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628A - 컬러 조사를 스크롤하기 위한 소형의 효율적인 광 수집옵틱스 - Google Patents

컬러 조사를 스크롤하기 위한 소형의 효율적인 광 수집옵틱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628A
KR20060015628A KR1020057022652A KR20057022652A KR20060015628A KR 20060015628 A KR20060015628 A KR 20060015628A KR 1020057022652 A KR1020057022652 A KR 1020057022652A KR 20057022652 A KR20057022652 A KR 20057022652A KR 20060015628 A KR20060015628 A KR 20060015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reflectors
light guide
part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제이. 엠. 잔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1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H04N9/311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by using a sequential colour filter producing two or more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creating scrolling colour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스크롤링 컬러 조사 시스템용 광원은 광을 생성하는 램프(212)와, 각각이 상기 램프로부터 광의 일부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독립적인 반사기(220, 230)와; 상기 제 1 및 제2 독립적인 반사기(220, 230)에 의해 수신되는 광의 일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광원의 두 개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상기 광 가이드는 상기 램프(212)에 의해 생성되는 광 빔의 종횡비의 두 배의 종횡비를 갖는 한편 그 원래 너비를 보존하는 광 빔을 자신의 출력부에서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편광 요소(266)가 상기 광 가이드(260)로부터 나오는 비편광 빔을 편광시키며, 이 공정에서 추가적으로 종횡비가 역시 너비 증가 없이 두 배가 된다.

Description

컬러 조사를 스크롤하기 위한 소형의 효율적인 광 수집 옵틱스{COMPACT EFFICIENT LIGHT COLLECTION OPTICS FOR SCROLLING COLOR ILLUMINATION}
본 발명은 광원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패널 스크롤링 컬러 프로젝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스크롤링 컬러 조사 시스템용 광 수집 옵틱스에 대한 것이다.
스크롤링 컬러 프로젝터는 단일 광 조절기, 또는 광 밸브,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풀 컬러 이미지(full color images)를 생성한다. 스크롤링 컬러 프로젝터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Janssen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532,763, (이하, "'763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데, 그 전체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병합된다.
'763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링 컬러 프로젝터는 액정 디스플레이 상의 최상부부터 바닥까지 계속해서 스크롤하는 컬러광(적색, 녹색, 청색)의 다중 스트라이프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을 조사한다. 강렬한 화이트 광원, 예컨대 아크 램프로부터 나오는 광이 수집되고, 원색-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분리된다. 컬러-분리된 광은 각 소스가 "수직"방향으로는 좁게 그리고 "수평"방향으로는 더욱 넓게 보이도록 세 개의 소스로 형성되도록 야기된다. 스캐닝 옵틱스가 각각의 컬러 당 하나인 세 개의 광 띠가 LCD 패널 상에 위치되는 것을 야기하도록 채용된다. 스캐닝 옵틱스는 조사 띠로 하여금 LCD 패널을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야기한다. 띠가 패널의 활성 영역의 "최상부"위를 통과함에 따라 그 컬러의 광 띠가 다시 패널의 "바닥"에 나타난다. 이로써, 패널을 가로질러 세 가지 컬러의 연속적인 스윕(sweep)이 존재한다.
도 1은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 내에서 전기-옵틱 광 조절기의 조사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이러한 패널은 통상적으로, 한번에 한 라인 방식으로 어드레스 지정되는, 개별적으로 어드레스지정 가능한 반사 픽셀 전극(미도시)에 의해 한정된 픽셀의 행(라인)과 열의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적색, 청색 및 녹색의 직사각형-모양의 컬러광바(32, 36, 40)가 화살표 방향으로 (박스(42)로 표현된)매트릭스 어레이를 스크롤 다운한다. 적색 컬러바(32), 청색 컬러바(34) 및 녹색 컬러바(36)가 시간(t) 순간에 패널을 조사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컬러바(32, 36 및 40) 사이의 공간은 가드바(30, 34 및 38)를 나타낸다.
'763 특허에 설명되어 있는 시스템은 소스 광 빔을 생성하기 위한 광 박스를 포함한다. 광 박스는 적절한 강도의 램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되고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광 빔은 "수직"방향으로는 좁고 "수평"방향으로는 더욱 넓은 것이 요구된다. 통상적인 시스템은 10:1의 종횡비를 갖는 직사각형 광 빔을 요구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UHP 아크 램프의 종횡비는 2.5:1이다. 따라서, 광 박스는 또한 광빔이 원하는 종횡비를 갖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직사각형 빔의 필요한 형태로 있도록 광 빔을 변경하는 역할을 하는 일련의 광학 렌즈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광 박스로부터 나오는 광 빔, 또는 세 가지 상이한 컬러광 빔이 컬러-분리된 후의 이 컬러광 빔을 추가적으로 직사각형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수직 배치된 직사각형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이들 광원에는 문제가 있다.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대부분을 수집하기 위해, 두 가지 접근법: (1) 다수의 작은 개구수(NA) 렌즈를 채용하는것; 및 (2) 소수의 높은 NA 렌즈를 채용하는 것 중 하나가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양 접근법은 단점을 갖고 있다. 접근법(1)의 경우에, 단점은 매우 많은 렌즈의 복잡함에 대한 것이다. 접근법(2)의 경우에, 높은 NA 렌즈는 높은 내열 정도를 요구한다. 양 접근법은 고비용 문제를 갖고 있다.
이로써, 스크롤링 컬러 프로젝터용 스크롤링 컬러 조사 시스템에 개선된 광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로부터 나오는 광을 원하는 형태 인수(desired form factor)를 갖는 광 빔으로 변환하기 위한 더욱 소형의 광학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스크롤링 컬러 조사 시스템에 효율적인 광 수집 옵틱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관심사 중 하나 이상을 다루는 것과 관계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광원은: 광을 방출하는 램프; 램프로부터 반사광을 수신하고 수신광을 제1 및 제2 방향 각각으로 보내기 위해 위치되는 한 쌍의 부분-타원형 반사기; 각각이 부분-타원형 반사기 중 하나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반사하기 위해 위치되는 제1 및 제2 미러; 및 자신의 제1 종단에 배치된 두 개의 프리즘을 갖는 광 가이드로서, 각 프리즘은 제1 및 제2 미러 중 대응하는 하나로부터 나오는 반사광을 광 가이드에 입력하기 위해 적응되며, 상기 광 가이드는 자신의 제2 종단에서 광 빔을 제공하기 위해 적응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광원은: 각각이 제1 및 제2 초점을 갖는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로서, 부분-타원형 반사기는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의 제1 초점이 일반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되는, 부분 타원형 반사기;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의 제1 초점에 위치되는 램프; 및 램프가 턴 온 될 때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두 개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부분-타원형 반사기를 경유해서 수신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광원은 광을 생성하는 램프와, 각각이 램프로부터 광의 일부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독립적인 반사기와, 제 1 및 제2 독립적인 반사기에 의해 수신되는 광의 일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광원의 두 개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한다.
도 1은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 내에서 전기-옵틱 광 조절기의 조사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용 광원의 실시예의 횡단면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용 광원의 실제 조작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용 광원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용 광원의 실제 조작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용 광원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용 광원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스크롤링 컬러 시스템용 광원(200)의 실시예의 횡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광원(200)의 실제 조작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0)은: 램프(212) 및 반사기(216)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210)와; 독립적인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와; 제1 및 제2 미러(240 및 250)와; 광 가이드(260)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램프(212)는 고강도 방전(HID) 램프 또는 초고성능(UHP) 램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튜브 모양이다. 예시적인 램프는 길이가 약 9mm일 수 있다.
또한 램프 반사기(216)는 유리하게는 반구, 또는 램프(212)의 모양에 따라 반-실린더(half-cylinder)의 일반적인 모양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램프 조립체(210)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신의 일 측면에만 광을 방출한다. 램프 조립체(210)로부터 나오는 광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타원 모양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광은 2.5:1의 종횡비를 갖는다.
도 4에서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 각각은 제1 및 제2 초점을 갖는 타원면의 일부 표면을 한정한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는 제1 초점이 일반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게다가, 도 2에서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 각각은 타원의 아크 부분을 한정하는 횡단면을 갖는다. 또한 유리하게는, 도 6에서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분 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는 공통 에지를 공유하며 이 공통 에지에서 함께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구조로 함께 형성된다.
광 가이드(260)의 제1(광 입구) 종단에는 제1 및 제2 프리즘(262 및 264)이 제공된다. 프리즘(262 및 264)은 낮은 굴절률 시멘트(a-low-index-of-refraction cement)로 광 가이드(260)의 제1 종단에 부착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광 가이드(2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262 및 264)은 대응 광 입구면(262a, 264a), 광 반사면(262b, 264b), 및 광 출구면(262c, 264c)을 구비한다. 반사면(262b, 264b)에는 유리하게는 반사 또는 미러 코팅이 제공된다.
또한, 도 5에서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광 가이드(260)의 제2(광 출구) 종단에는 편광 요소(266)가 제공된다. 편광 요소(266)는 그 동작이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편광 빔스플리터(266a)와 위상 지연기(266b)를 포함한다. 빔스플리터(266a)는 낮은 굴절률 시멘트로 광 가이드(260)의 종단에 부착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광 가이드(2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200)에서, 램프 조립체(210)는 일반적으로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의 제1 초점에 위치된다. 한편, 제1 및 제2 미러(240 및 250)는 각각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 각각과 그들의 대응 제2 초점 사이의 광학 경로에 위치된다. 게다가, 프리즘(262 및 264)의 광 입구면(262a, 264a)은 각각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 중 대응하는 하나로부터 나오는 아크 이미지가 대응 미러(240, 250)에 의해 중계되는 곳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예컨대, 제1 부분-타원형 반사기(220)와 미러(240) 사이의 거리 "x"와, 미러(240)와 입구면(262a) 사이의 거리 "y"의 합은 제1 부분-타원형 반사기(220)의 제2 초점의 초점 거리(f2)와 동일하다.
광원(200)의 동작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램프(212)가 광을 방사한다. 램프(212)로부터 나오는 광의 제1 부분이 램프 반사기(216)를 향해 방사한다. 램프 반사기(216)가 램프(216)로부터 나오는 광의 제1 부분을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를 향해 반사한다. 한편, 램프(212)로부터 나오는 광의 나머지(제2 부분)는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를 향해 직접 방사한다. 유리하게는, 램프 조립체(210)와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는 램프 조립체(210)로부터 나오는 실질적으로 모든 광이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의 내부 표면과 충돌하도록 배열된다. 즉,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는 램프(212)와 램프 반사기(216)로부터 나오는 실질적으로 모든 광을 수신하기 위해 대응해서-한정된 타원면을 따라 충분히 멀리까지 확장한다.
유리하게는, 램프(212)는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 각각의 제1 초점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는 램프(212)로부터 (직접 또는 램프 반사기(216)에 의해 반사된 상태로) 광을 수신하고 그들 각각의 제2 초점을 향해 보내지는 독립적인 아크 이미지를 생성한다.
미러(240 및 250)는 각각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 중 대응하는 하나와 대응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의 제2 초점 사이의 광학 경로에 위치된다. 미러(240 및 250) 각각은 대응 부분-타원형 반사기(220/230)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수신광을 두 개의 프리즘(262 및 264) 중 대응하는 하나를 향해 반사한다. 두 개의 프리즘(262, 264)의 광 입구면(262a 및 264a)은 각각 미러(240 및 250)에 의해 중계되는 대로, 대응 부분-타원형 반사기(220/230)의 이미지의 위치에 배치된다.
독립적인 광 이미지는 광 입구면(262a 및 264a)을 경유해 프리즘(262 및 264)으로 들어가고, 이에 따라 대응 광 반사면(262b 및 264b)에 전달된다. 광은 광 반사면(262b 및 264b)에 의해 반사되고 프리즘(262 및 264)의 광 출구면(262c 및 264c)을 경유해 광 가이드(260)의 제1 종단으로 들어간다. 이로써, 두 개의 독립적인 광 이미지가 램프(212)의 원래 광 빔의 종횡비의 두 배를 구비하는 결합 광 빔을 생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인접해서 세로로 "종단간"배열된 광 가이드로 들어간다. 광은 광 가이드(260)에 의해 내부적으로 가이드되고 자신의 제2 종단에서 나온다.
설명된 실시예가 미러(240 및 250)와 두 개의 프리즘(262 및 264)을 포함하나, 독립적인 광 이미지를 수신하고 광 이미지를 광 가이드(260)에 연결하기 위한 이외의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공정의 결과, 램프(212)에 의해 생성되는 광 빔의 종횡비는 광 빔 너비의 대응 증가 없이 그리고 비교적 작은 광 손실 또는 효율 감소로, 효과적으로 두 배가 된다. 예컨대, 통상적인 UHP 아크 램프로부터 나오는 광 빔의 종횡비가 2.5:1인 경우,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 및 공정에 따른 광 가이드(260)의 제2 종단으로부터 나오는 광 스트라이프의 종횡비는 5:1이다.
스크롤링 컬러 프로젝터에서의 동작을 위해, LCD 패널은 선형 편광을 요구한다. 그러나, 램프(212)로부터 나오는 광 빔은 비편광이다.
이로써,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광 가이드(260)는 유리하게는 광 빔이 나오는 자신의 제2 종단에 편광 요소(266)가 제공된다. 도 6에서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광 가이드(260)로부터 나오는 비편광 빔은 편광 빔스플리터(266a)로 들어간다. 제1(예컨대, 수평) 편광을 갖는 광 빔의 일부는 편광 빔스플리터(266a)를 통과하는 반면, 제2(예컨대, 수직) 편광을 갖는 광 빔의 나머지는 위상 지연기(266b)로 반사된다. 제2(예컨대, 수직) 편광을 갖는 광이 편광 빔스플리터(266a)를 통과하는 제1(예컨대, 수평) 편광을 갖는 광의 경로에 인접하고 평행한 경로를 따라 반사되기 전에, 위상 지연기(266b)에 의해 90ㅀ 만큼 위상 회전되고 이에 따라 그 편광은 제1(예컨대, 수평) 편광으로 바뀐다.
유리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편광 공정의 결과, 편광 요소(266)로부터 나오는 선형 편광 빔의 종횡비는 광빔의 너비의 대응 증가 없이 그리고 매우 작은 광 손실 또는 효율 감소로, 편광 요소(266)로 들어간 비편광 빔의 종횡비에 대해 두 배가 된다. 즉, 편광 요소(266)를 통과하는 광 빔은 램프(212)에 의해 원래 생성되는 광의 종횡비의 4배인 종횡비를 갖는다.
이로써, 예컨대, 통상적인 UHP 아크 램프로부터 나오는 광 빔의 종횡비가 2.5:1인 경우, 광 가이드(260)의 제1 종단으로 들어가는 광 스트라이프의 종횡비는 5:1이며 광 가이드(260)의 제2 종단에 있는 편광 요소(266)로부터 나오는 광 스트라이프의 종횡비는 10:1이다.
따라서, 각각이 램프로부터 아크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두 개의 독립적인 반사기를 제공하고, 두 개의 독립적인 이미지의 광을 결합함으로써, 빔의 너비가 보존될 수 있는 한편, 다수의 작은 수치 애퍼처(NA) 렌즈; 또는 소수의 높은 NA 렌즈를 채용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 및 복잡함 없이 빔의 종횡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원리는 다음과 같이 확장될 수 있다. 우선, 이중 반사기에 의해 생성되는 광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폴딩 미러(240, 250)와 대응 프리즘(262 및 264)을 경유하는 것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수집되고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Y자-모양의"광 가이드가 두 개의 독립적인 반사기의 이미지 지점에 위치된 두 개의 입구면을 구비해 채용될 수 있는데, 결합 광 빔은 Y자-모양의 광 가이드의 단일 공통 출구면에서 나온다. 이 경우에, 미러도 프리즘도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이중의 독립적인 반사기는 부분-타원면 이외의 모양을 가정할 수 있다. 예컨대, 포물선 또는 반구 반사기가 채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부분-타원형 반사기(220 및 230) 대신에, 두 개의 독립적인 포물선 반사기(720, 730)를 채용하는 광원(700)의 대안적인 배열을 나타낸다. 광원(700)은 또한 독립적인 포물선 반사기(720 및 730)에 의해 두 개의 평행 광선 세트로 반사되는 램프(710)로부터 나오는 광의 대응하는 독립적인 이미지를 생성하는 확대 렌즈(725 및 735)를 포함한다. 나타난 실시예에서, 확대 렌즈 각각은 확대 인수 "4"를 갖는다. 이전과 같이, 광 가이드(760)는 두 개의 독립적인 광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배열된다. 광원(700)의 남은 구조 및 동작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광원(200)의 그것들과 유사하며, 따라서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생략된다.
또한, 램프 반사기는 광원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램프로부터 나오는 일부 광이 유실될 것이나, 이러한 배열은 램프 반사기가 상당량의 열-발생 광을 램프로 다시 반사할 수 있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시 램프의 수명과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원리는 상이한 종횡비를 갖는 너비-보존 광 빔을 생성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광 이미지를 "세로로" 결합하는 대신에, 광 가이드는 광 이미지가 더욱 "정사각형-모양의" 광 빔을 생성하기 위해 인접해서 수신되는 한편, 여전히 원래 빔의 너비를 보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광 가이드의 제2(출구) 종단에 있는 편광 요소는 편광 빔의 종횡비가 편광 요소로 들어가는 비편광 빔에 대해 두 배로 되는 대신에, 반으로 줄어들도록 적 응된 편광 빔스플리터와 위상 지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은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를 검토한 후에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 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광원 분야에 이용 가능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패널 스크롤링 컬러 프로젝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스크롤링 컬러 조사 시스템용 광 수집 옵틱스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0)

  1. 광원으로서,
    광을 생성하는 램프;
    각각이 상기 램프로부터 광의 일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광을 대응 제1 및 제2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위치되는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로서, 각각의 부분-타원형 반사기는 상기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생성하는, 부분-타원형 반사기;
    각각이 부분-타원형 반사기 중 하나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반사하기 위해 위치되는 제1 및 제2 미러; 및
    자신의 제1 종단에 배치된 두 개의 프리즘을 갖는 광 가이드로서, 각 프리즘은 상기 부분-타원형 반사기에 의해 생성되는 독립적인 이미지 중 대응하는 하나를 상기 광 가이드에 입력하도록 적응되며, 상기 광 가이드는 자신의 제2 종단에서 광 빔을 제공하기 위해 적응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광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의 제2 종단에 배치된 편광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편광 요소는 상기 광 가이드의 제2 종단에서 광 빔을 수신하고 상기 광 빔을 편광 빔으로 변환하도록 적응되되, 상기 편광 빔의 종횡비는 상기 편광 요소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광 빔의 종횡비의 두 배인, 광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요소는 편광 빔스플리터와 위상 지연기를 포함하는, 광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는 자신의 공통 에지를 따라 함께 결합되는, 광원.
  5. 광원으로서,
    각각이 제1 및 제2 초점을 갖는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로서, 상기 부분-타원형 반사기는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의 제1 초점이 일반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되는, 부분 타원형 반사기;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의 상기 제1 초점에 위치되는 램프; 및
    램프가 턴 온 될 때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두 개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상기 부분-타원형 반사기를 경유해서 수신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광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타원형 반사기 중 대응하는 것과 그들 각각의 제2 초 점 사이의 광학 경로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미러를 더 포함하는, 광원.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의 종단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광원.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가 턴 온 될 때 상기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일부를 상기 제1 및 제2 부분 타원형 반사기를 향해 반사하도록 배열되는 램프 반사기를 더 포함하는, 광원.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의 제2 종단에 배치되는 편광 요소를 더 포함하는, 광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요소는 편광 빔스플리터와 위상 지연기를 포함하는, 광원.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요소는 상기 광 가이드의 제2 종단에서 제공되는 광의 종횡비가 두 배가 되도록 적응되는, 광원.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 타원형 반사기는 공통 에지를 공유하는, 광원.
  13. 광원으로서,
    광원은 광을 생성하는 램프와:
    각각이 상기 램프로부터 광의 일부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독립적인 반사기와;
    상기 제 1 및 제2 독립적인 반사기에 의해 수신되는 광의 일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광원의 두 개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광원.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독립적인 반사기 각각은 부분 타원면 모양을 갖는, 광원.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독립적인 반사기 각각은 포물선 모양을 갖는, 광원.
  16. 제15 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포물선 반사기 중 대응하는 하나로부터 반사광을 수신하고 상기 반사광으로부터 나오는 이미지 중 하나를 만드는 한 쌍의 렌즈를 더 포함하는, 광원.
  17. 제16 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렌즈 중 대응하는 하나와 그 이미지 사이의 광학 경로에 배치되는 한 쌍의 미러로서, 각각의 상기 미러는 광을 상기 렌즈로부터 상기 광 가이드를 향해 보내도록 적응되는, 한 쌍의 미러를 더 포함하는, 광원.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는 자신의 출력부에서 광 빔을 제공하도록 적응되되, 상기 광 빔은 상기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종횡비의 두 배의 종횡비를 갖는, 광원.
  19. 제13 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독립적인 반사기 중 대응하는 하나로부터 반사광을 수신하고 상기 반사광을 상기 광 가이드를 향해 보내는 한 쌍의 미러를 더 포함하는, 광원.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의 제2 종단에 배치되는 편광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편광 요소는 상기 광 가이드의 제2 종단에서 광 빔을 수신하고 상기 광 빔을 선형 편광빔으로 변환하도록 적응되되, 상기 선형 편광 빔의 종횡비는 상기 편광 요소에 의해 수신되는 광 빔의 종횡비의 두 배인, 광원.
KR1020057022652A 2003-05-30 2004-05-17 컬러 조사를 스크롤하기 위한 소형의 효율적인 광 수집옵틱스 KR20060015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481903P 2003-05-30 2003-05-30
US60/474,819 2003-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628A true KR20060015628A (ko) 2006-02-17

Family

ID=3349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652A KR20060015628A (ko) 2003-05-30 2004-05-17 컬러 조사를 스크롤하기 위한 소형의 효율적인 광 수집옵틱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646895A1 (ko)
JP (1) JP2007505476A (ko)
KR (1) KR20060015628A (ko)
CN (1) CN1798992A (ko)
TW (1) TW200500745A (ko)
WO (1) WO20041069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0966B1 (fr) * 1993-10-04 1995-12-29 Valeo Vision Projecteur à conduit de lumièr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US6102545A (en) * 1994-10-18 2000-08-15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EP1029198A4 (en) * 1998-06-08 2000-12-27 Karlheinz Strobl EFFICIENT LIGHTING SYSTEMS, COMPONENT AND MANUFACTURING PROCESS
DE10016882A1 (de) * 2000-04-05 2001-10-18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Beleucht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6996A1 (en) 2004-12-09
JP2007505476A (ja) 2007-03-08
TW200500745A (en) 2005-01-01
EP1646895A1 (en) 2006-04-19
CN1798992A (zh)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1001B2 (ja) 照明光学系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射型表示装置
KR100472816B1 (ko) 조명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터
US7455410B2 (en) Illuminating apparatus and projector
KR20010025115A (ko) 이중 램프 조명 시스템 및 이중 램프 조명 시스템 내장형투사 시스템
JP2007011179A (ja)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20060040582A (ko) 광 파이프를 구비하는 투사 엔진
US9016865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222974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KR20000075786A (ko) 다중 칼라 밴드 광원
US6331879B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with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KR20040102301A (ko) 보조광원을 채용하는 조명 장치 및 프로젝션 시스템
JPH10170869A (ja) 偏光照明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US6604827B2 (en) Efficient arc lamp illuminator for projection system
JP3301951B2 (ja) 照明装置
JP2000347589A (ja) プロジェクタ用照明装置
JP3335885B2 (ja) 偏光照明装置、および投写型液晶表示装置
KR20060015628A (ko) 컬러 조사를 스크롤하기 위한 소형의 효율적인 광 수집옵틱스
US20070053190A1 (en) Compact efficient light collection optics for scrolling color illumination
CN115793357A (zh) 液晶投影系统
WO2005059628A1 (en) Compact light collection optics including polarization conversion
CN218413186U (zh) 投影系统
JP5035879B2 (ja) 照明光学系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KR100644586B1 (ko) 프로젝터용 균일광 조명장치
KR100677140B1 (ko) 조명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투사장치
JP3550261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