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460A -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1460A KR20060021460A KR1020040070208A KR20040070208A KR20060021460A KR 20060021460 A KR20060021460 A KR 20060021460A KR 1020040070208 A KR1020040070208 A KR 1020040070208A KR 20040070208 A KR20040070208 A KR 20040070208A KR 20060021460 A KR20060021460 A KR 200600214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grains
- storage hopper
- sorting
- col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곡물중에 포함된 불량알곡이나 이물질을 자동적으로 선별처리 가능하며 특히 1차 및 2차 선별이 자동모드에 의해 변환되면서 종전의 색채 선별기 2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곡물선별 능력이 탁월하여 고품질의 곡물을 선별 가공할 수 있어 농가소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선별 기능과 완전미 선별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따라 선별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전의 색채 선별기 2대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내에서 통합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 단위시간당 선별량을 늘일수 있고, 종래의 선별기에 비해 설치면적을 대폭 줄일수 있으며, 특히 특히 곡물선별 능력이 탁월하여 고품질의 곡물을 선별 가공할 수 있어 농가소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별장치의 좌측에 형성된 곡물투입통(10)과, 곡물투입통에 보관된 곡물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제1 곡물이송관(20)과, 제1곡물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된 곡물이 저장되는 제1저장호퍼(30)와, 제1저장호퍼(30)의 하측 형성되어 곡물 투출을 제어 동작하는 제1실린더(40)와, 제1저장호퍼(30)의 하측 형성되어 곡물을 선별하는 색채선별기(50)와, 상기 색채선별기(50)의 하측 형성되어 선택된 알곡이 토출되어 이송되는 제2곡물이송관(60)과, 제2곡물이송관 상측 내부에는 제2실린더(61)에 의해 회전동작되어 곡물의 이송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분배판부재(62)와, 제2 저장호퍼(70)내에 형성되어 저장 곡물량을 감지하는 제1,2 감지센서(71,72)와, 제2저장호퍼(70)의 하측에 형성되어 곡물의 투출을 제어하는 제3실린더(80)와, 제2저장호퍼와 격벽되어 형성되고 색채선별과정에서 불량 알곡이라 인식된 곡물이 저장된 제3호퍼(90)와, 색채선별기(50)에서 불량 알곡이 배출되는 배출관(51)와, 정상 알곡이 제1저장호퍼(30)으로 재이송되도록 형성된 제1 곡물이송관(20)와, 선택모드의 키신호 및 위 제1,2감지센서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제1 내지 제3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2차 선별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부(100)로 이루어 진다.
색채선별기, 일반모드 완전미모드, 일체형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곡물 선별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 선별장치의 제어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곡물투입통 20: 제1 곡물이송관
30: 제1저장호퍼 40: 제1실린더
50: 색채선별기 60: 제2곡물이송관
61: 제2실린더(61) 62: 분배판부재
70: 제2저장호퍼 71,72: 제1,2 감지센서
80: 제3실린더 90: 제3저장호퍼
100: 콘트롤부
본 발명은 곡물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곡물중에 포함된 불량알곡이나 이물질을 자동적으로 선별처리 가능하며 특히 1차 및 2차 선별이 자동모드에 의해 변환되면서 종전의 색채 선별기 2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곡물선별 능력이 탁월하여 고품질의 곡물을 선별 가공할 수 있어 농가소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곡물들의 변색된 불량알곡을 선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장치들이 있었으나, 곡물을 호퍼에 투입시켜 진동판을 지나 경사진 슬라이드 판체로 이동시키면 색채 감지센서가 설치된 감광장치가 변색된 불량알곡을 감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에어분출장치가 에어를 분출시켜 변색된 불량알곡을 분리 이탈시켜 주게 되는데, 불량알곡과 함게 포함되어 분리 이탈된 소수의 알곡들을 별도로 수거하여 선별장치의 호퍼내로 재투입시켜 재차 선별하도록 된 것으로서, 완전 선별에는 시간이 걸리는 것은 물론, 재차 투입하여야 하므로 불편하고 비능률적인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선별 기능과 완전미 선별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따라 선별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전의 색채 선별기 2대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내에서 통합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 단위시간당 선별량을 늘일수 있고, 종래의 선별기에 비해 설치면적을 대폭 줄일수 있으며, 특히 특히 곡물선별 능력이 탁월하여 고품질의 곡물을 선별 가공할 수 있어 농가소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별장치의 좌측에 형성된 곡물투입통(10)과, 곡물투입통에 보관된 곡물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제1 곡물이송관(20)과, 제1곡물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된 곡물이 저장되는 제1저장호퍼(30)와, 제1저장호퍼(30)의 하측 형성되어 곡물 투출을 제어 동작하는 제1실린더(40)와, 제1저장호퍼(30)의 하측 형성되어 곡물을 선별하는 색채선별기(50)와, 상기 색채선별기(50)의 하측 형성되어 선택된 알곡이 토출되어 이송되는 제2곡물이송관(60)과, 제2곡물이송관 상측 내부에는 제2실린더(61)에 의해 회전동작되어 곡물의 이송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분배판부재(62)와, 제2 저장호퍼(70)내에 형성되어 저장 곡물량을 감지하는 제1,2 감지센서(71,72)와, 제2저장호퍼(70)의 하측에 형성되어 곡물의 투출을 제어하는 제3실린더(80)와, 제2저장호퍼와 격벽되어 형성되고 색채선별과정에서 불량 알곡이라 인식된 곡물이 저장된 제3호퍼(90)와, 색채선별기(50)에서 불량 알곡이 배출되는 배출관(51)와, 정상 알곡이 제1저장호퍼(30)으로 재이송되도록 형성된 제1 곡물이송관(20)와, 선택모드의 키신호 및 위 제1,2감지센서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제1 내지 제3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2차 선별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부(100)로 이루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곡물 선별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 선별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별장치의 좌측에는 곡물을 투입할수 있는 곡물투입통(10)이 구비되고, 곡물투입통에 보관된 곡물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제1곡물이송관(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곡물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된 곡물이 저장되는 제1저장호퍼(30)와, 제1저장호퍼(30)의 하측에는 곡물 투출을 제어하는 제1실린더(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저장호퍼(30)의 하측에는 곡물을 선별하는 색채선별기(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위 색채선별기(50)는 색채 감지센서와 에어분출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설치된 감지센서가 통과되는 알곡의 색상을 감지하고 선택된 알곡만 통과될 수 있도록(불량알곡은 에어분출로 인해 낙하) 에어분출장치가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색채선별기(50)의 하측에는 선택된 알곡이 토출되어 이송되는 제2곡물이송관(60)이 구비되고 이송관 내의 곡물이송장치에 의해 제2저장호퍼(70)로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곡물이송관 상측 내부에는 제2실린더(61)에 의해 회전동작되어 곡물의 이송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분배판부재(62)가 설치되어 있어 운전 모드에 따라 회동 동작되어 곡물의 이송방향을 분배하여 준다.
제2저장호퍼(70)내에는 하측부에 제1차 감지센서(71)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제2차 감지센서(72)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2저장호퍼(70)의 하측에는 곡물의 투출을 제어하는 제3실린더(8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는 별도로, 제2저장호퍼(70)와 격벽되어 형성되고 색채선별과정에서 불량알곡이라 인식된 곡물이 저장되는 제3저장호퍼(9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색채선별기(50)와 연결되어 불량 알곡이 배출되는 배출관(51)이 구비되며 그 일측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알곡이 제1저장호퍼(30)으로 재이송되도록 제1 곡물이송관(20)이 형성되어 있고, 선별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 등을 배출키 위한 이물질 배출관(11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종 선택모드 및 위 제1,2감지센서(71,72)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제1 내지 제3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여 일반 및 완전미 모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원을 투입 사용자가 일반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곡물투입통(10)에 보관된 곡물이 곡물이송관(20)을 통해 제1저장호퍼(30)로 투입됨과 아울러 제1실린더(40)가 동작 제1저장호퍼(30) 하측이 개방되어 곡물이 색채선별기(50)를 통과하면서 정상 알곡과 불량 알곡 및 이물질을 선별하는데, 정상 알곡은 제2곡물이송관(60)을 통해 투출되어 이송됨과 아울러 콘트롤러(100)의 제어신호를 받은 제2실린더(61)가 동작하여 분배판부재(62)를 점선방향으호 회동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만일, 사용자가 완전미 선별기능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곡물투입통(10)에 보관된 곡물이 곡물이송관(20)을 통해 제1저장호퍼(30)로 투입됨과 아울러 제1실린더(40)가 동작 제1저장호퍼(30) 하측을 개방하게 되고 이송된 곡물이 색채선별기(50)를 통과하면서 정상 알곡과 불량 알곡 및 이물질이 선별되어 지고, 정상 알곡은 제2곡물이송관(60)을 통해 이송되어 진다.
완전미 모드 키신호를 받은 콘트롤러(100)는 제2실린더(61)로 제어신호를 발 생 분배판부재(62)를 실선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저장호퍼(70)로 곡물을 투입가능케 한다.
곡물이 제2저장호퍼(70)로 계속 투입되어 제2감지센서(72)와 접촉되면, 제2감지센서는 콘트롤러(10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따라 콘트롤러는 제1실린더(40)로 제어신호를 발생 제1저장호퍼(30)의 하측부를 차단시켜 더 이상 선별된 곡물이 제2저장호퍼(70)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제2저장호퍼(70) 외부로 곡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2저장호퍼(70)에 투입된 곡물은 색채선별기(50)를 재차 통과하면서 제2선별과정을 거치게 되고, 재차 선별된 곡물은 제2곡물이송관(6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어져 선택된 곡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1차선별된 곡물이 제2저장호퍼(70)에 투입되어 제2감지센서와 접촉되면 콘트롤부(100)가 이를 인식 제2선별과정을 수행키 위해 제2실린더(80)를 동작하여 제2저장호퍼(70)의 하측부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제2실린더(61)를 동작 분배판부재(62)를 점선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곡물이 색채선별기(50)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관(110)을 통해 배출되어지고, 불량 알곡이라 인식되는 곡물은 배출관(51)을 통해 불량 알곡 저장호퍼(90)로 투입되고, 재차 색채선별기(5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만을 이물질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은 재차 제1곡물 이송관(20)을 통해 제1저장호퍼(30)로 투입되어 동일한 선별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곡물이 선 별과정에서 낭비되지 않토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선별 기능과 완전미 선별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따라 원하는 선별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전의 색채 선별기 2대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내에서 통합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 단위시간당 선별량을 늘일수 있고, 종래의 선별기에 비해 설치면적을 줄일수 있으며, 특히 곡물선별 능력이 탁월하여 고품질의 곡물을 선별 가공할 수 있어 농가소득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1)
- 선별장치의 좌측에 형성된 곡물투입통(10)과, 곡물투입통에 보관된 곡물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제1 곡물이송관(20)과, 제1곡물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된 곡물이 저장되는 제1저장호퍼(30)와, 제1저장호퍼(30)의 하측 형성되어 곡물 투출을 제어 동작하는 제1실린더(40)와, 제1저장호퍼(30)의 하측 형성되어 곡물을 선별하는 색채선별기(50)와, 상기 색채선별기(50)의 하측 형성되어 선택된 알곡이 토출되어 이송되는 제2곡물이송관(60)과, 제2곡물이송관 상측 내부에는 제2실린더(61)에 의해 회전동작되어 곡물의 이송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분배판부재(62)와, 제2 저장호퍼(70)내에 형성되어 저장 곡물량을 감지하는 제1,2 감지센서(71,72)와, 제2저장호퍼(70)의 하측에 형성되어 곡물의 투출을 제어하는 제3실린더(80)와, 제2저장호퍼와 격벽되어 형성되고 색채선별과정에서 불량 알곡이라 인식된 곡물이 저장된 제3호퍼(90)와, 색채선별기(50)에서 불량 알곡이 배출되는 배출관(51)와, 정상 알곡이 제1저장호퍼(30)으로 재이송되도록 형성된 제1 곡물이송관(20)와, 선택모드의 키신호 및 위 제1,2감지센서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제1 내지 제3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2차 선별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부(100)로 이루어진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0208A KR100578254B1 (ko) | 2004-09-03 | 2004-09-03 |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0208A KR100578254B1 (ko) | 2004-09-03 | 2004-09-03 |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1460A true KR20060021460A (ko) | 2006-03-08 |
KR100578254B1 KR100578254B1 (ko) | 2006-05-11 |
Family
ID=3712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0208A KR100578254B1 (ko) | 2004-09-03 | 2004-09-03 |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82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832B1 (ko) | 2012-12-20 | 2014-01-28 | 김영락 | 곡물 색채 선별장치 |
-
2004
- 2004-09-03 KR KR1020040070208A patent/KR1005782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78254B1 (ko) | 2006-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08959A1 (en) | Optical sorter | |
KR100578254B1 (ko) | 1,2차 자동모드 변환 기능이 구비된 곡물 선별장치 | |
JP5278295B2 (ja) | 色彩選別機 | |
JPH07274696A (ja) |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 |
JP4743003B2 (ja) | 籾摺精米設備 | |
KR200177097Y1 (ko) | 곡물의 색채 선별장치 | |
JPH01313222A (ja) | 穀類荷受装置 | |
JP2008279333A5 (ko) | ||
JPS61287659A (ja) | 自動原稿送り装置の制御機構 | |
JP2944304B2 (ja) | 穀物処理設備における荷受処理部 | |
JP2006095433A (ja) | 穀物処理施設 | |
JPS6350073B2 (ko) | ||
JP5838723B2 (ja) | 精米設備 | |
JPH05164464A (ja) | 穀粒荷受装置の穀粒荷受制御方式 | |
JP3755531B2 (ja) | 籾摺精米施設 | |
JP2005296716A (ja) | 精米システム | |
JPH0420543Y2 (ko) | ||
JPH0352145Y2 (ko) | ||
JPH06205997A (ja) | 精米装置における切替制御装置 | |
JP2020028834A (ja) | 粒状物用の選別機 | |
JPS5924872B2 (ja) | 揺動選別装置 | |
KR200296702Y1 (ko) | 미곡 자동충진차량 | |
JP2014008490A (ja) | 精米設備 | |
JP2013091040A (ja) | 精米設備 | |
JPH0111342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50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