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785A - 트윈렌즈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트윈렌즈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785A
KR20060020785A KR1020040069457A KR20040069457A KR20060020785A KR 20060020785 A KR20060020785 A KR 20060020785A KR 1020040069457 A KR1020040069457 A KR 1020040069457A KR 20040069457 A KR20040069457 A KR 20040069457A KR 20060020785 A KR20060020785 A KR 2006002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lens
coil
actuator
tw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0785A/ko
Publication of KR2006002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Numerical aperture control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특히 트윈(twin)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저밀도부터 고밀도 디스크까지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윈 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는, 베이스와; 복수개의 대물렌즈가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취부되며, 각각의 대물렌즈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빔 통과공이 형성된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의 다축 가동을 위해 렌즈홀더 양측에 배치된 자기회로와; 일단이 상기 렌즈홀더에 연결된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과;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과 함께 상기 렌즈홀더를 일정 각도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윈렌즈, 액츄에이터

Description

트윈렌즈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Optical pick-up actuator with twin lens}
도 1은 종래 트윈 렌즈를 갖는 축 타입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a)(b)는 종래 도 1에서 축 타입의 렌즈홀더와 요크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의 (a)(b)는 종래 도 1에서 축 타입의 마그네트와 트랙킹 코일, 대핑 철편 요소에 의한 자기적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축 타입의 렌즈와 빔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축 타입의 요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자기회로의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렌즈가 절환된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자기회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절환을 위한 렌즈홀더의 측면을 나타 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액츄에이터 201...베이스
202...모터 203...요크
210...마그네트 220...렌즈홀더
221...제 1대물렌즈 223...제 2대물렌즈
222,223...빔 통과공 230...제 1코일
235...제 2코일 240...와이어 서스펜션
220,221...빔 통과공
본 발명은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특히 트윈(twin)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저밀도부터 고밀도 디스크까지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트윈 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 디스크의 용량 증가와 함께 광 픽업에서 사용하는 파장과 렌즈 개구율(NA : Numerical Aperture)이 기록밀도에 맞게 변화함과 동시에 하나의 픽업으로 두 종류 이상의 디스크를 읽고 쓰는 요구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하나의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CD(Compact Disk)와 DVD(digital versatile disk, digital video disk) 혹은 DVD와 BD(Blu-ray Disk)에 대응할 수 있지만, 광 효율, 렌즈의 크기 등의 한계로 인해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두 종류의 NA에 대응할 수 있는 대물렌즈용 액츄에이터의 사용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두 개의 대물렌즈를 사용하는 액츄에이터는 축 타입 액츄에이터가 존재하는 데, 상기 축 타입 액츄에이터는 렌즈홀더에 일정 간격으로 두 개의 렌즈를 두고 이격된 간격 만큼 스위칭하여 각각의 광 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광 픽업에서의 축 타입 액츄에이터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저밀도 및 고밀도용의 대물렌즈(102)가 안착된 원통형의 렌즈홀더(104)와, 대물렌즈(102)가 디스크 내의 신호 트랙을 따라 초점에 맞는 광빔이 되도록 상기 렌즈홀더(104)를 구동시켜주는 코일 및 마그네트(106,108,110)와, 상기 렌즈홀더(104)를 구동시켜 주도록 내측면에 부착된 마그네트(110) 및 빔 통과공(120)이 가공된 요크(112)와, 상기 렌즈홀더(104)의 구동시 구동력을 감쇠시켜 주기 위해 마그네트(110)와 대향하게 설치된 댐핑용 철편(114)과, 상기 렌즈홀더(104)의 질량 중심을 중심에 오도록 하는 질량 보정 추(116)와, 코일(106,108)에 전원을 인가하게 해 주는 플렉시블 기판(122)과, 상기 렌즈홀더(104)를 축 연동을 안내해 주기 위해 요크 중심에 압입된 샤프트(1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광 픽업 축 타입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렌즈홀더(104)는 원통형이고, 상면 일측에 저밀도용 대물렌즈(101)와 고밀도용 대물렌즈(102)가 인접하여 안착되며, 상면 타측에 질량 보정 추(116)가 형성되어 렌즈홀더(104)를 질량 중심에 오도록 한다.
그리고, 원통형 렌즈홀더(104)의 측면에는 포커싱 코일(106)이 권선되며, 상기 포커싱 코일(106)이 권선된 측면 4개소에는 트랙킹 포일(108)이 각각 권선된다. 또한 트랙킹 코일(108)의 중심부에 댐핑용 철편(114)이 각각 고정된다.
원통형 렌즈홀더(104)는 원통형의 요크(112) 내부에서 부상되도록 상기 요크(112)의 내부 4개소에 상기 트랙킹 코일(108)과 대응하도록 마그네트(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원통형 요크(112)의 중심부에는 샤프트(118)를 압축하여 렌즈홀더(104)의 중심을 관통하여 렌즈홀더(104)의 구동을 안내해 주고, 그 일측에는 상기 저밀도용 대물렌즈(101)와 대향하도록 빔 통과공(120)이 도 2와 같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광 픽업의 축 타입 액츄에이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크의 재생 및 기록을 위해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의 상/하 방향과 반경 방향에 대한 진동에 대해, 상기 대물렌즈(102)가 디스크 면에 광 초점을 맞추면서 디스크 내의 신호 트랙에 따라 초점이 맞는 광 빔이 되도록 렌즈홀더(104)를 구동시킨다.
이때, 디스크의 상/하 방향에 대한 추종은 플렉시블 기판(122)을 통해서 포커싱 코일(106)에 전원을 인가하면, 요크(112)의 내측벽에 부착된 마그네트(110) 와, 이에 대향하게 렌즈홀더(104) 측면에 권선된 포커싱 코일(106)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요크(112)의 중심부에 형성된 샤프트(118)의 지지로 렌즈홀더(104)가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 대한 추종은 플렉시블 기판(122)을 통해서 전원을 트랙킹 코일(108)에 인가하면, 도 3의(a)(b)와 같이 요크(112) 내측벽에 부착된 마그네트(110)와, 이에 대향하고 있는 포커싱 코일(106)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으로 렌즈홀더(104)가 샤프트(118)를 중심으로 축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서로 다른 파장의 광빔은 요크(112)의 중심 일측에 가공된 빔 통과공(120)을 통해서 렌즈홀더(104)에 안착된 대물렌즈(101)로 전달된다.
한편, 렌즈홀더(104)에 안착된 대물렌즈(102)를 저밀도용 또는 고밀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디스크가 저밀도에서 고밀도로 바뀌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대물렌즈(102)를 저밀도 렌즈(101)에서 고밀도 렌즈(103)로, 다시 고밀도 렌즈(103)에서 저밀도 렌즈(101)로 바꾸기 위해서, 렌즈홀더(104)를 샤프트(118) 중심을 기준으로 축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 대물렌즈(101,103)를 바꾸고자 하는 원동력은, 트랙킹 코일(108)에 인가되는 전원을 순간적으로 높게 인가하여 렌즈홀더(104)를 회전시켜 주게 되는데, 회전시 트랙킹 코일(108) 내에 설치된 댐핑용 철편(114)과 마그네트(110)가 서로 당기는 힘을 이겨야 된다. 그렇치 않으면 대물렌즈(101,103)가 바뀌지 못하는 결과가 된다.
즉, 도 3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용 철편(114)이 좌측 2개의 마그네트의 자기 영역(A)을 벗어나 우측 두 개의 마그네트 영역(B)에 들어서야 대물렌즈(101,103)가 회전이 된다. 여기서, 재생시나 기록시 주로 사용하는 트랙킹 방향 가동시에 필요한 힘보다 대물렌즈(101,103)가 교체될 때 회전력이 더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축 타입 구성상 회전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트랙킹 코일(108)을 크게 하거나, 마그네트(110)의 크기를 크게 해야 하는데, 이는 기구적 제약과 트랙킹 코일 증가에 따른 질량 증가로 이어져 감도(즉, 인가 전압에 대한 이동량) 저하로 회전력이 크게 증가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댐핑용 철편(114)과 마그네트(110)가 서로 당기는 힘을 작게 하여 대물렌즈(101,103) 교체가 쉽게 하도록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댐핑용 철편(114)을 작게 하면 재생시 댐핑력이 약해져 제품이 충격이나 외란에 취약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대물렌즈가 교체되기 위해 렌즈홀더(104)가 일정량의 회전 각도가 필요하다. 이는 실제 대물렌즈(101,103)가 트랙킹하는 범위(± 5 ˚)에 비해 상당히 큰 각도(90 ˚정도)이며, 포커싱 코일(106)과 트랙킹 코일(108)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랙시블 기판(122)이 상당한 길이 변화를 요하게 된다.
이러한 플랙시블 기판(122)은 일정 길이로 정해져 있으므로, 플랙시블 기판(122)의 장력에 의해 포커싱과 트랙킹의 감도(즉, 인가 전압에 대한 이동량)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히스테리시스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인가한 전압에 대해 가동변위가 일정치 못해 시스템에서 서보하기가 매우 불안해지는 결과로 재생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그리고, 재생이나 기록시 렌즈홀더(104)가 구동하게 되는데, 트랙킹 방향 구동 시 대물렌즈(101,103)가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어, 편심되는 현상 및 동작 응답성 지연을 막기 위해 대물렌즈(101,103) 반대 방향 위치에 질량보정 추(116)를 렌즈홀더(104)에 부착하여 질량 중심이 샤프트(118) 중심에 오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질량보정 추(116)를 렌즈홀더(104)에 부착에 따른 가동시 감도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러한 감도저하는 고배속제품의 대응을 못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4-와이어 타입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와이어 타입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서의 서로 다른 개구율을 갖는 트윈 렌즈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서로 다른 개구율을 갖는 트윈 렌즈의 광 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각 대물렌즈의 포커싱, 트랙킹, 그리고 틸트 구동이 가능토록 한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이터는,
베이스와;
복수개의 대물렌즈가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취부되며, 각각의 대물렌즈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빔 통과공이 형성된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의 다축 가동을 위해 렌즈홀더 양측에 배치된 자기회로와;
일단이 상기 렌즈홀더에 연결된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과;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과 함께 상기 렌즈홀더를 일정 각도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축 연결되고 와이어 서스펜션의 타단이 연결되며 베이스 면으로부터 부상된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기회로는 상기 렌즈홀더의 양측면에 포커싱 및 트랙킹을 위해 부착된 제 1 및 제 2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다극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코일 및 제 2코일은 렌즈홀더의 양측면에서 열 십자 형태로 부착되어, 상기 렌즈홀더의 좌/우에 위치한 코일이 상기 렌즈홀더를 포커싱 동작시키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하에 위치한 코일이 상기 렌즈홀더를 트랙킹 동작 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202)를 구비한 베이스(201)와, 상기 모터(202)에 축(204) 연결된 요크(203)와, 상기 베이스(201)에 고정된 복수개의 마그네트(210)와, 복수개의 대물렌즈(221,223)를 취부하고 빔 통과공(도 10의 222,224)을 구비하며 부상된 상태로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렌즈홀더(220)와, 상기 렌즈홀더(220)의 양측에 상기 복수개의 마그네트(230)와 대향하는 제 1 및 제 2코일(230,235)과, 상기 렌즈홀더(22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요크(203)에 타단이 연결된 와이어 서스펜션(2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 1 코일(230) 또는 제 2코일(235)은 렌즈홀더(220)의 일측면 좌/우측에 있을 경우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고, 렌즈홀더(220)의 일측면 상/하측에 있을 경우 트랙킹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광 픽업 액츄에이터(200)는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240)을 갖는 타입으로, 베이스(210) 및 마그네트(210)의 고정부와, 렌즈홀더(220) 및 요크(203), 와이어 서스펜션(240) 등의 회전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는 렌즈홀더(220) 및 요크(203) 등의 회전부의 회전에 방해되는 않는 조 건으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10)는 일정 형상 예컨대, ∪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일측에 모터(202)가 축(204)으로 요크(203)와 연결된다.
그리고, 마그네트(210)는 복수개로서, 렌즈홀더(220)의 양측면과 소정 이격되어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201)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 1마그네트는 베이스의 절곡 내면에 부착되며, 제 2마그네트는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고정되며, 요크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마그네트(210)는 도 7과 같이 다극(211,212,213,214)으로 구성되는데, 다극을 단극 마그네트 4개로 구성되거나, 이극 마그네트 2개, 또는 다극 착자된 단일개의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렌즈홀더(220)는 일정 형상으로 성형되는데 예컨대, 다각형으로 제조되며, 서로 다른 면에 복수개의 대물렌즈(221,223)가 취부된다. 즉, 렌즈홀더(220)에는 복수개의 대물렌즈(221,223)는 소정 각도 예컨대, 90도 정도 이격되며, 빔이 통과하도록 빔 통과공(222,224)이 도 10과 같이 열 십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렌즈홀더(220)의 양측에는 가동을 위해 코일 및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자기회로가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홀더(220)의 양측면에는 제 1 및 제 2코일(230,235)이 권선되어 십자 형태로 부착되며, 마그네트(210)와 대향된다. 상기 제 1코일(230)은 렌즈홀더(220)가 회전하기 전에는 양측면 좌/우에 위치하며, 렌즈홀더(220)가 일정 각도 회전될 경우에는 양측면 상/하에 위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코일(235) 은 렌즈홀더(220)의 회전 전에는 양측면 상/하에 위치하며, 렌즈홀더(220)가 회전한 후에는 양측면 좌/우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230,235)과 마그네트(21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홀더(220)가 포커싱 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홀더(220)와 요크(203) 사이에는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240)이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240)은 예컨대, 4개의 와이어 서스펜션(240)으로 이루어지며, 렌즈홀더(220)를 지지하고 전원 공급라인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240)은 일단이 렌즈홀더(220)의 둘레면 각 모서리 부위에 연결되며, 타단은 요크(203)의 각 모서리 부위에 연결되어, 렌즈홀더(22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 서스펜션의 연결 부위는 렌즈홀더의 회전을 최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렌즈홀더(220)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주기 위해, 모터(202)가 구동하면 모터(202)에 축 연결된 요크(203)가 회전하고, 요크(203)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요크(203)에 연결된 와이어 서스펜션(240) 및 렌즈홀더(22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렌즈홀더(220)가 회전하면 복수개의 대물렌즈(221,223)의 절환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디폴트 모드인 제 1대물렌즈(221)가 렌즈로 작용되는 경우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렌즈홀더(220)의 양측면 좌/우에 부착된 제 1코일(230)에 전류가 흐르면, 대향하는 다극 마그네트(210)와의 사이에서 자속의 방향이 상/하로 발생하게 됨에 따라 렌즈홀더(220)가 포커싱 방향(F: Focusing)으로 가동하게 된다. 즉, 도 7과 같이 제 1코일(230)은 수평 권선되어, 마그네트(210)의 극성(211,213)(212,214) 경계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서로 다른 극성에 의해 자속의 방향이 상/하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홀더(220)의 양측면 상/하에 부착된 제 2코일(235)에 전류가 흐르면, 대향하는 마그네트(210)의 극성 경계와의 사이에서 자속의 방향이 좌/우로 발생하게 됨에 따라 렌즈홀더(220)가 트랙킹(T: tracking) 가동하게 된다. 즉, 도 7과 같이, 제 2코일(235)은 수직 권선되고, 마그네트(210)의 좌/우 극성(211,212)(213,214) 경계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서로 다른 극성에 의해 자속의 방향이 좌/우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홀더(220)를 모터(202)를 이용하여 소정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주면, 요크(203) 및 와이어 서스펜션(240), 렌즈홀더(220)가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게 된다. 이때 렌즈홀더(220)를 틸트(tilt) 방향으로 가동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렌즈홀더(220)의 포커싱, 트랙킹, 틸트 방향으로의 가동시 와이어 서스펜션(240)이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제 2대물렌즈(223)를 렌즈로 작용시키고자 할 경우, 베이스(201)에 부착된 모터(202)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202)가 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축(204) 연결된 요크(203), 와이어 서스펜션(240), 렌즈홀더(220)가 약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렌즈홀더(22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면 도 8과 같이 렌즈홀더(220)의 상면에 제 2대물렌즈(223)가 위치하게 되어 렌즈 절환이 완료된다.
여기서, 렌즈홀더(220)가 90도 회전하게 됨에 따라 렌즈홀더(220)의 양측면에 부착된 코일(230,235)의 위치도 90도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코일 기능을 제 2코일이 수행하고, 제 2코일 기능을 제 1코일이 수행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와 같은 구조에서의 액츄에이터의 구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렌즈홀더(220)의 양측면 좌/우에 부착된 제 2코일(235)에 전류가 흐르면, 대향하는 마그네트(210)의 상/하 극성 경계 사이에서 자속의 방향이 상/하로 발생하게 됨에 따라 렌즈홀더(220)가 포커싱(F: Focusing) 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 즉, 도 9와 같이 제 2코일(235)은 수평 권선되어 마그네트(210)의 극성(211,213)(212,214) 경계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서로 다른 극성에 의해 자속의 방향이 상/하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홀더(220)의 양측면 상/하에 부착된 제 1코일(230)에 전류가 흐르면, 대향하는 마그네트(210)의 좌/우 극성 경계와의 사이에서 자속의 방향이 좌/우로 발생하게 됨에 따라 렌즈홀더(220)가 트랙킹 가동하게 된다. 즉, 도 9와 같이, 제 1코일(230)은 수직 방향으로 권선되어, 마그네트(210)의 좌/우 극성(211,212)(213,214) 경계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서로 다른 극성에 의해 자속의 방향이 좌/우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 2대물렌즈(223)가 상부에 위치한 렌즈홀더(220)를 모터(202)를 이용하여 소정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주면, 요크(203) 및 와이어 서스 펜션(240), 렌즈홀더(220)가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게 된다. 이때 렌즈홀더(220)를 틸트 방향으로 가동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제 2대물렌즈(223)에서 제 1대물렌즈(221)로 절환하고자 할 경우, 모터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렌즈홀더(220)를 다시 원 위치로 절환시켜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200)의 렌즈홀더(220)는 모터(202)의 기전력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도 10의 (a)(b)와 같이 회전(90°,-90°)하게 되고, 렌즈홀더(220)의 각 측면에 위치한 제 1대물렌즈(221)에서 제 2대물렌즈(223)로, 제 2대물렌즈(223)에서 제 1대물렌즈(221)로의 렌즈 절환이 가능하게 되며, 또 상기 대물렌즈(221,223)의 절환과 동시에 렌즈홀더 내부에 십자 형태로 형성된 빔 통과공(222,224)도 일체로 절환됨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을 요구하는 제 1 빔(Beam 1) 또는 제 2빔(Beam 2)의 출사 방향을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렌즈홀더의 대물렌즈를 절환시켜 주기 위한 구동원으로 반드시 모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그네트 및 코일과의 전자기력으로 렌즈홀더의 90도 절환은 가능하다고 사료되며, 또 필요에 따라서 일측 마그네트를 요크에 부착시켜 일체로 요크와 함께 회전시켜 줄 수도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무빙 코일 방식이지만, 무빙 마그네트 방식으로도 적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이상의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의하면 와이어 타입으로 트윈렌즈를 절환시켜 줄 수 있어, 축 타입 액츄에이터에 비하여 선형성이 뛰어나고, 마찰에 의한 비선형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틸트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두 개의 렌즈 각각의 광학계에서 대물렌즈 방향으로 나오는 출사를 공유하는 경우 픽업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베이스와;
    복수개의 대물렌즈가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취부되며, 각각의 대물렌즈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빔 통과공이 형성된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의 다축 가동을 위해 렌즈홀더 양측에 배치된 자기회로와;
    일단이 상기 렌즈홀더에 연결된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과;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과 함께 상기 렌즈홀더를 일정 각도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축 연결되고 와이어 서스펜션의 타단이 연결되며 베이스 면으로부터 부상된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는 상기 렌즈홀더의 양측면에 포커싱 및 트랙킹을 위해 부착된 제 1 및 제 2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다극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코일 및 제 2코일은 렌즈홀더의 양측면에서 열 십자 형태로 부착되어, 상기 렌즈홀더의 좌/우에 위치한 코일이 상기 렌즈홀더를 포커싱 동작시키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하에 위치한 코일이 상기 렌즈홀더를 트랙킹 동작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렌즈를 갖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020040069457A 2004-09-01 2004-09-01 트윈렌즈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60020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457A KR20060020785A (ko) 2004-09-01 2004-09-01 트윈렌즈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457A KR20060020785A (ko) 2004-09-01 2004-09-01 트윈렌즈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785A true KR20060020785A (ko) 2006-03-07

Family

ID=3712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457A KR20060020785A (ko) 2004-09-01 2004-09-01 트윈렌즈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07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1914B2 (ja) 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の3軸駆動装置
JPWO2005112012A1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7168082B2 (en) Optical actuator
US7619951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7561497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method, and reproducing and/or recording apparatus with same
KR100505648B1 (ko) 자기 회로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광 기록및/또는 재생기기
US7453656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n optical pickup actuator having high thrust
US6778472B2 (en) Optical pickup with switchable optical systems along an optical path
US8018800B2 (e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high-sensitivity magnetic circuit
JP4486020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60020785A (ko) 트윈렌즈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601457B1 (ko) 액츄에이터 장치
KR100682064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KR100220965B1 (ko)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장치
JP3875168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40016674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630774B1 (ko) 고추력 자기회로 및 상기 자기회로를 이용한 광픽업액츄에이터
JP381928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624860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328320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20010083322A (ko) 광픽업용 액추에이터
JP2008130140A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8152831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4146034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9146461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