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169A - 냉난방용 에어컨 - Google Patents

냉난방용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169A
KR20060018169A KR1020040066528A KR20040066528A KR20060018169A KR 20060018169 A KR20060018169 A KR 20060018169A KR 1020040066528 A KR1020040066528 A KR 1020040066528A KR 20040066528 A KR20040066528 A KR 20040066528A KR 20060018169 A KR20060018169 A KR 20060018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door
heating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인
Original Assignee
미래냉동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냉동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냉동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169A/ko
Publication of KR2006001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냉, 난방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난방용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에어컨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는 분기부가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압축기에서 나오는 냉매를 각각의 증발기와 응축기로 분기되게 하는 냉난방 시스템부로 이루어진 냉난방용 에어컨에 있어서, 실내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부에는, 상기 냉난방 시스템부가 설치되어 있고, 실외의 공기를 실외부로 유입시켜 실내와 실외부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구로 배출되게 하는 실외공기유입구가 포함된 공기유입부, 및 실내와 실외부를 연결하는 공기유입구를 통해 냉, 난방된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실내공기배출구가 포함된 공기배출부가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순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냉난방, 에어컨, 공기순환

Description

냉난방용 에어컨{Air conditioner for air conditio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에어컨의 주요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냉난방용 에어컨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
2 : 실외
3 : 실외부
31 : 냉난방 시스템부
311 : 압축기, 312 : 응축기, 313 : 팽창밸브
314 : 증발기, 315 : 분기부
32 : 공기유입부
321 : 실외공기유입구
33 : 공기배출부
331 : 실내공기배출구
34 : 공기배출구
35 : 공기유입구
36 : 공기정화부
37 : 열교환부
38, 39 : 팬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냉, 난방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난방용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냉난방용 에어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의 냉난방용 에어컨은 압축기(100), 응축기(200), 팽창밸브(300), 증발기(400)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100)와 응축기(200) 사이에는 분기부(500)가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압축기(100)에서 나오는 냉매를 각각의 증발기(400)와 응축기(200)로 분기되게 하는 냉난방 시스템(60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냉난방용 에어컨은 냉, 난방을 겸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하절기에 냉방용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된 분기부를 조작하여 압축기에서 나오는 냉매를 응축기로 분기되게 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가 된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하고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가 된 냉매가 증발기로 통과하면서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수한다.
그러므로 증발기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수되어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져 차가운 공기가 다시 실내로 들어감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어 냉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동절기에 난방용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된 분기부를 조작하여 압축기에 나오는 냉매를 증발기로 분기되게 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가 된 냉매가 증발기로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한다. 즉 실내의 온도가 상승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난방용 에어컨은 실내의 공기의 온도를 내려주거나 올려주는 기능외에 다른 기능을 기대할 수가 없다.
다시말해 실내에서 냉, 난방이 이루어질 경우 실내의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가 항상 밀폐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한정된 공간에서의 밀폐된 공기로 인한 실내에서 인간의 호흡활동으로 인한 유해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있어 시간의 간격을 두고 실내를 환기 시켰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를 반복적으로 환기를 시킴으로 인해 실내의 공기를 높이거나 낮추어야 하기 때문에 결국 냉, 난방을 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냉난방용 에어컨은 응축기를 포함한 실외기는 실외에 설치되어 있으나 압축기, 증발기,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부분은 실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해 압축기 구동으로 인한 실내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실외에 모든 작동기기가 설치됨으로 인해 실내에서 느끼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실외부에 구 비된 공기유입부 및 공기 배출부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순환되어 실내의 공기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냉난방용 에어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동기기가 모두 한부분으로 구성되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냉난방용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에어컨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는 분기부가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압축기에서 나오는 냉매를 각각의 증발기와 응축기로 분기되게 하는 냉난방 시스템부로 이루어진 냉난방용 에어컨에 있어서, 실내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부에는, 상기 냉난방 시스템부가 설치되어 있고, 실외의 공기를 실외부로 유입시켜 실내와 실외부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구로 배출되게 하는 실외공기유입구가 포함된 공기유입부, 및 실내와 실외부를 연결하는 공기유입구를 통해 냉, 난방된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실내공기배출구가 포함된 공기배출부가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순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에어컨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에어컨의 주요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에어컨은 압축기(311), 응축기(312), 팽창밸브(313), 증발기(314)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311)와 응축기 (312) 사이에는 분기부(315)가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압축기(311)에서 나오는 냉매를 각각의 증발기(314)와 응축기(312)로 분기되게 하는 냉난방 시스템부(31)로 이루어진 냉난방용 에어컨에 있어서, 실내(1)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부(2)에는, 상기 냉난방 시스템부(31)가 설치되어 있고, 실외(2)의 공기를 실외부(3)로 유입시켜 실내(1)와 실외부(3)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구(34)로 배출되게 하는 실외공기유입구(321)가 포함된 공기유입부(32), 및 실내(1)와 실외부(3)를 연결하는 공기유입구(35)를 통해 냉, 난방된 실내(1)의 공기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실내공기배출구(331)가 포함된 공기배출부(33)가 구비되어 실내(1)의 공기와 실외(2)의 공기가 순환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냉난방용 에어컨은 냉, 난방을 겸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상기 압축기(311)와 응축기(312) 사이에 구비된 분기부(315)를 통해 압축기(311)에서 나오는 냉매를 외부의 조작을 통해 각각의 증발기(314)와 응축기(312)로 분기되게 함으로써 냉, 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냉난방용 에어컨이 하절기에 냉방용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압축기(311)와 응축기(312) 사이에 구비된 분기부(315)를 외부의 조작을 통해 압축기(311)에서 나오는 냉매를 응축기(312)로 분기시킨다.
이에 따라 압축기(311)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가 된 냉매가 응축기(312)를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하고 팽창밸브(313)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가 된 냉매가 증발기(314)로 통과하면서 실외부(3) 내의 더운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다시말해 실외부(3)에 구비된 공기유입부(32)의 실외공기유입구(321)로 실외 (2)의 공기가 유입되어 실외부(3) 내로 들어가게 되며 유입된 실외(2) 공기는 증발기(314)의 차가운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차가운 공기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증발기(314)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는 실외부(3)에 구비되어 실내(1)와 연결된 공기배출구(34)를 통해 실내(1)로 들어가게 되어 실내(1)의 온도가 떨어지게 됨으로써 실내(1)가 냉방되는 것이다.
아울러 실외부(3)의 공기배출구(34)를 통해 실내(1)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1) 공기들과 혼합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실외부(3)에 구비되어 실내(1)와 연결된 공기유입구(35)를 통해 실외부(3)에 구비된 공기배출부(33)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공기배출부(33)로 유입된 실내(1)의 공기는 공기배출부(33)의 실내공기배출구(3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실외부(3)에 유입된 공기가 실내(1)를 거쳐 다시 실외부(3)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항상 공기가 순환되는 것이다. 즉 실내(1)의 유해한 공기가 공기의 순환을 통해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냉난방용 에어컨이 동절기에 난방용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압축기(311)와 응축기(312) 사이에 구비된 분기부(315)를 외부이 조작을 통해 압축기(311)에서 나오는 냉매를 증발기(314)로 분기시킨다.
이에 따라 압축기(311)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가 된 냉매가 증발기(314)로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한다.
이렇게 열을 방출한 증발기(314)를 통해 실외부(3)의 공기가 뜨거운 공기로 열교환이 이루어져 실내(1)로 들어가게 되면 실내(1)의 공기가 상승되어 난방이 이 루어진다.
그리고 실내(1)의 공기가 어느 정도 채워지면 실내(1)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다시 실외부(3)의 공기가 실내(1)로 들어오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냉, 난방을 이루어지게 하는 압축기(311), 응축기(312), 팽창밸브(313), 증발기(314), 분기부(315)로 구성된 냉난방 시스템부(31) 및 실내(1)의 공기를 순환되게 하는 실외공기유입구(321)를 포함한 공기유입부(32)와 실내공기배출구(331)를 포함한 공기배출부(33)가 공기배출구(34)와 공기유입구(35)를 포함한 실외(2)에 설치되어 있는 실외부(3)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모든 작동기기가 실외부(3)에 구비됨으로써 실내(1)에서 느끼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냉난방용 에어컨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냉난방 에어컨의 실외부(3)에 공기유입부(3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2)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부(36)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실외부(3)에 공기정화부(36)가 구비되어 공기유입부(3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2)의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정화된 실외(2)의 공기가 실내(1)로 들어감에 따라 좀더 청결한 공기가 실내(1)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냉난방 에어컨의 실외부(3)에 공기유입부(32)를 통해 실외(2)부로 유입되는 실외(2)의 공기가 공기배출부(33)를 통해 실외(2)로 배출되는 냉, 난방된 실내(1)의 공기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부(37)가 더 구비된다.
즉 냉, 난방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냉난방 에어컨이 공기유입부(32)를 통해 실외부(3)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경우 공기배출부(33)를 통해 실외(2)로 배출되는 냉, 난방된 실내(1)의 공기를 통해 실외부(3)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37)는 공기유입부(32)와 공기배출부(33)가 교차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게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공기유입부(3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2)의 공기가 공기배출부(33)를 통해 실외(2)로 배출되는 냉, 난방된 실내(1)의 공기를 통해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외(2)에서 실외부(3)로 들어오는 공기가 열교환부(37)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하절기에 실외에서 들어오는 따뜻한 공기는 실내(1)의 냉방된 공기를 통해 온도가 떨어지며 동절기에 실외(2)에서 들어오는 차가운 공기는 실내(1)의 난방된 공기를 통해 온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결국 냉, 난방을 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냉난방용 에어컨의 실외부(3)의 공기배출구(34)와 공기유입구(35) 후방에 팬(38, 39)이 더 구비된다.
즉 실외부(3)의 공기배출구(34)의 후방에 팬(38)이 구비됨으로써 이를 통해 실외부(3) 내의 공기를 실내(1)로 좀더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외부(3)의 공기유입구(35) 후방에 팬(39)이 구비됨으로써 이를 통 해 실내(1)의 공기를 공기배출부(33)로 좀더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에어컨은 실외에 모든 작동기기가 설치됨으로 인해 실내에서 느끼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실외부에 구비된 공기유입부 및 공기배출부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실내의 공기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동기기가 한부분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압축기(311), 응축기(312), 팽창밸브(313), 증발기(314)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311)와 응축기(312) 사이에는 분기부(315)가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압축기(311)에서 나오는 냉매를 각각의 증발기(314)와 응축기(312)로 분기되게 하는 냉난방 시스템부(31)로 이루어진 냉난방용 에어컨에 있어서,
    실내(1)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부(2)에는,
    상기 냉난방 시스템부(31)가 설치되어 있고,
    실외(2)의 공기를 실외부(3)로 유입시켜 실내(1)와 실외부(3)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구(34)로 배출되게 하는 실외공기유입구(321)가 포함된 공기유입부(32), 및
    실내(1)와 실외부(3)를 연결하는 공기유입구(35)를 통해 냉, 난방된 실내(1)의 공기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실내공기배출구(331)가 포함된 공기배출부(33)가 구비되어 실내(1)의 공기와 실외(2)의 공기가 순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에어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부(3)에 공기유입부(3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2)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부(3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에어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부(3)에 공기유입부(32)를 통해 실외부(3)로 유입되는 실외(2)의 공기가 공기배출부(33)를 통해 실외(2)로 배출되는 냉, 난방된 실내(1)의 공기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부(37)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에어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부(3)의 공기배출구(34)와 공기유입구(35) 후방에 팬(38, 39)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에어컨.
KR1020040066528A 2004-08-23 2004-08-23 냉난방용 에어컨 KR20060018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528A KR20060018169A (ko) 2004-08-23 2004-08-23 냉난방용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528A KR20060018169A (ko) 2004-08-23 2004-08-23 냉난방용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169A true KR20060018169A (ko) 2006-02-28

Family

ID=3712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528A KR20060018169A (ko) 2004-08-23 2004-08-23 냉난방용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1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849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증발식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2462U (ko) * 1976-10-08 1978-05-04
JPS5567967U (ko) * 1978-11-02 1980-05-10
JPH02115665A (ja) * 1988-10-24 1990-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19980030493A (ko) * 1996-10-30 1998-07-25 구자홍 에어콘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2462U (ko) * 1976-10-08 1978-05-04
JPS5567967U (ko) * 1978-11-02 1980-05-10
JPH02115665A (ja) * 1988-10-24 1990-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19980030493A (ko) * 1996-10-30 1998-07-25 구자홍 에어콘의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849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증발식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6754A (ko) 환기 및 냉난방 일체형 시스템
KR101930760B1 (ko) 건축물 구조를 이용한 외기 냉방 시스템
JP4042688B2 (ja) 浴室空調装置
JPH11294832A (ja) 空気調和装置
CN112797518A (zh) 空调冰箱组件和空调冰箱一体机
KR100929875B1 (ko) 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공기 조화기
KR101004640B1 (ko) 실내환기용 전열교환장치
JP2010243005A (ja) 除湿システム
KR20060018169A (ko) 냉난방용 에어컨
JP4396141B2 (ja) 空気調和機
JP3565276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JP2006052882A (ja)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KR10090760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조시스템
JP3818379B2 (ja) 床埋込形エアコン
JP3726797B2 (ja) 天井設置用一体形エアコン
CN205090532U (zh) 水盘管驱动侧吸风顶出风变风量垂直向上风幕
JP3484693B2 (ja) 空冷ヒートポンプ式蓄熱空調機
JP4285010B2 (ja) 空気調和装置
CN216281830U (zh) 一种空调系统
KR200396845Y1 (ko) 수도 직결형 냉각관에 의한 코일응축부를 갖는 수냉식에어컨
JP3709862B2 (ja) ヒートポンプ空調システム
JP2000310433A (ja) 氷蓄熱空調方式
KR100546658B1 (ko) 공조시스템
KR20020020392A (ko) 고층 아파트의 수냉식 공기조화기
JP4720803B2 (ja) 浴室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6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