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474A -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 Google Patents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474A
KR20060017474A KR1020050044068A KR20050044068A KR20060017474A KR 20060017474 A KR20060017474 A KR 20060017474A KR 1020050044068 A KR1020050044068 A KR 1020050044068A KR 20050044068 A KR20050044068 A KR 20050044068A KR 20060017474 A KR20060017474 A KR 20060017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core unit
ball bush
block assembly
inclin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347B1 (ko
Inventor
임재구
Original Assignee
(주) 부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광테크 filed Critical (주) 부광테크
Priority to KR102005004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3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부시의 장착이 용이하면서도 고정력이 커서 금형에 장착되는 1개 만으로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볼부시의 장착이 용이한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및 이를 적용한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중앙부에 관통홀(11)이 구성되고 관통홀 내면 상단부에는 구형 볼부시(30)의 하반구를 안착시키는 반구형의 안착홈(12)이 구성되는 하부바디(10); 중앙부에 관통홀(21)이 구성되고 관통홀 내면 상단부에는 구형 볼부시(30)의 상반구를 덮어 수용하는 반구형의 수용홈(22)이 구성되는 상부바디(20); 그 하반구가 하부바디(10) 안착홈(12)에 안착되고 상반구는 상부바디(20) 수용홈(22)에 덮여 수용되는 볼부시(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이드블럭 및 이를 적용한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Guide Block for Plastic Mold}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도어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2는 선출원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선출원 가이드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가이드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가이드블럭 상부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 가이드블럭 하부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및 b는 본 발명 가이드블럭을 적용하여 구성한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핀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경사핀을 적용하기 위한 볼부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의 경사핀과 도 8의 볼부시를 적용하기 위한 코어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원형과 다각형을 함께 수용하는 본 발명 볼부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원형과 다각형을 함께 수용하는 본 발명 힌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내 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 G: 가이드블럭 2: 경사핀
3: 하원판부재 4: 하고정판결합체
5: 코어유닛 7, 30: 볼부시
8: 부시바디 10: 하부바디
20: 상부바디 C: 코어
H: 힌지부재 B: 볼트
본 발명은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및 이를 사용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사이드도어의 포켓 등과 같이 코어가 적용되어 플라스틱성형되어야 하는 플라스틱금형에 적용되어 성형 완료후 플라스틱물을 이젝팅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사핀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블럭 및 이를 적용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차량 사이드도어 플라스틱성형을 예로 들어 종래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바디(B)에는 사이드도어(D)가 여닫힐 수 있게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사이드도어(D) 대부분은 내,외부패널(부호생략)이 이중의 상자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도어레귤레이터(도시생략) 등과 같은 장치부품들을 내장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중 내부패널은 대개 플라스틱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으며, 차량 사용중 물건을 넣을 수 있는 포켓부(부호생략)나 재떨이 등과 같은 수납공간이 외면 측에 형성되며, 내면 측에는 윈도우 조정장치, 도어잠금장치 등의 장착을 위한 다수의 장착구(도시생략)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물에 수납공간이나 장착구 등과 같은 부가적 형상, 특히 그 자체에 격리된 공간이 내장되는 형태의 부가적 형상이 구성되는 때에는 플라스틱금형에 그 격리된 공간의 형상에 해당하는 모양을 가지는 코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플라스틱성형 완료후 플라스틱물을 원형 손상 없이 이젝팅시키는 데에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이 코어가 개재되는 플라스틱금형은, 통상의 금형과 마찬가지로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나누어져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구 형성을 위하여 하금형에 코어부를 장착하게 되며, 플라스틱물(내부패널)을 하금형으로부터 뽑아내기 위한 이젝팅(ejecting) 장치가 부가적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이젝팅 장치는 대개 하금형의 코어부재에 이젝팅시 이젝팅 작동의 축 역할을 하는 경사핀의 상단부를 각각 체결하고, 상기 경사핀을 관통시켜 지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역할의 가이드블럭을 상기 하금형 해당 다수개소에, 그리고 상기 하금형 하측의 하원판부재 해당 다수개소에, 또한 상기 하원판부재 하측의 하고정판결합체 해당 다수개소에 각각 장착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종래의 플라스틱금형에서 가이드블럭들은, 상기 경사핀이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수용하여 결합되는 관체 형태의 부시가 상기 하금형 및 하원판부재와 하고정판결합체에 장착되어진 바디들에 각각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제한된 범위의 역할과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요소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이젝팅장치는 경사핀이 그 길이방향으로만 움직일 수가 있을 뿐 회동 불가능한 것이어서, 플라스틱성형시 발생하는 변형력에 의해 휨이 발생되기 쉽고 절단 내지는 심할 경우 파손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젝팅장치는 경사핀의 경사각도에 대한 허용공차와 가이드블럭들의 장착위치에 대한 허용공차의 한계가 매우 작아서 그 만큼 장착작업을 어렵게 하며, 따라서 고도로 숙련된 기술을 요하게 되고, 장착에 소요되는 작업시간도 길어지게 함으로써, 결국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한다는 또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사실, 본 출원인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008041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82592호에, 하금형(M)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럭(1), 상기 가이드블럭(1)에 결합되는 경사핀(2), 상기 하금형(M) 하측으로 구비되는 하원판부재(3), 하원판부재(3)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하고정판결합체 (4), 하고정판결합체(4)에 장착되고 상기 경사핀(2)의 하측 단부와 결합되는 코아유닛(5), 및 상기 하원판부재(3) 상면으로 장착되고 상기 경사핀(2)과 결합되는 코아유닛용 가이드블럭(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1) 및 코아유닛용 가이드블럭(6)은, 상기 경사핀(2)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는 볼부시(7), 상기 하금형(M) 및 하원판부재(3)에 장착되어지며, 상기 볼부시(7)가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는 부시바디(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대해 개시함으로써,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의 경우, 종래의 가이드블럭이 하금형의 코어, 하원판부재 및 하고정판결합체에 고정 장착된다는 특성상 각 금형에 맞춤식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극복하여 금형의 종류에 무관하게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경사각도의 허용공차 및 장착위치의 허용공차 한계를 크게 증가시키기는 하였으나, 정확한 경사각도의 유지와 지지력 확보를 위해서는 하원판부재와 그에 장착되는 가이드블럭을 필수적으로 요함으로써 항상 2개 이상의 가이드블럭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또한, 볼부시를 부시바디에 삽입하기 위해 가이드블럭 상부에 절취면에 구성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절취면이 구성된다 하더라도 실제 볼부시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열박음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고, 이렇게 하여 볼부시가 삽입된다 하더라도 오히려 절취면의 존재로 인해 가이드블럭으로부터 볼부시가 빠져나가 불량이 발생할 염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어느 금형에도 폭 넓게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며, 경사핀의 경사각도에 대한 허용공차와 가이드블럭들의 장착위치에 대한 허용공차의 폭이 크게 확대되어 금형에의 장착작업이 용이해서 고도로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착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짧아질 수 있는, 가이드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부시에 대한 고정력이 커서, 하금형에 장착되는 1개 만으로 정확한 경사각도의 유지와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이드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가이드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경사핀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밖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과제와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사이드도어의 포켓 등과 같이 코어가 적용되어 플라스틱성형 되어야 하는 플라스틱금형에 적용되어 성형 완료후 플라스틱물을 이젝팅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사핀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블럭 및 이를 적용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볼부시의 장착이 용이하면서도 고정력이 커서 금형에 장착되는 1개 만으로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볼부시의 장착이 용이한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및 이를 적용한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볼부시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부시바디를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2개로 나누어 구성하고, 양 바디의 사이에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여 체결시 볼부시에 대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블럭 및 가이드블럭 내 볼부시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형이 아닌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사핀과, 이들이 적용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첨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현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의 가이드블럭 및 코어유닛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서 각 유닛의 체결 구조나 방법, 금형의 구체적인 구조 등 본 발명의 실질적 내용 및 효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되었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한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관계없음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 가이드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 가이드블럭 상부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 가이드블럭 하부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a 및 6b는 본 발명 가이드블럭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핀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경사핀을 적용하기 위한 볼부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경사핀과 도 8의 볼부시를 적용하기 위한 코어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은, 중앙부에 관통홀(11)이 구성되고 관통홀 내면 상단부에는 구형 볼부시(30)의 하반구를 안착시키는 반구형의 안착홈(12)이 구성되는 하부바디(10); 중앙부에 관통홀(21)이 구성되고 관통홀 내면 상단부에는 구형 볼부시(30)의 상반구를 덮어 수용하는 반구형의 수용홈(22)이 구성되는 상부바디(20); 그 하반구가 하부바디(10) 안착홈(12)에 안착되고 상반구는 상부바디(20) 수용홈(22)에 덮여 수용되는 볼부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10)의 사이에는 0.2-0.4mm, 바람직하게는 0.3mm의 유격이 형성되는데, 이는 하부바디(10) 안착홈(12)과 상부바디(20) 수용홈(22)이 만나 이루는 구 형상의 공간이 볼부시의 외면이 형성하는 구형상에 비해 다소 작게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조정된 볼부시를 강하게 조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바디(10)와 상부바디(20)의 측면에는 조립이 완성된 가이드블럭을 플라스틱금형 등 체결하고자 하는 곳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13)(23)이 각각 구성되고, 일측에는 하부바디(10)와 상부바디(2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공(14)(24)이 각각 관통되어 구성되며, 하부바디(10)의 체결공(14)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부바디(20) 체결공(24)을 관통한 볼트(B)에 의해 나사체결된다.
상기 상부바디(20) 체결홈(23)은 그 중단부에서 확장되어 단턱을 형성하는데, 이는 플라스틱금형 등에 체결시 체결구로 사용되는 볼트 등의 헤드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지지턱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이드블럭은 가이드블럭이 하부블럭(10)과 상부블럭(20)으로 나누어 구성됨으로써 각각 볼부시의 하반구와 상반구의 어느 한쪽만을 수용하거나 안착시키면 되므로, 볼부시(30)의 수용이 선출원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008041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82592호에 사용된 가이드블럭의 경우에 비해 훨씬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부시바디에의 볼부시(30) 수용이 용이해짐으로써, 가이드블 럭 제작 공정이 훨씬 간편해지고 제작 시간도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켜줌은 물론 제작비도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이드블럭이 적용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출원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008041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82592호와 마찬가지로, 하금형(M)과 하원판부재(3)에 각각 가이드블럭(G)이 장착되고, 하고정판결합체(4) 코어유닛(5)에 그 하단이 결합된 경사핀(2)이 각 가이드블럭(G)을 관통한 후 하금형(M) 코어(C)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이드블럭(G)은각각 별도의 하부바디(10)와 상부바디(20)가 볼부시(30)를 수용하여 조립된 형태로 구성되어 볼부시에 대한 더 큰 고정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원판부재(3) 상에 결합되는 부가적인 가이드블럭 없이 하금형(M)에 장착된 가이드블럭(G) 하나만으로 충분한 경사핀 지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가이드블럭(B)에 사용되는 경사핀(2)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이 아닌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경사핀(2)이 원형이 아닌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경우 가이드블럭(B)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원형의 경사핀(2)을 사용할 경우 경사핀(2) 상단과 하금형(M) 코어(C)가 연결되는 부위 또는 경사핀(2) 하단과 코어유닛(5)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플라스틱성형시 발생하는 충격이나 요동으로 인하여 풀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기 때문으 로서, 다각형의 경사핀(2)과 그에 상응하는 볼부시(30)를 사용할 경우, 경사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이러한 풀림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사핀(2) 구조에 의해 풀림현상을 방지하여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요동과 충격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면 결과적으로 본 발명 가이드블럭(G)의 지지력을 더 한층 높여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하원판부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부가적인 가이드블럭(G)이 필요치 않게 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블럭(G) 만을 사용해도 플라스틱성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러나, 이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G)에 사용되는 볼부시(30)역시 그 내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핀(2)이 다각형으로 구성될 경우 그 하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코어유닛의 힌지부재(H) 역시 볼부시(30)와 마찬가지로 그 내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코어유닛 힌지부재(H)의 예를 사각형을 예로 들어 도 9에 나타내었다.
한편, 이렇게 경사핀이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경우 본 발명에서 볼부시(30)나 코어유닛의 힌지부재(H)는 원형 및 하나 이상의 다각형 단면 경사핀(2)을 동시에 수용하는 형태, 즉 원형의 윤곽에 더하여 다각형 윤곽의 내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원형과 사각형을 예로 들어 볼부시(30)의 예를 도 10에, 코어유 닛 힌지부재(H)의 예를 도 11에 각각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의 구성은 이상과 같이 상술한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현예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한 기술적 사상이 전혀 훼손되지 않을 수 있음이 주지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홀(11)이 구성되고 관통홀 내면 상단부에는 구형 볼부시(30)의 하반구를 안착시키는 반구형의 안착홈(12)이 구성되는 하부바디(10); 중앙부에 관통홀(21)이 구성되고 관통홀 내면 상단부에는 구형 볼부시(30)의 상반구를 덮어 수용하는 반구형의 수용홈(22)이 구성되는 상부바디(20); 그 하반구가 하부바디(10) 안착홈(12)에 안착되고 상반구는 상부바디(20) 수용홈(22)에 덮여 수용되는 볼부시(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및 이를 이용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어느 금형에도 폭 넓게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며, 경사핀의 경사각도에 대한 허용공차와 가이드블럭들의 장착위치에 대한 허용공차의 폭이 크게 확대되어 금형에의 장착작업이 용이해서 고도로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착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짧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부 시에 대한 고정력이 커서, 하금형에 장착되는 1개 만으로 정확한 경사각도의 유지와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록이 제공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가이드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경사핀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를 제공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현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플라스틱금형용 코어에 연결되어 완성된 플라스틱물을 이젝팅시키는 경사핀과, 경사핀을 수용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블록과, 경사핀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힌지부재가 구비되는 코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에 있어서, 가이드블럭은,
    중앙부에 관통홀(11)이 구성되고 관통홀 내면 상단부에는 구형 볼부시(30)의 하반구를 안착시키는 반구형의 안착홈(12)이 구성되는 하부바디(10);
    중앙부에 관통홀(21)이 구성되고 관통홀 내면 상단부에는 구형 볼부시(30)의 상반구를 덮어 수용하는 반구형의 수용홈(22)이 구성되는 상부바디(20);
    그 하반구가 하부바디(10) 안착홈(12)에 안착되고 상반구는 상부바디(20) 수용홈(22)에 덮여 수용되는 볼부시(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10)의 사이에는 0.2-0.4mm의 유격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바디(10)와 상부바디(20)의 측면에는 조립이 완성된 가이드블럭을 체결하고자 하는 곳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13)(23)이 각각 구성되고, 일측에는 하부바디(10)와 상부바디(2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공(14)(24)이 각각 관통되어 구성되며, 하부바디(10)의 체결공(14)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부바디(20) 체결공(24)을 관통한 볼트(B)에 의해 나사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20)의 체결홈(23)은 그 중단부 이상부터 확장되어 단턱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경사핀의 단면, 볼부시(30)의 내단면 및 힌지부재(H)의 내단면은 원형 또는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6. 제 1항에 있어서,
    볼부시(30)와 힌지부재(H)의 내단면은 원형의 윤곽에 더하여 다각형 윤곽의 내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KR1020050044068A 2005-05-25 2005-05-25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KR10059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068A KR100592347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068A KR100592347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814U Division KR200392985Y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74A true KR20060017474A (ko) 2006-02-23
KR100592347B1 KR100592347B1 (ko) 2006-06-26

Family

ID=3712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068A KR100592347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3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11B1 (ko) * 2008-06-20 2010-04-26 (주)엠와이티 키패드 백라이트필름용 패턴성형 금형 및 이에 의해 패턴성형된 키패드 백라이트필름
KR101247066B1 (ko) * 2012-05-25 2013-04-02 박민원 금형코어유닛의 분할형 가이드블록
KR101329407B1 (ko) * 2007-05-17 2013-11-14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오셋케이지무쇼 이젝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54B1 (ko) 2018-06-27 2020-03-27 (주)정금형 금형의 경사코어 조립체
KR102325023B1 (ko) 2020-06-08 2021-11-10 추창오 금형코어유닛의 가이드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407B1 (ko) * 2007-05-17 2013-11-14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오셋케이지무쇼 이젝터 장치
KR100954411B1 (ko) * 2008-06-20 2010-04-26 (주)엠와이티 키패드 백라이트필름용 패턴성형 금형 및 이에 의해 패턴성형된 키패드 백라이트필름
KR101247066B1 (ko) * 2012-05-25 2013-04-02 박민원 금형코어유닛의 분할형 가이드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347B1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347B1 (ko)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CN100503084C (zh) 车辆用支承结构体的制造方法
CN100591506C (zh) 模仁安装高度可调节的模具
KR200392985Y1 (ko)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CN101754843A (zh) 利用包含插件的密封件部分来包覆成型玻璃元件的方法和装置、玻璃窗及用于该方法的插件
CN202137356U (zh) 金属铸件
KR100793412B1 (ko)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EP0858861B1 (de) Einzugsnippel für eine Palette oder Aufspannplatte zur Halterung von Werkstücken zwecks spanabhebender Bearbeitung
ES2376120T3 (es) Técnica de fabricación de un panel modular.
US7381041B2 (en) Injection mold assembly
US20160101549A1 (en) Locating Ring and Method for Positioning Parts
US6609850B2 (en) Ball joint assembly for a piston-and cylinder unit
KR20060017473A (ko) 코어유닛가이드블럭어셈블리
DE102008000454A1 (de) Form zur Herstellung von Betonformkörpern
KR200421396Y1 (ko) 코어유닛 가이드블록 어셈블리
KR101654990B1 (ko) 체결나사를 구비한 삼차원프린트 생산품 및 그 가공방법
JP2002225086A (ja) 射出成形金型ならびに射出成形方法
EP1728949A1 (en) Doorstop
JP2005212305A (ja) 樹脂成形金型装置のコア支持ロッドの組付け方法および組付け構造
CN211279602U (zh) 一种用于汽车门板注塑模具的顶出机构
KR200354289Y1 (ko) 서랍장용 상판
EP1571280A2 (en) Hinge
KR100766224B1 (ko) 안티클래스틱 현상을 이용한 반타원형 분할경판의부분금형 성형방법
CN213891028U (zh) 一种角度可调式模具导向组件
KR101420739B1 (ko) 금형의 오일프리 슬라이드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