 단계 1511에서, 단말기의 폴더가 오픈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거나 알람 또는 타이머 등 내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는 내부 시나리오에 의해서 이미지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내부 이벤트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 관리 서버로 이미지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이미지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미지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 실행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에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이동 단말기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에이전트-키를 생성하고 에이전트-키가 입력되면(단계 1601), 이동 단말기는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인터랙티브 모드로 동작한다(단계 1603). 상기 인터랙티브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하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으며, 해당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구동하거나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자동 접속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입력하여 이미지 영역 또는 게시판 영역을 활성화한다(단계 1605). 이미지 영역 또는 게시판 영역이 활성화되어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단계 1607), 이동 단말기는 해당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단계 1609).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구동의 예로 이미지가 선택되면 이미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 자동 접속될 수 있으며, 게시판 영역에 게시되고 있는 메시지가 선택되면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또 한번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자동 접속될 수 있다. 해당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단계 1611),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에이전트-키 또는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는 다시 대기 모드 상태로 되돌아간다(단계 1613).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1701), 메시지 게시 내용(1703) 및 메시지 세부 내용(1705)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헤더(1701)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양한 정보의 예로 텔레시브 아이디(Telesvc-id), 저장 시간, 컨텐츠 종류, 콜백용 URL 주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텔레시브 아이디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 텔레시브 아이디가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로 판단하고, 텔레시브 아이디가 없는 경우 일반 메시지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헤더(1701)에 포함된 컨텐츠 종류가 높음 중요도로 분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상세 내용(1705)을 바로 표시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메시지가 이미지 변경 메시지인 경우 자동으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을 표시부에 출력하지 아니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메시지 게시 내용(1703)을 표시부의 게시판 영역에 출력한다. 상기 메시지 게시 내용(1703)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세 보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세부 내용(1705)을 표시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콜백용 URL 주소를 바탕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세한 내용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저장 시간에 표시된 시간만큼 메모리에 저 장한 후 저장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1801), 수신한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지인가를 판단한다(단계 1803). 판단 결과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지인 경우 단계 1807이 수행되며, 그렇지 아니하고 일반 메시지인 경우 단계 1805가 수행된다. 단계 1805에서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을 알람 또는 표시부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리고 일반 메시지 수신 처리 절차에 따른다. 단계 1807에서 이동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를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동 단말기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단계 1809), 상기 메시지가 게시용 메시지인지 이미지 변경을 위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단계 181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메시지가 게시용 메시지인 경우 단계 1817이 수행되며, 이미지 변경 메시지인 경우 단계 1813이 수행된다. 단계 1813에서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 변경 메시지를 바탕으로 설정된 이미지를 변경하고, 변경된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한다(단계 1815).
단계 1817에서 이동 단말기는 게시용 메시지에서 메시지 게시 내용을 표시부에 게시판 영역에 출력한다. 여기서 게시용 메시지가 복수인 경우 메시지 게시 내용을 슬라이드 방식에 의하여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에 의한 세부 내용 보기 이벤트가 발생하면(단계 1819), 이동 단말기는 게시판 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메시지에 대한 세부 내용을 표시부에 출력한다(단계 1821).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이동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 화면(1901)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 화면(1901)은 이미지 설정 항목 및 게시판(Ticker) 설정 항목을 포함한다. 이미지 설정 항목은 대기 화면으로 출력할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고, 게시판 설정 항목은 게시판 영역에 출력할 메시지의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 화면(1901)에서 이미지 설정 항목을 선택하여 확인 버튼을 입력하면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 설정 화면(1903)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는 이미지 설정 화면(1903)은 이미지 뷰어, 엔터테인먼트, 커뮤니케이션, 정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뷰어는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를 보기 위한 것이고, 엔터테인먼트는 다마꼬찌 등의 게임형 서비스이고, 커뮤니케이션은 메신저, 메일, 채팅과 같은 대화형 서비스이고, 정보는 증권, 쇼핑 리스트 등의 정보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대기 화면 점유 서비스 화면(1901)에서 게시판 설정 항목이 선택되어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는 게시판 설정 화면(1905)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게시판 설정 화면(1905)에서 대기 모드 상태에서 게시판 영역에 출력할 컨텐츠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기 전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아니한 이동 단말기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기본 대기 화면 제어 프로그램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 화면(2001)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또한 대기 모드 상태에서 키 입력부(2003)의 각각의 키들은 기존 대기 모드 상태에서 가지는 각각의 기능을 그대로 가진다.
도 2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이미지 영역(2005), 게시판 영역(2007) 및 에이전트-키 영역(2009)을 구분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 에이전트-키 영역(2009)은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서 생성된 것이다. 상기 이미지 영역(2005)에는 대기 화면 이미지로 설정된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게시판 영역(2007)에는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게시용 메시지들이 슬라이드 형식으로 출력된다.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키 입력부(2011)에서 확인 버튼은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에이전트-키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확인 버튼을 제외한 다른 버튼들은 기존 대기 화면에서 가지는 기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도 2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에이전트-키가 입력되면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이미지 영역 및 게시판 영역을 포함하는 에이전트 서비스 화면(2013)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 에이전트 서비스 화면(2013)은 이미지 영역 또는 게시판 영역 중에 하나가 활성화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영역 또는 게시판 영역의 활성화된 영역을 바꾸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키(예로 메뉴 버튼)를 입력한다. 인터랙티브 모드에서 키 입력부(2015)의 버튼들은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정의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키 입력부(2015)의 확인 버튼은 에이전트-키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에이전트-키가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는 대기 모드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컨텐츠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이동 단말기로 제공할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 것으로, 컨텐츠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는 컨텐츠 서버(2101)별로 컨텐츠 정보(2103) 및 최종 업데이트 시간(2105)을 포함한다. 이때 컨텐츠 서버(2101)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의미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2이상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각 컨텐츠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2103)는 고객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컨텐츠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최종 업데이트 시간(2105)에는 해당 컨텐츠 별로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시간이 저장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고객(2201)별로 단말기 정보(2203), 어플리케이션 정보(2205) 및 최종 업데이트 시간(2207)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 정보(2203)는 이동 단말기 번호, 서비스 활성화 상태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2205)는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의 대기 점유 설정 여부, 컨텐츠 종류, 서비스 설정 환경 등의 정 보를 포함한다. 최종 업데이트 시간(2207)은 컨텐츠 별로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한 마지막 시간을 의미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 최종 업데이트 시간과 도 21에서 설명한 컨텐츠 최종 업데이트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컨텐츠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최신의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시간,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티커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제공함으로써 광고, 교육, 암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동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GVM, SK-VM, KVM, MAP, BREW 및 WIPI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 메시지 게시 내용 및 메시지 세부 내용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헤더는 텔레시브 아이디, 저장 시간 및 컨텐츠 아이디, 콜백용 URL 주소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헤더에 텔레시브 아이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는 게시용 메시로 판단되어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게시 내용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9.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10.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 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1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 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12.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수단;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 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3.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수단;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4.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는 수단;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수단;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 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5.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 내의 현재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는 수단;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는 수단; 및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 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6.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7.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8.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9.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하여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과 컨텐츠 정보 업데이트 현황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컨텐츠 업데이트 현황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현황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를 게시용 메시지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KR1020040071666A 2004-05-03 2004-09-08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25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66A KR100625013B1 (ko) 2004-09-08 2004-09-08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68,613 US8078228B2 (en) 2004-05-03 2005-04-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a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driving an application for an idle state in a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EP05764728.1A EP1745662B1 (en) 2004-05-03 2005-04-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CN2005800225339A CN1981544B (zh) 2004-05-03 2005-04-29 用于在移动终端待机状态下显示信息和为移动终端提供待机状态内容的方法和设备
PCT/KR2005/001245 WO2005112491A1 (en) 2004-05-03 2005-04-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driving application for idle state in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JP2007511274A JP4624407B2 (ja) 2004-05-03 2005-04-29 待機モード用コンテンツを移動端末機へ提供する方法、および、サービス管理サーバ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66A KR100625013B1 (ko) 2004-09-08 2004-09-08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879A true KR20060022879A (ko) 2006-03-13
KR100625013B1 KR100625013B1 (ko) 2006-09-20

Family

ID=3712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666A KR100625013B1 (ko) 2004-05-03 2004-09-08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63B1 (ko) * 2005-08-29 2007-05-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최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53782B1 (ko) * 2008-01-14 2008-08-25 벨록스소프트(주) Dmb채널을 이용한 대기화면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0956364B1 (ko) * 2008-07-23 2010-05-07 주식회사 케이티 위피 대기화면을 이용한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31477D0 (en) * 2000-12-22 2001-02-07 Symbian Ltd Mobile telephone device with idle screen
JP2003317002A (ja) 2002-04-26 2003-11-07 Hotpot:Kk 携帯端末用広告システム
KR20020074096A (ko) * 2002-08-10 2002-09-28 김선호 수신된 데이터를 대기 모드에서 보여주는 이동 통신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1938A (ko) * 2003-02-20 2003-04-23 권영주 이동 단말의 바탕 화면을 통한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63B1 (ko) * 2005-08-29 2007-05-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최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53782B1 (ko) * 2008-01-14 2008-08-25 벨록스소프트(주) Dmb채널을 이용한 대기화면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0956364B1 (ko) * 2008-07-23 2010-05-07 주식회사 케이티 위피 대기화면을 이용한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013B1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4407B2 (ja) 待機モード用コンテンツを移動端末機へ提供する方法、および、サービス管理サーバー
US20210382589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software application recommendations
JP5378267B2 (ja) サーバに接続する無線装置のためのメッセージを提供するサーバ処理
US20130237185A1 (en) Mobile rich media information system
WO200608069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and updating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same
CN102770832A (zh) 用于提供用户输入选项的合作启用的方法和装置
GB2421103A (en) Controlling speech synthesis on a mobile device by detecting content information
JP5305493B2 (ja) サーバ、通信端末、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機器連携システム
CN1981544A (zh) 用于在移动终端待机状态下显示信息、在移动终端内驱动待机状态的应用程序和为移动终端提供待机状态内容的方法和设备
US774258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189808A (ja) 携帯電話機ステーション
KR100625013B1 (ko)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63739B1 (ko) 이동 단말기용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선물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45803A (ko) 무선단말기에 대한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프로그램 제공 방법
KR100677652B1 (ko) 대기모드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060081159A (ko) 이동단말기의 단말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32217B1 (ko) 대기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JP3538407B2 (ja) 携帯型端末装置、画像再現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0680041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99882B1 (ko) 모바일 컨텐츠에 연동한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100637038B1 (ko) 발신자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785635B1 (ko) 통신망을 통한 내부 기능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WO2002046992A1 (fr) Serveur, systeme, procede et programme de presentation de menu,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JP2003066972A (ja) 楽音発生装置及び楽音発生処理のプログラム
KR100601800B1 (ko) 복표를 이용하여 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