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753A - 평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753A
KR20060015753A KR1020057023797A KR20057023797A KR20060015753A KR 20060015753 A KR20060015753 A KR 20060015753A KR 1020057023797 A KR1020057023797 A KR 1020057023797A KR 20057023797 A KR20057023797 A KR 20057023797A KR 20060015753 A KR20060015753 A KR 20060015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zel
liquid crystal
flat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068B1 (ko
Inventor
다까요시 즈까모또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1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평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과, 이 표시 패널을 보유 지지한 프레임(15)과, 프레임에 고정되어 표시 패널을 프레임에 보유 지지한 프레임 형상의 베젤(bezel)(31)을 구비하고 있다. 베젤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과의 경계에 단부변(33)을 갖고, 표시 영역을 노출시켜 표시 패널의 제1 주요면을 덮은 표면부(32)와, 프레임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은 측면부(34)와, 프레임의 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는 이면부(44)와, 이면부에 마련되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와, 베젤에 있어서의 고정부로부터 단부변을 향하는 최단 경로(C) 근방에 위치하고, 표면부와 표시 패널을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41a)를 갖고 있다.
표시 패널, 베젤, 프레임, 단부변, 측면부, 응력 완화부, 이면부

Description

평면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일주요면측에 갖는 평면 표시 패널을 구비한 평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에 대표되는 평면 표시 장치는 박형, 경량, 저소비 전력 등의 특징을 살리고, 텔레비전, 컴퓨터 혹은 카 네비게이션ㆍ시스템 등의 각종 표시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376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보유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광투과형의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의 한 쪽 주요면, 예를 들어 이면에 거듭 배치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백라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의 다른 쪽 주요면, 즉 표면은 화상 표시 영역을 갖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 및 백라이트는, 거의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수지 프레임 상에 적재되고, 또한 수지 프레임에는 액정 패널의 표면 주연부 및 측면 및 수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금속으로 된 베젤이 부착되어 있다. 그에 의해,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는 수지 프레임과 베젤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베젤의 중앙부에는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대략 직사각형의 표시창이 개구되어 있다.
베젤(bezel)은 각각 측면부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굽힘부를 갖고, 각 절곡부에는 나사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절곡부는 베젤을 프레임에 부착한 상태에서, 프레임의 이면측을 향해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프레임 이면과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각 절곡부는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나사에 의해 프레임의 이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베젤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평면 표시 장치에서는 절곡부의 절곡 위치 및 절곡 각도를 높은 정밀도로 일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절곡부의 절곡 위치 및 절곡 각도가 불균일한 경우, 이 절곡부를 프레임에 나사 고정하면, 베젤의 강성에 의해 베젤의 표시창 주위의 부분이 액정 표시 패널 표면으로부터 부상하는 방향의 응력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베젤의 표시창 주위 부분이 액정 패널 표면으로부터 부상하고, 액정 패널 표면과 베젤 커버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이 경우, 이 간극으로부터 빛이 새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보아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광 누설을 방지하여 표시 품위가 향상된 평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관한 평면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가진 제1 주요면 및 제1 주요면과 대향한 제2 주요면을 구비한 평면 표시 패널과,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주요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을 보유 지지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 형상의 베젤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의 상기 표시 영역과의 경계에 단부변을 갖고, 상기 표시 영역을 노출시켜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의 제1 주요면을 덮은 표면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은 측면부와, 상기 프레임의 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는 이면부와, 상기 베젤의 상기 이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베젤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단부변을 향하는 최단 경로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부와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을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를 갖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6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9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는 평면 표시 패널로서 기능하는 대략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액정 패널(2)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2)은 투광성 혹은 반투과형이다. 액정 패널(2)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이하, TFT라 칭함), 화소 전극 등이 마련된 직사각형 형상의 어레이 기판(5)과, 이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대향 기판(4)을 구비하고 있다. 어레이 기판(5) 및 대향 기판(4)은 주연부끼리가 접합되고, 소정의 갭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어레이 기판(5)과 대향 기판(4) 사이에는, 광변조층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7)이 봉입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5)의 외면 및 대향 기판(4)의 외면에는, 각각 광학 시트(6)가 부착되어 있다.
액정 패널(2)의 한 쪽 표면, 여기서는 대향 기판(4)의 외면은 제1 주요면(3a)을 구성하고, 다른 쪽 표면, 즉 어레이 기판(5)의 외면은 제2 주요면(3b)을 구성하고 있다. 액정 패널(2)의 제1 주요면(3a)은, 그 주연부를 제외하는 중앙부에 화상을 표시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영역(8)을 갖고 있다. 액정 패널(2)은, 도시하지 않은 액정용 가요성 프린트 기판 등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 또는 상기 에너지 등의 구동 신호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표시 영역(8)에 표시한다.
액정 패널(2)의 제2 주요면(3b)과 대향하여 백라이트(11)가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11)는 제2 주요면(3b)과 대향하여 마련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도광판(14), 도광판의 일측 모서리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도광판 내에 선 형상의 빛을 조사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의 방전 램프(12) 및 방전 램프의 측부 외주를 덮어 마련된 반사판(13)을 구비하고 있다.
도광판(14)은 액정 패널(2)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길이 치수 및 액정 패널(2)의 폭 치수보다도 작은 폭 치수를 갖고 있다. 도광판(14)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혹은 시크로올레핀폴리머 등의 내열 투명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도광판(14)의 액정 패널(2)과 반대측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특수한 프리즘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4)과 액정 패널(2)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광학 시트가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선 형상 광원으로서의 방전 램프(12)는, 도광판(14)의 긴 변에 따라서 설치 되어 있다. 방전 램프(12)로부터의 빛은, 직접 혹은 반사판(13)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14) 내에 입사한다. 입사한 선 형상의 빛은 도광판(14)의 프리즘에 의해 면 형상의 빛으로 변환되고, 액정 패널(2)의 전체면에 걸쳐 조사된다. 그 때, 광학 시트는 도광판(14)으로부터의 면 형상의 광분포를 확산시키거나 혹은 집광하여 액정 패널(2)의 제2 주요면측으로 대랴 균등하게 입사된다. 액정 패널(2)로 조사된 면 형상의 빛은 액정 패널(2)을 투과하여 사용자의 눈에 들어가고, 이 액정 패널(2)의 표면부(3)에 의해 표시하고 있는 화상이 사용자에게 눈으로 확인된다.
모듈화된 액정 패널(2) 및 백라이트(11)는 액정 패널(2)의 제2 주요면(3b) 측에 마련된 프레임(15) 상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15)은 수지에 의해 바닥이 있는 대략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2)은 그 주연부가 프레임(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백라이트(11)는 프레임(15)의 바닥벽 상에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본체(17)와, 본체의 하단부측에 마련된 거의 직사각형 판 형상의 바닥벽(16)을 일체로 갖고 있다. 본체(17)의 상단부측의 내주연에 따라서 단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백라이트(11)의 도광판(14)은 프레임(15)의 바닥벽(16)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본체(17)의 내측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액정 패널(2)은 그 주연부가 단부(22)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프레임(15)의 본체(17)에 의해 지지되어 도광판(14)과 대향하고 있다.
프레임(15)은 백라이트(11)와 함께 면 광원 장치(24)를 구성하고 있다. 또, 프레임(15)의 바닥면측에 있어서, 본체의 네 구석의 근방에는 나사 구멍(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백라이트(11) 및 액정 패널(2)을 보유 지지한 프레임(15)에는, 도전성의 금속으로 형성된 베젤(31)이 부착되어 있다. 베젤(31)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표면부(32), 표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연장된 프레임 형상의 측면부(34) 및 측면부(34)로부터 연장되어 표면부(32)와 거의 평행하게 대향한 후술의 바닥면부를 일체로 갖고 있다. 베젤(31)은, 그 표면부(32)가 액정 패널(2)의 제1 주요면(3a)의 주연부를 덮은 상태에서, 또한 측면부(34)가 액정 패널(2) 및 프레임(15)의 측면을 덮은 상태로 프레임(15)에 부착되어 있다.
표면부(32)의 중앙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3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0)는 표면부(32)의 내주연인 단부변(33)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개구(30)는 액정 패널(2)의 폭 치수 및 길이 치수보다도 각각 작은 폭 치수 및 길이 치수를 갖고 있다. 개구(30)는 백라이트(11)의 도광판(14)의 폭 치수 및 길이 치수와 각각 같은 폭 치수 및 길이 치수를 갖고 있다. 즉, 개구(30)는 액정 패널(2)의 표시 영역(8)과 거의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베젤(31)의 표면부(32)는 개구(30)를 통해 표시 영역(8)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액정 패널(2)의 제1 주요면(3a)의 주연부를 덮고 있다. 표면부(32)의 단부변(33)은 표시 영역(8)의 외륜관과 거의 일치하고, 표시 영역(8)과 표면부(32)와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측면부(34)의 폭은 프레임(15)의 본체(17)의 폭과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측면부(34)는 백라이트(11) 및 액정 패널(2)을 지지한 프레임(15)의 측면을 덮고 있다.
도1 및 도3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31)의 각 짧은 변에 있어서, 측면부(34)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절곡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절곡부(42)는 측면부(34)에 형성된 절취 혹은 슬릿(41a, 41b)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슬릿(41a)은 측면부(34)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측면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있다. 슬릿(41b)은 슬릿(41a)의 일단부로부터 측면부(34)의 하부 모서리까지 연장되어 외측으로 개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절곡부(42)는 측면부(3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굽힘부 본체(43)를 갖고, 이 굽힘부 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즉 슬릿(41b)과 반대측에 위치한 일단부는 측면부(34)에 연결되어 힌지(45)를 형성하고 있다. 힌지(45)는 측면부(3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굽힘부 본체(43)는 힌지(45)의 주위에서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절곡부(42)는 굽힘부 본체(43)의 타단부의 단부 모서리로부터 프레임(15)측으로 연장된 이면부(4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면부(44)는 표면부(32)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프레임(15)의 이면과 대향하고 있다. 이면부(44)의 거의 중앙에는, 고정부로서 기능하는 관통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6)은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과 정렬하여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면부(44)는 관통 구멍(46)을 통해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에 삽입한 나사(47)에 의해, 프레임(15)의 본체(17)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베젤(31)은 프레임(15)에 고정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로서의 관통 구멍(46)과 베젤(31)의 단부변(33)까지 베젤(31)의 외면에 따라서 연장된 최단 경로를 C로 한 경우, 슬릿(41a)은 최단 경로(C)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릿(41a)은 최단 경로(C)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41a)은 베젤(31)의 표면부(32)를 액정 패널(2)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베젤(31)의 다른 절곡부(42)도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하는 경우,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액정 패널(2) 및 백라이트(11)를 프레임(15)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15)의 표면측에 베젤(31)을 부착한다. 이 때, 미리 베젤(31)의 각 굽힘부 본체(43)를 힌지(45)의 주위에서 외측으로 절곡하고, 이면부(44)를 베젤의 측면부(34)보다도 외측으로 위치시켜 둔다. 이에 의해, 이면부(44)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일 없이, 베젤(31)을 프레임(15)에 대해 소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베젤(31)의 표면부(32)에 의해 액정 패널(2)의 제1 주요면 주연부를 덮는 동시에, 측면부(34)에 의해 액정 패널(2) 및 프레임(15)의 측면을 덮는다.
계속해서, 도3,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굽힘부 본체(43)를 프레임(15)측으로 압입하고, 베젤(31)의 측면부(34)와 대략 평행하게 될 때까지 되밀리게 한다. 이어서, 이면부(44)의 관통 구멍(46)을 통해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에 나사(47)를 삽입하고, 이면부(44)를 프레임 본체(17)의 이면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베젤(31)을 프레임(15)에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베젤(31)의 절곡부(42)는 고정부가 형성된 이면부(44)를 일체로 구비하고, 베젤의 측벽과 교차하는 방향, 즉 표면부(32)와 평행한 방향에 따라서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굽힘부 본체(43)가 베젤(31)의 측면부(34)와 평행한 상태로 되밀리게 된 상태에서, 이면부(44)가 프레임(15)의 이면측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굽힘부 본체(43)의 강성에 의한 복원력, 즉 반력은 베젤(31)에 대해 측면부(34)와 교차하는 방향, 즉 표면부(32)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고, 표면부(32)의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작용하기 어렵다. 그로 인해, 굽힘부 본체(43)의 굽힘 정밀도에 관계되지 않고, 액정 표시 장치(1) 전체의 외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이면부(44)에는 나사 고정 방향, 즉 표면부(32)의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부(32)가 액정 패널(2)의 제1 주요면(3a)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젤(31)에 있어서 고정부로서 기능하는 이면부(44)의 관통 구멍(46)과 단부변(33)을 연결하는 최단 경로(C)의 근방에 슬릿(4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슬릿(41a)은 베젤(31)의 표면부(32)를 액정 패널(2)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한다.
따라서, 액정 패널(2)과 베젤(31)의 표면부(3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백라이트(11)로부터 빛의 누설을 억제하여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절곡부(42)의 굽힘부 본체(43)는 베젤(31)의 측면부(34)로부터 이면부(44)의 돌출 치수만큼만 외측으로 절곡되면 좋고, 종래의 절곡부에 비교하여 굽힙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굽힘부 본체(43)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는 동시에, 힌지(45)에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멍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면부(44)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액정 표시 장치(1)의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면부(44)는 굽힘부 본체(4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11) 및 프레임(15) 등의 중량 방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젤(31)은 절곡부를 겸한 이면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즉, 베젤(31)의 각 짧은 변에 있어서, 측면부(34)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이면부(4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이면부(44)는 측면부(34)의 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측면부(3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의 90도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면부(44)는 프레임(15)의 본체(17) 이면과 대향하고 있다.
각 이면부(44)의 거의 중앙에는 관통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면부(44)는 관통 구멍(46)을 통해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에 삽입된 나사(47)에 의해 프레임(15)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로서 기능하는 관통 구멍(46)과 베젤(31)의 단부변(33)까지 베젤(31)의 외면에 따라서 연장된 최단 경로를 C로 한 경우, 베젤(31)에는 최단 경로(C)의 근방에 위치한 슬릿(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릿(41)은 측면부(34)에 형성되고, 측면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최단 경로(C)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이 슬릿(41)은 베젤(31)의 표면부(32)를 액정 패널(2)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슬릿(41)에 의해 베젤(31)의 표면부(32)를 액정 패널(2)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과 베젤(31)의 표면부(3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빛의 누설을 억제하고 표시 품위가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부를 가진 이면부(44)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베젤(31)에 고정되어 있다.
즉, 베젤(31)의 각 짧은 변에 있어서, 측면부(34)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 부재(60)가 고정되어 있다. 판 부재(60)는, 직사각형 형상의 지지부(62) 및 지지부로부터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의 연장부(6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62)는 측면부(34)의 외면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측면부(3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62)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측면부(34)에 고정되어 있다.
연장부(64)는 지지부(62)로부터 측면부(34)의 측 모서리를 넘어서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64)의 연장 단부는 프레임(15)측에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고, 프레임 (15)의 본체(17) 이면과 대향한 이면부(44)를 구성하고 있다. 각 이면부(44)의 거의 중앙에는 관통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면부(44)는 관통 구멍(46)을 통해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에 삽입된 나사(47)에 의해 프레임(15)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로서 기능하는 관통 구멍(46)과 베젤(31)의 단부변(33)까지 베젤(31)의 외면에 따라서 연장된 최단 경로를 C로 한 경우, 판 부재(60)의 지지부(62)는 최단 경로(C)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최단 경로(C)의 양측에서 측면부(3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62)는 양단부만이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측면부(34)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지지부(62)의 중앙부는 측면부(34)에 대해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동시에, 최단 경로(C)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지부(62)는 베젤(31)의 표면부(32)를 액정 패널(2)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최단 경로(C)의 근방으로 베젤(31)에 부착된 판 부재(60)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베젤(31)의 표면부(32)를 액정 패널(2)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과 베젤(31)의 표면부(3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빛의 누설을 억제하고 표시 품위가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15)의 이면측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회로 기판(51)이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1)은 액정 패널(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기 신호 또는 상기 에너지 등의 구동 신호를 액정 패널(2)에 공급한다. 회로 기판(51)은 프레임(15)의 이면측과 대략 같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51)의 네 구석의 근방에는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52)이 관통하여 마련되고 나사 구멍(25)과 정렬되어 있다.
베젤(31)의 각 이면부(44)는 회로 기판(51)의 이면과 대향하여 마련되고, 회로 기판(51)을 협지하여 프레임(15)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이면부(44)가 가장 이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면부(44)에 형성된 관통 구멍(46)은 회로 기판(51)의 관통 구멍(55) 및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과 정렬되어 위치하고 있다.
조립시, 액정 패널(2) 및 백라이트(11)를 프레임(15)에 장착한 후, 프레임(15)의 표면측에 베젤(31)을 부착한다. 또한, 프레임(15)의 이면측에 회로 기판(51)을 배치한다. 계속해서, 베젤(31)의 굽힘부 본체(43)를, 베젤(31)의 측면부(34)와 거의 평행하게 되는 위치까지 표면부(32)의 면 방향에 따라서 압입한다. 이 상태에서, 이면부(44)의 관통 구멍(46) 및 회로 기판(51)의 관통 구멍(55)을 통해, 나사(47)를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에 삽입한다.
이 결과, 베젤(31), 프레임(15) 및 회로 기판(51)이 서로 고정되는 동시에, 베젤(31)과 회로 기판(51)이 나사(47)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동 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나사(47)에 의해 베젤(31)의 이면부(44)와 프레임(15)을 고정하였을 때, 이 나사(47)를 통해 베젤(31)과 회로 기판(5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회로 기판(51)을 외부의 회로 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등에는, 베젤(31)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배선할 수 있고, 공간 절약화 혹은 배선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15)에는 면 광원 장치(24) 대신에, 광원으로서의 방전 램프(53)가 부착되어 있다. 방전 램프(53)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에 형성되고, 프레임(15)의 바닥부의 폭 치수보다도 약간 큰 길이 방향 치수를 갖고 있다. 방전 램프(53)는 프레임(15)에 지지되고, 액정 패널(2)의 제2 주요면(3b)에 대향하고 배치되어 있다. 방전 램프(53)로부터는 액정 패널(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빛이 조사된다.
프레임(15)의 바닥벽(16)은 도전성의 금속 부재로서 기능하는 금속판(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금속판(54)은 방전 램프(53)에 대향하고, 프레임(15)의 이면측을 폐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금속판(54)은 방전 램프(53)로부터 하방으로 조사된 빛을 액정 패널(2)로 반사시킨다.
베젤(31)의 각 이면부(44)는 금속판(54)의 방전 램프(53)와 반대측, 즉 금속 판의 이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금속판(54)의 네 구석의 근방에는,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과 대응하는 관통 구멍(46)이 형성되고 나사 구멍(25)과 정렬되어 있다.
조립시, 액정 패널(2) 및 방전 램프(53)를 프레임(15)에 장착한 후, 프레임(15)의 표면측에 베젤(31)을 부착한다. 또한, 프레임(15)의 이면측에 금속판(54)을 배치한다. 계속해서, 베젤(31)의 굽힘부 본체(43)를 베젤(31)의 측면부(34)와 거의 평행하게 되는 위치까지, 표면부(32)의 면 방향에 따라서 압입한다. 이 상태에서, 이면부(44)의 관통 구멍(46) 및 금속판(54)의 관통 구멍(55)을 통해, 나사(47)를 프레임(15)의 나사 구멍(25)에 압입한다.
이 결과, 베젤(31), 프레임(15) 및 금속판(54)이 서로 고정되는 동시에, 베젤(31)과 금속판(54)이 나사(47)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나사(47)에 의해 베젤(31)의 이면부(44)와 프레임(15)을 고정하였을 때, 이 나사(47)를 통해 베젤(31)과 금속판(54)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로 인해, 베젤(31)의 임의의 위치를 이용하여 금속판(5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공간 절약화 혹은 배선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2)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액정 패널(2) 이외의 평면 표시 패널을 이용한 평면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일렉트로 미네센스(EL) 소자를 이용한 EL 표시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백라이트(11)의 빛을 액정 패널(2)의 이면측으로부터 투과시키는 투과형 혹은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면 광원 장치로서 도광판(14)의 표면에 프리즘을 마련한 프론트 라이트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프론트 라이트를 액정 패널(2)의 제1 주요면측에 배치하고, 프론트 라이트에 의해 액정 패널(2)의 표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형의 액정 표시 장치로서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표시 패널과 베젤 커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광 누설을 방지하고 표시 품위가 향상된 평면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가진 제1 주요면 및 제1 주요면과 대향한 제2 주요면을 구비한 평면 표시 패널과,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주요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을 보유 지지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 형상의 베젤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의 상기 표시 영역과의 경계에 단부변을 갖고, 상기 표시 영역을 노출시켜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의 제1 주요면을 덮은 표면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은 측면부와,
    상기 프레임의 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는 이면부와,
    상기 베젤의 상기 이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베젤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단부변을 향하는 최단 경로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부와 상기 평면 표시 패널을 이격시키는 방향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를 갖고 있는 평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부는 상기 베젤로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베젤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부변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평면 표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최단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평면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표면부의 면 방향에 따라서 절곡 가능하게 상기 측면부에 마련된 절곡부를 갖고,
    상기 이면부는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이면과 대향하고 있는 평면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표면부와 반대측에 위치한 측 모서리를 갖고, 상기 이면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기 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이면에 대향하고 있는 평면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측면부에 고정된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측면부에 고정된 양단부와, 상기 최단 경로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한 중앙부를 가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이면에 대향하여 상기 배면부를 구성한 연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평면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평면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의 고정부는 도전성을 갖는 나사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고,
    베젤은 도전성을 갖고, 상기 나사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평면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평면 표시 장치.
KR1020057023797A 2003-06-13 2004-06-11 평면 표시 장치 KR100754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9914 2003-06-13
JPJP-P-2003-00169914 2003-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753A true KR20060015753A (ko) 2006-02-20
KR100754068B1 KR100754068B1 (ko) 2007-08-31

Family

ID=3354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797A KR100754068B1 (ko) 2003-06-13 2004-06-11 평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0194B2 (ko)
JP (1) JPWO2004111977A1 (ko)
KR (1) KR100754068B1 (ko)
CN (1) CN100474358C (ko)
TW (1) TWI250334B (ko)
WO (1) WO20041119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76B1 (ko) * 2007-01-09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3853A1 (en) * 2005-11-09 2007-05-10 Hung-Chen Kao Structure for assembling flat display
KR101394932B1 (ko) * 2007-11-13 201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
US8006419B2 (en) * 2009-11-12 2011-08-30 George Walter Kabalka Window display material holder for vehicle windows
JP5335650B2 (ja) * 2009-11-25 2013-11-06 シャープ株式会社 固定機構および当該固定機構を備えた光学機器、並びに、固定方法
KR101325913B1 (ko) * 2010-04-27 2013-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496013B2 (ja) * 2010-08-11 2014-05-21 京セラ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ユニット枠および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USRE47419E1 (en) * 2010-11-22 2019-06-04 Wistr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WO2013051438A1 (ja) * 2011-10-03 2013-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591045A (zh) * 2012-02-29 2012-07-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液晶显示装置
JP5846995B2 (ja) * 2012-03-30 2016-0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935552B1 (ko) 2012-06-27 2019-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2809837B (zh) * 2012-08-21 2015-09-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模块及其前框构造
JP2014048380A (ja) * 2012-08-30 2014-03-17 Sony Corp 表示装置
TWI553373B (zh) * 2013-06-21 2016-10-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簡易拆解之面板裝置
JP6263747B2 (ja) * 2014-03-26 2018-01-24 株式会社Joled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5200778A (ja) * 2014-04-08 2015-1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204362194U (zh) * 2015-02-09 2015-05-27 北京京东方多媒体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05911733B (zh) * 2016-06-03 2023-08-29 重庆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曲面显示装置结构
JP7014587B2 (ja) * 2017-12-15 2022-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1542868B (zh) * 2017-12-26 2023-09-12 索尼公司 显示设备
KR102124041B1 (ko) * 2018-12-28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52342B1 (ko) * 2018-12-28 2021-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623A (ja) 1988-10-29 1990-05-07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523567Y2 (ja) * 1989-03-10 1997-01-29 ローム 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取付け装置
JPH049982A (ja) 1990-04-27 1992-01-14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49982U (ko) * 1990-05-15 1992-01-28
DE69323597T2 (de) * 1992-11-12 1999-08-19 Canon Kk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JP2000214457A (ja) * 1999-01-20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377479B2 (ja) * 1999-06-29 2009-12-02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
JP4439656B2 (ja) 2000-02-04 2010-03-24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照明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照明ユニット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22231A (ja) * 2000-02-08 2001-08-17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2001337621A (ja) 2000-05-25 2001-12-07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平面表示装置
KR20020046016A (ko) * 2000-12-12 2002-06-2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표시모듈의 베젤조립구조
TW545611U (en) * 2002-01-22 2003-08-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housing thereof
JP2004077955A (ja) * 2002-08-21 2004-03-11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
TW582562U (en) * 2003-03-13 2004-04-0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76B1 (ko) * 2007-01-09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852426B2 (en) 2007-01-09 2010-12-1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11977A1 (ja) 2004-12-23
US7460194B2 (en) 2008-12-02
CN1806267A (zh) 2006-07-19
TWI250334B (en) 2006-03-01
TW200530657A (en) 2005-09-16
JPWO2004111977A1 (ja) 2006-07-27
US20060087804A1 (en) 2006-04-27
CN100474358C (zh) 2009-04-01
KR100754068B1 (ko)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068B1 (ko) 평면 표시 장치
KR10078729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48040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01405B1 (ko) 액정표시장치
US78872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7446825B2 (en)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9910306B2 (en) Display device and set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KR20060065548A (ko) 액정 표시 장치
JP5878976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221128B1 (ko) 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 및 그의 조립방법
JP6025423B2 (ja) 表示装置
KR20160116101A (ko) 표시 장치
KR102253430B1 (ko) 표시 장치
KR102236168B1 (ko) 표시 장치
KR101279175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269292B1 (ko) 액정표시장치
CN108020954B (zh) 背光模块及其应用的显示装置
KR102343712B1 (ko) 표시 장치
KR102575520B1 (ko) 액정표시장치
TW201416765A (zh) 顯示裝置
KR20130109862A (ko) 평판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조립 방법
WO2019131514A1 (ja) 表示装置
KR20200099225A (ko) 표시 장치
KR101256667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H10239686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