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200A -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200A
KR20060018200A KR1020040067307A KR20040067307A KR20060018200A KR 20060018200 A KR20060018200 A KR 20060018200A KR 1020040067307 A KR1020040067307 A KR 1020040067307A KR 20040067307 A KR20040067307 A KR 20040067307A KR 20060018200 A KR20060018200 A KR 2006001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urn
degrees
shor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102004006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200A/ko
Publication of KR2006001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1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 A63C17/06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comprising steered wheels, i.e. wheels supported on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의 방향 전환 또는 별도의 회전 반경과 공간을 요하지 않고 제자리에서도 360도 범위까지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게 되는 쇼트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부츠의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에 복수개의 바퀴들이 일렬로 설치되며, 최전방 바퀴 및 최후방 바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인라인 스케이트, 롤러 스케이트, 방향 전환, 쇼트 턴, 바퀴, 360도 회전, 회전체, 베어링, 편심

Description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Inline Skate Capable of Short-Turn}
도 1 :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뒷바퀴의 좌우방향 회전 구조를 설명하는 저면도
도 4 : 도 2의 실시예에서 뒷바퀴가 45도 또는 315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 도 2의 실시예에서 뒷바퀴가 90도 또는 18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부츠 12,22,32,42 : 프레임
13,33,43 : 앞바퀴 14,24,34,44 : 뒷바퀴
36,46 : 중간 바퀴 15,25,35,45,47 : 회전체
15a : 베어링 A1 : 바퀴의 중심축
A2 : 회전체의 회전중심축
본 발명은 레저 스포츠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의 방향 전환 또는 별도의 회전 반경을 요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360도 범위까지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게 되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익스트림 스포츠(Extreme sports)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는 인라인 스케이팅은, 부츠에 바퀴가 일렬로 장착된 인라인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평지를 스피디하게 활주하는 레포츠로서, 속도감과 스릴을 선호하는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저변 확산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는 '롤러블레이드(rollerblade)'라는 모델명으로도 자주 불리고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고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롤러블레이드 또는 '롤러 스케이트'라는 명칭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 또는 하키 부츠(100)의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200)에 복수개의 바퀴(300)가 일렬로 장착된 구조로서, 대체로 3∼5개(통상적으로는 4개)의 특수 폴리우레탄 바퀴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날(blade) 대신 바퀴(300)가 장착된 점을 제외하고는 빙상용 스케이트와 기본적으로 비슷하다.
그런데,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100)에 장착된 모든 바퀴(300)들이 일방향으로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중 방향 전환시 쇼트 턴(short-turn)이 곤란하여 방향 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회전 반경과 공간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는 코너링이나 방향 전환을 하기가 쉽지 않고, 피겨 스케이팅과 같은 곡예를 연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모든 바퀴(300)가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 전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바퀴(300)의 숫자가 많이 소요되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다.
한편,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고 주행중 방향 전환시에 점프를 하여 급회전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모든 바퀴(300)들이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지 지점에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안정한 착지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발목에 무리가 가거나 넘어져서 부상을 입게 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의 방향 전환 또는 별도의 회전 반경과 공간을 요하지 않고 제자리에서도 360도 범위까지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게 되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의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에 복수개의 바퀴들이 일렬로 설치되며, 최전방 바퀴 및 최후방 바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갖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의 중심축은, 좌우방향 회전운동의 중심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거나, 혹은 좌우방향 회전운동의 중심축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는,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는 회전체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는 베어링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의 중심축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거나, 혹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11)의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12)에 두개의 바퀴(13,14)가 일렬로 장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가운데, 앞쪽에 위치한 바퀴(13)는 프레임(12)에 고정된 채 구름운동(rolling)만 하도록 설치되고, 뒷쪽에 위치한 바퀴(14)는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rotation) 할 수 있는 회전체(15)를 매개로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체(15)는 베어링(15a)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기구에 의해 프레임(12)의 하부에 축지지되어 있는데, 베어링(15a)의 좌우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체(15)가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15)와 조립되어 있는 뒷바퀴(14)는 구름운동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뒷바퀴(14)의 중심축(A1)은,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회전체(25)의 회전중심축(A2)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체(15)의 회전중심축(A2)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이 인라인 스케이트의 원활한 방향 전환(turning)에 보다 유리하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뒷바퀴의 좌우방향 회전 구조를 설명하는 저면도인데, 앞바퀴(13)는 프레임(12)에 고정된 채 구름운동하게 되는 반면, 뒷바퀴(14)는 프레임(12)에 베어링(15a)을 매개로 좌우방향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체(15)에 의하여 좌우방향을 향해 360도 자유자재로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4는 뒷바퀴(14)가 회전체(15)에 의하여 45도 또는 315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5는 뒷바퀴(14)가 회전체(15)에 의하여 90도 또는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는 앞서 언급 한 바와 같이, 프레임(22)에 설치된 회전체(25)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뒷바퀴(24)의 중심축(A1)이 회전체(25)의 회전중심축(A2)과 동일 축선상에 장착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프레임(32)에 세개의 바퀴(33,34,36) 즉 앞바퀴(33)와 뒷바퀴(34) 및 중간 바퀴(36)가 장착되어 있다. 이 가운데, 최전방에 위치한 앞바퀴(33)만 회전체(35)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되며, 나머지 두개의 바퀴(34,36)들은 프레임(32)에 고정된 채 구름운동만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바퀴의 수가 두개 또는 세개로 실시될 수가 있으며, 통상적인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이 네개 또는 그 이상으로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뒷바퀴(34)가 아닌 앞바퀴(33)가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앞바퀴(33)를 이용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는 프레임(42)에 장착되는 바퀴(43,44,46)의 갯수가 세개 이상이면서 최전방의 앞바퀴(43)와 최후방의 뒷바퀴(44)에 각각 회전체(45,47)가 설치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바퀴(43)와 뒷바퀴(44) 모두 회전체(45,47)에 의해 각각 좌우 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바퀴(43)를 이용한 방향 전환과 뒷바퀴(44)를 이용한 방향 전환이 하나의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구현되므로, 주행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보다 더 자유자재로 피겨 스케이팅 또는 다양한 곡예를 연출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앞바퀴(제3실시예)나 뒷바퀴(제1,2실시예) 또는 앞바퀴와 뒷바퀴 모두(제4실시예)에 회전체(15,25,35,45,47)가 설치됨으로써, 좌우방향으로 360도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실시예의 구성을 예로 들어 그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고 주행중에 방향 전환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체 없이 프레임(12)에 고정된 채 구름운동만을 하는 앞바퀴(13)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체(15)를 구비한 뒷바퀴(14)를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몸동작으로 원운동을 하듯이 회전시킨다. 그러면, 베어링(15a)으로 축지지되고 있는 회전체(15)가 회전함으로써, 회전체(15)에 결합되어 있는 뒷바퀴(14)가 회전운동하여 자연스럽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쇼트 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방향 전환시 필요하던 회전 반경이나 공간이 없이 제자리에서도 회전체(15)의 360도 회전에 따른 방향 전환이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제2실시예와 같이 회전체(25)와 조립된 뒷바퀴(24)의 중심축(A1)이 회전체(25)의 회전중심축(A2)과 동일 축선상에 장착되는 구조 보다, 제1실시예(또 는 제3,4실시예)와 같이 회전체(15)와 조립된 바퀴(14)의 중심축(A1)이 회전체(15)의 회전중심축(A2)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구조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체중이 바퀴(14)의 중심축(A1)에 작용하면 바퀴(14)가 자유자재로 회전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바퀴(14)의 중심축(A1)과 편심되어 있는 회전체(15)의 회전중심축(A2) 상으로 체중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원활한 방향 전환에 보다 유리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는 쇼트 턴 및 제자리에서도 360도 범위까지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별도의 회전 반경과 공간을 요하지 않게 되고, 좁은 공간에서도 코너링이나 방향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쇼트 턴과 제자리에서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피겨 스케이팅 또는 곡예를 연출하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퀴들이 모두 일방향으로 장착됨으로 인해 종래에 안정적인 방향 전환을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스케이트에 장착되는 바퀴의 갯수가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회전체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소요되는 바퀴의 갯수를 두개로 줄일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저감된 바퀴의 갯수만큼 중량이 감소하여 착용자의 발의 피로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주행중 방량 전환시에 점프를 하여 급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착지 지 점에서 바퀴가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착지가 가능하고, 발목의 부상이나 전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부츠의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에 복수개의 바퀴들이 일렬로 설치되며, 최전방 바퀴 및 최후방 바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갖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 회전운동의 중심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 회전운동의 중심축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는,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는 회전체를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베어링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의 중심축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의 중심축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KR1020040067307A 2004-08-23 2004-08-23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KR20060018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307A KR20060018200A (ko) 2004-08-23 2004-08-23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307A KR20060018200A (ko) 2004-08-23 2004-08-23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00A true KR20060018200A (ko) 2006-02-28

Family

ID=3712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307A KR20060018200A (ko) 2004-08-23 2004-08-23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2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6830A (ja) * 2015-04-17 2018-06-28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クイーンズランド 組成物、粒子状材料および粒子状材料を作るため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6830A (ja) * 2015-04-17 2018-06-28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クイーンズランド 組成物、粒子状材料および粒子状材料を作るため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5474C (zh) 用于行走和滚动的鞋子
ES2208299T3 (es) Aparato y metodo de tacon rodante.
US20070029742A1 (en) Skate
EP0677310A1 (en) Braking device for in-line skates
US5873583A (en) In-line roller skates
US20060214394A1 (en) Multi-directional skates
EP1994966A1 (en) Roller skate
KR20060018200A (ko) 쇼트 턴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EP0542960A1 (en) SKATE WITH IMPROVED GUIDANCE CAPABILITIES.
US6871860B1 (en) In-line pivoting wheel roller skates with shock absorbers
KR200390293Y1 (ko) 3라인스케이트
KR100787113B1 (ko) 캐스터 스케이트 보드
EP1675661B1 (en) Steering device for sports articles provided with supporting and sliding elements in an in-line arrangement
KR10080664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20019224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405998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200320208Y1 (ko) 피겨스케이팅용 인라인스케이트
US11779829B2 (en) Skateboard
KR200337451Y1 (ko) 신발에 장착되는 복합 놀이기구
KR200320263Y1 (ko) 피겨스케이팅용 인라인스케이트
KR200378784Y1 (ko) 입체회전기능의 바퀴달린 신발
WO2004110574A1 (en) In-line skate with wheels arranged in three rows
KR200339520Y1 (ko) 인라인스케이트
KR200320248Y1 (ko) 충격완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2849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