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4664A -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4664A
KR20060014664A KR1020040063297A KR20040063297A KR20060014664A KR 20060014664 A KR20060014664 A KR 20060014664A KR 1020040063297 A KR1020040063297 A KR 1020040063297A KR 20040063297 A KR20040063297 A KR 20040063297A KR 20060014664 A KR20060014664 A KR 2006001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roller
base
tape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의정
위성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4664A/ko
Publication of KR2006001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46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일부가 결합되는 포스트(20)와, 상기 포스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30)와, 상기 포스트(20)로부터 상기 롤러(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프(T)의 상방향 유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포스트(20)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3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13)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플랜지(40) 및 나사부(23a)를 포스트(20)에 일체로 제작하여 압입 공정수를 줄여 이물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화면상의 굴곡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롤러, 포스트, 캡스턴, 테이프, 플랜지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A Guide Roller Assembly Of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의 테이프의 이송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 : 삽입공
13 : 상면 15 : 가이드부
20 : 포스트 23a : 나사부
30 : 롤러 40 : 상부 플랜지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기록재생 장치에서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의 테이프의 이송관계가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기록매체인 테이프(T)는, 공급릴(1)측에서 풀려서 권취릴(7)측에서 감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릴(1)측에서 권취릴(7)측으로 이동되는 테이프 주행계에서, 상기 테이프(T)에 기록된 신호가 드럼(3)에 설치된 자기헤드(미도시)에 의하여 재생되거나, 상기 테이프(T)에 신호가 기록되는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상기 공급릴(1)에서 공급되는 테이프(T)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2, 4)에 의하여 안내되어 지지되면서 드럼(3)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테이프(T)의 상단은 가이드 롤러 조립체(2, 4)의 상부 플랜지(2c)에 의해 상방향 유동량이 제어되고, 하단은 상기 가이드 롤러 조립체(2, 4)의 하부 플랜지(2d)에 의해 하방향 유동량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T)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캡스턴모터(5)가 메인샤시(8)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스턴모터(5)는, 테이프 카세트(미도시)의 공급허브와 권취허브를 공급릴(1)과 권취릴(7)을 사용하여 회전시켜, 테이프(T)를 정역방향으로 주행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동을 위하여, 상기 캡스턴모터(5)에는 구동풀리(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에는 벨트(미도시)가 감아 걸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캡스턴모터(5)의 출력축인 캡스턴축(5')은, 상기 캡스턴모터(5) 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샤시(8)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테이프 주행계에서 테이프(T)를 이송방향으로 당겨주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T)를 캡스턴축(5')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핀치 롤러 조립체(6)가 메인샤시(8) 상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 조립체(2)(두 개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2, 4)는 서로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 중 도면번호 '2'에 대응하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는 테이프(T)를 드럼(3)에 래핑(wrapping)시킬 때 일정 높이로 테이프(T)가 안내될 수 있도록 포스트(2a)에 스크류(2b)가 압입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2b)는 베이스(2f)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포스트(2a)에 끼워지는 롤러(2e)는 플라스틱 재질의 회전체로서, 상기 롤러(2e)의 외주연에 테이프(T)가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한다. 또한 상기 롤러(2e)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지지하여 롤러(2e)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 플랜지(2c)와 하부 플랜지(2d)가 상기 포스트(2a)의 상하부에 압입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소결합금으로 제작되는 상부 플랜지(2c)와 하부 플랜지(2d)를 포스트(2a)에 강제 압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각 플랜지(2c, 2d)의 내경에서 마모 이물이 생성된다. 이러한 이물은 포스트(2a) 상에 잔류하고 일부는 롤러(2e)와 포스트(2a)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롤러(2e)가 미세하게 튀게 되어 화면상 일자로 보여져야 할 라인이 사인파와 같은 파형으로 나타나게 되어 영상화면의 일그러짐 또는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2e)의 회전시 상기 이물과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플랜지(2c, 2d) 각각을 강제 압입하므로 가이드 롤러 조립체(2)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공정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포스트(2a)를 베이스(2f)로부터 풀 때, 상기 상부 플랜지(2c)를 공구로 잡고 조작한다. 하지만, 상기 상부 플랜지(2c)와 포스트(2a) 사이의 체결력이 상기 포스트(2a)와 베이스(2f) 사이의 체결력보다 작으면, 상기 상부 플랜지(2c)가 포스트(2a)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포스트(2a)는 상기 베이스(2f)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플랜지 및 나사부를 포스트에 일체로 제작하여 이물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스트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일체화하여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조립 공정수를 줄이기 위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스트를 베이스로부터 풀거나 조일 때 상부 플랜지와 포스트가 동시에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 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부가 결합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프의 상방향 유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포스트에는, 상기 베이스와 나사결합되고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부가 결합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프의 상방향 유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프의 하방향 유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은 상기 롤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플랜지 및 나사부를 포스트에 일체로 제작하여 압입 공정수를 줄여 이물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화면상의 굴곡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0)는 드럼(3)의 양단에 위치되도록 베이스(10)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포스트(20)에서 나사부(23a)가 형성되는 부분을 중단(23)으로 하고 축선방향으로 그 이하를 하단(21), 그 이상을 상단(25)으로 구분하기로 한다. 이 때 포스트(20)는 하단(21)이 중단(23)보다 직경이 작고, 중단(23)은 상단(25)과 직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때 상기 포스트의 하단(21)이 베이스(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단(23)에 있는 나사부(23a)가 베이스(10)와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되는 삽입공(11)의 직경도 상기 포스트(20)의 하단(21)과 중단(23)에 대응하여 하부가 작고 상부가 크게 형성된다. 즉, 베이스(10)의 삽입공(11)은 직경에 따라 하부 삽입공(11a)과 상부 삽입공(11b)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삽입공(11a)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20)의 중단(23)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23a)가 구비된다. 따라서 포스트(20)의 하단(21)이 상기 베이스(10)의 하부 삽입공(11a)에 삽입되면 상기 포스트(20)의 중단(23)에 형성된 나사부(23a)가 상기 상부 삽입공(11b)의 암나사와 결합한다.
이 때 포스트(20)의 전체길이 중 약 1/3에 해당하는 하단(21)이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10)의 하부 삽입공(11a)에 삽입되고 상기 중단(23)의 나사부(23a)는 상기 상부 삽입공(11b)과 결합되어 포스트(20)는 고정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20)의 나사부(23a)가 상기 상부 삽입공(11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한 상기 고정 상태는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나사부(23a)는 상기 상부 삽입공(11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조여지거나 풀려질 수 있다. 이러 한 나사부(23a)의 이동에 의해 포스트(20)는 높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롤러(30)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진 회전체로서, 캡스턴 모터(5)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테이프(T)가 외주연에 접촉됨으로써 포스트(20)의 외주연에서 회전된다. 이러한 롤러(30)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롤러(30)의 내주연은 상기 포스트(20)의 외주연과 약간의 갭(gap)을 가진다. 즉, 상기 롤러(30)가 포스트(20)의 외주연에서 최소의 마찰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30)의 내주연 직경은 상기 포스트(2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이는 본 분야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포스트(20)의 외주연과 롤러(30)의 내주연의 직경비가 사용되므로 정확한 치수의 기재는 생략한다.
이러한 롤러(3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상면(13)에 의해 지지된다. 즉, 롤러(30)는 이하에서 설명될 상부 플랜지(40) 및 상기 베이스(10)의 상면(13)에 의해 포스트(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는 종래의 하부 플랜지를 생략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면(13)이 하부 플랜지의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하부 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하부 플랜지를 포스트(20)에 강제 압입할 때 발생되는 마모 이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부 플랜지(40)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포스트(20)에 끼워진 롤러(30)의 상단을 한정하여 롤러(30)가 회전 중에 포스트(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T)의 상방향 유동량을 제어하여 상기 테이프(T)가 상기 롤러(30)에 안정적으로 래핑(wrapping)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테이프(T)의 하방향 유동량은 상기 베이스 상면(13)의 가장자리 인 가이드부(15)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5)는 상기 롤러(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30)에 테이프(T)가 래핑될 때 상기 테이프(T)의 하단이 가이드되게 한다. 따라서 테이프(T)는 상기 상부 플랜지(40)와 가이드부(15) 사이에서 상/하방향 유동량이 제어되면서 드럼(3)으로 안내된다.
위와 같은 기능을 하는 상부 플랜지(40)는 본 실시예에서 포스트(20)의 상단(25)에 포스트(20)와 일체로 제작된다. 이는 상기 상부 플랜지(40)를 포스트(20)에 강제 압입함으로써 발생되는 상부 플랜지(40)의 마모 이물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포스트(20)의 높이방향 위치를 조절할 때 상부 플랜지(40)가 포스트(20)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부(23a)를 포스트(20)에 일체로 형성한다. 따라서 나사부(23a)의 재질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강제 압입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나사부(23a)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테이프(T)를 정확히 안내하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포스트(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테이프 카세트(미도시)를 데크(미도시)에 삽입하고 전면플레이트(미도시)에 있는 동작버튼을 통해 구동시키면 자기기록매체인 테이프(T)는 공급릴(1)측에서 풀려서 권취릴(7)측에 감기게 된다. 만일 상기 동작버튼이 '되감기(Rew)'라면 반대로 권취릴(7)측에서 풀려 공급릴(1)측에 감기게 될 것이다.
상기 공급릴(1)과 권취릴(7) 사이에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 드럼(3), 캡스턴 모터(5) 및 핀치 롤러 조립체(6)가 있어 테이프(T)의 진로를 이끌고 테이프(T)에 기록된 신호를 읽게 된다. 다시 말하면, 테이프(T)는 캡스턴 모터(5)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데, 테이프 카세트의 공급허브와 권취허브를 회전시켜 테이프(T)를 정역방향으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드럼(3)의 양단에 각각 위치한 가이드 롤러 조립체에 의해 테이프(T)가 가이드되어 드럼(3)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드럼(3)에 설치된 자기헤드가 상기 드럼(3)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테이프(T)에 기록된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가이드롤러 조립체는 롤러(30)가 삽입된 포스트(20)를 베이스(10)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즉, 포스트(20)에 상부 플랜지(40)와 나사부(23a)가 일체로 제작되고 롤러(3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상면(13)에 의해 지지되므로 압입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이 후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베이스(10)를 슬랜트베이스(미도시)에 설치한다. 이 때 상부 플랜지(40)와 상기 베이스(10)의 가이드부(15) 사이의 수직방향 위치 및 간격이 테이프(T)의 이동면 및 폭과 일치하게 한다.
그리고 포스트(20)의 나사부(23a)는 베이스(10)의 상부 삽입공(21b)에 형성된 암나사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부(23a)를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조이고 푸는 작동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포스트(20)에 장착된 롤러(30)의 높이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T)의 이동면과 롤러(30)의 외주연이 일치되도록 하는 조정 은 1차로 베이스(10)를 슬랜트베이스에 설치할 때 이루어지고, 2차로 상기 나사부(23a)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정을 통해 롤러(30)가 정확하게 테이프(T)의 이동면에 위치되어 테이프(T)가 롤러(30)의 외주연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롤러(30)는 테이프(T)와 접촉되는 외주연에 요철이 있어서도 안되지만, 내주연에 이물질이 끼어 미세하게라도 튀어서도 안된다. 만일 롤러(30)의 내주연, 즉, 롤러(30)와 포스트(20) 사이에 이물이 끼어 롤러(30)가 튀게 된다면 테이프(T)에 기록된 내용이 재생될 때 왜곡이 발생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수평한 선이 재생되도록 테이프(T)에 기록되어 있었다면, 이러한 롤러(30)의 외란으로 사인파와 같은 파형이 재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이물의 발생을 줄여 롤러(30)의 외란을 방지하도록 상부 플랜지(40)를 포스트(20)와 일체로 제작한다. 그리고 하부 플랜지를 생략하고 베이스(10)의 상면(13)이 상기 롤러(30)의 하단을 지지하게 하였다.
따라서 롤러(30)는 상부 플랜지(40)와 베이스(10)의 상면(13)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된다. 이 때 테이프(T)의 상하 유동량은 상부 플랜지(40)에 의해 상방향 유동량이 제어되고, 베이스(10)의 가이드부(15)에 의해 하방향 유동량이 제어된다. 따라서 포스트(20)에 하부 플랜지가 구비되지 않아도 테이프(T)의 상하 유동량은 상기와 같이 제어되게 된다.
그런데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설치한 후, 롤러(30)의 외주연이 테이프(T)의 이동면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추가적인 조정을 하기 위해 나사부(23a)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을 한다는 것은 이미 설명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동작에 의해 포스트(20)가 베이스(10)로부터 풀려진다면 상부 플랜지(40)와 베이스 상면(13)과의 거리가 멀어진다. 따라서, 포스트(20)를 베이스(10)로부터 풀었음에도 불구하고 롤러(30)는 포스트(20)와 함께 높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롤러(30)는 여전히 베이스(10)의 상면(13)에 머물게 되어 롤러(30)의 높이방향 위치가 조정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최초에 가이드롤러 조립체를 베이스(10)에 삽입하여 베이스(10)를 슬랜트베이스에 설치할 때 상부 플랜지(40)와 베이스(10)의 가이드부(15) 사이의 위치 및 간격이 테이프(T)의 이동면과 폭에 일치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이 후 포스트(20)의 나사부(23a)를 이용하여 포스트(20)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는 0.1㎜이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포스트(20)의 나사부(23a)를 통한 포스트(20)의 높이 조정은 미세 범위내이므로 롤러(30)의 하단이 베이스 상면(13)에 의해 지지된다 하여도 상기와 같은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플랜지 및 나사부를 포스트에 일체로 제작하여 압입 공정수를 줄여 이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어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화면상의 굴곡발생 빈도가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의 일체화를 통해 구조가 단순해져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품질 안정화 및 염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의 이동면과 롤러의 외주연을 일치시키기 위해 포스트를 베이스로부터 풀거나 조일 때 상부 플랜지와 포스트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부가 결합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프의 상방향 유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는, 상기 베이스와 나사결합되고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3.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부가 결합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프의 상방향 유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프의 하방향 유동 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은 상기 롤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KR1020040063297A 2004-08-11 2004-08-11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KR20060014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297A KR20060014664A (ko) 2004-08-11 2004-08-11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297A KR20060014664A (ko) 2004-08-11 2004-08-11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664A true KR20060014664A (ko) 2006-02-16

Family

ID=3712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297A KR20060014664A (ko) 2004-08-11 2004-08-11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4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35B1 (ko) * 2007-05-14 2012-04-06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필름 반송 장치 및 권취식 진공 성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35B1 (ko) * 2007-05-14 2012-04-06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필름 반송 장치 및 권취식 진공 성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4664A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KR20030032586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터
KR20060003750A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US5296994A (en) Magnetic tape guide mechanism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838520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tilting head drum for dynamic tracking
KR10042457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터 장착구조
KR20018767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가이드롤러장치
KR200148528Y1 (ko) 브이씨알의 가이드 롤러 장치
KR200159089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
KR100215414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012899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 롤러 조립구조
KR940008562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길이 조절장치
KR19980059014A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텐션레버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42938Y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US7180697B2 (en) Tape loading apparatus
US6822822B2 (en) Tape loading apparatus
KR200214362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가이드롤러장치
KR19980059001A (ko) 브리씨알의 테이프 가이드 포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4936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장치
KR200310070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테이프주행장치
KR013673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로울러 조립체
KR200142933Y1 (ko) 캡스턴 모터 고정 조절 장치
KR200321596Y1 (ko) 테이프레코더의폴베이스조립체
KR970005049Y1 (ko) 광테이프 카세트
KR970005057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가이드롤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