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479A -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479A
KR20060018479A KR1020040066864A KR20040066864A KR20060018479A KR 20060018479 A KR20060018479 A KR 20060018479A KR 1020040066864 A KR1020040066864 A KR 1020040066864A KR 20040066864 A KR20040066864 A KR 20040066864A KR 20060018479 A KR20060018479 A KR 20060018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vable
movable speaker
termi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160B1 (ko
Inventor
조장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1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의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스피커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수용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가동스피커, 방향성, 인출, 슬라이딩, 회전

Description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MOVABLE SPRAKER}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동스피커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도 2의 가동스피커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가동스피커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1 : 입력버튼
112 : 송화부 113 : 본체힌지부
114 : 스피커 수용부 114a : 인출홀
115 : 슬라이딩홈 115' : 축수용부
120 : 폴더 121 : 엘씨디패널
122 : 수화부 123 : 폴더힌지부
130 : 스피커 131 : 가이드부재
131' : 수직회전축 132,132' : 수평회전축
133 : 고정홈 140 : 작동노브
141 : 고정돌기 142 : 해제돌기
143, 150 : 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의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최근에는 고음질의 스테레오 사운드가 제공될 수 있도록 듀얼(dual)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10)와, 내면에 소정의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패널(21) 등을 구비하여 본체(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에는 좌우측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되며 스테레오 사운드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쌍의 스피커(3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각 스피커(30)는 본체의 상단부 좌우측에 형성된 스피커 수용부(11)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각 스피커 수용부(11)에는 스피커(30)를 통해 방출된 음향이 통과되며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음방출공(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스피커(30)가 본체(10)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스피커(30)의 방향성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비교적 장시간 동안 음악 및 동영상 등을 감상할 시 사용자 자세의 변화에 대응해서 스피커(30)의 방향성을 적절히 조절하는데 많은 불편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스피커(30)의 방향성을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스피커의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스피커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수용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 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는 상기 가동스피커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외부로 관통되는 인출홀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스피커는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상기 인출홀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동스피커의 일단에는 상기 가동스피커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 수용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함몰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스피커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는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후 단말기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스피커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단은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스피커가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스피커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고정수단은 상기 가동스피커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서 이탈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해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는 작동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스피커는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상기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스피커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회전축에 설치되는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후 단말기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동스피커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도 2의 가동스피커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가동스피커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본체와, 본체에 절첩되며 본체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 도록 본체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스피커 수용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절첩되며 본체(11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1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120)와, 상기 스피커 수용부(114)에 수용되되 선택적으로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스피커(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복수개의 입력버튼(111)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폴더(120)의 전면에는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패널(121)과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폴더(120)는 본체(11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1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폴더(120)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120)에는 본체힌지부(113)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그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게 한쌍의 스피커 수용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각 스피커 수용부(114)에는 스테레오 사운드의 구현을 위한 가동(可動)스피커(130)가 각각 수용되는 바, 이때 상기 각 가동스피커(130)는 선택적으로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스피커 수용부(114)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인출홀(1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홀(114a)은 가동스피커(130)가 본체(11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본체(11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출홀(114a)이 첨부한 도면에서와 같이 본체(110)의 좌우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가동스피커(130)는 스피커 수용부(114)에 수용된 상태에서 인출홀(114a)을 통해 본체(110)의 좌우측 방향을 따라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바, 이때 상기 각 가동스피커(130)는 인출홀(114a)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스피커(130)의 일단에는 가동스피커(13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 수용부(114)의 내벽면에는 가이드부재(131)의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115)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가동스피커(130)는 선택적으로 스피커 수용부(114)에서 인출홀(114a)을 향해 슬라이딩되며 본체(1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된 후에는 음향을 방출하며 스테레오 사운 드가 구현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와 같이 가동스피커(130)가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후 가이드부재(131)는 스피커 수용부(114)에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딩홈(115)의 단부에 걸려지며 가동스피커(130)가 본체(1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동스피커(130)는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후 본체(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방향성이 조절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31)에 본체(11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본체(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스피커(130)가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탄성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가동스피커(130)의 후단부는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바, 상기 스프링부재는 코일스프링(150)으로서 그 일단은 스피커 수용부(114)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이드부재(131)에 고정되어 가동스피커(130)의 인출 상태가 탄성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가동스피커(130)는 스피커고정수단에 의해 스피커 수용부(114)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 및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고정수단은 가동스피커(13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133)과, 일측에는 고정홈(133)에 수용되며 고정되는 고정돌기(141)가 구비되어 있고 다름 일측에는 고정돌기(141)가 고정홈에서 이탈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해제돌기(142)가 구비되어 본체(110)에 설치되는 작동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돌기(141)의 후단부에는 이 고정돌기(141)를 탄성 가압하는 압 축스프링(143) 등과 같은 스프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고정돌기(141)는 압축스프링(143)을 통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며 고정홈(133)에 고정된 상태가 탄성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동스피커의 작동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음악 및 동영상 등을 감상할 시에는 스피커 수용부(114)에 수용되어 있는 가동스피커(130)를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먼저 작동노브(140)의 해제돌기(142)를 하향 조작하게 되면 코일스프링(143)이 압축되며 고정홈(133)에 고정되어 있던 고정돌기(141)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131)는 그 후단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홀(114a)을 향해 슬라이딩되며 가동스피커(130)가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가동스피커(130)가 인출홀(114a)을 통해 본체(1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 인출됨으로써 스테레오 사운드가 구현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가동스피커(130)는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본체(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사용자의 상태 및 자세에 따라 그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첨부한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스피커(130)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전술한 가동스피커(130) 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지 않고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가동스피커(130)는 스피커 수용부(114)에 본체(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수직회전축(131')은 스피커 수용부(114)의 일측에 형성된 축수용부(115')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가동스피커(130)는 이 수직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수직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가동스피커(130)는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후 본체(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방향성이 조절될 수 있도록 수직회전축(131')에 본체(11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본체(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가동스피커(130)는 수직회전축(131')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등과 같은 스프링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탄성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 전술한 스피커고정수단을 통해 스피커 수용부(114)에 수용된 상태가 선택적으로 유지 및 해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회전축(131') 및 수평회전축(132')을 제외한 여타 구성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가동스피커(130)는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 이, 수직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선택적으로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가동스피커(130)는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본체(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사용자의 상태 및 자세에 따라 그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바(bar)형 및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 등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스피커의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내부에 스피커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수용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는 상기 가동스피커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외부로 관통되는 인출홀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는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상기 인출홀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의 일단에는 상기 가동스피커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 수용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함몰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는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후 단말기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단은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가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스피커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고정수단은 상기 가동스피커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서 이탈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해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는 작동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는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상기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회전축에 설치되는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후 단말기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3. 제 12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피커가 상기 스피커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스피커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66864A 2004-08-24 2004-08-24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4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864A KR100641160B1 (ko) 2004-08-24 2004-08-24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864A KR100641160B1 (ko) 2004-08-24 2004-08-24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479A true KR20060018479A (ko) 2006-03-02
KR100641160B1 KR100641160B1 (ko) 2006-11-02

Family

ID=3712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864A KR100641160B1 (ko) 2004-08-24 2004-08-24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1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75B1 (ko) * 2005-02-14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음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CN108012000A (zh) * 2017-11-30 2018-05-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通讯终端
CN108924285A (zh) * 2018-06-08 2018-1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滑动机构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618408A1 (en) * 2018-08-30 2020-03-0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1580A (ja) 1998-05-26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機器
JP2000244631A (ja) * 1999-02-19 2000-09-08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携帯端末装置
JP2003152844A (ja) 2001-11-09 2003-05-23 Sony Corp 携帯通信端末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75B1 (ko) * 2005-02-14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음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CN108012000A (zh) * 2017-11-30 2018-05-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通讯终端
CN108924285A (zh) * 2018-06-08 2018-1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滑动机构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618408A1 (en) * 2018-08-30 2020-03-0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931856B2 (en) 2018-08-30 2021-02-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160B1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8723A1 (ja) ディスプレイオーディオ装置
US7565185B2 (en) Three-axial rotatio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747298B2 (en)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090247247A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TWI437412B (zh) 可攜式電子裝置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190342648A1 (en) Electronic device
KR20100088184A (ko)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20060134749A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WO2012114957A1 (ja) 電子機器保持具
KR20050089257A (ko)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20060172786A1 (en) Compact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upper and lower members slidable and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EP2290918B1 (en) Portable terminal
KR100641160B1 (ko)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1225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142100A1 (en)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651208B1 (ko) 절첩식 카메라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338310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N100502423C (zh) 可旋动的滑盖型便携终端
KR200440228Y1 (ko) 양방향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100677500B1 (ko)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06011219A1 (ja) 携帯端末
KR20080109493A (ko) 휴대 단말기
JP2009049583A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
KR100604579B1 (ko)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